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09:23:22

서울 버스 340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0~3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0권역 040
1권역 100 101 102 103 104
105 107 109 110 111
120 121 130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50 151 152
160 162 163 171 172
173
2권역 201 202 240 241 242
260 261 262 270 271
272 273
3권역 301 302 303 320 333
340 341 342 343 345
350 360 361 37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4~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4권역 400 401 402 405 406
420 421 422 440 441
452 461 463 470 472
5권역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40 541
571
6권역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40 641 643
650 651 652 653 654
660 661 662 672 673
674
7권역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20 721 740 741
742 750 752 753 760
761 771 77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울동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서울02 서울04 서울05 서울07
서울08 서울09 서울1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자율주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자율주행
상암A21 새벽A160
}}}}}}}}} ||
파일:340_9576.png 파일:서울승합3409531.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노선6. 연계 철도역

1. 개요

서울승합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41.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40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
종점행 첫차 04:30 기점행 첫차 05:40
막차 23:10 막차 00:25
평일배차 6~8분 주말배차 토요일 7~10분 / 공휴일 8~11분
운수사명 서울승합 인가대수 35대(예비 2대)[1]
노선 강동공영차고지 - 강일리버파크6단지 - 강일초등학교 - 강동공영차고지 - 상일동역 - 고덕그라시움 - 고덕역 - 서울시동부기술교육원 - 강일중.선사고 - 신암중학교 - 암사역 - 천호역 - 강동구청역.영파여고 - 풍납동극동.쌍용아파트 -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 - 송파나루역.방이시장 - 석촌동한솔아파트 - 석촌고분역.올림픽병원 - 삼전역 - 잠실근린공원.성현교회 - 한티역 - 강남세브란스병원 - 뱅뱅사거리 → 래미안리더스원 → 롯데칠성 → 강남역 → 수협서초지점 → 뱅뱅사거리 → 이후 역순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노선 형태는 구 43번 도시형버스 노선의 '올림픽공원 - 뱅뱅사거리' 구간을 계승했다. 신설 당시에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종점이었다.
  • 고속터미널 일대의 교통체증 때문에 뱅뱅사거리로 단축되었다가 강남역까지 재연장되었다. 당시에는 이 노선의 차량이 부족했던 것도 노선 단축의 한 이유였다. 그러다가 361번에서 증차되어 운행 대수가 늘어난 것.
  • 2014년 8월, 석촌역 앞 싱크홀 발생으로 인해 강남역 방향은 '기존 구간 → 석촌역에서 우회전 → 석촌호수길 → 배명고사거리에서 우회전 → 기존 구간'으로, 강동차고지 방향은 '기존 구간 → 배명고사거리 좌회전 → 서울놀이마당 앞 삼거리(롯데월드 뒷길) 우회전 → 석촌호수사거리 우회전 → 석촌역사거리 좌회전 → 기존 구간'으로 우회했다. 보통 우회 구간에서는 무정차 통과하지만, 이 때는 같이 우회하던 350번[2], 3420번과 함께, 우회 구간의 정류장에도 모두 정차해 승하차가 가능했다. 덕분에 석촌호수 서호 사거리에서 좌회전하는 버스 노선이 잠시나마 2개 늘어났으며, 석촌호수길에서 휠씬 자주 버스를 볼 수 있었다. 한달 후 석촌지하차도 복구 작업이 완료되어 우회하던 세 노선 모두 원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 2018년 9월 10일에 1일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별로 각각 8회/7회/4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문
  • 2019년 1월 14일에 2대가 342번으로 넘어가 모든 요일에 1일 운행횟수가 10회씩 감회되었다. 이 조치에 따라 전반적인 배차간격도 기존보다 1분 가량 길어졌다. 관련 공문
  • 2023년 5월 1일부로 전일에 걸쳐 1대 존재하던 단축운행차량이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3회씩 증회된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문

4. 특징

  • 강동/송파구와 대치동을 빠르게 잇는 노선 중 하나이다. 도곡로를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라 학원 수업이 끝나는 밤 10시가 되면 송파 방향 학생들로 붐빈다. 대치동 구간중 래미안하이스턴아파트 정류장과 은마아파트 북문 정류장은 단독구간이었다.[4] 다만 대치동 학생들이 강남역으로 갈 때는 이 노선 대신 420번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그 외에도 회차구간의 래미안아파트와 롯데칠성 정류장에서 서초동 학생들의 대치동 학원 통학수요가 어느 정도 있는편이다. 빠른 속도로 대치동 중심까지 15분~20분 정도면 도착하기에 학생 및 학부모들의 호평이 상당하기 때문. 또한 학생수요 외에도 출·퇴근시간대 뱅뱅사거리 이용승객들도 상당하다.
  • 강남역에서는 8번 출구 앞 삼성타운 앞 정류장[5]에 정차한다. 퇴근 시간대에는 줄서서 기다릴 정도로 그럭저럭 수요가 있다.
  • 지하철 환승 정류장은 13개밖에 안 되지만, 지하철은 물론이고 버스조차 잘 다니지 않는 대중교통 음영지역을 훑고 다니는 덕분에 수요가 많다. 특히 강동구 구간 중 '상일동역 - 암사역' 구간(12정거장 거리)의 수송량이 상당한 편이다.[6] 삼전동 구간도 수요가 제법 많았으나 9호선이 중앙보훈병원역까지 연장되면서 꽤 줄었다. 이 탓에 9호선 연계 기능이 생기면서 승객이 늘어난 342번으로 차량이 빠져나가 어쩔 때는 배차간격이 10분까지 벌어진다. 10분 이상 벌어졌을 때는 퇴근시간대라도 대치동과 암사동에서 9호선 못지 않게 미어터지니 가급적 다른 노선을 이용하는 게 낫다.
  • 2014년 전국 시내버스 '승객수 8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하루 평균 25,168명 이용) 관련 기사
  • 배차 간격이 강남역까지는 잘 유지되는 편이지만 회차 이후에는 거의 10분이상 벌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탈 때 주의하자.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0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32,040명 -
2014년 31,547명 ▽ 493
2015년 30,465명 ▽ 1,082
2016년 29,841명 ▽ 624
2017년 28,918명 ▽ 923
2018년 29,027명 △ 109
2019년 27,286명 ▽ 1,741
2020년 21,473명 ▽ 5,813
2021년 21,729명 △ 256
2022년 23,969명 △ 2,240
2023년 24,771명 △ 802
2024년 24,916명 △ 145
※ 하차 인원 미포함

