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7:09:19

제물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에 제물포역이었던 같은 경인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인천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물포역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파일:Seoulmetro1_icon.svg
연천 방면
도 화
← 1.0 ㎞
1호선
(158)
인천 방면
도 원
1.4 ㎞ →
용산 방면
주 안
← 2.0 ㎞
1호선
'''
경인선 급행
'''
동인천 방면
동인천
2.6 ㎞ →
역명 표기
경인선 제물포
Jemulpo
濟物浦 / 济物浦 / [ruby(済物浦, ruby=チェムルポ)]
1호선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129
(도화동 450-39)
관리역 등급
보통역 / 3급
(인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경인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인선 1959년 7월 1일
1호선 1974년 8월 15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복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구로 방면
도 화
← 1.0 ㎞
경인선
제물포
인천 방면
도 원
1.4 ㎞ →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2.2. 부기역명 논란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jemulpo.png
현 역사(2004년 준공, 남쪽 1번 출구 쪽)
파일:attachment/제물포역/Jemulpo_Station_Exit_Number_2.jpg
현 역사(북쪽 2번 출구 쪽)
1959년 7월 통학생을 위한 보통역으로 출발
제물포역은 1959년 7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57년 숭의역이란 이름으로 숭의동과 도화동 일대의 학교들에 통학하는 학생들을 위해 처음 계획되었다고 한다. 이후 인천을 대표하는 제물포란 명칭으로 영업을 개시, 1961년 역원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1963년 새롭게 역사를 준공하며 이듬해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74년 서부역사를 신축 준공하면서 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당시 역사는 118.4㎡ 규모에 53.7㎡ 부대 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단층 역사였다. 2001년 다시 운전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2004년 5월 현재의 신역사에서 새롭게 영업을 개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58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129 (도화동 450-39) 소재.

2. 역 정보

파일:제물포역스탬프.jpg
제물포역 스탬프
파일:제물포역 구 북부역사.jpg
구 남부역사(1963년 준공, 2001년 철거)
파일:attachment/jemulpo(before_2004).jpg
구 북부역사(1974년 준공, 2001년 철거)
한국전쟁 휴전 후 역 인근에 학교들이 다수 생겨나면서 통학 수요 때문에 역을 신설할 필요가 생겼다. 지역 민원에 힘입어 1957년에 고시가 뜨게 되었고, 숭의동 방면에 목조 역 건물을 1959년 3월에 준공하여 그해 7월에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경인선 주안 - 동인천 구간 복선화에 맞춰 옛 목조 역사를 철거하고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신역사를 개장했다. 1974년에는 수도권 전철 개통에 맞춰 도화동 방면에 슬라브 단층 구조의 북부역사를 개장했다. 주안 - 동인천 구간이 2복선으로 확장되면서 기존 남부 및 북부역사는 2001년에 철거되고, 2004년에 현재의 선상역사가 완공된다. 2012년경에 역명판 교체, 3년만인 2015년경에 역명판 교체, 2021년 1월경에 LED 역명판으로 교체되었다.

제물포역 개통 당시 인근에 있었던 학교들은 대부분 여전히 그 자리에 있다. 인천남중학교선인재단 내에 있던 선인중학교, 선인고등학교, 인화여자중학교, 인화여자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구 항도실고),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소방고등학교(구 운산기계공고),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구 선화여상) 등이다. 동산중학교동산고등학교도 이 역에서 멀지 않다.

원래 이 역은 용산/동인천 급행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통과역이었으나, 2016년 2월 1일부터 개봉역과 더불어 정차역으로 추가되었다. 다만 2017년 7월 7일부터 운행되는 동인천~용산간 특급 급행 열차는 이 역을 통과한다.

부역명은 인천대 앞이었다가, 인천대학교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한 관계로 2009년 하반기 부터 부역명이 "재능대학"으로 변경되는 듯하였으나, 결정된 건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였다. 인천전문대가 인천대학교와 합병되면서 이런 이름이 되었다. 그래서 제물포 상권에서는 송도가 제물포를 잡아먹었다고 원성이 자자하다. 인천대학교가 송도로 이전하였고 제물포 인근에 있던 박문여자중학교박문여자고등학교도 송도로 이사간 후 제물포 상권이 그대로 망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시대의 흐름을 따라간 것이라 할 수 있다.

