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2:17:57

전곡역

폐역 초성리 - [ruby(한탄강, ruby=1975~2023)] - 전곡
전곡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인천 방면
청 산
3.3 ㎞ →
역명 표기
경원선 전곡
Jeongok
全谷 / [ruby(全谷, ruby=チョンゴク)]
1호선
주소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역로 75 (전곡리 333-10)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지행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동두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원선 1912년 7월 25일[1]
1호선 2023년 12월 16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1면 5선 섬식 승강장[2]
철도거리표
경원선
전 곡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입구 정보
4. 승강장5. 일평균 이용객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전곡역 구역사.jpg
구 역사 (1958년 준공, 2020년 철거)
38선 이북지역의 최남단 역사
전곡역은 1912년 7월 25일 경원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1945년 광복남북분단 당시 소련군이 들어와 있던 38선 이북지역의 최남단 역사이다. 현재의 역사는 1958년 10월에 지어진 역으로 삼각지붕이 소담스런 모습이다. 역사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전곡읍은 연천군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땅이 몹시 질어 '진골'이라 불렸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랑리와 고탄리, 전곡리의 일부가 합쳐져 전곡리가 되었다. 동두천-연천 복선전철 사업과 더불어 이용객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최첨단 스마트역사로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00-2번.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역로 75 (전곡리) 소재.

2. 역 정보

파일:전곡역 신역사.jpg 파일:전곡역_야경.jpg
신 역사 외부
파일:전곡역_타는곳.jpg
신 역사 타는 곳
파일:전곡역_내부.png
신 역사 내부
파일:전곡역 1호선.jpg
개찰구
파일:역안내도_전곡.png
역 안내도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내에 위치한 역이다. 군 전체의 상업·교통 중심지인 전곡읍내 한복판에 있는 역이라 예로부터 경원선에서 손꼽는 비중을 차지했으며, 특히 최전방 곳곳에 위치한 부대원들의 수요가 매우 높다. 통일호통근열차의정부역까지 운행하던 시절에는 종착역인 의정부역신탄리역을 빼면 가장 수요가 많았다.

북쪽 방향의 다음 역인 연천역과는 8.7㎞ 떨어져 있으며, 1호선에서 경부선 구간의 평택역~성환역(9.4㎞) 다음으로 역간 거리가 길다. GTX를 제외한 수도권 전철 전 구간에서는 3위이다.

38선으로 남북이 나뉘었을 때에는 북한의 최남단이었지만, 기록에 따르면 영업하지 않고 연천역이 북한 경원선의 종점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각종 군수 물자를 대기 위해 개조한 흔적을 전곡역에서는 찾을 수 없다.

주 이용객은 지역 주민과 군인이다. 다만 버스가 증편되고 통근열차가 폐지되면서 이용객이 꽤 감소했다. 2006년에 의정부 - 동두천 복선전철 개통 후에는 의정부역 종점 시절보다 이용객이 줄었어도 그럭저럭 고정 수요가 남아있었다. 그런데 2011년에 홍수로 한탄강 다리가 유실되고 열차가 몇 달 동안 운행을 중단하면서 일어난 이탈이 이용객 감소를 불러왔다.

2018년 8월 29일에 집중호우로 차탄철교가 침수되어서 9월 7일까지 전곡~연천 구간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연천~백마고지 구간 경원선 대체운송버스가 이 역까지 운행하면서, 통근열차는 당시 이 역까지 운행하였다.

2019년 4월 1일부터 2023년 12월 15일까지 경원선 동두천~연천 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하여 통근열차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고 그 대신 통근열차가 운행하는 구간, 요금 그대로 대체 운송 버스가 운행했다. 현재는 더 이상 일반열차가 들어오지 않으며, 수도권 전철만 운행한다.

전철화 후에도 기존 시설물들을 고쳐서 쓰지만, 역사는 철거한 뒤 재시공했다. 구 역사는 2020년에 철거되었다. 신 역사는 연천 전곡리 유적에서 발견된 주먹도끼를 형상화한 것이다.##2

이 역부터 북위 38도 이북이다. 판문점의 위도가 37.96이므로 판문점보다도 북쪽인 것이다. 1호선연천역까지 개통함으로써 연천역과 함께 역대 최초로 북위 38도 이북(즉 구 북한 측 영토)에서 영업하는 수도권 전철의 역이 되었다.

