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1:55:56

광명사거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속철도 정차역에 대한 내용은 광명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명사거리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역명 표기
7호선 광명사거리
Gwangmyeongsageori
光明사거리 / 光明十字路口 /
[ruby(光明, ruby=クァンミョン)]サゴリ
주소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 지하980 (광명동 158-211)
소속 영업사업소
7호선 보라매영업사업소 광명사거리역
운영 기관
7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7호선 2000년 2월 29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2면 3선 복합식 승강장 (횡단 가능)
노선거리표
시종착
천왕차량기지
인입선
천왕차량사업소
-.-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48.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 지하980 (광명동 158-211) 소재.

2. 역 정보

파일:40.광명사거리.jpg
역 안내도
파일:광명역시절.jpg
2003년 7월 14일 촬영된 광명역 시절의 승강장. 왼쪽에 작게 광명역이라고 쓰인 역명판을 볼 수 있으며, 사진 속 열차는 현재는 폐차된 1차분 구 716편성이다.

역명의 유래는 역사가 위치한 사거리의 이름이다. 개통 당시에는 광명동의 중심에 있어서 광명역이었으나[1] 일직동KTX 광명역이 생기면서 KTX 개통 3일 전인 2004년 3월 29일에 역명을 광명사거리역으로 변경하였다. 2015년에는 인근 재래시장인 광명전통시장으로 역명을 변경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2]

상대식 승강장단선 승강장이 함께 존재하는 구조이다. 다만 실제로는 선로 하나는 거의 출고용으로만 쓰이고 평소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개통 초기에는 출근시간대의 이용객을 위해서 광명사거리역에서 출발하는 전철이 있었기 때문에 천왕차량사업소에서의 출고선이 존재하며, 2009년 3월 6일부터 오전 7시 51분에 광명사거리역에서 출발하는 차편이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동년 7월부터는 오전 8시 정각 출발로 변경. 이 편성은 원래 광명시에 7호선이 개통되면서 운행하였으나, 몇 차례의 시간표 개정 끝에 결국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출구는 총 10개이며, 10번 출구는 크로앙스 지하와 연결되어 있다.

승강장이 좁은 탓에 양쪽 승강장 끝에 계단이 있다. 사거리 쪽 계단이 주로 사용된다. 반대쪽은 1번과 10번 출구가 있으나 잘 쓰이지 않는다. 장암 방향은 8-4에 사거리쪽 계단, 석남 방향은 1-1에 사거리쪽 계단이 있으니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7호선 건설계획 원안에는 시종착역으로 되어 있었으나 경인선 전철과의 연계를 위해 계획이 온수역까지 확장되었다.[3] 그래서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경기도 광명시에 들어갔다가 다시 서울특별시 구로구로 들어오는 특이한 형태가 되었다. 철산역과 더불어 경기도 광명시 소재 역이지만 서울기후동행카드와 정기권 서울전용요금제 이용이 가능하다.

3. 역 주변 정보

이 역 주변은 줄여서 광사라고 불리고 있다.

역 주변의 주요 시설은 광명전통시장, 롯데시네마(구 광명CGV), 광명새마을시장, 크로앙스 정도이지만, 7호선의 천왕차량사업소가 주변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천왕차량사업소의 행정구역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 특이하게 기지 남쪽으로 같은 동명의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과 부천시 옥길동이 있다. 이는 원래 같은 시흥군 소래읍 옥길리였다가 1983년 옥길리를 반으로 갈라서 부천시와 광명시에 분할 편입했기 때문이다.

얼핏 보기엔 역 주변이 썰렁하다고도 느낄 수도 있다. 광명4동의 광명한진타운아파트와 일대의 상가 등의 몇몇 건물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키 높은 건물이 2~3채를 제외하면 그다지 보이지 않다. 그러나 이것은 사거리 한 귀퉁이를 광명전통시장이 차지하고 있어서 발생하는 훼이크다. 물론 신시가지인 철산동이나 하안동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오래된 건물들 위주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 부족분을 광명시장 하나가 다 보정해 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하동에 크고 아름다운 이마트 광명소하점이 들어서면서 잠시 타격을 받나 싶었지만 가까운 천왕동에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여전히 성업 중이다.

광명시가 총력을 기울여서 유치한 경륜장인 광명스피돔이 주변 시설이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도보로 20분 이상을 언덕도 넘어서 걸어가야 한다. 화영운수(광명)의 11번 버스(차고행이 존재하니 주의), 범일운수(서울)의 6637번을 타면 경륜장 바로 앞에서 하차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한편 시흥교통(시흥)의 530번 버스도 지나가지만 배차간격이 길다.

여담으로, 광명새마을금고와 맥도날드 광명역지점은 광명역이 아니라 이 역 인근에 있다. 광명역 인근에는 새마을금고 KTX광명역지점이 또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7_icon.svg 광명사거리역 출구 정보
1,10번 출구
1철산동 방면
10광명전통시장
2~9번 출구
2광명4동
3광명남초등학교]]
경기항공고등학교
4광명5동
5천왕동 방면
6개명교
광명종합사회복지관
7광명2동, 개봉동 방면
8개봉동 방면
9광명초등학교
광명전통시장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47f00><bgcolor=#747f00> 연도 || 파일:Seoulmetro7_icon.svg ||<bgcolor=#747f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28,326명 [4]
2001년 39,271명
2002년 44,489명 비고
2003년 46,500명
2004년 47,174명
2005년 48,259명
2006년 49,149명
2007년 49,358명
2008년 49,650명
2009년 50,524명 }}}}}}}}}
2010년 52,869명
2011년 55,147명
2012년 56,605명
2013년 57,148명
2014년 56,373명
2015년 55,404명
2016년 54,776명
2017년 53,436명
2018년 52,917명
2019년 52,082명
2020년 38,754명
2021년 37,606명
2022년 39,144명
2023년 39,377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2022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이용객이 39,377명을 기록하여 7호선 전체 5위의 승하차객을 기록하는 역이다.

