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정역 (서정대학교) | |||
| |||
소요산 방면 | 1호선 (105) | 인천 방면 덕 계 2.9 ㎞ → | |
지 행 ← 5.6 ㎞ | |||
1호선''' 경원선 급행 ''' | 인천 방면양 주 8.2 ㎞ → | ||
동두천 방면 | |||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
| |||
시종착 | GTX-C(미개통) | 의정부 12.3 ㎞→ | }}}}}} |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 Deokjeong | ||
한자 | 德亭 | ||
간체자 | |||
가나 | [ruby(徳亭, ruby=トクチョン)] | ||
주소 | |||
경기도 양주시 화합로 1356 (덕정동)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3급 (의정부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
운영 기관 | |||
경원선 | | ||
개업일 | |||
경원선 | 1912년 7월 25일 | ||
1호선 | 2006년 12월 15일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 |||
승강장 구조 | |||
2면 8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용산 방면덕 계 ← 2.9 ㎞ | 경원선 덕 정 | 백마고지 방면지 행 5.6 ㎞ → |
<colbgcolor=#fff,#191919> 이 역과 덕계역 사이에 회정역 신설이 확정되었다. |
이 역과 지행역 사이에 봉양역 신설이 계획되고 있다. |
[clearfix]
1. 개요
1911년 경원선 보통역으로 출발, 인근 아파트단지 건설로 빠르게 성장
덕정역은 1911년 10월 경원선의 주요 역사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군부대 주둔과 아파트단지 건설로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며 역사도 함께 성장하였다. 1958년 철로 변에 자리한 97.84㎡ 규모의 조그마한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역사에 이어 1999년 급격한 이용객 증가로 신역사가 설립되었다가 2006년 12월 수도권 전철 개통으로 현재의 현대식 역사로 탈바꿈하였다. 실제 2006년 12월 15일 덕정역 로비에서 전철개통을 축하하는 콘서트가 열렸을 만큼 지역주민들과 경기 북부지역이 오랫동안 소원해오던 일이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05번. 경기도 양주시 화합로 1356 (덕정동) 소재.덕정역은 1911년 10월 경원선의 주요 역사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군부대 주둔과 아파트단지 건설로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며 역사도 함께 성장하였다. 1958년 철로 변에 자리한 97.84㎡ 규모의 조그마한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역사에 이어 1999년 급격한 이용객 증가로 신역사가 설립되었다가 2006년 12월 수도권 전철 개통으로 현재의 현대식 역사로 탈바꿈하였다. 실제 2006년 12월 15일 덕정역 로비에서 전철개통을 축하하는 콘서트가 열렸을 만큼 지역주민들과 경기 북부지역이 오랫동안 소원해오던 일이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2.1.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1912년에 개통된 역으로서 경원선이 연천역까지 우선 개통될 때 같이 개통된 유서깊은 역이다. 양주군 시절 회천읍에 속했다. 또한 말만 주내였지 한적한 시골 간이역[1] 수준이었던 양주역 보단 훨씬 크고, 의정부시 및 동두천시 분리 승격 후 양주군(양주시)의 실질적인 중심역이었다. |
1세대 역사 |
|
1999년에 완공된 2세대 역사 |
경원선 복선전철 개통을 앞둔 2006년에 재건축되어, 불과 7년 정도만 쓰고 철거되었다. 이 역사는 지금보다 약 100여미터 지행역 방면으로 자리했다. 1999년에 지어진 역사의 규모와 시설이 간이역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던 터라 전철역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승강장 맞은편이 군부대이다. 수도권 전철 연장 전에는 일반열차가 운행하던 저상홈 구조이어서 훈련모습도 가끔 볼 수 있었다. 역 자체가 고가인 관계로 지금은 직접 볼 수는 없다.
국민은행출장소와 홍익회매점, TMO(국군 철도 수송 지원반) 사무실 등이 있었다.
역 서쪽에 자리한 군 관련 설비와 그린벨트 등의 문제가 있어서 출구는 동쪽의 하나뿐이다. 추가출구는 나중에 회천신도시 건설과 입주가 시작되면 개설될 듯하다.
스토리웨이, 분식집, 던킨도너츠, 그리고 화장실이 있다. 역사 바깥으로는 버스정류장, 택시 승강장, 공중전화,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59쌀피자[2], 뚜레쥬르, 더페이스샵 등이 있다가 현재는 폐점했다. 2018년 9월 기준으로 뚜레쥬르 자리에 던킨도넛이 들어왔다. 던킨도넛입구와 역무실 입구가 역 출입문을 두고 나란히 나있다.
