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8 22:28:55

도봉역

도봉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인천 방면
방 학
1.3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Dobong
한자 道峰
간체자
가나 [ruby(道峰, ruby=トボン)]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70길 2 (도봉동 639번지)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을종)
(의정부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운영 기관
경원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경원선 1986년 9월 2일
1호선
역사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경원선
도 봉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20190421_162244.jpg
도봉역 옛 역명판
파일:도봉역2.png
도봉역 북부역사
파일:도봉역4.jpg
도봉역 남부역사 야간사진
파일:도봉역3.jpg
역 안내도
수도권 전철 1호선 114번.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70길 2 (도봉동 639번지)에 위치해 있다.

2. 역 정보

도봉산 산자락에 위치해 있는 역이다. 경원선 창동 - 의정부 복선전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만이 정차한다.

1번 출구가 있는 북부역사와 2, 3번 출구가 있는 남부역사가 있다. 개통 당시에는 북부역사만 있었다가 1996년 11월 21일에 남부역사가 개설되었다.

2014년에 승강장 리모델링 공사를 했다.

2018년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였다.

2020년 2월 승강기를 설치하였다.

3. 역 주변 정보

북부역은 주거용 아파트와 상가들이 있고, 바로 앞에 중랑천과 이어지는 무수골이 있다. 남부역 뒤로는 이른바 "짝집", "방석집"이라 불리는 유흥가가 있었으나, 법조타운의 조성과 수요의 감소로 얼마 남지 않았다. 남부역으로 나오면 앞에 유흥가, 뒤에는 서울북부지방법원서울북부지방검찰청이 있어 묘한 느낌을 들게 한다. 법원이 들어서면서 각종 식당들이 들어서는 추세지만, 거대한 관할구역에 비하여 법률서비스 수요가 적은 서울북부지방법원의 특성상(의정부지방법원의정부지방검찰청의 법률서비스 수요보다도 적다고 평가된다) 식당이 얼마 안가 폐업하는 경우도 많으며, 주변 식당들은 불경기와 거리두기를 이겨내며 버티는 중이다.

'도봉역'이라는 타이틀과는 상반되게, 도봉구에 있는 역들 중 가장 한산한 곳이기도 하다. 도봉산역은 주말이면 등산객으로 늘 붐비고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며 창동역수도권 전철 4호선의 환승역이고 방학역, 쌍문역은 근처에 편의시설이 많아 유동인구가 많으며 하물며 녹천역은 바로 앞에 고등학교가 있어 아침에 학생들이 눈에 띄고 근처에 주거시설이라도 많지만 도봉역 근처엔 편의시설도 적고 미개발, 재개발된 빈집 내지 낡은 주택들이 옹기종기 모여있어 거주인구도 적은 편이다.

태릉입구역 - 화랑대역 주변에 있던 서울북부지방법원,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이 2011년 현재 도봉역 2, 3번 출구로 신축 이전하였다. 예전에는 이 자리가 국군창동병원이었는데, 덕계동에 있었던 덕정병원과 통합해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로 자리로 옮기면서 국군양주병원으로 바뀌고 그 자리에 법원과 검찰청이 옮겨왔다. 도봉, 노원을 포함한 서울 북부지역의 송무(도봉구, 노원구, 강북구, 중랑구, 동대문구, 성북구)는 전부 이곳에서 진행되며, 주차장이 있으나 주중 오전/오후에는 대부분 만차 상태이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나마 나머지 서울 각 지방법원 중에는 서울북부지방법원이 가장 주차가 널럴한 편)

르노삼성, 쉐보레 서비스센터 - 일반정비 뿐만 아니라 고급정비까지도 가능한 정식 서비스센터가 1번 출구에서 의정부 방향으로 200m 직진 후 우회전하는 곳에 있다. 도봉, 강북, 노원 지역의 차량 정비는 이곳에서 전담한다. 르노삼성 전시장이 있어 신차를 직접 볼 수 있다.

도봉중고자동차 - 위 르노삼성, 쉐보레 정비소에 들어가기 직전 도봉역, 도봉산역 사이의 고가철로 밑에 있다. 10년 이상 되었으며 전시된 차량을 둘러 볼 수도 있다.

수호렌터카 - 도봉역 2, 3번 출구 옆 고가철로에 있으며 해당 위치에 거의 10년 넘게 자리잡고 있는 렌터카. 주로 단골손님이 많은 편으로 가격이 저렴하다고 한다. 현재는 도봉구 공영주차장이 조성되어있다.

견인차량보관소 - 도봉구청에서 파견된 주차단속요원에게 단속되어 견인된 차량은 이곳에 주차된다. 도봉역, 방학역 사이의 고가철로 밑에 있으며 당연히 과태료 납부 후에 차량 인수가 가능하다. 차량을 찾아가지 않으면 매일마다 주차비가 부과되니 반드시 빠른 시일 내에 찾아가도록 하자.

2번 출구 건너편에는 6.25 전쟁 중 낙동강 전선을 사수하며 전황 역전에 공헌을 세운 월튼 해리스 워커 장군의 교통사고 전사(1950년 12월 23일)를 추모하는 표지석이 있다. 실제 전사지는 도봉동 596-5번지.
철도가 지나가는 역 밑을 따라 고기집이나 생선구이집 등의 음식점들이 있으나, 몇몇 곳은 인근으로 이전하였으며, 현재 역사 아래 1층에는 상가가 조성되고 있다. 또한 남부역 바로 옆 도봉로(큰 길)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음식점, 술집, 마트, 약국 등이 몰려 있어서 사람이 비교적 많은 편이나, 주말에는 한산하다. 도봉역 주변에서 요식업 등 사업을 하기엔 쉽지 않다.

