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23:48:01

서빙고역

서빙고역
파일:GJLine_icon.svg
[[문산역|
문산 방면
]]이 촌
← 1.7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K112)
]]
[[지평역|
지평 방면
]]한 남
1.9 ㎞ →
역명 표기
경원선 서빙고
Seobinggo
西氷庫 / 西冰库 / ソビンゴ
경의·중앙선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238 (서빙고동 241-98)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용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운영 기관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원선 1917년 10월 1일
1호선
1978년 12월 9일
중앙선 2005년 12월 16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9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용산역|
용산 방면
]]이 촌
← 1.7 ㎞
경원선
서빙고
[[백마고지역|
백마고지 방면
]]한 남
1.9 ㎞ →
파일:서빙고역 3대 역사.jpg
3대 역사 (1984년 준공)[1]
파일:West Bingo But 2005.jpg
2005년의 3대 역사[2]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12번.[3]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238 (서빙고동 241-98) 소재.
기와지붕 지상역사에서 선상역사로
서빙고역은 1917년 10월 경원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4년 역사 신축 준공에 이어 1980년 수도권 전철이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1984년 선상 역사를 신축, 준공하여 새롭게 영업을 개시하였다. 지상 역사는 부대건물을 갖춘 212㎡ 규모의 벽돌조 기와 단층 건물로, 옛 역사가 사무공간으로 공존해오다 2010년 철거되고 종합시설 사무동이 건설되었다. 1997년 을종승차권 대매소로 지정된 후 2000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른다. 2017년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파일:역안내도_서빙고.png
역 안내도 크게 보기
조선시대에 얼음의 채취·보존·출납을 맡아보던 관아인 서빙고(西氷庫)에서 유래된 동명의 동에 위치한 역이다.
파일:서빙고역 대피선.jpg
대피선에 열차가 대기하는 모습
(321C02편성)
용산-청량리 구간 중 유일하게 양방향 대피선을 갖추고 있는 역이다. 덕분에 전철이 화물열차, 일부 특별열차를 추월하거나, ITX-청춘KTX-이음[4], 급행열차가 전동열차를 추월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그나마 여기에라도 대피선이 있어서 해당 구간의 선로용량을 조금이라도 늘릴 수 있다.
파일:서빙고역 구역사.jpg
2대 역사 (1954년 준공, 2010년 철거)

현역사에서 왕십리, 팔당방향으로 가다 보면 구형 역명판(하얀 바탕에 파란색 글씨)을 단 구역사가 있었다. 1984년에 현 역사가 준공된 이후 사무용도로 쓰였는데, 2010년 5월에 철거됐고 그 자리에 종합시설사무동이 올라갔다. 화물철도주한미군기지 관련 군사 시설 취급한 듯하다. 미군기지는 2021년 모두 철수했기에 주한미군 관련 화물은 더 이상 들어가지 않는다.

이 역부터 응봉역까지 구간은 강변북로와 나란히 한강변을 따라 달리게 된다. 한강 쪽 경치가 꽤 멋있다. 강변북로의 심각한 교통체증을 보며 우월감을 느낄 수도 있다.

잘 모르는 사실이지만 이 역은 한강 이북 최남단 역이다.

2015년 4월 1일 한국철도공사 직제규정 개정으로 인해, 기존 관리역이 폐지되고 물류사업단 직할역이 되었다.

강릉·영동선 KTX와 ITX를 먼저 보내기 위해 오래 정차하는 사례가 가끔 있다. 이 때는 정차 위치가 바뀌어 오른쪽 출입문이 열리므로 주의해야 하며 안내방송을 잘 들어야 한다.

1978년 4월 1일부터 일정 기간 왕십리역과 함께 전철공사로 인해서 여객취급을 중지한 적이 있었다.[5]

3. 역 주변 정보

대낮엔 이용하는 사람이 적어서 매우 황량한 역이다. 서울 한복판에 있는 역임에도 거의 시골역 수준의 포스를 풍긴다.

이용객이 적고 한산하면서도 서울 한복판에 있다보니 군사적인(?) 용도로 종종 쓰인다. 대표적으로 국직부대수방사(및 예하 56사단, 52사단 포함)등 서울권 부대에 배치된 신병들이 훈련소후반기교육을 마치고 최종 자대배치에 앞서 군용열차를 타고 와서 집결하는 역이기도 하다. 해당 신병들은 일단 서빙고역에 내린 후, 각 부대에서 나온 차량으로 갈아타고 앞으로 근무하게 될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고향이 서울이든 지방이든 무관하게, 자대가 서울이라는 것 자체가 위치든 복무여건이든 여러모로 좋은 점이 많다보니 그 기대감과, 더불어 입대 후 오랜만에 (혹은 처음) 보는 서울 풍경 덕에 신병들 치고는 표정들이 대체로 밝은 편이다. 병사들에게 서빙고역의 이미지[6]

