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083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F08300> 광명1~7동 | 광명동 | 옥길동(6동 관할) | |
철산1~4동 | 시청 철산동 | ||
하안1~4동 | 하안동 | ||
소하1, 2동 | 소하동 | ||
일직동 | 일직동 | ||
학온동 | 가학동 | 노온사동 | }}}}}}}}} |
광명시의 법정동 하안동 下安洞 | Haan-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행정표준코드 | 4121010300 |
관할 행정동 | 하안1~4동 |
하위 행정구역 | 130통 814반 |
면적 | 5.35㎢ |
인구 | 70,246명[A] |
인구밀도 | 13,130.09명/㎢ |
[clearfix]
1. 개요
광명시의 법정동. 하평리와 안현리에서 유래되어 하안이라는 명칭이 만들어졌다. 하평리(벌말)는 지금의 하안사거리 일대, 안현리는 안터저수지 인근 단독필지. 율일리는 밤일마을[2] 일대. 하평리와 안현리, 율일리가 1911년에 통합되어 하안리가 되었다.서울시 도시계획 편입 이후 1989년 대단위 아파트 개발 이전까지의 하안동은 판자촌, 논밭이 어지럽게 혼재되었던 동네였다. 주공단지 대개발 이전의 하안동은 철산동과 소하동 사이에 끼인 오지라서 서울시내전화를 이용하려면 동사무소(주민센터) 아니고서는 옆동네 철산동이나 안양천 건너 서울로 가야했던 등 인프라가 빈약했다고 전해진다.기사 안양천의 하안동 콘크리트 인도교는 나무다리라는 열악한 인프라를 보다 못한 서울시에서 1984년에 지어준 것이라고 한다.
시 승격 당시만 해도 행정동 하안동(현 하안1동의 전신)만 존재했으나 주공아파트 대개발로 지금과 같이 분동(하안2~4동 분리 신설)되었다.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개발되었다. 하안지구 개발 계획 문서
신시가지인데도 불구하고 도시철도에서는 소외되어 있어서 하안사거리 혹은 우체국사거리 지하철역 설치 떡밥이 하안동의 만년 떡밥이다(...). 하안동 주민의 편의를 위해 대통령 공약으로 독산역이 지어졌지만 안양천을 건너야한다는 점에서 하안동 한복판에 역이 있는 경우와 비교가 되지 않는다(...). 지금은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연장, 코레일의 구로 차량기지 노온사동 이전 움직임, 광명-목동 경전철 계획 연장 등에 기대고 있는 상황.
2. 산하 행정동
2.1. 하안1동 (과거 속칭: 하안본동)
광명시의 행정동 하안1동 下安一洞 | Haan 1(il)-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46 | ||
관할 법정동 | 하안동 | ||
하위 행정구역 | 46통 251반 | ||
면적 | 3.95㎢ | ||
인구 | 25,446명[A] | ||
인구밀도 | 6,469.37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명시 을 | |
| 김남희 (초선) | ||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 유종상 (초선) | ||
광명시의원 | 다 선거구 | |||
| 설진서 (초선) | ||
| 이지석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오리로 747 (하안동 684-2) | ||
하안1동 행정복지센터 |
하안주공 대단지 개발 이전에는 하안동 전역을 관할했던 행정동으로 지금은 하안주공 5단지, 하안현대, 이편한세상센트레빌, 두산위브트레지움, 밤일마을, 안현 단독필지 등을 관할한다.
