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5:23:20

서울 버스 240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0~3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0권역 040
1권역 100 101 102 103 104
105 107 109 110 111
120 121 130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50 151 152
160 162 163 171 172
173
2권역 201 202 240 241 242
260 261 262 270 271
272 273
3권역 301 302 303 320 333
340 341 342 343 345
350 360 361 37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4~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4권역 400 401 402 405 406
420 421 422 440 441
452 461 463 470 472
5권역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40 541
571
6권역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40 641 643
650 651 652 653 654
660 661 662 672 673
674
7권역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20 721 740 741
742 750 752 753 760
761 771 77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울동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서울02 서울04 서울05 서울07
서울08 서울09 서울1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자율주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자율주행
상암A21 새벽A160
}}}}}}}}} ||
파일:대원교통 240번 아폴로 1100 4273호.jpg 파일:240_4331.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사건·사고
4.1.1. 240번 버스 사건
4.2. 일평균 승차인원
5. 노선6. 연계 철도역

1. 개요

대원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4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240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신사역6번출구)
종점행 첫차 04:00[첫차] 기점행 첫차 05:20[첫차]
막차 22:50 막차 00:10
평일배차 10~16분 주말배차 14~20분
운수사명 대원교통 인가대수 22대(예비 1대)[3]
노선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 새우개마을입구 →/← 신내7단지.홈플러스 ←) - 봉화초등학교 - 신내우체국 - 신내7단지.홈플러스 - 신내8.9단지.서울의료원 - 동성프라자 - 능산지하차도 - 망우지구대 - 면목역 - 사가정역 - 면곡시장앞 - 중곡역앞 - 중곡1동주민센터 - 세종초등학교 - 광진광장 - 건대입구역 - 국민은행신자양지점 - 영동대교 - 청담동주민센터 -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 현대아파트 → 압구정역학동역 → 영동시장 → 신사역 6번 출구 → 신사중학교 → 현대아파트 → 이후 역순

3. 역사

  • 구 567-1번 도시형버스(사당역 - 신내동) 노선의 '압구정역 - 영동대교 - 신내동' 구간이 4212번과 겹친다는 이유로 삼성역으로 단축시키면서 문제가 발생했다.[4] 이때 대체노선으로 만든 것이 자양동과 압구정을 오갔던 순환노선인 2225번이었으나, 얼마 못 가 2415번으로 바뀌면서 다시 대체노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 이후 대체노선으로 만든 것이 한강을 두 번 건너는 노선으로 유명했던 342번이다. 하지만 342번은 저 멀리 상일동에서 출발하여 암사동, 천호대교, 건대입구를 거쳐 오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이 쪽 승객 입장에서는 여전히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고 더군다나 342번의 경우 한강을 두 번 건너는 비효율의 극치였기 때문에 결국 폐선되었다.(2006년 1월 12일) 결국 다시 대체 노선으로 만든 것이 240번이다.
  • 2005년 12월 16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당시에는 대원교통과 대원여객이 공동 배차로 운행했으며, 중랑차고지에서 바로 능산지하차도로 내려왔다. 또한 면목역, 면동초교 대신 면목천로를 경유했으며, 신사역에서 회차하지 않고 신반포18차아파트와 신동중을 경유해 회차했다. 2016, 2226, 2229번이 동시에 폐선되면서 운행차량을 쉽게 공급할 수 있었다.
  • 2006년 3월 17일에 겸재로, 면목천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6년 4월 13일에 면목로 대신 동1로 경유로 변경했으며, 잠원동 회차에서 신사역 회차로 단축되었다.
  • 이후 2007년을 전후로 하여 대원교통 단독 운행하게 되었다.
  • 2009년 6월 20일에 4212번이 중곡동으로 단축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면목로 경유노선을 새로 만들어 240A번으로 분리시켰고, 기존 면목천로 경유 노선은 240B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40B번의 배차간격이 30분 이상 벌어지자, 2009년 7월 12일에 240B의 '건대입구역 - 압구정동' 구간을 단축시킨 다음 지선버스로 전환했고 번호도 2225번으로 변경되었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버린 셈.
  • 2011년 8월 25일에 신사동고개 대신 학동역 경유로 변경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6월 10일부터 첫차와 두 번째 차량이 동시에 출발한다. 이유는 첫차의 수요가 많아서 혼잡도를 줄이기 위함이다.
  • 2019년 7월 13일을 기해 본래 23:00였던 기점 막차시각이 22:5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또한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95분에서 200분으로 5분 늘어나고,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4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3년 4월 10일을 기해 평일에 한해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05분으로 기존 대비 5분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01회에서 98회로 감회되었다. 토요일/공휴일의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이 유지되었으나, 운행계통 변경과 동시에 전 요일에 대해 상세배차 조정이 단행됨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각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7~15분/11~18분/11~18분에서 10~15분/13~18분/13~18분으로 늘어났다. 관련 공문
  • 2023년 6월 26일자로 대원교통이 262번의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는 메트로버스를 대신해 새로 공동배차를 하게 된 여파로, 본 노선의 차량 2대가 감차되어 262번에 투입되면서 평일의 경우 단축운행차량 2대가,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정상운행차량이 1대씩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기존 대비 5회씩 감회된 93회/78회/78회로 조정되었으며, 다만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일에 걸쳐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관련 공문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당시 남양주에서 중랑구나 청량리, 강변역으로 가는 광역버스, 지선버스 노선들만 가지고 있던 대원교통이 최초로 강남에 진출한 노선이다.
  • 신내7단지아파트홈플러스 및 중랑소방서에서는 왕복편 양방향 모두 정차하기 때문에 잘 보고 타면 된다. 다만, 현재는 행선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탈 때 주의하자.
  •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실질적 체감 배차는 러시아워(RH)대 15-20분이고 퇴근시간대에는 30분까지도 벌어질 때가 있다.
  • 중랑구의 도로 중 대형상용차로선 고난도인 면목로를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다.[5]
  • 노선 번호가 4#0 또는 #40인 서울 간선버스 중 540번과 함께 강남역을 미경유하는 둘 뿐인 노선이다. 이 두 노선을 제외한 4#0번 또는 #40번은 모든 노선이 강남역을 경유한다.

