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d5bab><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0~3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0권역 | 040 | |||||
1권역 | 100 | 101 | 102 | 103 | 104 | ||
105 | 107 | 109 | 110 | 111 | |||
120 | 121 | 130 | 140 | 141 | |||
142 | 143 | 144 | 145 | 146 | |||
147 | 148 | 150 | 151 | 152 | |||
160 | 162 | 163 | 171 | 172 | |||
173 | |||||||
2권역 | 201 | 202 | 240 | 241 | 242 | ||
260 | 261 | 262 | 270 | 271 | |||
272 | 273 | ||||||
3권역 | 301 | 302 | 303 | 320 | 333 | ||
340 | 341 | 342 | 343 | 345 | |||
350 | 360 | 361 | 370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4~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4권역 | 400 | 401 | 402 | 405 | 406 |
420 | 421 | 422 | 440 | 441 | ||
452 | 461 | 463 | 470 | 472 | ||
5권역 | 500 | 501 | 502 | 503 | 504 | |
505 | 506 | 507 | 540 | 541 | ||
571 | ||||||
6권역 | 600 | 601 | 602 | 603 | 604 | |
605 | 606 | 640 | 641 | 643 | ||
650 | 651 | 652 | 653 | 654 | ||
660 | 661 | 662 | 672 | 673 | ||
674 | ||||||
7권역 | 700 | 701 | 702 | 703 | 704 | |
705 | 706 | 707 | 708 | | ||
710 | 720 | 721 | 740 | 741 | ||
742 | 750 | 752 | 753 | 760 | ||
761 | 771 | 773 | 774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서울동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3d5bab> | 서울02 | 서울04 | 서울05 | 서울07 |
서울08 | 서울09 | 서울10 |
1. 개요
진화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4.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61번 | |||||
| |||||
기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장지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공원) | ||
종점 행 | 첫차 | 04:00 | 기점 행 | 첫차 | 06:00 |
막차 | 22:10 | 막차 | 00:10 | ||
평일배차 | 7~13분 | 주말배차 | 토요일 9~14분 / 공휴일 10~15분 | ||
운수사명 | 진화운수 | 인가대수 | 40대(예비 1대)[1] | ||
노선 | 장지공영차고지 - 송파파인타운11단지 - 문현중학교 - 문정래미안아파트 - 문정1동주민센터.로데오거리 - 가락시장 - 수서역 - 일원본동주민센터.일원역 - 일원터널 - 디에이치아너힐즈 - 개포동역.개포시장 - 대치역 - 한티역 - 역삼중학교.강남세브란스병원 - 뱅뱅사거리 - 남부터미널 - 서울고등학교 - 방배역 - 서울교통공사 - (← 방배동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 ←) - 사당역 - 낙성대입구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봉천역 - 신림역 - 당곡역 - 신대방삼거리 - 서울지방병무청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 → 국회의사당역 → 여의도공원[2] → 여의나루역 → 한국거래소 → 여의도역 → 이후 역순 |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삼전동 - 역삼로 - 여의도 구간을 수서역 - 도곡로 - 여의도 구간으로 변경했고 번호도 461번으로 바뀌었다. 삼전동 - 역삼로 구간은 363번이 대체한다.
- 2005년 7월 10일에 한국거래소 대신 여의도환승센터, 전경련회관 경유로 변경됐다.
- 2005년 7월 15일에 장지동 방향도 여의도환승센터를 경유하도록 변경됐다.
- 2008년 2월 8일에 기점이 장지공영차고지로 변경됐다.
- 2008년 8월 18일에 송파파인타운 10~13단지 대신 버드나무길 경유로 변경됐다.
- 2011년 2월 8일에 송파파인타운11단지 경유 및 여의나루역 미경유로 바뀌었다.
- 2013년 9월 26일에 배차간격 단축을 위해 여의도 일대에서 회차지점 구간 중 여의도환승센터 대신 여의나루역, 한국거래소 경유로 변경됐다.
