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9:12:54

대방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신대방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이름이 유사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신대방삼거리역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방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연천 방면 1호선
(137)
노량진
← 1.5 ㎞
신 길
0.8 ㎞ →
1호선
'''
경인선 급행
'''
용산 방면 동인천 방면
청량리 방면
노량진
← 1.5 ㎞
1호선
'''
경부선 급행 A
'''
신창 방면
신 길
0.8 ㎞ →
대방(성애병원)
샛강 방면
샛 강
← 0.5 ㎞
신림선
(S402)
관악산 방면
서울지방병무청
0.9 ㎞ →
}}}}}}}}}
역명 표기
경부선 대방
Daebang
大方 / [ruby(大方, ruby=テバン)]
1호선
신림선 대방 (성애병원)
Daebang (Sungae Hospital)
大方 / [ruby(大方, ruby=テバン)]
주소
경부선
1호선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00
(신길동 1368-3)
신림선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00
(신길동 1375-1)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영등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신림선 로템에스알에스(주)
개업일
경부선 1974년 8월 15일
1호선
신림선 2022년 5월 28일
역사 구조
1호선 지상 2층
신림선 지하 4층
승강장 구조
3면 4선 쌍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신림선)
철도거리표
서울 방면
노량진
← 1.5 ㎞
경부선
대 방
부산 방면
신 길
0.8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연계 버스5. 일평균 이용객6. 승강장7. 사건 사고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파일:대방역 안내도.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2.1.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대방역 1호선.jpg
1호선 대합실
파일:대방역 스탬프.jpg
대방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63빌딩을 형상화했으며, 2014년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파일:daebang_new.jpg
1호선 대방역
파일:대방역 옛모습.png
1호선 구 남부역사(1974년 준공, 1992년 철거)
파일:attachment/Daebang_sta.jpg
1996년 경부선 3복선화 공사 당시 대방역
오른쪽에 있는 황토색 건물이 북부역사(여의도 방향)이며 왼쪽 끄트머리의 육교를 통해 내려가면 경부선 3복선 공사 중에 쓰이던 임시 남부역사(대방동 방향)가 있다.
파일:attachment/대방역/north.jpg
1호선 북부역사(1980년 완공)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으로 개통했다. 1972년 계획 당시에는 여의대방로 서쪽 영등포구 신길동 일대에 개설할 구상을 갖고 있었으며, 당시 가칭은 '신길역'이었다. 관련 철도청 공문(서울기록원)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현재처럼 여의대방로 상부에서 약간 동쪽으로 치우친 입지에 들어서게 되었고, 개통 당시에는 역사의 전 영역이 (동작구가 갈라져나가기 전의)관악구 대방동에 속했기 때문에 역명이 '대방역'으로 정해졌다. 개통 다음 해인 1975년 10월 1일에 영등포구와 관악구의 경계가 조정되면서 역무실을 포함해 역사의 70% 이상이 영등포구 신길동으로 넘어가 주소가 관악구 대방동에서 영등포구 신길동으로 바뀌었지만, 역명은 바뀌지 않았다.

경부선배치간이역으로 1호선 전동차 외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역사 자체가 주변보다 매우 높은 위치에 있으며, 남영역처럼 2층에 승강장이 있으나 고가역이 아닌 역이다.

특이한 점으로는 다른 역과는 달리 전동차 외의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선로가 역 내부나 외곽에 있는 게 아니라, 대방역 남단을 통과한 뒤 역 동쪽에 있는 법덕교 하단을 이용하여 전철 선로와 입체교차하여 노량진역으로 향한다. 그래서 KTX새마을호, 무궁화호를 탈 경우 대방역 플랫폼을 볼 수 없다. 또한 대방역 위치를 지나기 전과 후를 잘 살펴보면 진행 방향 기준으로 왼쪽에 있던 전철 선로가 대방역을 지난 후에는 오른쪽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파일:대방역 1978년.png 파일:대방역 1989년.png 파일:대방역 1992년.png
1978년의 1호선 대방역(남부역사) 1989년의 1호선 대방역(남부역사 및 북부역사) 1992년의 1호선 대방역(남부임시역사 및 북부역사)

1974년 1호선이 개통하고부터 1996년 경부선 3복선화 전까지의 대방역은 현재와는 구조가 판이하게 달랐다. 경부선 3복선화 전 대방역은 역사가 남부와 북부로 나뉘어 있었다.

