녹양역 | ||
| ||
소요산 방면양 주 ← 1.6 ㎞ | 1호선 (108) | 인천 방면 가 능 1.3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Nogyang | |
한자 | 綠楊 | |
중국어 | 绿杨 | |
일본어 | [ruby(緑楊, ruby=ノギャン)] | |
주소 |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757 (녹양동)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을종) (의정부역 관리 / 코레일 서울본부) | ||
운영 기관 | ||
경원선 | | |
개업일 | ||
경원선 | 2006년 12월 15일 | |
1호선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용산 방면가 능 ← 1.3 ㎞ | 경원선 녹 양 | 백마고지 방면양 주 1.6 ㎞ → |
역사 (1번 출구) |
수도권 전철 1호선 2번 승강장 |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 108번.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757 (녹양동) 소재.2. 역 정보
경원선 의정부 - 소요산 복선전철화에 맞춰 2006년에 영업을 시작했다. 일반열차가 정차했던 적은 한 번도 없고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만 정차한다.동두천이나 소요산이 목적지이나 양주행 열차를 탈 경우 최소한 이 역에 내려서 다음 열차로 환승하도록 기관사나 차장이 안내하고 있다. 양주역에서 내리면 동두천/소요산행으로 갈아타기 위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기 위해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데 녹양역에서 내리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의정부시 최북단 전철역이다.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의정부종합운동장, 의정부지방법원·의정부지방검찰청이 있으며 녹양현대아파트, 녹양휴먼시아 등의 아파트 단지가 있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건축된 소규모의 상가 단지도 존재한다. 휴먼시아 단지가 아닌 지역으로 들어가는 교통편도 시내버스 5번과 마을버스 208-1번[1]이 있어서 연계 교통도 나쁘지 않다.2번 출구 앞에 선로가 하나 있는데, 미39보급선이다. 의정부 미군기지로 반입되는 유류수송용 인입선으로 사용되었다. 지금은 기지가 이전해 사용하지 않으며[2] 군데군데 끊어져 있다.
의정부실내체육관에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가 들어섰지만 역과 1.6km로 조금 떨어져 있어 걸어서 가기에는 어려워 배구 시즌이 개막했을 때에도 동대입구역과 상록수역처럼 배구 팬들이 붐비지는 않는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2006년 | 3,865명 | [3] |
2007년 | 5,480명 | |
2008년 | 7,473명 | |
2009년 | 8,661명 | |
2010년 | 9,120명 | |
2011년 | 9,713명 | |
2012년 | 9,964명 | |
2013년 | 9,912명 | |
2014년 | 9,786명 | |
2015년 | 9,686명 | |
2016년 | 9,809명 | |
2017년 | 9,770명 | |
2018년 | 9,576명 | |
2019년 | 9,903명 | |
2020년 | 7,426명 | |
2021년 | 7,545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9천 명대 중후반으로 안착한 2011년 이후 꾸준히 이 정도의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
- 눈에 띄는 부분은 하루 평균 이용객이 1만 명에 가까움에도, 1만 명을 넘은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는 점이다.
- 의정부시에 있는 다섯 개의 경원선 역들 중에 가장 수요가 적은 역이다.
5.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2017년 12월부터 스크린도어 가동을 시작했다.↑ 양주 | |||
1 | ㅣ | ㅣ | 2 |
가능 ↓ |
1 | | 양주·덕정·동두천·소요산 방면 |
2 | 광운대·서울역·구로·인천 방면 |
6. 연계교통
|
|
|
|
[1] 녹양동,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을 순환하는 마을버스. 평소에는 사람이 별로 없지만 등교시간에는 의정부고등학교, 광동고등학교로 등교하는 학생들로 가축수송을 보인다.[2] 이 기지 자리는 동서로 나뉘어 서쪽에는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이 운영중이고, 동쪽에는 경기도교육청북부청사가 이전해 왔다.[3]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