- 2018년 1월 19일부로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247분/228분/225분에서 267분/265분/241분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1일 총 운행횟수가 10회/8회/8회씩 감회됐고, 최소배차간격이 평일의 경우에는 7분에서 8분으로, 토요일의 경우에는 8분에서 9분으로 늘어났다. 관련 공문
- 2023년 6월 9일을 기해 402번 정상운행차량 감차분 2대가 본 노선 증차분으로 투입되었고, 모든 요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이 2대씩 증편되었다. 다만 그와 동시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67분에서 275분으로 늘어나고 그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었기에,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1일 총 운행횟수가 5회/3회/2회씩 감회된 115회/95회/94회로 조정되고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9분에서 10분으로 늘어났다. 관련 공문
4. 특징
- 주 수요 패턴은 장지동-가락시장역-수서역, 수서역-대치, 역삼동, 대치동-사당역-서울대입구, 신림역-여의도이다. 장지에서 수서역을 지나는 노선은 3011번이나 401번도 있지만 '송이로32번길' 일대에서 수서역행을 커버해주는 노선은 461번밖에 없다. 가락시장역부터 동남로(문정동 로데오거리)와 동남로12길, 송파대로6길을 연달아 운행하는 노선도 이 노선뿐이다.
- 수서역-일원동 구간과 삼성로를 연결하는 노선은 많으므로 수요가 가장 낮은 구간이지만 361번과 함께 도곡로 일대를 최단으로 이어주므로 고정 승객이 많다.
- 개포자이-은마아파트입구(삼성로) 구간에서는 420번과 함께 개포동역이나 대치역 연계를 담당한다. 또, 도곡로를 경유함으로써 대치동학원가, 강남세브란스병원, 강남권 지역 이동에 도움을 준다.
- 지하로 평행하게 가는 지하철 노선이 없는 효령로와 도곡로를 대부분 완주한다. 직선 두 도로를 연이어 주행하는 단독 구간으로 대부분의 노선들이 강남대로로 가고, 효령로에서 오는 노선은 이 노선과 서초03번을 제외하면 모두 양재역으로 간다. 주요 수요처는 대치동학원가, 강남세브란스병원, 뱅뱅사거리, 남부터미널 등 강남권의 주요 시설이다. 그리하여 첫차시간대 청소부 건물관리인 등 심야노동자들의 출근 수요도 많이 발생한다.
- 방배역부터 신림역까지는 2호선과 나란히 운행하며 당연히 남부순환로를 직선으로 지난다. 지하철이 운행하는 구간이므로 역 연계 구간 수요가 많고, 강남권에서부터 오는 수요, 관악구 주요 거점인 서울대입구역과 신림역 연결에 따른 수요도 있다.
- 신림역부터 신대방삼거리역, 보라매역, 공군호텔, 여의도 구간은 핵심구간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개통해 수요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153번, 6513번의 단축 및 변경으로 신대방삼거리 이남[3]과 여의도를 잇는 노선도 이 노선 단독이라 출근시간에 극심한 혼잡도를 보여준다. 신림로와 보라매로에서 여의도를 잇는 노선이 거의 없다보니 국회의사당, 순복음교회 경유에 따른 수요가 상당하다. 그래서 장거리 노선을 단축시키는 와중에도 대체 수단이 전혀 없어서 끝까지 장거리 노선으로 유지되고 있다.
- 장거리 운행으로 인한 기사의 휴식 및 생리적 보장 및 안전운행 준수 규정으로 인해서 여의도공원 정류소에서 10분 ~ 20분간 휴게시간하에 정차하게 되었다. 이 때 승객들을 먼저 출발하는 앞차에 환승하도록 유도하니 평상시처럼 태그하며 승하차 하면 된다.