4.1. 사건·사고

4.1.1. 240번 버스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40번 버스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40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3,302명 -
2014년 12,780명 ▽ 522
2015년 13,312명 △ 532
2016년 13,175명 ▽ 137
2017년 13,130명 ▽ 45
2018년 12,673명 ▽ 457
2019년 12,401명 ▽ 272
2020년 9,678명 ▽ 2,723
2021년 9,455명 ▽ 223
2022년 10,634명 △ 1,179
2023년 10,905명 △ 271
2024년 10,861명 ▽ 44
※ 하차 인원 미포함

5.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40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영동시장
23116
학동역6번출구
23115
신사역3번출구
23110
학동역
23114
신사역6번출구
23109
강남을지병원
23113
신사중학교
23101
국민은행압구정종합금융센터
23106
광림교회.현대고등학교
23103
압구정역4번출구
23105
이상 회차 구간
현대아파트
23149
현대아파트
23148
압구정파출소
23157
압구정파출소
23156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23159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23158
청담초등학교앞
23182
청담초등학교
23165
청담동주민센터
23167
청담동주민센터
23166
영동대교북단
05220
영동대교북단
04189
노룬산시장앞
05221
노룬산시장앞
05219
국민은행신자양지점
05200
국민은행신자양지점
05215
뚝도변전소앞
05203
대동아파트앞
05214
광진문화예술회관
05204
건대로데오거리입구
05218
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
05232
건대입구역사거리.건대병원
05229
- 한아름공원
05228
천주교화양동성당
05234
어린이대공원역4번출구
05227
광진광장
05250
광진광장
05226
장안초등학교
05247
장안초등학교
05248
군자새마을금고.성동광진위센터
05245
군자새마을금고앞
05246
세종초교앞
05244
세종초등학교.세종사이버대학교앞
05243
군자삼거리
05242
군자삼거리
05241
능동우편취급국
05240
-
중앙농협군자지점
05239
중앙농협군자지점
05238
메리놀외방선교회
05104
메리놀외방선교회
05103
중곡1동주민센터입구
05105
중곡1동주민센터입구
05106
중곡1동사거리
05107
중곡1동사거리
05108
중마초등학교.중곡제일골목시장앞
05109
중마초등학교.중곡제일골목시장앞
05124
중곡역입구
05125
중곡역입구
05126
중곡3동주민센터앞
05127
중곡3동주민센터앞
05128
면곡시장앞
05130
면곡시장앞
05129
중곡초등학교
07185
중곡초등학교
07186
방약국앞
07183
방약국앞
07184
면남초등학교
07183
면남초등학교
07182
지하철7호선사가정역
07178
면목시장
07180
- 사가정역2번출구
07179
면목우체국.녹색병원
07176
면목우체국.녹색병원
07177
면동초등학교
07174
면동초등학교
07175
면목본동주민센터.면목정보도서관
07172
면목본동주민센터.면목정보도서관
07173
지하철7호선면목역
07171
지하철7호선면목역
07170
면목초등학교
07168
면목초등학교
07169
면목6거리
07154
-
상봉신협
07156
상봉신협
07157
상봉터미널
07308
상봉터미널
07309
망우역
07314
망우지구대
07135
- 하나은행망우동지점
07137
능산지하차도
07306
능산지하차도
07307
신내새한아파트앞
07305
신내초등학교
07304
동성프라자앞
07269
동성프라자앞
07270
신내동성3차아파트
07275
신내10단지아파트
07277
신내동성1.2차아파트
07276
신내9단지아파트
07278
신내9단지아파트.서울의료원
07280
신내8단지아파트.서울의료원
07279
중랑소방서
07347
중랑소방서
07354
신내7단지아파트홈플러스
07282
신내7단지아파트홈플러스
07281
신내6단지아파트
07367
신내6단지
07286
신내우체국.5단지두산대림아파트
07289
신내우체국.5단지두산대림아파트
07288
신내6단지아파트.옹기테마공원
07287
신내6단지아파트.옹기테마공원
07285
봉화초등학교
07283
봉화초등학교
07284
신내7단지아파트홈플러스
07281
-
중랑소방서
07354
-
- 새우개마을입구
07437
중랑공영차고지
07337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07550 · 07418
}}}}}} ||

6. 연계 철도역



[첫차] 첫차는 2대가 동시 출발한다.[첫차] [3] 토요일 / 공휴일 17대 운행[4] 이 노선(4418번)은 이후 3312번과 합쳐지면서 4318번이 되었다.[5] 면목6거리부터 해당하며 실제 면목로도 면목역부터 군자동까지 왕복 2차선이다.[6] 신내7단지아파트홈플러스 하차.[7] 중곡역입구 하차[A] 망우지구대 하차.[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