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7:08:05

서울 버스 N64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N13 N15 N16 N26 N30
N31 N37 N51 N61 N62
N64 N72 N73 N75 심야A21
}}}}}}}}} ||
파일:삼성여객_N64번_3133호.jpg
삼성여객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일평균 승차인원
5. 노선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개요

공항버스삼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0.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N64 노선도.svg
기점[1]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개화역광역환승센터) 종점[2]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염곡공영차고지)
종점
첫차 23:40 기점
첫차 23:40
막차 03:15 막차 03:15
배차간격 30~35분(1일 8회)
운수사명 공항버스 / 삼성여객 인가대수 8대[3]
노선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개화산역 - 신방화사거리 - 신방화역[4] - 마곡나루역 - 마곡역 - 발산역 - 우장산역 - 화곡역 - 까치산역 - 신정역.신정4동주민센터 - 목동역.목동오거리 -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 당산동진로아파트 -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로터리 ←) - 신길역 - 대방역 - 노량진수산시장 - 상도역 - 숭실대정문 - 총신대 - 남성역 - 이수역 - 내방역 - 서리풀터널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강남세브란스병원 - 개포우성아파트 - 능인선원앞 - 염곡공영차고지

3. 역사

  • 2022년 3월 15일, 기존 N65번에서 분리신설하는 안건이 나왔다.#
  • 위의 안건이 확정되어 2022년 4월 19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였다. 공항버스는 N65번에서 4대, 삼성여객은 405번에서 1대, 421번에서 3대 차출했다.
  • 2022년 8월 1일을 기해 공항버스, 삼성여객 각 업체 배차분의 기점 출발 첫막차시각이 00:00/01:20에서 23:40/01:10으로 앞당겨졌으며, 각 업체별 중간회차분들의 출발시각과 각 차량들의 회차지 출발시각들도 조정됐다. 이와 함께 최소/최대 배차간격도 30~35분으로 조정됐고, 인가상 왕복 운행거리도 70km에서 70.3km로 소폭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3년 12월 15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605번과, 405번에서 각 1씩 총 2대가 증차되었다.관련 공문
  • 영등포로터리 구조개선공사로 인하여 2024년 10월 25일부터 공사 종료 시까지 개화역 방면은 타임스퀘어를 경유하지 않고 영등포로(영등포로터리 - 영등포시장)로 우회한다. 관련 공문

4. 특징

  • 742번의 막차가 비교적 이른 편이라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심야에 강남역 일대에서 동작구, 영등포구 외에도 서남권의 외곽 끄트머리인 양천구/강서구 지역까지도 이전에 비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노선이다. 여기에 영등포역에서 다른 심야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강남역에서 사당동을 N61번보다 빠르게 잇는 것도 장점이다.
  • 이 노선 개통으로 462번의 단축 이후 사라졌던 영등포역강남역 간 심야시간 연계 수단이 다시 생겼다. 그러나 노량진역부터 강남역까지는 옛 462번과는 경로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단축 전 심야버스 기능을 온전히 이어받았다고 보긴 어렵다.
  • 르네상스호텔 사거리에서 좌회전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이는 야간에만 좌회전이 가능하므로 좌회전이 허용되는 시간대에만 운행하기 때문에 가능하고 중앙버스전용차로로 거의 운행하지 않고 대방역 - 현대아파트 정류장에서만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정차한다.
  • 노선 분리 전 N65번영등포역 ~ 범일운수종점 구간이나 새로 연장된 마포구, 성북구, 노원구 구간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승객은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정류장(ID 19-112, 19-821)에서 같이 분리 신설된 N51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 김포국제공항에서 06시대의 항공편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염곡동에서 02:45 출발 차량(오목교역은 03:55경 통과)을 타서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정류소에서 내린 뒤 건너편 정류소[5]에서 651번[6]으로 환승하면 탑승수속(5시) 직전(4시 45분경)에 도착할 수 있다. 염곡동에서 03:15에 출발하는 막차를 이용하면 06:30 이전에 출발하는 항공편들은 탑승이 사실상 불가능하니 꼭 첫 비행기를 이용해야 한다면 한 타임 앞차를 타야 한다.
  • 인천국제공항에 23시 이후 도착하는 항공편을 타고 입국하는 경우 평일 인천공항2터미널역 기준 23:32 출발하는 서울역행을 타지 못하면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목적지가 이 노선 연선이라면 23:50 디지털미디어시티행 막차를 타고 마곡나루역 5번 출구로 나와 이 노선으로 환승하면 심야 공항버스 비용보다 대략 10,000원 정도나 아낄 수 있다.
  • 공항버스 노선 중 6633번과 더불어 현금 승차가 가능한 노선이다. 애초에 심야버스는 예외로 두었기 때문이다.

4.1. 시간표

N64번 운행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횟수 양방향 동시 출발
1 23:40
2 00:10
3 00:40
4 01:10
5 01:45
6 02:15
7 02:45[7]
8 03:15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4번
<rowcolor=#ffc600>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비고
2022년 749명 - [8]
2023년 980명 △ 231
2024년 1,218명 △ 238
※ 하차 인원 미포함

