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양천로 安養川路 | Anyangcheon-ro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서부간선도로 (남) | 올림픽대로 (서/동) → | }}} | ||
← 목포 방면 금하로 | 1번 국도 | 판문점 방면 → 서부간선도로 | |||
노선 번호 | |||||
1번 국도[1] 5105번 서울특별시도 (관리용)[2] | |||||
도로명 번호 | |||||
3000010 | |||||
중국어 · 일본어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어 | 安养川路 | |||
일본어 | アニャンチョン路 | }}}}}}}}} | |||
기점 |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시흥대교교차로 | |||||
종점 | |||||
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 염창JC | |||||
연장 | |||||
14.428 km | |||||
관리 | |||||
경기도 서울특별시 남부도로사업소 | 시흥대교교차로 - 광명고가차도 | ||||
서울특별시 강서도로사업소 | 광명고가차도 - 염창JC | ||||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목일중학교교차로 - 오목교서단 | ||||
6차로 | 시흥대교교차로 - 목일중학교교차로 오목교서단 - 염창JC | ||||
주요 경유지 | |||||
시흥대교 ↔ 목동교 ↔ 염창IC |
安養川路 / Anyangcheon-ro
1. 개요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을 잇는 도로. 안양천 서안을 지난다. 연선지역에서의 이칭은 (안양천)뚝방길.[3] 이름과는 달리 안양시 영역은 전혀 지나지 않는다.2. 구간
배경색이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
3. 특징
동쪽에 안양천이 따라 흐르며, 정체가 심한 서부간선도로의 대체도로로도 이용된다.안양천로는 과거 곳곳마다 신호와 다리 정체가 도사리고 있는데다가 철산동 우성아파트~고척교 구간이 끊어져있었던 탓에 그냥 다리와 다리 사이를 연결해주는 배후도로 취급을 받았지만, 1998년 광명고가교 개통 후 광명지하차도(2000), 철산지하차도(2004), 하안지하차도(2011), 소하IC(2016), 금하지하차도[4](2019)가 차례로 개통되면서 본격적으로 서부간선도로의 대체도로로 기능하게 되었다. 2023년 월드컵대교 직결 램프가 개통되면서 한강을 건너 내부순환로를 이용하는 것도 수월해졌다.[5]
남쪽으로 기아대교사거리까지 모두 안양천로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시흥대교사거리 이남[6]으로는 안양천로가 아니라 서부간선도로[7]다. 해당 구간은 강남순환로의 일부이기도 하다.
서부간선도로는 북쪽으로 성산대교를 통해 도심으로, 남쪽으로는 서해안고속도로와 직결되는 특성이 있어 항시 교통량이 많은데, 안양천로 역시 연계 도로의 개통으로 남쪽으로 소하IC를 통해 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 북쪽으로는 월드컵대교와 연계되어 내부순환로를 이용할 수 있다. 서부간선도로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와 평택파주고속도로 양자 택일이 가능하지만 안양천로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 진입이 불가능[8]하기 때문에, 금천IC로 넘어갈 수 있는 마지막 교차로인 철산대교 이남의 안양천로는 서부간선도로에 비하면 교통량이 적은 편이다. 철산교에서 진입하지 못한 경우 평택파주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동시흥JC를 경유하여 목감IC에서 다시 합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로는 서부간선도로와 달리 평택파주고속도로의 통행료가 부과되는 것이 단점이다.
광명 시내 구간 통과는 지하차도가 많아 흐름이 수월하나 목동 구간에서 주로 신호에 의한 정체도 있고, 오금교에서 오목교까지는 편도 2차선이기 때문에 시간이 제법 걸린다. 서부간선도로는 차량의 병목현상때문에 정체가 있는 반면 안양천로는 정체의 원인이 대개 신호이기 때문에 신호만 지나면 일시적으로나마 속도를 낼 수 있다. 하지만 러시아워에는 소요시간이 비슷비슷한 경우가 많다.
안양천에 있는 거의 대부분의 교량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남부순환로의 교량인 안양교와 양평로의 교량인 양평교를 제외하고는 진출이 가능하다. 단 모든 방향으로 다 진출이 가능한 것은 아니니 확인 후 이용해야한다. 양평교는 목동동로를 경유해서 이용 자체는 가능한데, 목동교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편리하다. 오목교와 신정교는 좌회전이 되지 않아 진출, 진입 모두 꽤 불편하다.
광명시 구간은 군데군데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1동의 월경지가 있어 행정구역 경계가 계속 뒤바뀐다.
2021년 11월 17일부터 안양천로 제한속도가 광명시 구간인 '시흥대교사거리 - 광명고가차도'가 50km/h로 하향되었다가, 2022년 12월 부터 서울특별시 구간을 포함한 전 구간의 제한속도가 다시 60km/h로 상향되었다.