남부역사는 1974년 1호선 개통 당시에 만들어졌다. 당시에는 대방역의 경부선 3복선 중 북쪽 2개 선로(1호선 완행이 사용하는 선로)와 남쪽 2개 선로(경부선 일반열차 선로)밖에 없었는데 대방역 남부역사는 이 두 선로 사이에 있었다. 출구는 노량진로에 있는 현재의 대방역 5번 출구 자리와 여의도 방면으로 나 있는 7번 출구 자리로 나 있었는데 당시 노량진로 쪽에서 대방역을 들어가려면 대방역 5번 출구 자리에서 계단을 통해 육교로 올라가 경부선 일반열차 선로를 건넌 후 남부역사 대합실로 들어가서 표 끊고 승강장으로 가야 했다. 이 남부역사는 영등포역 방향으로는 일종의 바로타 구조라서 표를 끊으면 계단 없이 승강장으로 갈 수 있었지만 노량진역 방향 승강장으로 가려면 다시 지하통로를 내려갔다가 올라가야 했다. 한편 여의도 방면에서 들어오려면 현재의 7번 출구에서 굴다리 아래로 지나 계단을 타고 올라가서 남부역사로 진입해야 했다. 이런 구조여서 노량진로 쪽에서도 진입하기 불편했지만, 여의도 쪽에서는 더더욱 불편했다.

여의도 쪽에서 접근하기 어렵다는 문제는 1980년에 현재 대방역 7번 출구 자리에 북부역사를 지어서 해소된다. 이 북부역사는 2층 구조로서 2층이 노량진역 방면 승강장과 계단 없이 이어져 있는 바로타 구조였고, 영등포역 방면으로 가려면 지하 통로를 내려갔다 올라와야 했다.

이렇게 복잡한 역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경부선 3복선화 계획에 발맞춰 북부역사와 남부역사를 폐지하고 전철 승강장 바로 아래 부분에 대합실을 지어 별도의 연결통로로 노량진로 방면 출구와 여의도 방면 출구를 잇기로 하였다. 이 역사는 1996년에 완공되어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

옛 대방역 남부역사는 경부선 3복선화 선로부지에 포함되는 바람에 신역사 완공 전인 1992년에 철거되었다. 구 역사 노량진로 방면 출구는 현재의 대방역 5번 출구에 해당되는데, 현재의 역사를 지으면서 경부선 일반열차 선로를 건너기 위해 노량진로에서 일단 지하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는 구조가 되었다. 다시 올라오는 구간의(역에서 내린 입장에서는 카드 찍고 처음으로 내려가는 구간) 에스컬레이터가 상당히 좁아서 한 사람이 서면 거의 차서, 어플상으로 지하철이나 버스가 곧 온다고 해도 뛰는 것은 포기해야 할 정도로 좁다.

한편 옛 북부역사는 철거되지는 않았으나 역무기능을 잃고 1층만이 여의도 방면 7번 출구와 대합실을 잇는 통로로 쓰이고 있다. 대합실이 북부역사 1층과 거의 같은 높이에 있어 7번 출구에서는 계단을 거의 경유하지 않고 대합실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북부역사 빈 공간에는 일부 상점과 코레일유통 경인본부가 들어서 있다. 7번 출구는 출구는 하나지만 문은 서로 떨어진 곳에 2개가 나 있는데 과거에는 두 문의 출구 번호가 각각 6번과 7번으로 달랐었으나 현재는 하나로 통합했다.