5.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4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한국도로교통공단서울지부.코트라
22378
염곡동구룡사
22367
구룡사앞
22303
능인선원앞
23367
능인선원앞
23365
도곡교회.인바디빌딩.건너
23470
도곡교회.인바디빌딩
23468
개포파크빌리지
23338
개포우성아파트
23445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23459
-
구룡초교사거리
23339
개포래미안포레스트
23364
현대아파트경남아파트
23340
현대아파트
23363
우성캐릭터빌아파트
23326
개포한신.우성4차아파트
23325
강남세브란스병원
23469
도곡중학교.강남세브란스병원
23472
역삼2동주민센터.대림역삼아파트
23296
래미안그레이튼아파트
23297
역삼자이아파트
23298
역삼동성당.역삼자이아파트
23299
아가방빌딩.하나은행
23280
대한사회복지회
23305
역삼역4번출구
23283
역삼역.포스코타워역삼
23288
강남역12번출구
23284
강남역1번출구.역삼세무서
23287
강남역.강남역사거리
22167
강남역8번출구
22339
서초동진흥아파트
22168
롯데칠성
22114
서초동유원아파트
22169
서초동유원아파트
22104
지하철2호선교대역4출구
22170
지하철2호선교대역2
22103
교대역10번출구
22134
-
- 서초역1번출구
22136
대법원앞
22426
서리풀문화광장
22608
내방역
22391
내방역1번출구
22415
방배고개
22392
방배고개
22387
- 방배초등학교
22386
이수역
22393
이수역5번출구
22385
이수역10번출구
20185
이수역9번출구
20184
남성초등학교
20183
남성초등학교
20182
- 사당동대아신협앞
20252
남성역골목시장
20180
남성역골목시장
20181
남성역
20178
남성역
20179
사당중학교
20177
사당중학교
20176
- 총신대
20175
총신대
20174
사당5치안센터
20173
사당롯데캐슬골든포레.사당해그린
20213
사당롯데캐슬골든포레.사당해그린
20254
숭실대별관앞
20172
숭실대별관앞
20171
숭실대중문앞
20170
숭실대중문앞
20169
숭실대입구역
20166
숭실대입구역
20164
상도동중앙하이츠빌.상도전통시장
20163
상도동중앙하이츠빌.상도전통시장
20162
상도역
20161
상도역
20160
상도노빌리티아파트
20155
상도노빌리티아파트
20154
동작문화복지센터.동작보건소
20153
동작문화복지센터.동작보건소
20152
청화병원
20193
장성교회
20192
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앞
20191
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앞
20190
- 동작구청정문
20240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
20010
KT동작지사
20111
현대아파트.유한양행
20008
현대아파트
20007
대방역
19430
대방역
19015
신길1동새마을금고
19227
신길1동새마을금고
19226
신길역1번출구
19225
신길역1호선
19300
- 신길역5호선
19279
영등포로터리
19106
영등포역
19114
영등포시장
19105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19821
김안과병원
19119
김안과병원
19118
당산동진로아파트
19162
당산동진로아파트
19163
양남사거리
19165
영등포교보생명
19166
양평1동주민센터
19202
양평신동아아파트
19203
관악고등학교
19205
관악고등학교
19204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15168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15173
오목교역1번출구.대학빌딩
15167
오목교역8번출구.대학빌딩
15264
목동7단지.종로학원
15166
목동7단지
15265
- 목동역5번출구
15254
목동역.목동오거리
15285
목동역8번출구.목동오거리
15272
신서고교.영상고교입구
15286
신서고등학교.영상고등학교입구
15273
신정역(은행정).신정4동주민센터
15287
신정역(은행정).신정4동주민센터
15274
양강중학교
15288
-
KT강서지사
16187
KT강서지사
16186
까치산역2번출구
16191
까치산역4번출구
16192
화곡역4번출구
16206
화곡역5번출구
16205
화곡역1번출구
16207
화곡역8번출구
16208
대원시장
16209
대원시장
16210
화곡중고등학교
16212
화곡중고등학교
16211
우장산역1번출구
16213
우장산역4번출구
16214
명덕고등학교.서울스타병원
16215
명덕고등학교.서울스타병원
16216
발산역.우장산힐스테이트
16217
발산역.우장산힐스테이트
16218
- 발산역7번출구
16393
발산역9번출구
16429
이대서울병원
16388
마곡동로사거리
16400
마곡역교차로
16387
마곡역
16398
마곡역
16397
- 마곡나루역5번출구.서울식물원
16386
마곡나루역1번출구.웰튼병원
16399
마곡나루역1번출구
16396
마곡엠밸리7단지.712동
16702
마곡엠밸리6.7단지.마곡중학교
16395
신방화역4번출구.마곡중학교
16703
신방화역5번출구
16394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16305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16306
- 신방화사거리
16432
방화동동부센트레빌아파트
16284
방화동동부센트레빌아파트
16283
한서고등학교.방화사거리
16286
한서고등학교.방화사거리
16285
개화초교.개화산역2번출구
16288
개화산역2번출구
16287
개화119안전센터
16167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70
개화역광역환승센터
16434 · 16435
}}}}}} ||

6. 연계 철도역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다만 막차시간대에는 일부 역 한정으로 연계가 가능하다.[9]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9_icon.svg 개화역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출발/도착
왕복 경유
편도 경유
}}}}}}}}} ||

[1] 공항버스(N64강서) 출발점[2] 삼성여객(N64염곡) 출발점[3] 운수사별 각각 4대 운행[4] 개화 방향은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정류소에서 연계되며, 김포국제공항 내부 방면 버스를 탈 수 있는 환승 정류소이기도 하다(길을 건너야 함).[5] 두 정류소 간 거리는 100m 이내로 짧다. 비행기 타려는 승객은 짐이 많을 수밖에 없는데, 동선을 최소화해야 한다.[6] 첫차가 이미 출발한 이후이므로 대기시간은 10분 이내.[7] 염곡공영차고지 기준, 이 차를 타야 김포공항발 06시대 항공편 이용이 가능하다.[8] 개통일인 4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전철역 개장시간이 첫차 시간 보다 30분 일찍 열기 때문이다.[A] 염곡동 방면만 경유[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