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내방}}}(유중아트센터)역 | ||
장암 방면고속터미널 ← 2.2 ㎞ | 7호선 (735) | 석남 방면이 수 1.0 ㎞ → |
역명 표기 | ||
7호선 | 내방 (유중아트센터) Naebang (uJung Art Center) 內方 / 内方 / [ruby(内方, ruby=ネバン)] | |
주소 |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103 (방배동 874-16) | ||
소속 영업사업소 | ||
7호선 | 보라매영업사업소 내방역 | |
운영 기관 | ||
7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7호선 | 2000년 8월 1일 | |
역사 구조 | ||
지하 3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35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103 (방배동 874-16) 소재.2. 역 정보
역 안내도 |
이 곳에는 7호선 어린이대공원역부터 신대방삼거리역까지를 총괄하는 내방영업관리소가 위치해 있었으나, 2016년 1월 이수역으로 옮겨서 이수영업관리소로 변경되었다.
이 역에서 운행을 시작하는 첫차와 이 역까지 운행하는 막차가 양방향 모두 한 대씩 존재한다.[1] 내방역을 출발하면 옆에 유치선이 보인다. 그곳에서 주박. 근데 평일 하행 내방행은 이상하게 내방행 다음으로 온수행-석남행-온수행-신풍행-종료였다. 보통 막차는 종점이 먼 곳부터 끊기는 점을 감안하면 내방행이 맨 뒤에 있어야 할 것이다. 이후 시각표가 수정되어 석남행-온수행-온수행-신풍행-종료로 바뀌었으나 시각표 재개정으로 다시 석남행-내방행-온수행-신풍행이 되었다.[2]
4, 6, 7번 출구의 에스컬레이터 방향이 반대이다. 좌측통행으로 되어 있는데 처음 와 본 사람들은 많이 당황한다.
이 역에서 장암역까지의 7호선 역 수는 26개, 석남역까지의 7호선 역 수도 26개로 같아 딱 중간에 있다. 소요 시간 또한 55분으로 같다.
2.1. 역명
이 곳의 행정구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인데, 기존 서울 지하철 2호선에 방배역이 이미 있으므로, '방배동(方)의 안(內)에 있다'는 의미로 內자를 써서 내방역이라고 하였다. [3] 그리고 2021년 11월 유중아트센터라는 병기역명이 추가되었다. 참고로 방배역은 이 역 남쪽 800m에 있다.7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방배역이었다.
주민들은 방배중앙역, 신방배역, 서리풀역 등으로 변경하길 원하고 있으며, 전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김경영은 서리풀역으로 변경할 것을 추진한 바 있다. # 역명만 봤을 때 방배동인지 알 수 없다는 의견이 많으며, 내방동이라는 지명이 존재하는줄 아는 사람도 있다. 어떻게든 동네 지명을 역명으로 알리려는 경향이 강한 요즘 시대에 이런 식으로 작명했었다면 주민들의 민원 폭탄을 피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내 방(my room)역'으로 개그 소재가 되기도 한다.
3. 역 주변 정보
2번이나 3번 출구에서 일직선으로 걸어서(남성 기준) 10분이면 방배역으로 갈 수 있고, 피곤하거나 바쁘다면 3번 출구에서 버스로[4] 방배역에 5분 안에 도착할 수도 있다.역 주변은 주택지역이 밀집해 있으며, 상권형성은 '강남' 이라는 네임밸류에 비해 미진한 편이다. 역 동쪽 오르막길은 야산으로 막혀 있는데, 이 산을 뚫어 서초역으로 통하는 서리풀터널이 2019년 4월 22일 개통했다. 이 지역은 1970~1980년대 강남 개발 당시부터 국군정보사령부가 위치한 탓에 길이 뚝 끊기고 개발이 꽁꽁 묶여 있던 소위 '강남에 마지막 남은 금싸라기 땅'으로, 터널이 뚫려 댕강 잘린 서초대로가 연결되면서 거리상으로 가까운 내방역-서초역을 빙 돌아가야 했던 불편함이 크게 줄었다.
6번 출구 바로 앞에 반포세무서가 있다. 반포세무서라면서 반포동에서 살짝 벗어난 방배동에 위치한 것은 80년대초 신설 당시에는 이곳이 반포동에 속했기 때문. 이후 관할지역 세수 증가로 업무량이 늘어난 탓에 대대적으로 재건축, 2017년 6월 신청사를 완공했다.