철망산 안현고개(현대 도시구획으로는 철망산로)를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2.1.1. 안현고개 이북 지역 - 철산동 생활권
원래 자연경계상 철산리로, 1914년 일제강점기 시흥군 강제통합과정에서 하안리로 편입되었으나, 그딴거 하나도 안 중요한 현지민에게는 그냥 철산리. 이후 시흥군 광명출장소 시절부터 철산주택지구에 포함되어 사실상 철산리의 일부로서 같이 개발되었다. 보통 구 하안본주공1, 2단지 지역으로 불린다. 공식 명칭은 본문과 같았지만, 관례상 하안본주공 1단지는 철산주공 1단지, 하안본주공 2단지는 옆의 철산주공 2단지와 묶여 철산주공 2단지로 불리기도 했다. 그래서 소생활권의 기준이 되는 초/중학교[4]를 철산동과 공유한다.하안본주공1단지(현 e편한세상센트레빌)가 안현초등학교[5]로, 하안본주공2 단지(현 두산위브단지) 는 학교는 하일초등학교/하안중학교가 아닌 철산초등학교/철산중학교쪽으로 배정된다. 게다가 전화번호조차 재건축 이전에는 철산동쪽의 268x/261x번대(개봉전화국)를 많이 썼지만[6] 재건축 이후에는 하안동쪽의 89x번대로 많이 넘어갔다. 그런데 재건축 이전에도 행정구역상 하안동이다보니 야금야금 금천전화국 관할로 들어간 가구들도 적지 않았다.
'철산동' 우체국과 1994년까지 철산3동 동사무소이었던 광명시립 한빛어린이집도 법정동 하안동 소속이지만 행정동으로는 미묘하게 철산3동으로 들어가 있다.
곤란하게도 서울시 관할인 미혼근로여성 전용 임대아파트 단지[7]와 서울시립청소년복지관이 이곳에 있었다. 2017년 12월 31일에는 서울시립 근로청소년복지관은 운동장만 남기고 폐쇄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운동장은 관리책임이 금천구시설관리공단, 그리고 지금은 광명시로 이관된 상태다. 그 운동장도 2020년 11월 1일부로 폐쇄되었다가 2021년 3월에 잠정 재개장했다가 한국자산관리공사 경기지사로 관리책임이 이관되면서 같은해 7월에 다시 폐쇄되었다가 광명시로 관리책임이 넘어가면서 재개장되었다. 서울시 공문을 검색해보면 2013년경부터 해당 시설의 폐쇄를 추진해온 것으로 보인다. 해당 서울시 산하 시설물은 광명지역사회 입장에서는 일종의 눈엣가시처럼 여겨지는지[8]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대부분의 후보들이 해당 시설 3만평 부지를 광명시가 인수하도록 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우는 중. 일단은 해당 부지가 서울시 시유지에서 기재부(및 자산공사) 관할 국유지로 전환되었다.
대개 북광명이라 지칭되는 곳이 이곳까지다.
2.1.2. 안현고개 이남 지역 - 내추럴 본 하안동
과거 안현리(安峴里), 가림리(佳林里), 율일리(栗日里)였던 지역. 고개를 살짝 넘어가는 순간 '하안1동 주민센터'가 나온다. 광명실내체육관과 하안주공 5단지가 있다. 지금의 5단지 일대는 자연촌락인 가림마을(갠이불)[9]이 있던 곳으로 가림터널, 가림초등학교, 가림중학교에 흔적이 남아있다. 지금도 남아있는 자연촌락인 밤일마을(옛 율일리)이 이곳에 있는데 예전부터 교외 음식점들이 몰려있는 곳으로 알려져있으며, 최근에는 아예 특화단지로 밀고 있다. 하안3동에 속하는 것이 자연스러워보이는 밤일마을이 하안1동에 속한 것은 이 하안1동이 하안본동이었던 역사와 관련 있는데, 2~4동이 떨어져나간 잔챙이라는 것.광명실내체육관 뒤편에 있는 가림산은 예전에는 제6군관구사령부 전우회가 관리하는 사유지라서 일반인의 등산은 통제되어 있었지만, 지금은 시민에게 등산로가 개방된 상태다.
금당마을은 하안3동에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 하안1동에 있다. 보건소와 천주교 수원교구 하안성당 인근에 있으며 '금댕'이라고도 한다. [10]
타워형 건물의 중고자동차매매센터는 현재 철거되어 광명G타워로 개축되고 있다.