안내방송에서는 "이번역은 제물포,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오른쪽입니다." 이고, 이 뒤에 인천재능대학교로 가실 분은 이 역에서 내리라는 내용의 안내방송이 나온다. 한때 인천재능대학교 총장(이기우가 총장이던 시절 직접녹음했으며,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부) 차관을 지낸 이력이 있다. )이 직접 녹음한 안내방송도 있었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제물포 역명만 방송한다.

2.1. 역명

경인선이 최초 개통되었을 때 노량진역과 제물포역 사이를 개통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나, 당시의 제물포역은 이 역이 아니라 현재의 인천역이다. 정확히는 한글/한문으로는 인천역, 영어로는 제물포역이었다. 때문에 경인선 최초 개통 당시에는 한국어로 '제물포'라는 이름을 가진 역이 없었다. 비슷하게 노량진역도 영어로 노들역이라고 되어 있었다. 본래 '제물포'는 조선시대 때에 인천항을 부르던 명칭으로 지금의 인천역동인천역 부근, 즉 인천 원도심을 이르는 말이었으나 결국 제물포라는 명칭은 광복 전까지 중구-동구 일대를 뜻하였지만 광복 후 이 역이 생긴 뒤 도화동과 숭의동 쪽을 일컫는 지명으로 변화하였다. 인천지역 최초의 가톨릭 근대 건축물인 답동성당의 전신 명칭도 제물포성당이었다. 제물포 지역에 있는 성당이라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물론 현재 제물포역 근처에 있는 제물포성당과는 연관 관계가 없다.

원래 이 역의 개업 이전의 가칭은 '숭의역'이었다. 그러나 1959년에 현재의 이름인 제물포역으로 개업하였다. 어째서 이 역에 '제물포'라는 이름이 붙었는지는 확인된 바가 없다. 한편 최초 개통 당시 명명되었던 숭의역이라는 이름은 수인선 남인천역 인근 부지에 2016년 새로 개통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숭의역이 사용하게 되었다.

2022년 8월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언급한 행정구역 개편 계획에서 중구 내륙지역과 동구를 통합한 뒤 '제물포구'라는 명칭을 쓰겠다는 계획을 내놔 지명 혼란이 올 가능성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제물포역 인근 도화동, 숭의동 쪽이 이미 [age(1959-01-01)]년간 '제물포'라는 지명을 유지하면서 인지도를 높여왔고, 부산진에서 유래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처럼 다른 지역에서도 지명의 유래가 된 옛 지명과 현재의 시설물 소재지 주소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 곳도 있는 데다 제물포역 이외에 다른 대안 명칭도 없어서 제물포역의 개명 가능성은 다소 떨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이 사안과 정확히 똑같은 이유로 50년 동안 쓰던 역명을 바꾼 광운대역(과거 성북역)의 사례도 있기 때문에 추후 어떻게 될 지는 지켜봐야 한다. 단, 광운대역은 제물포역과 달리 성북역 시절에 10년 정도 성북구 관할이었던 적이 있었다.

제물포역이 있는 동의 명칭은 도화동이다. 그러나 이 동의 명칭을 딴 도화역이 제물포역 바로 인근에 따로 있다. 그렇다고 제물포역 개통 당시 명칭이었던 숭의역을 쓰자니 이미 수인·분당선 숭의역이 사용하고 있고 남인천역이라는 이름을 쓰자니 지도상 제물포역이 인천의 남쪽 지점도 아니기에 마땅치 않다. 그나마 대체할 수 있는 역명 대안이라면 역에서 도보로 15분 정도 떨어진 미추홀구청이나 청운대입구 정도뿐이다. 오랫동안 부역명으로 명명되었던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도 있겠지만 이쪽은 송도에 이미 인천대입구역으로 학교 이름이 붙은 역이 있고 제물포캠퍼스는 사실상 용도 폐기된 상태라서 주역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떨어진다. 혹은 이 역이 위치한 행정구역의 명칭인 ‘미추홀‘을 역명으로 할 수도 있다.

