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역 (도봉구청) | ||||||
| ||||||
소요산 방면도 봉 ← 1.3 ㎞ | 1호선 (115) | 인천·서동탄 방면 창 동 1.7 ㎞ → | ||||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솔밭공원 방면 도 당 ← 1.2 km | 우이신설선 지선(미개통) | 시종착[1]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Banghak | |||||
한자 | 放鶴 | |||||
중국어 | 放鹤 | |||||
일본어 | [ruby(放鶴, ruby=パンハク)] | |||||
주소 |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50다길 3 (방학동 728번지) | ||||||
관리역 등급 | ||||||
배치간이역 (의정부역 관리 / 코레일 서울본부) | ||||||
운영 기관 | ||||||
경원선 | | |||||
개업일 | ||||||
경원선 | 1986년 9월 2일 | |||||
1호선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철도거리표 | ||||||
용산 방면창 동 ← 1.7 ㎞ | 경원선 방 학 | 백마고지 방면도 봉 1.3 ㎞ → |
[clearfix]
1. 개요
방학역 1번 출입구
역 안내도.
수도권 전철 1호선 115번 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50다길 3 (방학동 728번지)에 위치해 있다.
부역명은 도봉구청. 역 주변은 서쪽으로는 전통적인 단독주택 밀집지역이고, 동쪽은 아파트 밀집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시대 이 곳에 두루미 여러 마리가 놀고 있어서 '방학골'로 불렸다.
2. 역 정보
1, 2번 출구의 북부역사와 3번 출구의 남부역사로 나뉜다. 덕분에 출구가 승강장 맨 끝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1번째 칸이나 10번째 칸에서 내려야 한다. 안 그러면 한참 걸어가야 한다. 경원선 의정부~회기 구간의 역들이 거의 그렇다.보통 이런 역들은 북부역사 혹은 남부역사 하나만 먼저 짓고 개통한 후 나머지 다른 역사를 개설하는 경우가 많은데 방학역은 특이하게 북부역사와 남부역사를 동시에 개통시켰다.
역이 자리한 고가가 지상에서 낮은 위치에 있다. 이 주변이 개발되면서 철도와 도로의 입체 교차가 필요했는데, 복선전철화하면서 이 역 인근부터 고가구간이 시작되도록 건설했기에 고가가 낮다. 키가 큰 사람이 역 아래를 통과할 때 머리를 부딪힐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3번 출구의 남부역사 고가는 1.5m라고는 표시되어 있으나 1.7m 정도인 듯. 고가 밑 통로를 3분할했을 때 좌우 벽쪽의 높이는 1.7m 정도이며, 중앙부근은 1.8m 정도는 된다. 그렇다고 차고가 정확하게 1.8m 라고 중앙쪽으로 운전했다간 문제 생길 듯. 고가 밑에 아스팔트가 깔리기 전에는 고가를 지나갈 때 지면이 접시마냥 움푹 패여있었다. 당시 고가를 높일 수 없으니 반대로 고가 아래 흙을 파내서 지면과 고가의 높이를 높인 경우에 해당한다. 하지만 도로포장 후 이 스킬은 더 이상 시전을 할 수 없었다. 그 후 중형차, 용달차를 높이계산 안 하고 들이대다가 천장이 와장창 벗겨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한다. 표지판이 2m로 수정되었다.
선로 고가가 너무 낮아 맞이방이 사실상 반지하나 다름없는 위치에 있어, 1번 출구나 2번 출구로 나올 경우 고가 선하역임에도 맞이방에서 올라가야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정상 가동중이다. (2016년 2월 20일 가동)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도봉구청)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방학 역명만 방송한다.