5.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0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롯데칠성
22115
래미안에스티지에스
22117
강남역8번출구
22339
래미안리더스원아파트
22123
수협서초지점
22131
뱅뱅사거리
22125
이상 회차 구간
뱅뱅사거리.뱅뱅프라자
23321
뱅뱅사거리.역삼동
23294
도곡1동주민센터.역삼럭키아파트
23314
역삼럭키아파트.역삼월드메르디앙아파트
23291
도곡1차아이파크.도곡중학교
23315
도곡1차아이파크.역삼청소년수련관
23312
도곡렉슬아파트.강남세브란스병원
23330
역삼중학교.강남세브란스병원
23311
한티역6번출구
23331
한티역7번출구
23310
한티역3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23222
한티역2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23265
- 도곡초등학교
23264
삼성아파트입구
23223
은마아파트입구사거리
23263
은마아파트
23235
래미안하이스턴.대치순복음교회
23246
우성아파트
23436
대치유수지체육공원
23435
아주중학교
24165
아주중학교
24156
아시아선수촌아파트삼거리.성현교회
24163
잠실근린공원.성현교회
24162
잠실우성4차현대아파트
24161
잠실우성4차현대아파트
24160
삼전역
24166
삼전역
24167
송파구민회관구의회
24169
송파구민회관구의회
24168
석촌고분역.올림픽병원
24179
석촌고분역.올림픽병원
24178
석촌역.잠실한솔아파트
24181
석촌역.잠실한솔아파트
24180
송파여성문화회관
24194
송파여성문화회관
24193
송파초등학교.송파동성당
24196
송파초등학교.송파동성당
24195
송파나루역.방이시장
24213
송파나루역.방이시장
24212
한성백제역4번출구
24211
방이중학교
24210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
24241
몽촌토성역.한성백제역
24396
올림픽회관
24231
잠실파크리오아파트상가.올림픽회관
24123
풍납동극동.쌍용아파트
24232
풍납동극동.쌍용아파트
24110
강동구청역농협중앙회
25313
풍납현대아파트
24468
강동구청역1번출구.영파여고
25164
영파여고.강동구청역
24109
천호역8번출구
25163
천호역.풍납시장
24101
천호역3번출구.현대백화점
25162
천호역2번출구.현대백화점
25161
서울현대요양병원
25160
서울현대요양병원
25159
천호동공원
25158
천호동공원
25157
암사역2번출구.암사종합시장
25156
암사역선사현대아파트
25155
삼성광나루아파트
25154
삼성광나루아파트
25153
신암중학교
25152
신암중학교
25151
강일중.선사고
25150
강일중.선사고
25149
암사3동주민센터프라이어팰리스
25148
암사3동주민센터(강동롯데캐슬퍼스트)
25147
명일초등학교
25146
명일초등학교
25145
동부기술교육원.장애인종합복지관
25144
동부기술교육원.장애인종합복지관
25143
배재중고등학교
25142
배재중고등학교
25141
고덕역
25140
고덕역
25139
고덕평생학습관.온조대왕체육관
25138
고덕평생학습관.온조대왕체육관
25137
고덕그라시움
25136
고덕그라시움
25135
상일동역8번출구
25134
상일동역1번출구
25133
상일동역6번출구.고덕아르테온
25132
상일동역4번출구.센트럴푸르지오
25131
해뜨는주유소
25106
해뜨는주유소
25105
고덕리엔파크1단지
25104
고덕리엔파크1단지
25103
강동공영차고지
25102
강동공영차고지
25101
강일초등학교
25326
강일초등학교
25327
강일고등학교.강일리버파크7단지
25322
강일고등학교.강일리버파크7단지
25323
강일리버파크8단지
25333
강일리버파크8단지
25332
강일리버파크6단지
25324
강일리버파크6단지
25317
강동공영차고지
25341
}}}}}}}}} ||

6.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27대 / 공휴일 26대 운행.[2] 350번은 엄마손백화점, 배명중.고교를 경유하였다.[3] 이외에는 110A번, 146번(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개장 전까지), 240번, 405번, 652번, 653번 등이 있다.[4] 2022년 5월 1일부터는 361번이 이 구간을 경유한다. 다만 두 노선의 수요처는 다르다.[5] 원래 340만 단독 정차하는 정류장이었지만, 2022년 N64번 신설로 타이틀은 빠지게 되었다. 다만 N64는 역삼세무서 방면으로 간다.[6]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이 짧은데도 불구하고, 콩나무시루 못지 않은 만원버스를 경험할 수 있다. 특히 암사역 직전까지 갈 때, 앞문이 열리지 않을 정도로 승객들이 꽉 차있는 광경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7] 다만 343번잠실역을 미경유한다.[A] 송파여성문화회관, 석촌동한솔아파트 하차 후 도보 이동[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