최근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지하철뷰'로 알려진 카페 '로로옴'이 2번 출구에 위치해 있다. 옥상에 올라 가면 달리는 전철의 모습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출사하는 철도 동호인뿐만 아니라 아이를 동반한 가족들도 제법 인기가 많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86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86년 4,817명
1987년 5,901명
1988년 8,627명
1989년 8,863명
1990년 10,219명
1991년 11,856명
1992년 12,711명
1993년 13,235명
1994년 12,646명
1995년 13,123명
1996년 13,240명
1997년 12,886명
1998년 13,048명
1999년 12,954명
2000년 13,811명 비고
2001년 12,188명
2002년 12,827명
2003년 14,631명
2004년 12,215명 [1]
2005년 12,130명
2006년 11,838명
2007년 12,143명
2008년 12,358명
2009년 12,164명 }}}}}}}}}
2010년 12,539명
2011년 13,058명
2012년 13,247명
2013년 13,254명
2014년 13,196명
2015년 13,315명
2016년 13,068명
2017년 12,913명
2018년 12,541명
2019년 12,449명
2020년 9,709명
2021년 9,965명
2022년 10,621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이 역의 앞에 있는 방학역과 비슷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역이다. 도봉로라는 큰길과 만나 수많은 버스와 환승이 쉽고, 시가지가 고립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다만 방학동과는 다르게 이쪽은 도봉산수락산이 가로막는 계곡이어서 시가지의 폭이 좁아 배후 인구가 적은 편이다.

그래서 하루 평균 이용객이 1만 2천여 명에 그칠 만큼 이용률이 저조하다. 방학역 문서에 쓰여있는 것처럼 경원선은 그 특유의 구조적 문제와 더불어 굴다리 역이라는 특징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을 꺼리는 노선이다.[2] 그래서 정작 거주민들은 역 앞을 지나가는 수많은 간선버스를 타거나 4호선 쌍문역, 7호선 수락산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수락산역의 경우 중랑천을 사이에 두고 거의 쌍둥이같은 역세권을 두고 있음에도 이용객 수는 도봉역의 2배를 훌쩍 넘는다. 방학역과 마찬가지로 의정부에서 오는 버스 승객들의 일부가 여기서 갈아타기는 하지만, 의정부에도 1호선 열차가 다니기 때문에 굳이 여기서 갈아타지 않는 승객들이 대부분이다.

추가로 배차도 약 10분 정도로 좋지 않고 이미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에서 꽉 찬 승객들로 앉을 자리가 없을 확률이 거의 100%라는 단점도 있다. 1호선 특유의 쿰쿰한 냄새와 시끄러운 잡담 소리는 덤이다. 여기에 미관상의 문제와 접근성의 불편함 때문에 거주민들이 외면해서, 다른 노선으로 가기에 1호선의 뛰어난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하루 평균 1만 명대 초반에 머무는, 서울 시내의 핵심 간선 역치고는 매우 저조한 수요를 기록하는 것이다.

5. 승강장

파일:도봉역 승강장.jpg
도봉산
1 2
방학
1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정부·양주·동두천·소요산 방면
2 광운대·회기·구로·인천 방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동중이다.

이 역은 방학방면으로 8퍼밀 하구배가 있다.

6. 연계 교통

파일:도봉역연계교통.png
A
10005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중) 106 신도봉사거리(중) 방면
107
140
141
142
150
160
N16
36
72
72-3
118
133
B
10006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중) 106 도봉한신아파트(중) 방면
107
140
141
142
150
160
N16
36
72
72-3
118
133
C
10108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1128 도봉견인차량보관소 방면
1139
D
10107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1128 도봉동한신아파트 방면
1139
E
10585 도봉역 도봉09 도봉스카이돔.삼성서비스센터 방면
F
10156 도봉역 1127 노원교 방면
1139
7
G
10157 도봉역 1127 도봉동한신아파트 방면
1139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방면
7 도봉한신아파트(중) 방면
10577 삼환.동아에코빌아파트 도봉09 도봉역 방면
H
10818 삼환.동아에코빌아파트 도봉09 노원교.성대야구장 방면
I
10800 성황당 도봉08 삼거리슈퍼 방면
J
10586 성황당 도봉08 도봉1동주민센터.럭키아파트 방면
파일:지하철 출구_1.png파일:지하철 출구_2.png번 출구
도봉역 1,2번 출구사이 대여소 (1735)
파일:지하철 출구_3.png번 출구
서울북부지방법원 대여소 (1728)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 - - - - - - - - - - - - - - - - - - - - - - -
서울 지하철 1호선 - - - - - - - - -
경인선 - - - - - - - - - - - - - - - - - - - -
경부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천안직결선 -
장항선 - - - - - - -
병점기지선 -
[[경부고속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


[1]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2] 밤만 되면 조명을 켜둬도 확실히 치안이 걱정될만한 광경이 펼쳐진다. 수많은 여성 및 어린이, 주부를 포함해 일부 남성들까지 무서운 느낌이 들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