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이역 | ||
| ||
방화 방면올림픽공원 ← 0.9 km | 5호선 (P551) | 마천 방면오 금 0.9 km → |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 Bangi | |
한자 | 芳荑 | |
간체자 | ||
가나 | [ruby(芳荑, ruby=パンイ)] | |
주소 | ||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지하 1127 (방이동 217-2번지) | ||
운영 기관 | ||
5호선 | | |
개업일 | ||
5호선 | 1996년 3월 30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5호선 P551번.[1]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지하 1127 (방이동 217-2번지) 소재.2. 역 정보
|
역 안내도 |
대합실 |
방이동에 있어서 방이역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역과 8호선 가락시장역간에 연결선로가 있다. 용도는 8호선 열차를 반입할 때와 이 열차들이 중검수를 위해 5호선 고덕차량기지로 이동할 때 쓰기 위한 것. 이 역에서 오금역 방향으로 출발하자마자 오른쪽 창문으로 내다 보면 갈라지는 선로가 나오는데, 이것이 5-8호선 간 연결선이다. 방이역에서 직진하여 양재대로를 타고 직진하다가 가락시장 사거리에서 꺾여 가락시장역으로 이어진다. 1994년에는 5호선 강동 구간과 마천지선을 운행할 열차를 반입할 때 쓰이기도 했다. 보통 연결선은 신설동역, 충무로역, 까치산역, 태릉입구역, 이매역처럼 십자교차하는 환승역에 설치되는게 대부분인데 이 연결선은 천호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이역 쪽에 지어진 특이케이스이다.
서울 지하철 9호선 환승역이 될 뻔했으나 올림픽공원역으로 선정되면서 탈락.
2013년 10월 2일 4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같이 어우러진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었다. 2,3번 출구 쪽에 대림아파트와 현대아파트가 있다. 압구정 현대아파트와 같은 평수 같은 구조이지만, 시세는 최소 2배 이상 차이 난다는 게 흠좀무.4번 출구에 노래방, 술집을 비롯한 음식점이 밀집해 있으며 방이지구대도 골목 사이에 자리한다. 다만, 사람들이 많이 찾는 방이동 먹자골목은 이 역에서 상당히 떨어져 있으며 이 곳에 가려면 잠실역 또는 몽촌토성역에서 하차하여 조금 걸어가거나 버스를 타고 송파구청 버스정류장에서 내리는 편이 빠르다.
그렇지만 여기로 올라온 다음 조금만 더 가면 최선어학원 송파캠퍼스가 있다.
- 1번 출구: 오륜동주민센터, 올림픽선수촌아파트, 오금초등학교, 세륜중학교, 송파레미니스1,2단지
- 2번 출구: 오금중학교, 오금고등학교, 오금지구대, 현대아파트
- 3번 출구: 방산초등학교, 방산중학교, 방산고등학교, 방이동우체국, 방이동백제고분, 가락삼익아파트, 방이동대림아파트, 방이동코오롱아파트, 한양3차아파트
- 4번 출구: 방이1동주민센터, 방이지구대, 방이초등학교, 천주교방이동성당, 신구블레스밸리, 올림픽베어스타운, 한성백제박물관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96cac><bgcolor=#996cac> 연도 ||
||<bgcolor=#996ca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14,212명 | 비고 | ||
2001년 | 15,012명 | ||||
2002년 | 15,412명 | ||||
2003년 | 15,460명 | ||||
2004년 | 15,304명 | ||||
2005년 | 15,006명 | ||||
2006년 | 14,685명 | ||||
2007년 | 14,204명 | ||||
2008년 | 13,923명 | ||||
2009년 | 13,740명 | }}}}}}}}} | |||
2010년 | 14,205명 | ||||
2011년 | 14,501명 | ||||
2012년 | 14,197명 | ||||
2013년 | 13,617명 | ||||
2014년 | 14,287명 | ||||
2015년 | 14,213명 | ||||
2016년 | 14,423명 | ||||
2017년 | 14,446명 | ||||
2018년 | 14,753명 | ||||
2019년 | 15,218명 | ||||
2020년 | 11,463명 | ||||
2021년 | 11,809명 | ||||
2022년 | 13,011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방이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4,000여 명 수준으로 바로 옆의 올림픽공원역과 비슷하다. 역 주변은 아파트단지가 상당히 있는 주거지인데, 서울 시내의 교통 수송분담률을 고려하면 대략 2만 명 이상은 나와줄 만큼 충분한 역세권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이용률이 저조한 편이다. 5호선에서 32위로 중하위권인데, 이유를 들자면
1. 강동역에서 노선이 갈라지면서 두 배 이상으로[2] 벌어지는 배차 간격[3]
2. 5호선은 강남권이 아닌 도심과만 통하는데, 도심과 오간다고 해도 2호선보다 선형이 좋지 않아서[4] 왕십리나 신당-청구 일대, 동대문운동장 등 도심 동부 정도까지라면 모를까 그 너머와 오갈 때는 차라리 잠실역-버스 연계가 나을 수가 있다. 2호선 강남 라인은 뭐 말할 것도 없다.
3. 바로 인접역들이 각각 3‧9호선과의 환승역이고 모두 강남과 통한다는 점.[5]이는 1의 배차간격 문제와 합쳐져서 시너지를 일으킨다. 즉 3‧9호선을 타고서 오든, 3‧9호선을 타러 나가든 둘 다에 있어서 딱 1정거장만큼을 오가기 위해 환승저항과 긴 배차간격을 감내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차라리 걸어가거나, 버스를 타거나, 따릉이 자전거를 타는 게 나은 상황이 충분히 나온다.
등을 들 수 있다.
5. 승강장
|
승강장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올림픽공원 ↑ | |||
하 | ㅣ | ㅣ | 상 |
↓ 오금 |
상 | | 강동·왕십리·광화문·방화 방면 |
하 | 오금·개롱·거여·마천 방면 |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본선 | 방화 - 개화산 - 송정 - 마곡 - 발산 - 우장산 - 화곡 - 신정 - 목동 - 오목교 - 양평 - 영등포시장 - 여의나루 - 마포 - 애오개 - 서대문 - 광화문 - 신금호 - 행당 - 마장 - 답십리 - 장한평 - 아차산 - 광나루 - 강동 - 길동 - 굽은다리 - 명일 - 고덕 - |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강동 - 둔촌동 - 방이 - 개롱 - 거여 - | ||
하남선 | 상일동 - 강일 - 미사 - 하남풍산 - 하남시청 - | }}}}}}}}} |
[1] 개정 전 556번. 556번은 현재 하남풍산역이 쓰고 있다.[2] 상일동 쪽이 본선이고 이쪽은 지선이다.[3] 출퇴근 시간에는 그나마 낫다지만 7~8분 배차로 다른 노선에 비교하면 짧은 편이 아니고, 평시에는 무려 12~14분, 최대 20분 이상 배차가 벌어지기 때문이다.[4] 2호선에 비해서 강동-천호-천호대교로 너무 도는 것도 그렇고, 5호선 왕십리 이서 도심구간의 남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는 심한 굴곡에 비해서 2호선의 왕십리 이서 도심구간은 직선이다.[5] 3호선은 대치동 학원가, 서울남부터미널 등이 있는 강남권 남부와, 9호선은 신논현역,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강남권 중‧북부와 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