2020년 2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지선이자 연장선인 방학선의 건설 계획이 있으며, 연장되면 우이신설선이 이 역에서 환승, 시종착할 예정이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6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86년 | 5,365명 | [2] | ||
1987년 | 7,693명 | ||||
1988년 | 11,170명 | ||||
1989년 | 11,483명 | ||||
1990년 | 16,719명 | ||||
1991년 | 15,007명 | ||||
1992년 | 15,568명 | ||||
1993년 | 14,551명 | ||||
1994년 | 14,259명 | ||||
1995년 | 15,226명 | ||||
1996년 | 15,671명 | ||||
1997년 | 16,141명 | ||||
1998년 | 16,778명 | ||||
1999년 | 16,794명 | ||||
2000년 | 18,247명 | 비고 | |||
2001년 | 18,683명 | ||||
2002년 | 22,050명 | ||||
2003년 | 23,429명 | ||||
2004년 | 21,655명 | [3] | |||
2005년 | 20,423명 | ||||
2006년 | 19,985명 | ||||
2007년 | 20,885명 | ||||
2008년 | 21,036명 | ||||
2009년 | 20,611명 | }}}}}}}}} | |||
2010년 | 19,936명 | ||||
2011년 | 19,944명 | ||||
2012년 | 19,891명 | ||||
2013년 | 20,216명 | ||||
2014년 | 20,061명 | ||||
2015년 | 20,433명 | ||||
2016년 | 20,325명 | ||||
2017년 | 20,086명 | ||||
2018년 | 19,834명 | ||||
2019년 | 20,222명 | ||||
2020년 | 15,632명 | ||||
2021년 | 15,976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경원선의 역 중 처음으로 도봉로와 만나는 역이어서 접근성이 뛰어나다. 서울버스 및 경기버스와의 접속이 매우 편리하여 환승 수요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게다가 방학동이라는 동네 자체도 녹천역, 월계역처럼 고립된 변두리가 아니라 시가지가 자연스럽게 연결된 형태라서 방학역의 역세권 범위가 굉장히 넓은 편이다. 다만 이런 장점들에 비해서는 이용객수가 상대적으로 다소 적게 나온다. 방학역은 하루 평균 2만 명 정도가 오가므로 절대적인 수치는 높은 역이다. 하지만 같은 권역을 지나가는 4호선은 쌍문역, 창동역을 포함한 모든 역이 기본 5만 명 이상 타고 내리고, 7호선 역시 강북 구간에서 평균 3만 명 이상이 타고 내리는 것을 고려하면, 위 노선들의 역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환경에 속하는 방학역은 비교적 낮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지상역이다 보니 도봉로 서쪽 주민들은 열차를 타려면 대로를 횡단해야 하는데, 방학역이 도봉로와 붙어있음에도 출입구가 골목길 굴다리에 있는 바람에 이쪽 주민들이나 버스 환승객들이 접근하기 불편하다. 대체로 사람들은 굴다리같이 어두컴컴하고 좁은 곳으로 가기에 꺼려하는 심리가 있고, 가뜩이나 좁은 골목길에 있어 혼잡도까지 높아 거주민들이 기피하게 되는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30년 넘게 지나다 보니 노후화 문제가 심각하고, 이것이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어 시민들의 안전 문제까지 있다. 같은 시기에 지어진 4호선의 고가역 및 안산선 역들과 비교하면 훨씬 낡고 오래되고 지저분한 슬럼가 분위기를 풍겨서, 굳이 방학역을 이용하지 않고 대로변에서 버스를 타는 경우가 많다.
또한 1호선이라는 노선 자체의 문제도 있다. 이미 청량리역, 광운대역에서 상당수의 열차가 방향을 돌리기 때문에 방학역쯤 오면 배차가 10분 이상 벌어져 차를 기다려야 할 때가 많고, 그렇게 기다린 후에 탄 차는 거의 항상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에서 온 승객들로 붐빈다. 앉을 자리는 당연히 없는 것은 물론, 출퇴근 시간에는 제대로 서 있기만 해도 다행일 정도이다.
4. 승강장
현재 역명판.
↑ 도봉 | |||
1 | ㅣ | ㅣ | 2 |
창동 ↓ |
1 | | 의정부·양주·동두천·소요산 방면 |
2 | 광운대·회기·구로·인천 방면 |
이 역은 경사가 평지(0퍼밀)이다.