연천 연장 개통 전에도 철도로 동서가 단절된 인근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신 역사의 선상 통로가 미리 개방되었었다. 상단의 신 역사 내부 사진 또한 선상 통로 개방 이후에 촬영된 것이다. 역 주변에 별다른 개방 안내가 없고 마무리 공사 또한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에 역사 출입이 불가능할 것이라 오해할 수 있었으나, 출구를 통해 출입이 가능했다. 다만 승강 시설과 역무실 이용은 2023년 12월 16일 4시까지 불가능했다.[3]

3. 역 주변 정보

전곡읍행정복지센터(읍사무소), 전곡초등학교, 전곡우체국, 전곡시외버스터미널, 전곡근린공원, NH농협은행 연천군지부, 전곡농협, KB국민은행 전곡지점, 연천전곡새마을금고가 있다.

연천역과 전곡역 사이(역 간 거리 8.7㎞)에 있는 연천읍 통현리와 은대리에도 연천군에서 역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통현리는 택지개발 예정지고, 은대리에는 연천소방서 및 많은 군부대가 있다.

전곡역과 청산역 사이에는 사회나 한국사 교과서에서 한국의 선사 시대를 설명할 때 꼭 나오는 연천 전곡리 유적이 있으며[4], 주변에 한탄강이 흐른다.

3.1. 출입구 정보

파일:Seoulmetro1_icon.svg 전곡역 출입구 정보
1전곡우체국
전곡2리 새마을회관
2전곡5리문화복지회관
전곡파출소
전곡사랑작은도서관
3전곡초등학교
전곡근린공원

4. 승강장

파일:전곡역 1호선 승강장.jpg
승강장
연천
[5] 2 1
청산
2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천 방면
1 의정부·광운대·인천 방면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80c379> 연도 ||
[[통근열차(열차등급)|
통근열차
]]
||<bgcolor=#80c379>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1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2,813명 비고
2003년 2,719명
2004년 4,398명
2005년 4,474명
2006년 4,180명
2007년 809명
2008년 673명
2009년 451명
2010년 342명
2011년 338명 [6]
2012년 250명
2013년 340명
2014년 216명
2015년 164명
2016년 159명
2017년 134명
2018년 97명
2019년 79명 [7] }}}}}}}}}
연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비고
2023년 2,513명 [8]
2024년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통근열차 운행 시절에도 수요가 상당히 많았다. 특히 의정부까지 통일호(통근열차)가 가던 시절에는 하루 이용객이 4,000명을 넘겼을 정도다! 연천군의 실질적 중심지라서 수요가 제법 많은 것으로, 군인들 외박 외출 수요도 상당한 곳이다.

1호선이 서울을 넘어 인천까지 직결 운행되면서 통근열차 시절의 수요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1호선 동두천 이북 구간에서는 가장 수요가 많은 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소요산역은 연천에서 오는 환승 수요가 감소할 것이기 때문.

6. 연계 교통

6.1. 시내버스

전곡역 연계버스(43383·43542)
일반
따복
전곡역농협앞 (43214·43216)
일반시내
맞춤형

6.2. 전곡시외버스터미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곡시외버스터미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보로 8분 거리에 위치한다.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원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중지
광역전철 전용역: 파일:GJ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정차, 파일:Gyeongchun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춘선 정차, 파일:Seoulmetro1_icon.svg:수도권 전철 1호선 정차
}}}}}}}}}

[1] 1945년 8월 15일 ~ 1950년 10월까지 북한 소속, 1950년 ~ 1954년까지 6.25 전쟁으로 인한 영업 중단[2] 승강장 부지까지 포함하면 2면 5선의 쌍섬식 승강장이 된다.[3] 1호선(경원선) 전곡역 내부 통로 임시 개통(2023-08), 네이버 블로그[4] 그리 가까운 거리는 아닌데, 도보로 20분 가량 걸린다.[5] 승강장 부지가 마련되어 있다.[6] 초성천철교 유실로 인한 운행 중단 기간 제외[7] 1월 1일부터 영업 마지막 날인 3월 31일까지의 총 90일간 집계를 반영한 것이며,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 자료를 반영하였다.[8] 개통일인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