이외에도 과거에 ROTC 입영훈련이 성남시 수정구 학생중앙군사학교(현 위례신도시 터)에서 이루어지던 시절에는 ROTC 인원들이 이 역에서 하차하여 전세버스로 갈아타고 목적지인 문무대로 이동했는데, 현재는 괴산군으로 이전하여 이런 풍경은 더 이상 볼 수 없다. 덕분에 방학 기간 중 ROTC의 계절 훈련이 있는 때면, 전투복 + 완전군장 + 방탄모까지 쓴 인원들로 이 역이 붐비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ROTC의 입영훈련은 전체 인원을 절반씩 나눠 1차와 2차로 보내므로, 방학 중 4번은 이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표정을 봐서 행복해 하는 표정이면 십중팔구 훈련이 끝나 집으로 가는 시기이다.
  • 1번 출구 (북쪽) - 용산 주한미군부대, 서울서빙고초등학교, 한강중학교 방면
    북쪽으로는 용산기지가 위치해 있으며 남쪽 지역엔 아파트 단지가 있다. 사실 이 역의 존재 목적은 화물열차. 그래서 다른 역과는 달리 대피선과 화물열차가 가득한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파일:GJLine_icon.svg ||<bgcolor=#77c4a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78년 675명
1979년 1,438명
1980년 1,497명
1981년 1,667명
1982년 1,786명
1983년 1,948명
1984년 2,409명
1985년 2,542명
1986년 2,586명
1987년 2,472명
1988년 2,309명
1989년 2,130명
1990년 2,216명
1991년 2,535명
1992년 2,779명
1993년 3,087명
1994년 3,271명
1995년 3,550명
1996년 3,946명
1997년 4,461명
1998년 4,618명
1999년 5,140명
2000년 4,306명 비고
2001년 5,166명
2002년 5,346명
2003년 5,774명
2004년 4,671명 [7]
2005년 4,379명
2006년 4,119명
2007년 4,215명
2008년 4,094명
2009년 4,147명 }}}}}}}}}
2010년 4,165명
2011년 4,211명
2012년 4,257명
2013년 4,221명
2014년 4,109명
2015년 4,525명
2016년 4,572명
2017년 4,416명
2018년 4,172명
2019년 4,149명
2020년 2,884명
2021년 3,132명
2022년 3,837명
2023년 4,362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이 역은 하루 평균 이용객이 4천 명을 겨우 넘는 역이다. 보통 때의 여객수요는 남영역의 물주 삼일교회처럼 서빙고역 앞에 있는 온누리교회가 담당하며, 온누리교회 예배시간이 RH시간대가 된다. 참고로 온누리교회는 교회↔이촌역과 교회↔한강고수부지의 교회주차장 간의 봉고차 이외에 교회셔틀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5. 승강장

파일:서빙고역 승강장.jpg
경의·중앙선 승강장
이촌
2 1
한남
1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급행청량리·덕소·용문·지평 방면
2 이촌·용산·일산·문산 방면

2017년 11월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을 시작했다.

6. 연계 버스

1번 출입구 근처 서빙고역 교차로의 경우 지하차도와 양방향 U턴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동작대교의 구조와 미군기지와 경원선 철도의 존재 등으로 도로체계가 매우 난해하다. 이에 따라 시내버스의 행선지에 따라 정류장의 위치에 차이가 있고, 자칫 잘못 탔다가는 돌이키기 힘든 시간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니 이용객의 각별한 주의를 요하며, 아리송한 경우 반드시 기사 분께 행선지를 묻고 타도록 하자. 이것도 405번이 정리되면서 그나마 좀 단순화된 거다. 이 때문에 철도쪽에선 여객 한정 존재감이 거의 없지만 버덕들 사이에선 간간히 이슈가 되는 곳이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1번 출구 정류소의 경우 상행과 하행 정류소가 반대편이 아니라 나란히 붙어 있다. 03325 정류소는 서빙고지하차도로 진입해 용산역 방면으로 가는 버스들이 서고, 03157 정류소는 지하차도로 들어가지 않고 서빙고로를 따라 직진하는 버스들이 선다.
서빙고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서빙고역1번출구
(03325)
<colcolor=#ffffff> 지선
간선
서빙고역1번출구
(03157)
지선
간선
서빙고역교차로 (03267) 간선
서빙고초등학교 (03268) 간선

7. 기타

파일:UTePm5T.jpg
여자친구의 <시간을 달려서> 뮤직비디오 중 일부가 1번 승강장(청량리, 지평 방면)에서 촬영되었다.[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NOWFLAKE(여자친구) 문서
번 문단을
뮤직비디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과거에는 리치의 '사랑해 이 말 밖에', 김현성의 '행복' 뮤직비디오에도 서빙고역이 나왔다. 리치의 뮤비에는 여주인공이 서빙고역에서 노량진, 연신내, 원당을 거쳐 일산까지 뛰어가는 장면이 나오고, 김현성의 뮤비에서는 7호선 매표소 여직원이 막판에 서빙고역 매표소로 가 있는 장면이 나오는데, 현실에서는 서울교통공사 퇴직 후 코레일에 재취업하지 않는 이상은 불가능하다.

역명 개그로 자주 쓰이는 역들 중 하나. 거북이의 3집 수록곡[9] 빙고의 노래 가사에서 '쉽게만 살아가면 재미없어 빙고'라는 부분의 마지막 세 글자가 '서빙고'로 들린다.

학생중앙군사학교가 2011년 성남에서 괴산으로 이전하기 전에는 경부선으로 모인 각 대학교 학군단 후보생들이 드랍되는 곳이라 훈련시기만 되면 역이 엄청나게 붐볐다.

2017년에 개업 100주년을 맞이했다.

8.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원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중지
}}}}}}}}}

[1] 왼쪽 건물은 역사 역할이 아닌 시설관리 등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실제 역사 역할은 1984년에 지어진 오른쪽의 작은 선상역사가 하고 있다.[2] 2010년 계단에 유리창 설치 및 콘크리트 설치 등을 하면서 개축되었다.[3]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전엔 K130번이였다.[4] 최초 운행 당시 KTX-산천 140000호대[5] 철도청고시 제5호[6] 유튜버 효자손 영상.[7]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8] 맨 마지막 막혀있는 두 칸에서 찍은 걸로 보인다. 그리고 소원 뒤에 보이는 저 의자는 소품으로 보인다.[9] 많은 사람들이 빙고를 타이틀곡으로 알고 있는데 실제 타이들곡은 '얼마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