옛 대방역 남부역사 철거 후 1996년에 신역사가 완공될 때까지 대방역삼거리 인근에 임시남부역사가 설립되었는데 이 역사는 개찰구를 통과하고 육교로 올라가 경부선 일반열차 선로를 건넌 후 전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구조였다. 역사에서 승강장으로 연결되는 육교의 높이는 대략 건물의 3~4층 높이인데 개찰 후에 이를 한꺼번에 올라가야 했다. 신역사가 세워진 후 노량진로 쪽의 임시 남부역사는 곧바로 철거하지 않고 내부를 개조하여 처음에는 간이음식점과 패스트푸드점 등의 민간시설 건물로 활용했으나 신역사로 연결되는 지하도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상권으로서 별 다른 메리트가 없어서 결국 철거되었고, 현재 임시역사 자리에는 조그마한 휴식공간과 더불어 적십자가 운영하는 헌혈의 집이 들어서 있다.

대방역 1~4번 출구는 본래 역 출구가 아니라 1991년 7월에 완공된 대방역지하보도로[1], 그 이전의 대방역은 노량진로 남쪽 방향으로 출입구가 없었기 때문에 대방역과 노량진로 남쪽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지하보도이다. 신역사 건립 후 대방역 5번 출구 지하 부분과 지하보도를 연결하고 지하보도에도 역 출구 번호를 부여했다. 이 부분의 행정구역은 역무실과는 달리 동작구이며, 시설물 관리도 한국철도공사가 아닌 동작구청에서 한다. 2012년 3월 28일부터 같은 해 7월 31일까지 4개월 간 2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했고, 8월 중순부터는 3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를 시작해 2013년 2월에 완공했다.[2] 2021년에는 스페이스 살림 개장에 맞춰 2번 출구와 3번 출구를 스페이스 살림 내부로 이설했다.[3]

역 자체가 주변보다 높게 건설된 데다가 전철역 특유의 개방식 구조로 인해 겨울만 되면 바람이 불어서 춥다. 그래서 KBS에서 강추위 관련 뉴스가 나올 때 단골로 나오는 지역이기도 하다. 한국방송공사 별관에서 다리 하나(여의교) 건너면 도착하는 것이라 가까워서 나오는 원인도 있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의 소재는 63빌딩인데, 이쪽에서 도보로 갈 수 있어서 그 그림이 붙었다. 게이트 안쪽 고객지원실에서 찍을 수 있다. 직선거리로는 노량진역이 더 가깝지만, 샛강을 건널 수 있는 교량이 없어 도보상으로 대방역이 더 가깝다.

급곡선 승강장으로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넓은 코레일 특성상 승하차시 주의해야 한다. 최근에는 안전 발판이 설치되었다.
파일:attachment/daebang.png
1호선 대방역 네온사인

태백역과 함께 네온사인 역명판을 최근까지 유지했던 드문 역이었지만 2019년 8월에 LED 역명판으로 교체되었다.

1호선(경부선) 대방역은 운전간이역이었으나 2012년 12월 1일부터 영등포역 관리의 배치간이역으로 강등되었다.

2.2. 서울 경전철 신림선

파일:신림선대방역6번.jpg
신림선 역사
파일:대방역 신림선.jpg
신림선 대합실

신림선 대방역은 본래 환승 편의를 위해 노량진로에 있는 1호선 1~5번 출구 쪽 대방역지하보도 아래에 설치되고 대합실을 대방역지하보도와 연결해 대방역지하보도를 출입구로 쓸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국개나리아파트, 신일해피트리아파트 하부통과 구간에 대한 지역주민의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2017년에 사유지 하부통과를 배제할 수 있는 선형으로 바꾸면서 대방역삼거리 바로 아래에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신림선 대방역은 대방역지하보도와 연결하지 않게 되었고 그 대신 대방역삼거리에 지상 1층 대합실과 출입구 1개(6번 출입구)를 만들었다. 대방역은 서울시의 지하로 다니는 경전철의 환승역들 중 별도의 출구가 만들어진 최초의 역이다.
파일:shinrim_before.jpg 파일:shinrim_after.jpg
신림선 설계 변경 전 신림선 설계 변경 후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신림선 대방역에는 성애병원을 병기한다.[4]

