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6:15:41

발산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정발산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발산(에스앤유서울병원)
파일:Seoulmetro5_icon.svg

우장산
1.1 ㎞ →
역명 표기
5호선 발산 (에스앤유서울병원)
Balsan (SNU Seoul Hospital)
鉢山 / 钵山 / [ruby(鉢山, ruby=パルサン)]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지하267 (마곡동 727-1496)
소속 영업사업소
5호선 화곡영업사업소 발산역
운영 기관
5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5호선 1996년 3월 20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사건 사고7. 연계 버스
7.1. 2번 출구7.2. 3번 출구7.3. 4번 출구7.4. 5번 출구7.5. 6번 출구7.6. 7번 출구7.7. 9번 출구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5호선 515번.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지하267 (마곡동 727-1496) 소재.

2. 역 정보

파일:발산역 안내도(갱신).jpg
역 안내도
파일:발산역 5호선.jpg
대합실

5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외발산역이었으나, 최종적으로 '발산역'으로 개업했다. 발산은 인근에 위치한 수명산의 다른 이름으로, 역이 위치한 내발산동과 그 옆 외발산동의 유래이자 자연 경계선 역할을 하는 곳이다. 발산이라는 이름은 산의 형세가 밥그릇을 엎은 모습이라 해서 바리때 발()[1] 자를 붙여 발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김포국제공항에서 공항대로를 따라가던 5호선은 마곡역 인근부터 공항대로를 벗어나 크게 곡선을 틀어서 강서로로 진입하는데 강서로 진입 지점에 발산역이 있다. 이 때문에 승강장에 심한 급커브가 있는 역으로 악명이 높다. 승강장의 곡선반경이 R=400인데, 이는 서울의 도시철도 전용 승강장 곡선반경 한계치이다.[2] 이러한 급곡선 탓에 유독 사고가 잦고 이용객도 많아서 한 반에 사회복무요원이 4명이나 배치되어 있다.

발산역 2~6번 출구는 정확히는 지하철 출구가 아니라 지하철역과 연결된 발산역 지하보도의 출구이다. 이 시설물의 관리는 강서구청에서 한다.[3] 자체 출구는 1번과 7~9번으로 2015년까지 허허벌판이었던 마곡지구 방향에 몰려 있는데 지하보도가 만들어지고 역과 연결된 게 1999년 8월.[4] 그 전에는 정작 사람들이 몰려사는 발산역사거리 동쪽(등촌3동 및 우장산동)에는 출구가 하나도 없어서 불편하기 짝이 없었다. 이렇게 된 것은 역 설계 당시(1989년)에는 지금의 등촌3동이 미개발지[5]였고, 1994년에 강서로에 공항대로를 입체교차하는 고가차도를 건설할 예정이었기 때문이다.[6] 고가차도가 건설되면 차량 교통량은 고가차도를 이용하여 출입구 주변 교통량이 크게 줄어들게 되고, 발산역사거리 서쪽에 치우친 발산역에서 발산역사거리 동쪽으로 출구를 내면 연결통로가 길어져 돈이 많이 드니까 건설하지 않기로 했던 것이다.[7] 그러나 고가차도 계획이 무산되면서 이용자만 불편해졌고, 1997년 서울시에서 지하보도 공사를 시작해 1999년에 완공한다.[8]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다. 다만 휠체어 출입구를 이용해서 건너갈 수 있으며 만일 잠겨 있을 경우 근처에 역 직원이 상주 중이니 부탁하면 열어 준다.

역 내부가 꽤 넓은 편인데 1번 출구와 9번 출구를 제외하면 모두 붙어있어 중앙의 갈림길이 매우 넓어 장사를 많이 한다.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9번 출구 인근에 위치한 개인병원인 에스앤유서울병원이 병기역명이 되었다.[9] 인근에 있는 대학병원인 이대서울병원도 병기역명 입찰을 신청했지만 경매에서 밀려 탈락했는데, 이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으나 기각되었다.

2023년 12월 하순경 병기역명(에스앤유서울병원)이 반영된 폴사인/역명판으로 새로 교체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에 근접한 역세권 아파트로는 총 2198세대의 우장산 힐스테이트와 총 1016세대의 등촌주공3단지가 있다.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인데다가 강서구의 주간선도로인 공항대로가 지나가는 터라 많은 간선버스들이 발산역을 지나간다. 특히 경기도 김포시의 버스를 (60, 60-3, 1002, 3000) 서울 버스보다 자주 볼 수 있다.