[clearfix]
2.2. 하안2동
광명시의 행정동 하안2동 下安二洞 | Haan 2(i)-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47 | ||
관할 법정동 | 하안동 | ||
하위 행정구역 | 23통 179반 | ||
면적 | 0.51㎢ | ||
인구 | 13,458명[A] | ||
인구밀도 | 26,643.14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명시 을 | |
| 김남희 (초선) | ||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 유종상 (초선) | ||
광명시의원 | 다 선거구 | |||
| 설진서 (초선) | ||
| 이지석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범안로 1041 (하안동 34-10) | ||
하안2동 행정복지센터 |
하안주공아파트 1~4단지 일대의 지역으로 구성된 행정동. 1990년 5월에 하안본동(현 하안1동)에서 분동되었다. 하안도서관[12]도 이곳에 있다. 철산 3동과 가까워 철산 3동 주민들도 자주 드나드는 곳이다.
시공 시점 차이 때문인지, 하안4동쪽 아파트와 달리 이쪽 아파트들은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다.
[clearfix]
2.3. 하안3동
광명시의 행정동 하안3동 下安三洞 | Haan 3(sam)-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48 | ||
관할 법정동 | 하안동 | ||
하위 행정구역 | 40통 244반 | ||
면적 | 0.53㎢ | ||
인구 | 19,332명[A] | ||
인구밀도 | 36,998.11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명시 을 | |
| 김남희 (초선) | ||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 유종상 (초선) | ||
광명시의원 | 다 선거구 | |||
| 설진서 (초선) | ||
| 이지석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금당로 28 (하안동 260-1) | ||
하안3동 행정복지센터 |
하안주공 6, 7, 8, 12, 13단지로 구성된 지역으로 뉴코아팩토리아울렛 광명점, 가림초, 하안남초와 가림중 등이 있다. 1990년 12월에 하안2동에서 분동되었다. 하안주공13단지와 같은 블럭 내에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인 독산주공14단지가 있으며(...) 서울안천초등학교와 안천중학교 등이 소재하고 있다. 참고로 하안주공 13단지는 국가지정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다. 하안주공 12단지 옆 근린공원은 광명시민들이 자주 찾는 곳이지만 정작 이곳은 서울시 관할이다(...). 그곳에 설치된 경기장은 금천구청 소유로, 예약권이 금천구민에게 우선권이 주어져 있다. [14] 서울과 워낙 가까운 광명시이지만, 하안 3동 주민들은 금천구와 물리적으로 가깝기도 하고 하안사거리 덕분에 광명 안쪽으로 갈 일이 적어서 자신이 광명 시민인지, 금천 구민인지 항상 헷갈린다.[15]
[clearfix]
2.4. 하안4동
광명시의 행정동 하안4동 下安四洞 | Haan 4(sa)-dong | |||
<colbgcolor=#f083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명시 | ||
행정표준코드 | 3900049 | ||
관할 법정동 | 하안동 | ||
하위 행정구역 | 21통 140반 | ||
면적 | 0.38㎢ | ||
인구 | 12,010명[A] | ||
인구밀도 | 32,102.63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명시 을 | |
| 김남희 (초선) | ||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 유종상 (초선) | ||
광명시의원 | 다 선거구 | |||
| 설진서 (초선) | ||
| 이지석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안현로 54 (하안동 30-2) | ||
하안4동 행정복지센터 |
하안주공아파트 9~11단지로만 구성된 지역으로, 1995년 하안2동에서 분리되었다. 광명시 중에서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행정동. 예전에는 벌말 또는 하평리[17]라 불렸었다. 그런데 하안4동에 있는 연서초등학교가 저 멀리 철산2동의 옛 지명인 연서(모세)라는 이름을 써먹고 있다(...).