이 역은 개통 첫 해부터 떡잎이 예사롭지 않았다. 2000년에는 중간에 개통되어 1년 치 통계가 온전히 들어있지 않음에도 28,000명으로 순조롭게 시작하였고, 2002년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4만 명대 중반으로 올라서더니 그 뒤로도 한 해에 1,000명씩 서서히 승객 숫자가 올라가다 2009년에는 5만 명을 돌파했고, 2013년에 57,000명으로 최대치를 찍었다.

이렇게 승객이 많은 이유를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1. 광명시내에서 인구가 많은 지역에 있다. 광명동 총 인구만 10만 명으로, 약 8만 명인 철산동보다 훨씬 많다.
  2. 대체수단이 없다. 광명시 동부의 경우 가까운 안양천 교량 바로 건너편에 독산역(하안동), 금천구청역·석수역(소하동)이 있어 철산역 이용권역에서 상당한 인구가 이탈하는데 반해 광명동 지역에서는 뭘 하든 일단 광명사거리를 거치고 봐야 한다.
  3. 도로 교통 사정이 좋지 않다. 도로가 좁아 매우 막힌다.
  4. 전철로는 두 정거장인 가산디지털단지역 근방까지 차로 1시간이 걸릴 때도 있다. 그나마도 철산동의 경우 귀차니즘이나 여러 요인[5] 때문에 그 극악의 정체를 자랑하는 철산대교-수출의다리를 건너는 서울 시내버스 노선들을 상당히 많이 이용하지만 광명사거리 일대에서는 광명 버스 21 말고는 여길 건너는 버스노선도 거의 없다.
  5. 타 지역(시흥, 안산, 부천 일부)에서 전철을 타러 오는 사람도 많다. 경기도 시흥에서는 1번, 39번, 530번, 안산에서는 301번, 320번, 부천 옥길지구에서는 2번 등을 타고 광명사거리역으로 들어올 수 있다. 이처럼 타 지역에서의 수요도 많아 오로지 광명시민들만 이용하는 철산역에 비해 실질적인 역세권은 훨씬 넓다고 할 수 있다.

다만 2020년 경부터 광명동 일대에 재개발이 시작되면서 이용객이 줄고 있다. 이로 인해 2022년 이후에도 다른 역들과는 달리 코로나19가 종식되면서 이용객이 증가되는 경향이 별로 보이지 않고 있다. 그리고 재개발이 완료되고 입주가 시작되면 주민들의 이용이 다시 늘어나겠지만, 대신 그 때 쯤 되면 신안산선이 개통되기 때문에 안산시나 시흥시 목감동 일대의 이용객 중 상당수가 이탈될 것으로 예상된다.

5. 승강장

파일:attachment/51511.jpg
7호선 승강장 [6]
파일:역명판광명사거리역7.jpg
7호선 기둥 역명판
파일:천왕방면광사역명판.jpg
7호선 천왕방면 역명판
파일:철산방면광사역명판.jpg
7호선 철산방면 역명판

승강장은 2면 3선의 복합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철산
2 1 3
천왕 기지
1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대림·강남구청·장암 방면
2 온수·부천종합운동장·부천시청·석남 방면
3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3호선 수서역, 5호선 강동역, 6호선 새절역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7]

상행 승강장 옆에는 천왕차량사업소에서 오는 선로 하나가 있는데 광명사거리발 열차가 사라지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8]

승강장 모양 때문에 상행 승강장에서는 분명 섬식인데 반대편에 선로가 더 있는 이상한 장면을 볼 수 있다.

6. 기타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광명시 CI_White.svg 광명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철도 파일:KTX BI.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inansanLine_icon.svg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광명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광명사거리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철산역 · 파일:SinansanLine_icon.svg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학온역
도로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5.svg서해안(광명역IC · 일직JC · 소하JC) · 파일:Expressway_kor_17.svg평택파주(남광명JC · 가학IC · 광명JC · 성채IC · 소하IC · 소하JC) · 파일:Expressway_kor_110.svg제2경인(광명IC · 일직JC)
고속화도로 파일:Cityroad_kor_94m.svg강남순환로 · 파일:Cityroad_kor_94m.svg서부간선도로
국도 [[1번 국도|
1
]](서부간선도로 · 안양천로 · 금하로)
시내도로 광명시 도로 목록
버스 고속·시외버스 광명종합터미널
시내버스 광명시 버스 목록
항공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 ||
경기도 내 교통 틀 둘러보기



[1] 이곳에서 광명역 시절 역사 및 승강장 사진을 볼 수 있다.[2] "광명사거리역’⟶‘광명전통시장역’으로 명칭변경 추진", 2015.08.20., 뉴스인광명[3] 「광명·온수역 연결전철 건설」, 1991-04-16, 한겨레[4] 개통일인 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5] 구로-가산디지털단지 내에서 전철역 연계가 별로인 지역이 상당히 많다. 디지털1단지는 전철 타느니 밀려도 서울 버스 5536 이용이 나은 수준이다.[6] 도착표시기 LCD 교체 전의 모습이다.[7] 단, 새절역의 단선 승강장 역명판은 갈매기형 역명판이 아니다.[8] 다만 이후에 광명사거리역 이용객이 늘면서 광명사거리발 열차가 부활할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