2.3. 환승

파일:대방역 환승통로.jpg
환승통로
1호선과 신림선 환승통로는 1호선 대방역 1번 승강장(동인천 급행 승강장)과 신림선 대방역 대합실을 잇는 형태로 나 있다. 1호선 대방역 1번 승강장에서 시작되는 환승통로는 경부선 일반열차 선로를 위로 건넌 다음 신길역 방향으로 꺾어 지하로 내려가 신림선 대방역 대합실에 접속한다. 1호선 대방역 2~4번 승강장에는 환승통로가 나 있지 않기 때문에 신림선으로 갈아타려면 계단을 내려갔다 올라와서 1번(동인천 급행) 승강장으로 간 다음에 환승통로로 가야 한다.

신림선의 다른 환승역인 신림역, 보라매역, 샛강역이 평이한 난이도의 환승을 보이는 것에 비해 대방역의 환승은 꽤 어려운 편이다. 환승 소요시간은 대략 8분 정도로, 걷는 시간 자체는 많지 않으나, 에스컬레이터의 개수가 방향에 따라 최소 4개에서 최대 7개의 에스컬레이터를 타야 하는 구조의 막장환승이다. 거기다 에스컬레이터의 폭도 좁은 편이라 걸어서 올라가려 할 경우, 서서 가는 이용객들이 한쪽으로 붙어서 서 있지 않는 이상 반강제적으로 함께 올라가야 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를 타면 에스컬레이터를 이렇게 많이 탈 필요가 없고 쉽게 바이패스할 수 있게 되므로 신림선 쪽 대방역의 괴랄함을 아는 사람들은 남녀노소 상관없이 엘리베이터를 많이 탄다.

환승통로 설계 당시에는 대방역 지하보도 바로 아래에 신림선 대방역을 둘 예정이었고 이에 환승통로를 1호선 대합실로 직결하는 방안, 1호선 각 승강장으로 직결하는 방안, 대방역 지하보도로 직결하는 방안(소프트환승) 등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한국철도공사는 각 대안에 대해 역사 및 승강장 공간 부족과 확장의 어려움을 이유로 난색을 표했고[5], 한국철도공사서울특별시는 현재와 같이 1호선 1번 승강장으로만 직결되는 환승통로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그런데 그 상태에서 신림선 대방역의 위치가 대방역 지하보도 아래에서 대방역삼거리 아래로 변경되면서 환승통로가 길어졌다.

구간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어 교통약자의 경우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 환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환승을 4번 해야 한다. B3층~1층으로 첫 번째, 1층 복도 끝에서 대각선 끝으로 도보이동 후 1층~2층으로 두 번째, 경전철 개찰구 통과해서 2층에서 1층으로 세 번째, 1호선 가는 방향에 따라 1층~2층으로 총 네 번의 엘리베이터 환승을 해야 한다. 1호선 이용객은 엘리베이터를 한 번 이용하지만, 신림선 이용객은 네 번 이용해야 한다.

1호선 쪽에서 전철을 타고 샛강역에서 하차하려는 경우에는 차라리 여기서 내려서 걸어가는 게 더 빠르다. 도보로 약 10분 정도가 소요된다.

3. 역 주변 정보

대방동의 주요 교통시설이지만, 한편으로 대방역에는 여의도로 가는 버스(163번, 영등포10번, 영등포11번으로, 대방역 북측에 정차)가 있어 출퇴근 시간에는 여의도로 통근하는 승객이 많다. 5호선 여의도역이 완공되고 9호선이 개통한 후 이 역의 존재감이 매우 미미해졌지만, 경인/경부선을 이용해 여의도 일부 지역(동여의도, 63빌딩이나 KBS별관 등)에 갈 때는 1호선 신길역과 함께 여전히 접근성이 가장 좋은 역이다.