5. 역 주변 정보
의외로 작은 역임에도 불구하고 상권이 충실. 3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 내에 홈플러스 방학점[4]2022년 4월 홈플러스 방학점 옆에 있는 모비우스 스퀘어 빌딩에 CGV가 영업을 시작할 예정이고, 동 건물에 스타벅스와 각종 요식업 프랜차이즈 업체 및 모던하우스가 입주하는 등 창동역 민자역사가 완공될 때까지는 도봉구 동쪽 방면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주위에 주거지가 많기 때문에 버스나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거의 방학역을 이용하게 된다.
6. 연계 교통
A | |||
10019 |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북부역(중) | 106 | 도봉소방서.방학남부역(중) 방면 |
107 | |||
140 | |||
141 | 도봉소방서 방면 | ||
142 | 도봉소방서.방학남부역(중) 방면 | ||
150 | |||
160 | |||
N16 | |||
1167 | |||
5 | 온누리교회 방면 | ||
36 | 도봉소방서.방학남부역(중) 방면 | ||
72 | |||
118 | |||
133 | |||
B | |||
10020 |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북부역(중) | 106 | 신도봉사거리(중) 방면 |
107 | |||
140 | |||
141 | |||
142 | |||
150 | |||
160 | |||
N16 | |||
1167 | 천주교도봉동교회 방면 | ||
5 | 신도봉사거리(중) 방면 | ||
36 | |||
72 | |||
72-3 | |||
118 | |||
133 | |||
C | |||
10111 | 방학역 | 1139 | 국민은행도봉지점 방면 |
D | |||
10009 | 도봉소방서.방학남부역(중) | 106 | 도봉보건소(중) 방면 |
107 | |||
140 | |||
142 | |||
150 | |||
160 | |||
N16 | |||
1167 | 서울문화고등학교 방면 | ||
36 | 도봉보건소(중) 방면 | ||
72 | |||
118 | |||
133 | |||
E | |||
10010 | 도봉소방서.방학남부역(중) | 106 |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북부역(중) 방면 |
107 | |||
140 | |||
142 | |||
150 | |||
160 | |||
N16 | |||
1167 | |||
5 | |||
36 | |||
72 | |||
72-3 | |||
118 | |||
133 | |||
F | |||
10114 | 도봉소방서 | 141 | 방학사거리 방면 |
G | |||
10113 | 도봉소방서 | 141 |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북부역(중) 방면 |
H | |||
10124 | 도봉구청 | 146 | 방학1동대상타운현대삼성아파트 방면 |
1127 | |||
I | |||
10815 | 도봉구청 | 도봉08 | 롯데마트.삼성아파트 방면 |
도봉09 | |||
J | |||
10133 | 도봉구청 | 146 | 도봉시장 방면 |
1127 | 서원아파트 방면 | ||
10543 | 도봉08 | 도봉중학교.서원아파트 방면 | |
도봉09 | 서원아파트 방면 | ||
K | |||
10136 | 방학1동대상타운현대삼성아파트 | 146 | 서울문화고등학교 방면 |
1127 | |||
L | |||
10819 | 대상타운현대아파트 | 도봉08 | 서울문화고등학교 방면 |
도봉09 | |||
M | |||
10135 | 방학1동대상타운현대삼성아파트 | 146 | 도봉구청 방면 |
1127 | |||
10538 | 대상타운현대아파트 | 도봉08 | 삼성아파트.롯데마트 방면 |
도봉09 | |||
가 | |||
우리은행 앞 대여소 (1732) | |||
나 | |||
기업은행 앞 대여소 (1706) | |||
다 | |||
도봉구청 정문앞 대여소 (1705) |
7. 기타
[1] 동북선과 직결할 시 마들역 개통 예정[2] 개통일인 9월2일부터 12월31일 까지 12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3]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4] 까르푸→홈에버→홈플러스로 바뀌었음[5] 롯데마트에서 변경. 2020년 11월 30일 폐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