새 역사는 상당히 큰 편이어서 가끔 역 광장에서 공연도 열리고, 아무래도 긴 배차간격 때문인지 역 내부에는 크고 아름다운 대형 TV를 비치하여 전철을 기다리는 승객들과 복귀까지 시간이 남은 군인들[3]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2013년 12월에 로비의 일반TV는 철거되었으며, 소리가 안 나오고 양주시 홍보방송만 줄곧 나오는 TV 한 대만 남아있다. 내부에 어묵이 맛있는 분식점, 스토리웨이, 화장품 로드샵, 빵집이 있고 또 바로 건너편에 음식점들이 있어 열차를 기다리는 시간을 때우기에는 괜찮은 편이다.
양주시에서 유일한 보통역이다. 덕계역, 장흥역, 일영역, 송추역은 무배치간이역, 양주역은 배치간이역, 온릉역은 임시승강장, 마전역은 신호장이다.[4]
서울교통공사열차는 모두 양주역에서 시종착하며 코레일 일부 열차는 의정부역까지만 가는 것도 있어서 수요가 꽤 많은 편임에도 출퇴근 시간을 뺀 평일 오전, 오후시간에는 열차가 1시간에 3대, 즉 20분에 한 대씩 오는 안드로메다급 배차간격을 자랑한다. 평일 낮이나 주말·공휴일에는 배차가 30분 이상 벌어지기도 한다. 그나마 2017년말부터의정부역 및 양주역 종착열차 가운데 10회를 동두천역까지 연장하여 덕정·덕계 등 양주구간 시격이 26.3분에서 21.2분으로 5분 단축된 게 이 정도이다.[5] 게다가 동두천/소요산행 배차간격이 균등하지 못해, 시간대에 따라서 다음 차가 5분 뒤에 올 수도 30분 뒤에 올 수도 있다. 양주시에서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양주역 종착열차를 덕정역까지 연장하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다만 화물운송용 건넘선 말고 회차설비가 없어서 여러모로 난항이 예상된다.
단선 비전철시절 경원선에서 완목신호기가 작동하는 역이었다. 수도권 안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작동했으며, 복선전철 개통 코앞인 2006년까지 남아 있었다.[6]
연선수요가 적던 관계로 같은 경원선 구간인 동두천과 의정부에 견줘서 역간거리가 긴 편이었다. 양주시 경원선 역이 양주역과 덕정역이 전부이던 시절에는 무려 8.2km, 경인선으로 따지면 구로~소사 정도를 가지는 거리다. 이뒤에 덕계역과 마전신호장이 열었고, 가칭 회정역이 건설될 예정이라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전방에 자리하다 보니 매주 목요일 오후에 운행하는 병력수송열차가 이 역에도 선다. 주로 육군훈련소수료 혹은 상무대, 자운대에서 후반기교육을 받고 배출된 뒤에 의정부, 양주, 연천, 파주, 포천으로 자대배치를 받은 신병들이 이 역에서 내려서 각 자대로 이동한다. 하루에 한 번 화물취급이 이루어진다. 포대시멘트를 취급하며 #6121, #6122로 운행을 한다.
2.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한편, GTX C선 시종착역으로 거론되고 있다. 기존에 의정부역~금정역까지로 계획된 사업의 예비타당성평가의 결과로 경제적 타당성(B/C)이 0.66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사업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 양주신도시 및 수원역 연장안을 기획재정부에 통보했다. 양주신도시의 회천지구예정지 안에 자리한 역이며 예비선로가 충분하여 가능성이 있다고 보인다. 광역급행열차 C노선, 수원·양주까지 연장2018년 12월 11일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이 연장안이 한 발 먼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착공을 앞둔 A노선을 상회하는 1.36, 종합평가(AHP) 0.616로 사업추진이 확정됐다고 한다. GTX C노선 사업 탄력…예비 타당성 조사 통과
2019년부터 양주시는 광역복합환승센터건립을 추진하고있다. 아마도 GTX C노선과 1호선, 버스, 택시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일 것이다. 2020년 상반기에 용역발주에 들어갈 예정이며,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환승센터 부지가 1번출구 기준으로 뒷쪽에 있다. 군부지도 편입될 수 있으나, 군사기밀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천지구 개발지도를 보면 해당부지가 하얀색이다. 곧, 그 넓은 땅을 알 수 있다.
예상규모는 별내역 축소판이거나, 수원역보다는 작으며 양주역이나 도봉산역보다는 클 것이다. 또한 현재 구조상 선상역사로 환승센터를 지을 수도 있다. 어차피 화장실을 허물고 새 출구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GTX 노선 중 최북단에 자리한다. GTX 운정역은 의정부역과 동위도이며 덕정역은 무려 문산역과 동위도이다.