주변에 공군회관, 서울지방병무청[6], 여의도성모병원, KBS 별관, 63빌딩, 솔표빌딩, 이투데이 본사 등의 시설이 있다. 특히 성모병원 쪽으로 셔틀버스가 운행되는데 병원에 가는 노약자나 보호자들은 버스 승강장까지 길을 건널 때 왼편에서 달려드는 차를 조심해서 건너가면 된다. 더러는 63빌딩 방향으로 가는 셔틀버스를 성모병원 버스와 혼동하여 잘못 타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2002년부터 약 2020년까지는 김재규 경찰학원 건물이 유명했으나 2020년 12월 말 에듀해시글로벌파트너스(주)에게 인수되어 2021년 올라에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22년 기준으로는 사라지고 지방에 있는 분원들만 남았다. 2022년 1월

대방역 2번 출구와 3번 출구 앞에는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서 운영하는 여성창업공간인 스페이스 살림이라는 시설이 있다. 이 부지는 본래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그레이'였는데 표면상 물류기지로 알려져 있었지만 사실은 미군 '502 군사정보단'의 첩보활동 공간이었다. 방첩활동과 대북공작 등을 행했다고 한다. 2007년에 기지 폐쇄와 동시에 부지가 반환되었고, 토양오염 정화를 거친 후 주말농장 텃밭으로 쓰이다가 2017년에 스페이스 살림이 들어섰다.

대방역 인근에 아동보호소가 있었다.

대략 2000년대 중반쯤 네이버 지도, 카카오맵의 거리 사진에 찍히기 훨씬 전 시절까지는 7번 출입구(신림선 대방역 개통 전까지 6번 출입구) 바로 앞 건물에 오락실이 있었다.

2010년대 초반까지 붉은색의 아시아버스 스넥카가 역사 앞에 있었다고 한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대방(성애병원)역 출구 정보
1현대자동차서비스센터
2현대아파트
유한양행
서울시우리동네키움센터
대방이편한세상아파트
노량진근린공원
3서울신길초등학교
경남아너스빌아파트
대방공원
대방동주민센터 방면
서울여성플라자
대방종합사회복지관
숭의여자고등학교 방면
4공군호텔
성애병원
서울지방병무청
해군호텔
5여의도샛강생태공원
6 신길지구대
성애병원
경부제3녹지지하공영주차장
공군호텔
해군호텔
서울지방병무청
7 윤중중학교
서울윤중초등학교
미성아파트
여의도자이아파트
여의도119안전센터
한국방송공사 별관
KB국민은행(여의도)·KB금융타운
앙카라공원·영등포50플러스센터
여의도동주민센터·63빌딩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롯데캐슬아파트
진주아파트

4. 연계 버스

연계버스는 많으나 7번 출입구와 바로 붙은 영등포10/11 및 163번, 361번과, 1~5번 출입구와 바로 붙어 있는 150번, 5531번 버스와 동작구 마을버스 몇 개를 제외한 나머지 버스노선들과는(즉 삼거리 서쪽의 김재규경찰학원 앞 및 건너편에 서는 노선이나, 남쪽의 공군회관 앞 및 건너편에 서는 모든 노선들) 연계가 좋지 않다. 역이 대방지하차도 위에 있고, 또 삼거리 기준 동쪽으로 쏠린 탓에 역과 가까이 버스정류장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illimLine_icon.svg ||<bgcolor=#0052a4> 총합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74년 8,526명
1975년 11,985명
1976년 13,832명
1977년 18,405명
1978년 25,758명
1979년 35,098명
1980년 32,403명
1981년 36,379명
1982년 38,542명
1983년 42,418명
1984년 40,801명
1985년 36,596명
1986년 38,182명
1987년 38,111명
1988년 41,044명
1989년 41,546명
1990년 45,181명
1991년 51,476명
1992년 55,142명
1993년 56,560명
1994년 63,363명
1995년 72,837명
1996년 75,316명
1997년 56,164명
1998년 46,581명
1999년 43,040명
2000년 35,822명 비고
2001년 42,641명
2002년 45,326명
2003년 51,587명
2004년 38,262명 [7]
2005년 38,781명
2006년 38,322명
2007년 39,134명
2008년 39,138명
2009년 36,512명 }}}}}}}}}
2010년 34,050명
2011년 33,603명
2012년 32,897명
2013년 32,199명
2014년 31,744명
2015년 31,576명
2016년 31,547명
2017년 30,584명
2018년 29,649명
2019년 29,363명
2020년 21,223명
2021년 21,008명
2022년 21,978명 3,170명 25,148명 [8]
2023년 22,362명 4,671명 27,033명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5호선, 9호선 개통 전까지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인천광역시, 수원시, 부천시, 안양시, 안산시, 군포시, 광명시 등지에서 여의도로 가기 위한 환승 거점 역할을 했었다. 특히 5호선이 개통되기 전에는 하루 평균 6만 명 이상이 이용하던 역이었다. 그러나 1996년에 절정을 기록했지만 이 해 개통된 5호선 여의도 구간 개통에 이어서 1997년에 1호선 신길역 개통으로 5호선 환승역이 추가되면서 여의도로 가는 사람들이 대부분 신길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타 빠져나감으로써 순식간에 2/3 이하의 승하차량으로 감소했다.
  • 그나마 신길역 막장 환승을 피하여 여전히 이 역에서 마을버스로 갈아타던 사람들이 있었기에 1990년대 말~2000년대까지는 3만 명대 후반을 유지했으나, 2009년에 9호선이 개통하고 노량진역에서 여의도로 갈 수 있게 되자 대방역의 마을버스 환승 숫자가 큰 폭으로 감소해 3만 명대 후반에서 초반으로 승객이 줄었다. 하지만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수요가 늘어날 여지는 있다.