2.2. 부기역명 논란

이 역의 부기역명은 과거 인천대학교 캠퍼스가 있던 시절부터 '인천대 앞'이었다. 그러나 2009년 인천대 본캠이 송도로 이전한 후가 문제였다. 인천대학교 측에서 제물포캠퍼스가 여전히 유효하다면서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를 부기역명으로 내걸었고 2019년까지 부기역명 계약이 유효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는 평생교육원, 부설 연구기관 등 지극히 일부 시설만 남아있고 대학교로서의 실질적 기능은 2015년부터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부기역명을 바꿔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인천재능대학교 측이 인천대 송도 이전 직후인 2009년부터 제물포역에 부기역명을 삽입하려고 노력을 하였는데 번번히 실패하였다. 재능대 측은 제물포역과 학교가 가깝고 이 역 북광장에 학교를 오가는 셔틀버스 정류소가 있으므로 제물포역의 부기역명을 재능대가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인천대학교 측은 "재능대는 도원역이 오히려 더 가깝다"고 반박한다. 여기에 2013년 옛 인천대학교 본관 등 제물포캠퍼스 부지 일부를 매입해 분교를 꾸민 청운대학교도 부기역명으로 '청운대학교'가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때문에 지난 2016년 인천대-재능대-청운대 등 3개 대학이 부기역명을 두고 경쟁을 벌인 바 있다.[1] 하지만 직선거리로만 따지면 청운대 인천캠퍼스 정문은 제물포역보다 오히려 도화역이 더 가깝다.

일단은 오랫동안 부기역명을 선점하였던 인천대의 판정승으로 경쟁이 마무리된 상황이지만 차내 안내방송에는 세 학교의 이름이 모두 등장한다. 일단 한국어 역명 고지 안내방송에서 부기역명인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가 등장하고 뒤이어 "인천재능대학교를 방문하시는 고객께서는 2번 출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방송이 나온다. 그리고 영어 역명 고지 안내방송이 끝나면 "청운대학교를 방문하시는 고객께서는 2번 출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방송이 나온다.

3. 역 주변 정보

남부역 근처 수봉산에는 수봉공원이 있으며, 북부역 근처에는 먹자골목,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구 인천전문대학), 그리고 옛 선인재단 소속의 몇몇 공립 중·고등학교(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선인중학교, 선인고등학교, 선화여자중학교, 인화여자중학교, 인화여자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구 항도실고/인천전자공고), 인천소방고등학교(구 운산기계공고/도화기계공고)가 있다. 선인재단의 또 다른 소속 학교였던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구 선화여상)도 제물포역 인근에 있었으나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의 영향으로 기존 학교 부지에서 북동쪽으로 800m 정도 이전해 새 학교 건물을 지으면서 제물포역보다 도화역의 역세권으로 바뀌었다. 또한 인천의 대전 격투 게임 성지 오락실인 금성게임랜드 또한 이 인근에 있었다. 본래 인천대학교도 이 인근에 있었지만 현재는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였다. 옛 인천대학교 부지 일부에는 현재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가 들어서 있다.

앞서 언급한 옛 선인재단 소속 공립 중·고교 외에도 동산중학교동산고등학교, 박문여자중학교박문여자고등학교 등 수많은 중·고교는 물론 인천대, 인천전문대, 인천재능대 등 대학교까지 주변에 있었기 때문에 제물포역 인근은 청소년들과 청년들이 모이는 핫플레이스였다. 특히 2번 출구가 있는 북광장 쪽이 2000년대 후반까지 청소년과 청년들이 모이는 상권으로 크게 흥하였다. 2번 출구의 서쪽으로는 주로 청소년들이 이용하는 PC방분식집이 많았는데 이 골목에는 과거 1시간당 이용 요금이 500원에 불과한 PC방도 있었다. 반대로 동쪽으로는 주로 인천대-인천전문대, 재능대 학생들을 주 이용층으로 하는 술집들이 많았다. 그러나 인천대학교와 인천전문대학의 통합과 인천대학교의 송도 캠퍼스 이전, 출산율 감소와 원도심권 인구 유출 지속으로 인한 제물포역 주변 학교의 학생 수의 감소 등 상권 이용 수요가 꾸준히 줄어들면서 2000년대 후반부터 북광장 전체의 상권이 크게 위축되었다.

과거 인천대학교인천전문대학 캠퍼스가 있던 자리에서는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되었다. 개발지역 내에는 주거지와 행정타운 등을 조성하고 있는데 행정타운에는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인천광역시 일자리종합센터 등이 입주한 제물포스마트타운과 중부지방고용노동청과 인천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등 6개 정부기관이 있는 정부인천지방합동청사가 있다. 주거지역으로는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본관 건너편의 e편한세상 도화서희 스타힐스 아파트 등이 들어섰는데 도화역과 역세권이 겹친다. 다만 제물포역에 급행열차가 정차하기 때문에 서울 통근 수요는 사실상 제물포역이 흡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남부역에서 직선거리로 40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전통시장인 제물포시장 터가 있다. 현재는 건물이 매우 낡았고 일부는 허물어진 곳도 있다. 직사각형 형태로 둘러싸인 이 시장의 건물은 특유의 낡고 음산한 분위기가 압권인데 한가운데 중정에서는 영화 써니 초반의 '욕 배틀 씬'이 촬영되었고 시장 건물 일부는 영화 신세계의 일부 장면이 촬영되었다.