악어아빠김줄스가 운영하는 파충류샵 '줄스'가 이 역 1번 출구 근방에 위치해 있지만 거리가 멀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3.1. 출구 정보
내방(유중아트센터)역 출구 정보 | |
1 | 방배1동 서리풀공원 방배서리풀이편한세상아파트 방배자이아파트 |
2 | 방배1치안센터 서울방일초등학교 방배서리풀이편한세상아파트 |
3 | 방배1동주민센터 |
4 | 방배KCC아파트 |
5 | 방배4치안센터 서울방배초등학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
6 | 반포세무서 방배4동주민센터 방배보건지소 방배본동주민센터 방면 |
7 | 방배동우체국 유중아트센터 |
8 | 서울서초청년회의소 방배중학교 방면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47f00><bgcolor=#747f00> 연도 || ||<bgcolor=#747f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17,507명 | [5] | ||
2001년 | 23,817명 | ||||
2002년 | 25,676명 | 비고 | |||
2003년 | 26,468명 | ||||
2004년 | 26,876명 | ||||
2005년 | 27,230명 | ||||
2006년 | 27,580명 | ||||
2007년 | 27,049명 | ||||
2008년 | 27,415명 | ||||
2009년 | 27,289명 | }}}}}}}}} | |||
2010년 | 27,780명 | ||||
2011년 | 28,331명 | ||||
2012년 | 28,180명 | ||||
2013년 | 29,008명 | ||||
2014년 | 29,239명 | ||||
2015년 | 28,998명 | ||||
2016년 | 28,618명 | ||||
2017년 | 28,764명 | ||||
2018년 | 28,658명 | ||||
2019년 | 28,315명 | ||||
2020년 | 22,806명 | ||||
2021년 | 23,239명 | ||||
2022년 | 25,181명 | ||||
2023년 | 27,040명 | ||||
2024년 | 27,364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비록 방배역이란 이름은 먼저 지어진 2호선 쪽이 선점했지만, 방배동 한복판에 있는 역은 여기이다. 동쪽의 서리풀공원을 제외하면 사방으로 시가지가 이어져 있어 역세권이 제법 넓으며, 카페골목 및 서래마을로 가는 관문이기도 해서 이용객이 적지 않다. 2023년 기준으로 27,040명이 이용했는데, 2002년 25,000명 선을 돌파한 이래로 꾸준하게 2만 명대 후반의 승객이 내방역을 찾고 있다.
수요의 가장 큰 변수는 2019년 개통한 서리풀터널이다. 이 터널이 뚫리면 곧바로 서초역-교대역-강남역을 통해 테헤란로로 이어지기 때문에, 자가용으로 훨씬 빠르게 강남 일대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쪽으로 노선이 바뀌는 버스 노선이 상당수 생길 것으로 예상되며(당장 서초07번이 서리풀터널의 서쪽 출입구에서 회차하기 때문에 개편 1순위다), 서초구 일대에서 강남역이 가지는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내방역의 이용객이 대폭 감소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테헤란로 방면으로 가고자 하는 버스 환승 승객 수요의 창출로 대폭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서리풀터널이 개통된 2019년 이후 2020년에 갑자기 코로나 19 대유행이 터지는 바람에 전체적인 지하철 이용객의 감소로 터널 개통의 영향을 아직까지는 숫자를 통해 제대로 확인하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2023년 이용객 수치가 19년도와 거의 차이 없이 아주 소폭 감소한 것을 보면 증가요인과 감소요인이 절묘하게 서로 상쇄된 것으로 추정된다.
5. 연계 버스
5.1. 방배로
대부분의 노선이 신반포역과 방배역을 연결하고 있다.5.2. 서초대로
040번, 742번, N64번 버스가 경유하며 6019번이 출발한다. 또한 M4455가 회차를 위해 편도로 경유한다.6. 승강장
7호선 승강장 |
7호선 역명판[6] |
내방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고속터미널 ↑ | |||
하 | ㅣ | ㅣ | 상 |
↓ 이수 |
상 | 서울 지하철 7호선 | 고속터미널·강남구청·상봉·장암 방면 |
하 | 이수·보라매·대림·석남 방면 |
7.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장암 - 도봉산 - 수락산 - 마들 - 노원 - 중계 - 하계 - 공릉 - 태릉입구 - 먹골 - 중화 - 면목 - 사가정 - 용마산 - 중곡 - 군자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 - 자양 - 청담 - 강남구청 - 학동 - 논현 - 반포 - 내방 - 이수 - 남성 - 숭실대입구 - 상도 - 장승배기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 - 신풍 - 대림 - 남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철산 - 광명사거리 - 천왕 - 온수 - 까치울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 - 신중동 - 부천시청 - 상동 - 삼산체육관 - 굴포천 - 부평구청 - 산곡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다만 석남 방향의 경우 평일에는 도봉산발 열차이고, 주말에는 장암발 열차이다.[2] 5호선도 이와 비슷하다. 방화행(하남검단산발)-왕십리행(마천발)-애오개행(하남검단산발)-왕십리행(마천발)-종료[3] 이러한 작명법은 주내역에서도 볼 수 있었다. 이쪽은 양주역으로 개명된 상태.[4] 07번, 15번, 4319번, 142번, 406번. 이 중 142번과 406은 방배아크로타워에서 하차하여 3분 정도 걸어야 한다.[5] 개통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6] 개정 전 역명판이며, 병기역명 제정과 동시에 서울남산체로 개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