461번 버스는 5시간 운행하는 장거리 노선으로 운전기사의 휴식 및 생리적 보장과 안전운행 준수를 위하여 회차지점인 여의도공원 정류소에서 약 10분 ~ 20분 정차 후 출발하게 됨을 알립니다. 휴게 시간동안 바로 출발하지 않기 때문에 여의도에서 승차하신 승객들을 동일 노선 환승으로 유도하고 있사오니 이 점 양해하여 주시기 바라며 배차간격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휴게 시간 공지 내용
- 휴게 시간 공지 내용
- 전체적인 선형은 간선버스 다운 직선이다. 그러나 중앙버스전용차로 운행 구간이라고는 강남중학교 하나뿐인데다가 남부순환로와 여의대방로 등 상습정체구간을 많이 통과하므로 왕복 운행시간이 서울시 전체 노선 중 1~2위일 정도로 매우 길다. RH에는 편도 소요시간만 2시간이 넘는다. 이러한 운행환경 탓에 난폭운전과 신호위반이 빈번하여 운수사에서 자정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장지동 방향 막차는 신림역을 00:30 전후, 수서역을 01:30 전후에 통과하는 등 지하철보다 막차가 늦다. 도곡동, 대치동 등 강남 지역에서 통학하는 서울대 학생들이 야간에 귀가할 시에도 이 노선이 유용하다. 목적지가 송파구라면 3호선 수서역에서 이 노선이 올림픽훼밀리타운이나 장지동 지역으로 간다. 단, 여의도 방향 막차는 장지동 기점에서는 서울 시내버스 중에서는 꽤 이른 편인 22:10에, 대치동에서도 22:55경에 막차가 끊긴다.
- 6515번과 더불어 신림역의 북쪽과 동쪽과 신대방삼거리 남쪽과 서울대입구역 동쪽 사이의 구간이 서로 일치한다. 단 남부순환로는 말할 것도 없고 신림로 - 보라매로 또한 나름 주요도로이지만 통행량에 비해 도로가 협소하고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전혀 없어서 RH는 물론 상당수 시간대에 이 구간에서 정체가 심하다.
- 뱅뱅사거리 - 서울대입구역 구간은 641번과 완전히 겹친다. 단,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 정류소 정차 여부가 다르다. 양재역 방향 운행 시 사당역에서 몇백 미터 동쪽에 위치한 서울메트로 삼거리에서는 사당역 쪽에서 방배역 방향으로의 좌회전이 불가하기에 방배래미안타워 아파트 앞까지 더 가서 유턴한 다음 우회전하는 식으로 운행하는데, 우회전 직전의 대항병원/연세사랑병원 정류소(22257)에 461번은 정차하지만 641번은 무정차 통과한다.
- 개편 전에는 출근 시간대에 4대가 신림역 - 여의도 간 예비 노선으로 운행한 적이 있다. 2023년 2월 신설된 맞춤버스 8561번이 과거의 이 노선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61번 | ||
<rowcolor=whit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25,207명 | - |
2014년 | 24,954명 | ▽ 253 |
2015년 | 24,240명 | ▽ 714 |
2016년 | 23,260명 | ▽ 980 |
2017년 | 22,456명 | ▽ 804 |
2018년 | 20,450명 | ▽ 2,006 |
2019년 | 20,590명 | △ 140 |
2020년 | 16,441명 | ▽ 4,149 |
2021년 | 16,255명 | ▽ 186 |
2022년 | 18,412명 | △ 2,157 |
2023년 | 19,535명 | △ 1,123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대방역[A]
- 서울 지하철 2호선: 방배역, 사당역[B], 낙성대역, 서울대입구역, 봉천역, 신림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가락시장역[C], 수서역, 일원역, 대치역, 남부터미널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사당역[B]
-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역, 여의나루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신대방삼거리역, 보라매역
- 수도권 전철 8호선: 장지역[8], 가락시장역[C]
-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 여의도역, 국회의사당역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신림역, 당곡역, 보라매역, 서울지방병무청역, 대방역[A], 샛강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서역, 개포동역, 한티역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수서역
- 일반 철도역: 수서역(S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