이 주변에 GTX C선 차량기지를 짓는다는 설이 있다. 짓는다면 봉양동 혹은 은현면일 가능성이 높다.[7] 덕정동에 지으려면 아마도 신도시 바로 위쪽 건너편에 지어야된다.
3. 역 주변 정보
양주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 가운데 하나이다. 가는 날이 장날인 경우 5일장(2, 7일 덕정시장)이 열리는 것을 볼 수 있다.남쪽에 기존택지지구인 덕정지구와 2기 신도시 계획에 따른 양주신도시의 옥정지구가 자리하며, 회천지구를 개발하고 있다. 부역명은 서정대학교로, 인근에 있어서 붙인 이름이지만, 은현면이어서 3㎞ 거리이다. 예원예술대학교 경기드림캠퍼스보다 조금 더 멀다.
역에서 건너면 덕정초등학교, 덕정중학교, 회천1동행정복지센터, 회천농협본점, 양주덕정동우체국, 양주시덕정도서관, 이마트 양주점 등이 인접해 있다. 덕정고등학교는 덕정지구 고암동에 있어서 더 멀다.
덕정사거리에서 고개를 넘어 서정대학교로 가기 전에 국군양주병원이라는 군병원이 있다.[8] 그 건너편에 예원예술대학교 경기드림캠퍼스가 있으며, 고암동에는 2014년 3월에 개교한 경동대학교 양주 METROPOL캠퍼스도 있다.[9]
이 역 주변에 악명높은 이단 사이비인 덕정사랑교회가 있다. 여기 주변에 사는 사람들은 타 교회와 혼동 안 하도록 주의하자.
양주신도시 옥정지구의 북쪽 관문역이다. 버스환승이 강제되기는 하지만, 옥정지구에는 철도시설이 없는데다가 지리로 가장 가까운 덕계역까지의 직통로는 회천지구에 속해 건설이 지연되어 2019년에 개통했다. 의존도는 낮아졌지만, 급행이 서는데다가 GTX-C 노선 종점으로 예정되어 있어 그 중요도는 다시금 높아질 예정이다.
의정부시에 사는 예비역들에게 애증의 역인데, 의정부시 예비군훈련장 훈련통지서에는 걸어도 금방 도착할 수 있는 것처럼 써놨지만 실상은 30분 이상 걸리기 때문이다. 도보이용 때에 차라리 덕계역부터 이동하는 게 더 빠르며, 버스이용 때에 역 앞 정류장에서 양주 버스 118을 타면 된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2006년 | 6,614명 | [10] |
2007년 | 9,974명 | |
2008년 | 11,850명 | |
2009년 | 12,828명 | |
2010년 | 13,168명 | |
2011년 | 13,816명 | |
2012년 | 14,139명 | |
2013년 | 13,897명 | |
2014년 | 14,131명 | |
2015년 | 14,253명 | |
2016년 | 14,188명 | |
2017년 | 14,098명 | |
2018년 | 13,693명 | |
2019년 | 13,548명 | |
2020년 | 9,326명 | |
2021년 | 9,333명 | |
2022년 | 10,682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경원선 의정부역 이북 구간에서 양주역, 지행역 다음으로 승하차객이 많다. 하루평균이용객은 14,098명(2017년 기준)으로 1호선 및 경원선 구간 평균에도 못 미치지만 근처 주민들의 의존도는 꽤 높은 편이다.
- 버스환승객 비중이 상당히 높은데, 이는 양주역과 더불어 수도권 전철역 가운데 압도적이다.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2018년 버스환승객 수는 8,359명으로, 전체이용객의 61.7%에 달한다. 덕정동, 고암동주거지로 인한 자체수요가 있어서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양주역보다는 다소 낮다. 이 때문에 경원선 연선에서는 보기가 힘든 대형정차장구조물이 설치되었고, 2019년에 양주시의 광역버스정차장설비 개선으로 더 고규격의 정차장설비를 갖췄다.
- 양주신도시 옥정지구의 관문이어서 옥정지구 입주가 시작되면 빠르게 이용객이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었으나 실제로는 오히려 소폭 줄었다. 옥정지구까지 버스를 타고 한참 가야 하는데다가 서울방면으로는 역방향이기 때문에 전철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회천신도시개발로 상가 및 주거지가 갖춰진다면 큰 폭으로 이용객이 늘 가능성이 높다. 또한 GTX-C선이라는 대형 호재도 있다.