하안배수펌프장 옆에 '서울광명운전전문학원'이라는 운전학원이 있는데, 경기도 소재인데도 정작 면허증 발급은 서울지방경찰청 관할이다. 실제로 발급지역으로 '서울'이 찍힌 (뭔가 더 세련돼 보이는) 운전면허를 받기 위해 광명이 아닌 경기도 타지의 사람들이 이 학원을 많이 찾기도 한다. 애초에 여긴 광명시를 제외하면 대부분 서울 영등포 권역 거주자들이 타겟이라 그런 것이다. 그래서 '광명'보다 '서울'이 앞에 붙어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clearfix]
3. 교통
3.1. 버스
하안동 지역에 운행하는 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운행 버스 | |
간선버스 | 503ㆍ504 |
지선버스 | 5535ㆍ5536ㆍ5630ㆍ5634ㆍ5714 |
일반시내버스 | 2ㆍ3ㆍ11-2ㆍ12ㆍ17ㆍ22ㆍ27ㆍ75ㆍ77ㆍ101 ㆍ102 |
마을버스 | 금천02ㆍ금천05ㆍ99 |
공항버스 | 6014 |
3.2. 전철
하안동 안현사거리 이남 지역에서는 수도권 전철 1호선 독산역[18]이 안양천 건너편에 있어 금천교를 건너서 도보로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하안동 안현사거리 이북 지역에서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을 이용하기 편하다.4. 출신 인물
[A]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수업체인 범일운수가 이 지명에서 유래하였다.[A] [4] 다만 광명시내 중학교 남녀공학화 이전에는 철산3동 철산주공12단지까지가 남학생의 하안중학교 배정구역이었다.[5] 소재지는 하안동이지만, 심지어 다른 철산동 학교보다 철산동 중심지에 가깝다 보니 해당 학부모가 아닌이상 철산동 학교라고 생각는 경우가 태반이다.[6] 1981년에 개봉전화국 관할구역으로 편입되었다. 출처[7] 원래는 서울시가 지금의 철산동과 하안동 일대에 구로공단 근로자를 위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려고 했으나 서울 편입이 무산되는 바람에 미혼근로여성용 소규모 단지로 축소된 것이다. 2016년 현재는 이미 퇴거가 이루어져서 폐쇄된 상태다.[8] 그럴수밖에 없는 게 이 아파트 입주규정이 좀 빡빡하여 외출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보니 첫째로 장사가 안되고, 둘째로 같은 지역 내에서 교류가 없으니 일체감이나 동질감이 전혀, 눈꼽만큼도 형성이 안된다.[9] 1996년에 세워진 망향비는 1단지 공원에서 실내체육관 가는 길목(오리로 도로변)에 있다.[10] 실제로 이 성당 앞에 있는 사거리가 금댕이 사거리였다. 현재는 금당사거리는 이보다 더 동쪽에 있으며, 하안3동에 있다.[A] [12] 1993년 개관. 당시에는 시립도서관이었다. 당연히 오래된 문서도 이곳에 주로 있으니 참고바람[A] [14] 근린공원은 금천구보다 이 하안동에 더 가깝다. 하안 주공 12단지 1212, 3, 4동 주민은 걸어서 20초 안에 광명에서 서울 소재의 공원에 가는 것이다!.[15] 여담으로 수락리버시티 또한 1,2단지는 의정부시지만 3,4단지는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속해 있다. 서울에서 10년이 되지 않은 준신축 아파트를 3억원대에 매매할 수 있는 유일한 아파트다.[A] [17] 상평리 아래 안양천 건너에 있는 동네라 해서 하평리라 명칭했다. 놀랍게도 그 상평리는 옛 시흥군의 읍치였던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이를 고려하면 하안3동 중에서도 안양천과 인접한 동부 지역 또한 금당이 아닌 하평리였을 가능성이 있다.[18] 2015년까지 부역명이 '하안동 입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