발산역 서쪽 지역은 허허벌판이었으나 마곡지구 개발이 시작되면서 신축 오피스텔들이 들어섰다. 이대서울병원이 8번 출구 인근에 오픈하였다.
발산역 9번 출구 앞에 퀸즈파크나인이 들어섰고, 퀸즈파크나인 내에 메가박스 마곡지점이 오픈하였다.

발산역 3번 출구라는 웃찾사 코너의 배경이었다.[10]

주변에 유명한 곳으로는 서울호서직업전문학교, KBS 스포츠월드와 NC백화점 강서점[11], SM그룹 본사가 있다. 그리고 명덕외국어고등학교가 있다.

발산역 8번 출구에는 2019년 2월 7일에 개원한 이대서울병원이 있다. 7호선 건대입구역과 마찬가지로 8번 출구에서 병원과 직접 연결되는 지하통로도 개설되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5_icon.svg 발산역 출구 정보
1발산역사거리
LG사이언스파크
공항대로
2발산역사거리지하보도
헌혈의 집 발산역센터
3서울호서직업전문학교
서울강서우체국
등촌주공아파트
NC백화점 강서점
국민건강보험공단 강서지사
4등촌3동주민센터
공항대로
강서송도병원
5KBS스포츠월드
강서청소년상담복지센터
6우장산힐스테이트아파트
7발산1동주민센터
명덕고등학교
명덕여자중·고등학교
명덕외국어고등학교
8발산1동
공항대로
서울신용보증재단 강서지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9마곡역 방면
기업은행마곡발산지점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96cac><bgcolor=#996cac> 연도 || 파일:Seoulmetro5_icon.svg ||<bgcolor=#996ca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25,604명 비고
2001년 27,930명
2002년 27,132명
2003년 26,851명
2004년 25,733명
2005년 28,875명
2006년 29,896명
2007년 30,125명
2008년 29,305명
2009년 25,872명 }}}}}}}}}
2010년 21,119명
2011년 21,761명
2012년 22,103명
2013년 21,753명
2014년 21,889명
2015년 22,331명
2016년 24,112명
2017년 28,303명
2018년 33,984명
2019년 37,742명
2020년 30,455명
2021년 32,436명
2022년 36,901명
2023년 41,346명
2024년 43,692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2023년 일평균 이용객은 41,346명이다. 발산역은 이웃 송정역 못지않게 중요도가 높은 역이었다. 2009년까지 지하철이 없었던 등촌동, 가양동에서 가장 가까운 역으로서 공항대로강서로가 만나는 교통의 요지에 있어 꾸준한 고정 수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등촌, 가양동 주민들은 이 역보다 당산역을 더 선호하여 이용률이 높지는 않았지만 이곳이 서울 시가지의 서쪽 끝[12]으로 역세권이 좁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제법 승객이 타던 곳이었다. 2000년에 25,600여 명이었던 이용객은 매해 조금씩 늘어나 2007년 한 해에는 3만 명을 돌파해 리즈 시절을 맞았다.

그러나 2008년 마곡역이 개통한 해 이용객이 소폭 감소했고 2009년 7월 24일 9호선의 개통은 발산역에게 치명타였다.[13] 발산역 수요의 큰 덩이를 차지했던 가양, 등촌동 주민들의 거의 전부가 더 빠르고 접근성이 좋은 9호선으로 이탈하면서 발산역 이용객이 심하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9호선 개통 전인 2008년에 하루 29,000명이던 것이 2010년에는 21,000명으로 무려 8,000명 이상이 하락했다. 발산역 입장에선 만회하기 힘든 타격을 입은 셈이었다.

하지만 동시기에 하나의 커다란 기회가 생겼으니 바로 마곡지구의 개발이다. 마곡지구의 동쪽 끝에 발산역이 있었던 까닭에 마곡지구의 입주가 시작되고 기업들이 속속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2만 명대 초반으로 떨어진 발산역의 이용객은 2013년에 반등하기 시작해 2016년부터 빠른 속도로 다시 증가하였다. 2010년대 초반 21,000명 선에 머물던 수요가 2016년에 24,000명, 2017년엔 28,000명까지 뛰어오르면서 9호선 개통 전의 수요를 회복했다. 그리고 2018년에는 2007년의 기록을 넘어섰다가, 2019년 2월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이 개원하여 이용객이 증가하였으며, 2022년 기준으로 5호선에서 6위로 상위권에 속하는 역이다. 고무적인 것은 아직 마곡지구의 개발이 끝나지 않았고 기업과 상권, 주택이 입점, 입주가 현재까지도 진행중이며 승객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마곡지구의 수혜를 입으며 새로운 기회를 잡으며 5호선 평균 이용객을 다시 한번 뛰어넘고, 5호선 전체에서도 다시 상위권 반열에 복귀하였다. 2023년에는 무려 4만명을 돌파하였다.