이 역의 북부역과 남부역 앞을 잇는 지하상가가 있다. 2021년 2월부터 지하상가 개선공사가 마무리되어 지하보도의 이용이 재개되었다. 상가는 2022년 2월 입주 개시하였다. 그러나 다른 경인선역들과 다르게 지하역사가 없어 역에서 바로 지하상가로 갈 수는 없다. 이 지하상가에 한국에 얼마 없는 레트로 게임 매장이 있었으나, 존재가 잘 알려지지는 않은 편이었다. 용산전자상가국제전자센터로 가기 번거로운 인천권의 콘솔 게이머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있었다. 고전 기종뿐만 아니라 최신 기종도 취급하며 일부 고전 기종에 한해서는 심지어 용산의 매장보다 더 컬렉션이 충실한 경우도 있었다. 2015년 9월 기준으로 위의 게임 매장은 폐점하였다.

북부역 건너편에는 1990년대부터 타워형 공영주차장이 운영되고 있는데 꽤 낡았다. 인천시는 낡은 주차장을 철거하고 이 자리에 청소년·청년층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인 '제물포 영스퀘어'를 2026년까지 지하 3층 지상 10층 규모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공영주차장 앞에는 인천재능대학교 송림캠퍼스로 가는 셔틀버스가 운행 중이다. 과거에는 무료였으나 100원의 이용료를 받고 있다.

인천에서 '제물포'라는 이름을 쓰고 있는 학교나 기관 등이 꽤 많은데 정작 제물포역 앞에는 제물포라는 이름을 가진 학교가 없다. 제물포고등학교동인천역 부근 자유공원 기슭에 있고 제물포중학교서구 가좌동에 있다. 아울러 제물포여자중학교는 석바위시장역 부근에 있다. 또한 구한말에 '제물포성당'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답동성당과 현재 수봉공원 아래에 있는 제물포성당은 직접적 연관관계가 없다. 물론 간접적으로는 관계가 있다. 천주교의 성당은 관내에 거주하고 활동하는 신자 수가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분리시키는데 족보를 따지면 답동성당이 인천지역 성당의 시조격 성당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연관관계는 있다. 실제로 제물포성당은 1976년에 숭의동성당에서 분리설정되었고 숭의동성당은 1968년 답동성당에서 분리설정되었기 때문에 족보로 보면 현재 제물포성당이 옛 제물포성당인 답동성당의 손자 본당으로 볼 수 있다.

인근에 미추홀구청이 있긴한데 조금 애매한 거리이다. 걸어간다면 충분히 걸어 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거리이지만 버스로 한 정거장이다. 그러나 버스로 이동하는 편이 편리하고 버스가 자주 오며, 결정적으로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로 환승이 되기 때문에 버스로 이동하는 경우가 절대다수이다.

역사 내에는 스토리웨이던킨도너츠가 있다.

연안부두 일대로 이동할 때 동인천역과 함께 해당 역을 많이 이용한다.

또한 해당역도 초기부터 있던 3급 보통역이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74년 17,421명
1975년 17,764명
1976년 19,332명
1977년 24,997명
1978년 34,745명
1979년 39,747명
1980년 39,212명
1981년 41,083명
1982년 39,570명
1983년 40,551명
1984년 42,847명
1985년 44,684명
1986년 47,231명
1987년 50,150명
1988년 55,305명
1989년 51,303명
1990년 54,964명
1991년 48,695명
1992년 49,799명
1993년 47,351명
1994년 43,182명
1995년 43,825명
1996년 39,353명
1997년 44,426명
1998년 36,379명
1999년 43,248명
2000년 32,248명 비고
2001년 34,938명
2002년 33,966명
2003년 29,744명
2004년 22,042명 [2]
2005년 22,027명
2006년 20,566명
2007년 19,966명
2008년 19,578명
2009년 17,988명 }}}}}}}}}
2010년 16,094명
2011년 16,854명
2012년 16,475명
2013년 16,230명
2014년 15,893명
2015년 15,627명
2016년 19,132명
2017년 21,549명
2018년 22,199명
2019년 22,397명
2020년 16,027명
2021년 17,116명
2022년 18,750명
2023년 19,653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2000년까지만 하더라도 하루 평균 3만 명 이상이 이용하던 역이었으나, 도심 공동화로 인한 배후 인구의 감소와 1km 동쪽에 도화역이 들어서면서 이용객의 분산 효과가 겹치면서 2000년대 중반부터 2015년까지 이용객이 많이 감소하였다. 2004년에는 2만 명 초반으로 크게 수요가 이탈하였고, 2007년에는 2만 명 이하로 내려간 데 이어 2009년 인천대학교 본캠이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면서 2010년에는 1만 6천여 명으로 더욱 줄었다. 이는 인천역과 더불어 경인선 전철 개통 전에 영업을 시작한 역 중 하루에 2만 명 미만이 이용하는 둘뿐인 역이었다.