6. 승강장

6.1.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대방플랫폼.jpg
1호선 승강장
노량진
4 3 2 1
신길
1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경인] 동인천 방면
2 급행[경인] 용산 방면
3 완행·급행[경부장항] 구로·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4 완행·급행[경부장항] 용산·광운대·의정부·연천 방면

2021년 2월부터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를 진행했었다.

6.2. 서울 경전철 신림선

파일:신림선 대방역 역명판.jpg
신림선 역명판
파일:신림선 대방역 승강장.jpg
신림선 승강장
샛강
서울지방병무청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 방면
보라매·신림·서울대벤처타운·관악산 방면

신림선의 환승역 중 유일하게 환승 노선이 지상역인 환승역이다.

7. 사건 사고

  • 1999년 10월 10일, 한 군인이 1호선 전동차 문에 다리가 끼여 200m를 끌려가다가 두 다리가 절단되는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를 목격한 여성 한 명이 괴성을 지르기도 했다.[13]

  • 2016년 8월 21일 오후 4시 40분, 지속된 폭염으로 인하여 1호선 승강장 내부의 스크린도어가 깨진 사고가 있었다.[14]
  • 2022년 4월 16일 이 역 1호선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 안전발판이 깨졌다. 이 여파로 인하여 열차 운행이 약 30분 정도 지연되었다.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



[1] 제32회 서울특별시동작구의회(임시회) 본회의회의록[2] 「대방역 지하보도 에스컬레이터 모두 준공」, 동작뉴스, 2013-02-06[3] 「1호선 대방역 2, 3번 출구, 쾌적하고 안전하게 변신」, 휴먼에이드포스트, 2021-12-09[4] 「내년 5월 28일 개통 도시철도 신림선, 역명 최종 정리」, HCN뉴스, 2021-11-10[5] 서울특별시 > 원문정보 > 결재문서[6] 본래 대방역이 서울지방병무청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었으나 2000년 8월 1일 7호선보라매역이 개통하면서 이 타이틀을 넘겨주었다. 그리고 2022년 5월 28일 대방역과 보라매역 사이로 개통된 신림선서울지방병무청역이 이 타이틀을 가져갔다.[7]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8] 신림선은 개통일인 5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21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경인] 용산-동인천[경인] [경부장항] 청량리-천안·신창[경부장항] [13] 「국철1호선 대방역에서 전철문에 낀 군인 다리 절단 사고[여홍규]」, MBC, 1999-10-18[14] 「서울 최고 기온 36.6도…열기에 유리문도 ‘와장창’」, KBS, 2016-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