4. 대중교통
4.1. 철도 및 도시철도
서울 지하철 9호선이 신목동역을 전후하여 이 도로를 따라간다. 또한 신목동역 1~3번 출구가 안양천로에 놓여져 있으나, 정작 신목동역은 목동중앙로 주소를 받았다.4.2. 버스
전 구간을 일주하는 버스는 없으며, 그나마 다니는 노선도 이 도로를 주로 다니는 것이 아닌 주거지에서 안양천을 건너기 위해 짧은 구간을 이용하거나 회차/차고지 입출고를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나마 광명 200번 버스가 광명고가차도를 거쳐 이 도로에서 긴 구간을 이용한다. 광명 27번 버스도 이 도로를 경유하나, 정차하는 정류소가 없다.- 서울 버스 150 (시흥대교사거리 - 안천초등학교삼거리)
- 서울 버스 504 (철산교사거리 - 광명대교사거리)
- 서울 버스 571 (목마공원교차로 → 열병합발전소앞교차로 - 양화교)
- 서울 버스 674 (목마공원교차로 → 열병합발전소앞교차로, 신목동역 - 양화교)
- 서울 버스 5535 (안천초등학교삼거리 - 금천교교차로)
- 서울 버스 5630 (안천초등학교삼거리 - 금천교교차로)
- 서울 버스 6616 (광성초교입구삼거리 - 광명대교사거리, 우성아파트입구삼거리 - 광명고가차도하부)
- 서울 버스 6620[9]
- 서울 버스 6625 (목일중학교앞교차로 - 오목교)
- 서울 버스 6627 (목마공원교차로 → 열병합발전소앞교차로 - 양화교교차로)
- 서울 버스 6637 (목마공원교차로 → 목동교)
- 서울 버스 6638 (광성초교입구삼거리 - 광명대교사거리, 우성아파트입구삼거리 - 광명고가차도하부)
- 서울 버스 금천02 (시흥대교사거리 - 안천초등학교삼거리 → 하안남초교삼거리)
- 서울 버스 금천05 (하안남초교삼거리 - 금천교교차)
- 광명 버스 11-1 (우성아파트입구삼거리 - 동양미래대학교앞교차로)
- 광명 버스 11-2 (우성아파트입구삼거리 - 동양미래대학교앞교차로)
- 광명 버스 200 (우성아파트입구삼거리 - 오금교사거리)
- 안양 버스 3 (광성초교입구삼거리 → 철산교사거리)
- 서울 버스 6018 (목마공원교차로 → 열병합발전소앞교차로 - 양화교교차로)
5. 주요 시설
- 세풍운수 본사: 경기도 광명시 안양천로 477
- 고척 스카이돔: 서울특별시 구로구 안양천로 545[10]
- 양천해누리체육공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711
- 신목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739
- 목동재난체험관: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909
- 목동종합운동장: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939
- 서울경인초등학교: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09
- 양정중학교·양정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39
- 이대목동병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 양천자원회수시설: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121
- 목동119안전센터: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139
6. 지선
- 안양천로502번길
광명고가차도 하부의 짧은 길이지만, 안양천로 목동 방향에서 남부순환로 개화 방향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 철산리버빌주공아파트: 경기도 광명시 안양천로502번길 12
- 광명테크노타운: 경기도 광명시 안양천로502번길 15
- 안양천로537길
특이하게도 1길이나 3길부터 시작하지 않고, 목감천을 건넌 직후 위치의 기초번호인 537번부터 차례대로 길 번호를 매겼다. 안양천로에서 경인로 인천 방향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 안양천로537가길
- 안양천로537나길
- 안양천로537다길
- 안양천로539길
[1] 시흥대교교차로 ~ 안양천로[2] 광명고가차도 ~ 염창JC[3] 광명시와 서울 구로, 양천구같은 서남권 지역에서 통하는 별명이다.[4] 이 지하차도 개통으로 안양천로와 서부간선도로의 차들이 시흥대교사거리의 신호를 받지 않고 한번에 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 강남순환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5] 직결 램프 개통 전까지는 성산대교를 이용해야 했다.[6] 과거에는 1차선에 불과한 뚝방길이었으나 2016년에 확장되었다.[7] 2019년 12월 금하지하차도 개통에 맞추어 지정.[8] 소하IC, 소하JC를 건설하던 시절 뚝방길-서해안고속도로 직결 램프 건설도 고려된 적이 있었지만, 이는 당시 착공을 앞두고 있던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구간의 남쪽 종점이 안양천 서쪽 뚝방길에 만들어질 경우 지하도로-서해안고속도로 간 연계를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지하도로가 금천교 부근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안이 확정되면서 해당 램프 건설은 무산되었다.[9] 당산역 방향: 신목동역 → 열병합발전소앞교차로, 양천공영차고지 방향: 목마공원교차로 → 열병합발전소앞교차로, 신목동역교차로 → 양화교 U턴 → 신목동역(ID 15-144) 정차 → 신목동역교차로[10] 고척 스카이돔 자체는 경인로 주소를 부여받았으나, 외야매표소 등 일부 부속시설이 이 주소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