그러나 2016년 2월부터 제물포역에도 급행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면서 다시 이용객이 많이 늘어났다. 1만 5천여 명까지 떨어졌던 하루 평균 이용객이 2016년에는 1만 9천 명, 2017년에는 11년 만에 하루 평균 2만 명을 돌파하면서 그간 멀어져갔던 주요 역의 위치를 차츰 회복하는 중이다. 역과 가까운 곳에 미추홀구청이 있는데, 2010년대부터 역근처 남북부와 구청 근처 지역 상당수가 모두 재개발과 재건축이 상당히 많이 일어나고 있어 주변지역 인구 자체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 것도 이용객 수에 큰 영향을 준다. 인구증가의 바로미터로 역 근처에 역사상 처음으로 스타벅스 지점이 생긴 걸 들 수 있다. 심지어 송도 이전하기 전 제물포역 근처에 인천대학교가 있었을 때도 없었던 스타벅스가 생겼을 정도면 인구가 얼마나 많이 늘어났는지 알 수 있다. 재개발은 가로주택정비사업도 포함한다. 단독주택만 많던 지역이었으나 아파트나 주상복합 오피스텔이 많이 늘어났고, 개발이 작게 된 곳들도 기존의 단독주택 대신 빌라라도 들어섰기 때문에 인구밀도는 크게 높아졌다.

2023년 7월 기준 인천 제운사거리에 제물포역 특급 정차를 주장하는 현수막이 붙었다. 하지만 경인선 급행 정차역 중 수요가 제일 적기 때문에 추후 승하차객이 충분히 늘어나지 않는 이상 실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

파일:제물포역_승강장모습.png
승강장
파일:제물포역명판.jpg
역명판
도화 주안 [특급(X)] 도화
1 2 3 4
도원 동인천[특급(X)] 도원
1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의정부·동두천·연천 방면
2 급행 부평·구로·용산 방면
3 급행 동인천 방면
4 완행 도원·동인천·인천 방면
사진에는 모든 홈에 스크린도어가 없지만 현재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6. 연계 버스

위치 정류장명 정류장코드 방향 노선
남부역 제물포역 37355 미추홀구청, 도원고개, 구터미널 4, 15, 22, 23, 33, 63, 9100
제물포역(동양빌딩) 37399, 95807(시외) 수봉공원 512, 인천e음31
제물포역 37496 주안사거리, 구시민회관 4, 15, 22, 23, 33, 63, 9100
제물포역 37498, 95034(시외) 미추홀구청, 독정이, 인하대후문 28-1, 512, 517, 519, 인천e음31
북부역 제물포역 37502 도화사거리, 인천의료원 2, 7, 10, 13, 14, 21, 26, 62, 82, 510, 800
제물포역 37364 구 박문여고, 도원고개, 숭의로터리 2, 7, 10, 13, 14, 21, 26, 62, 82, 510, 800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c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ca2>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도화(157), 제물포(158)
파일:SBLine_icon.svg 학익(K268)[미개통], 인하대(K269), 숭의(K270)
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터미널(I126)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시민공원(I219), 석바위시장(I220)
파일:삼태극.svg 주안(156, I218)
1호선, 인천 2호선

[미개통] 2026년 개통 예정
}}}}}}}}}



[1] 「경인 전철 1호선 제물포역 '역명 따내기' 상아탑 3파전」, YTN, 2016-08-17[2]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특급(X)] 경인선 특급 열차는 무정차 통과한다.[특급(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