- 양주시민들이 다 내리고 동두천으로 가려는 승객들만 남기 때문에 이북구간은 차내가 꽤 한산해진다. 반대로 (경원선 도봉산역 이북구간이 공통점으로 해당되는 사항이긴 하지만) 유독 덕정역부터는 군인들의 수요가 눈에 띄게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5. 승강장
↑ 지행 | ||||||||||||
ㅣ | ㅣ | ㅣ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ㅣ | |
덕계 ↓ |
1·2 | | 지행·동두천중앙·동두천·소요산 방면 |
3·4 | 의정부·광운대·구로·인천 방면 |
2017년 11월부터 2, 3번선 스크린도어가 가동중이며, 2020년 3월부터 1, 4번선 스크린도어를 설치해 2020년 10월부터 가동했다.
덕계방면으로 2퍼밀 상구배가 있다.
회차선이 존재한다.
6.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0년 9월 4일에 한 중학생이 멈춰 있던 화물열차에 무단으로 올라가다가 고압전류선에 닿아서 3도 화상을 입어 계속 수술을 받게 되었다. 관련 기사
7. 연계 교통
양주신도시용 직행좌석버스 차고지기 인근에 자리한데다가, 동두천방면 버스도 53-5번 등 53번 계열 노선의 배차가 나쁘지 않아 타지방면으로 연계가능한 버스노선이 풍부하다. 정작 양주시 동단위 지역연계는 부실한데, 그나마 덕정지구(고암동 북부)방면은 동두천 방면 버스와 마을버스도 함께 운행되어 이동하기에 나쁘지 않으나 양주신도시 북부방면은 타지노선인 108번 버스에 연계를 일임해두다가 2021년 8월에 이 노선이 폐선된 영향으로 다소 부실해졌다. 옥정지구 방면으로의 대체 환승편으로 80번이 추천되며 고읍지구 방면으로는 81번 내지는 118번이 추천된다. 은현면 방면 마을버스의 환승거점 역할도 수행한다.7.1. 상행 정류소 - 덕정역(39521·68019)
- 양주 방면
- 동지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 은현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 남면 · 적성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 백석읍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 동두천 · 연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 종착 노선
- 실제로는 덕정차고지까지 운행하지만, 이 곳에서 모두 하차하여야 한다. 차고지 방면 대체 노선은 118번이 있다. 이 때 1100, G1200, G1300번은 환승하지 않는다면 단일요금제가 적용되는 노선이고, 8906번은 단독 통행시 요금 상한선이 있는 노선이라 환승하여 차고지 방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통합요금제로 전환되면서 30km 초과거리에 대한 금액이 징수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보이동에 큰 문제가 없다면 몇 백원 아끼는 셈 치고 그냥 걸어가는 게 낫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7.2. 하행 정류소 - 덕정역(39520·68020)
- 양주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 포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의정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서울 / 경기도 남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8.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원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서울 지하철 1호선 | - - - - - - - - - | |
경인선 | - - - - - - - - - - - - - - - - - - - - | |
경부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천안직결선 | - | |
장항선 | - - - - - - - | |
병점기지선 | - | |
[[경부고속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 | }}}}}}}}} |
[1] 그래도 나름 배치간이역이긴 하다.[2] 이쪽은 덕정역 맞은편으로 축소이전했다.[3] 근처에 군부대가 몇개 있어서 쉽게 볼 수 있다, 대표가 5기갑과 사귀부대 그리고 밀물부대 등 다수. 아침시간에 휴가출발 중인 군인들과 초저녁시간에 복귀 중인 군인들을 쉽게 볼 수 있다.[4] 장흥역, 일영역, 송추역, 온릉역은 영업중지했다.[5] 양주신도시 옥정지구 입주 초기 민원을 제기한 결과 이용객이 적다는 까닭으로 코레일이 거부했다고 한다. 2016년에 양주시의원(가선거구) 당선자들이 덕정행 연장을 목표로 했었으나 이마저도 계속 거부당한 적이 있어서, 국토위 간사 및 예결위 위원인 지역구 국회의원의 끈질긴 요구에 힘입은 결과라는 평가이다. 경원선 전절 1호선 12월말부터 ‘10회 증회’ 최종 확정[6] 대한민국에서 완목신호기를 사용하는 곳은 북평선 삼화역이 유일하다.[7] 양주시에 짓는다면 이 역 주변일 것이 분명한게 일단 양주~회정은 신도시구간이다.[8] 만약 군인이 병원에 입원되어 면회하거나 찾아갈 일이 있다면 양주역이 아니라 반드시 이 역에서 내리자. 그리고 서정대 방향으로 가는 91번이나 택시를 타면 된다. 버스는 10분 정도 걸리고, 택시는 빠르면 5분, 기본요금 정도 나온다.[9] 덕계역의 부역명이 되었으나 얼마 안 지나서 양주역의 부역명으로 바뀐다. 광운대학교, 건국대학교 의정부캠퍼스가 들어서려다가 흐지부지돼서 을지대 의정부캠퍼스로 기울어진 의정부시보다는 나을 수도 있다.[10]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