2024년 1~6월 상반기 기준으로 일일 평균 이용객 수는 43,939명을 기록하면서 오목교역(42,389명)을 제치고 5호선 역들 중에 5위까지 올랐다.

5. 승강장

파일:발산역 승강장.jpg
5호선 승강장[14]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매우 넓은데, 열차와 승강장 사이 간격이 30cm가 넘는다.

탈선사고로 인해 방화방면 스크린도어가 파손되었으나, 현재는 재설치되었다.
마곡
우장산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마곡·송정·김포공항·개화산·방화 방면
우장산·까치산·하남검단산·마천 방면

6. 사건 사고

6.1. 발산역 전동열차 탈선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발산역 전동열차 탈선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기타 사고

  • 2002년 5월 19일에 1급 중증 장애인 윤재봉(1939년생)이 리프트를 이용하다가 2m 밑으로 추락하는 사건이 있었다. 급히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20일 새벽에 사망했다.
  • 2010년에 스크린도어와 열차 사이에 몸이 끼인 채로 열차가 출발하여, 만취한 승객이 선로에 추락해 중상을 입은 사건이 있었다.
  • 2023년 3월 13일, 발산역 인근 버스정류장에서 50대 남성이 출발하려는 버스를 잡으려다 넘어져서 사망한 일이 있었다.자료

7. 연계 버스

7.1. 2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2번출구(16219) ||
간선
지선
일반시내
마을

7.2. 3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3번출구(16220) ||
간선
지선
일반시내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3번출구(16922)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NC백화점앞(16499)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NC백화점(16969) ||
마을

7.3. 4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16013) ||
간선
지선
일반시내
직행좌석
공항
심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4번출구(16111) ||
지선

7.4. 5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5번출구(16112) ||
간선

7.5. 6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우장산힐스테이트(16217) ||
간선
지선
마을
심야

7.6. 7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16017) ||
간선
지선
일반시내
직행좌석
공항
심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7번출구(16393) ||
마을
심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우장산힐스테이트(16218) ||
간선
지선
심야

7.7. 9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발산역9번출구(16429) ||
지선
심야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본선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하남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사발'할때 그 발이다.[2] 출처: 서울 지하철 5호선 건설지[3] 2019년 2월에 5번 출구 에스컬레이터와 4번 출구 엘리베이터 공사를 완료했다.[4] "원당사거리 지하보도 내달 초순 개통", 1999.06.24., 매일경제 원당사거리는 현 발산역사거리의 옛 이름이다.[5] 2000년대까지의 마곡역 주변을 생각하면 된다. 현 등촌3동에 택지개발이 마무리된 것은 발산역이 개통되기 직전인 1995년이었다.[6] "지하철5호선 원당사거리 발산역 출입구 한쪽으로 몰렸다", 1994.07.12., 매일경제[7] 1994년 7월 15일 제72회(제083회) 서울특별시의회(임시회) 교통위원회회의록[8] "강서 원당사거리에 지하보도", 1997.01.17., 매일경제[9] "종로5가역 등 12개소 역명병기 유상판매 (2차)", 2023.06.26., 서울교통공사[10] 9호선 개통 전 SBS 등촌동 공개홀에 가려면 이 역이 가장 가까웠다.[11] 백화점 9층에 애슐리 퀸즈가 있다.[12] 역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강서로의 서쪽 구간은 2000년대까지 논이었다.[13] 때마침 발산역에서 700m정도 위로 올라가면 양천향교역이 나온다. 당장 양천향교역으로 오고가는 버스 노선들도 6개이다. 다만 그 노선들 중에서 서울 버스 652가 이 곳에서 강서구청사거리 방면으로 우회전해서 바로 강서구청으로 가는 것으로 변경될 경우 양천향교역으로 오고 가는 노선이 5개로 줄어든다.[14] 2024년 현재는 병기역명이 반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