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9:26:42

부강역

부강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전·동대구 방면
신탄진
← 12.1 ㎞
제천·영주 방면
조치원
10.5 ㎞ →
}}}}}}}}} ||
역명 표기
경부선 부강
Bugang
芙江 / [ruby(芙江, ruby=プガン)]
부강화물선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청연로 90 (부강리)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008[1]
관리역 등급
보통역
(조치원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부강화물선
개업일
경부선 1909년 11월 1일[2]
부강화물선 2010년 1월 2일
무궁화호 1993년 11월 25일
승강장 구조
2면 11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경부선
부 강
기점
부강화물선
부 강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연계 교통5. 일평균 이용객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부강역.jpg
현 역사(1997년 준공)
파일:bugang.jpg
구 역사(1938년 준공, 1997년 철거)
<nopad> 파일:부강역 스탬프.jpg
부강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부강약수와 남성골산성, 세종홍판서댁을 형상화했다.
1908년 육당 최남선의 <경부선철도노래>에 등장
부강역은 1909년 11월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부강역은 최남선(崔南善)이 1908년에 작사한 <경부선철도노래>에 등장할 만큼 주요 교통 거점으로, 옛 역사는 1938년 9월에 지어진 것으로 239.05㎡ 에 2동의 부대건물을 갖춘 목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였다. 오래전부터 화물홈과 하치장, 야적장을 갖추고 있을 만큼 화물 물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1965년에는 한국플라스틱 전용선이, 1989년에는 성신양회 전용선이 신설되기도 하였다. 1997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어 2010년 부강화물선이 개통하며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부강화물선의 철도역.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청연로 90(부강리 401-211) 소재.

2. 역 정보

1909년 11월 1일 경부선상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38년 9월 22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다.

1965년 1월 1일 한국프라스틱전용선이 부설되었으나 1987년 12월 20일 폐지되었다.

1989년 12월 14일 성신양회전용선이 부설되었고 1991년 9월 1일에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1997년 11월 17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고 2010년 1월 2일 부강화물선이 개통되었다.

승강장으로 나가기 전에 보면 오른쪽 맨 구석에 TMO가 자리잡고 있는데 역 근처에 육군종합보급창이 있어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해당 부대로 들어가는 인입선이 있다.

성신양회의 시멘트 취급화물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CY야적장도 있어서 컨테이너 화물도 담당하는 터라 구내 입환이 활발해서 KOBOS 안내방송이 나오지 않는다.[3]

2.1. 승강장

조치원
1 2 3 4
신탄진
1·2 경부선·호남선·전라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천안·용산·서울 방면
충북선 청주·제천·영주 방면
3·4 경부선 대전·동대구·부산 방면
전라선 서대전·전주·여수 방면
충북선 대전·김천·동대구 방면

3. 역 주변 정보

역전은 부강리 읍내가 조성되어 있으며 역 뒤편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세종홍판서댁이 위치해 있다.

역 남쪽에 성신레미콘공장과 한남이노텍 부강공장이 있으며 레미콘 공장과는 전용선과 연계된다.

역전에서 부강로와 부강금호로·금병로를 통해 행정중심복합도시 4생활권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4. 연계 교통

파일:버스정류장2.png부강역 (세종 33038 / 청주 2533)
파일:버스정류장2.png부강역 (세종 33037)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250명
2005년 307명
2006년 313명
2007년 322명
2008년 329명
2009년 309명
2010년 310명
2011년 344명
2012년 358명
2013년 380명
2014년 401명
2015년 382명
2016년 352명
2017년 314명
2018년 310명
2019년 294명
2020년 190명
2021년 222명
2022년 226명
2023년 275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 부강면 부강리, 갈산리, 문곡리, 등곡리, 연동면 명학리 일대를 역세권으로 삼는다. 가까운 거리에 조치원역, 신탄진역이 있고 두 역은 부강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배차간격이 훨씬 더 짧기 때문에 범위가 좁다. 세종시에서는 현재 제일 가까운 6생활권, 4생활권조차도 BRT로 세종터미널이나 오송역으로 가는 게 더 빠르다. 실제로 세종시 출범 이후에도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향후로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용객 수 상승과 감소는 유가 변동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4생활권 중 집현동은 부용가교를 통해 부강역까지 10분대로 이동 가능한데, 행복도시-부강역 연결도로가 확충되면 접근성이 더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 다만 세종시 5생활권이 개발되고 연계교통이 확충된다면 이쪽 수요를 추가적으로 기대해볼 만하다. 대전방면으로는 해밀리에서 B1로 1시간 이상 걸리는데, 이 역에선 20분만에 대전역에 꽂아준다. 시간만 잘 맞다면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고,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방면 버스 배차가 부족한 세종시 입장에서 5생활권 한정으로 보완재가 될 수 있다. 다만 배차간격이 길지 않고, 서울 방면은 오히려 오송 방면 거리가 타 생활권에 비해 가깝기 때문에 수요를 가져오는 것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 서울방면이 제일 많고(서울+영등포) 그 다음으로 대전 수요가 제법 많다. 그 외에 경부선 주요역인 수원, 천안 방면 수요의 비중이 제법 있다. 대전생활권인 옥천 방면 수요도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한다. 다만 대전 이남 배차는 1일 6회에서 3회로 대폭 줄어들지만 옥천역 수요는 어느 정도 있는 것을 볼 때, 옥천 이남 수요 자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찬가지로 호남선 정차역 수요는 거의 없다.
  • 조치원역과 접근성이 나쁜 편은 아니나, 배차가 많은 버스에 밀려 조치원 방면 수요는 부근의 세종하이텍고등학교의 기숙사생 주말 귀가 등을 제하면 거의 없다.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속달성을 거의 살리지 못하고 있다.

6.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정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만 정차
}}}}}}}}}

부강화물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객영업 안함
}}}}}}}}}



[1] 대전역 코드를 010으로 맞추기 위해 008로 정했다는 얘기가 있다.[2] 그러나 1907년 통감부 철도관리국 연보에 따르면 늦어도 1906년부터 거리표에 등재되어 여객을 취급한 기록이 있고, 개업 10개월 전인 1909년 1월에 작성된 순종황제의 남부지방 순행으로 인한 열차운행 변경 공지에서도 등장하는 점으로 보아 공식 개역일과 실제 개역일이 맞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 자료일람 > 주한일본공사관기록 & 통감부문서 > 統監府文書 9권 > 八. 韓國皇帝南巡關係書類, 韓國皇帝西南巡幸關係書類 > (8) [巡幸 예정 변경 통보][3] 역무원이 마이크를 통해 육성으로 승차 안내방송을 하고 있으며 열차 진입음과 접근 경고방송은 정상적으로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