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8 22:00:13

송파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중구(서울특별시)|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시청
중구]]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147>
파일:송파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rowcolor=#fff> 법정동 행정동
<colbgcolor=#007147> 잠실동
신천동 잠실4동
구청
잠실6동
풍납동 풍납1동 풍납2동
삼전동 삼전동
석촌동 석촌동
송파동 송파1동 송파2동
||<colbgcolor=#007147><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5%> 방이동 ||<width=25%> 방이1동 ||<width=25%> 방이2동 ||<width=25%> 오륜동 ||
오금동 오금동
가락동 가락본동 가락1동 가락2동
문정동 문정2동 장지동 문정1동
장지동 위례동
거여동 거여1동 거여2동
마천동 마천1동 마천2동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松坡區
Songpa-gu
}}}
<colbgcolor=#007147><colcolor=#ffffff> 구청 소재지 올림픽로 326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하위 행정구역 27[1]
면적 33.87㎢
인구 658,801명[2]
인구 밀도 19,576.91명/㎢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서강석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5석[3]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0석[4]

1석 [5]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6]
국회
의원
<colbgcolor=#007147><colcolor=#ffffff>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웅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배현진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남인순 (3선)
상징 구화 개나리
구목 소나무[7]
구조 비둘기[8]
지역번호 02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지식iN 새로고.pn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
3.1. 전근대3.2. 근대3.3. 현대3.4. 인구
4. 지역 특징
4.1. 강남3구4.2. 내부 지역 차이
5. 교통6. 경제
6.1. 금융6.2. 경제력6.3. 상권
7. 생활문화
7.1. 교육7.2. 공원7.3. 관공서7.4. 의료기관7.5. 스포츠
8. 산하 기관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기타12. 출신 인물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자치구. 대한민국 전국 자치구 중 가장 인구가 많고, 전국의 구 단위 행정구역 중 유일하게 인구가 60만 명이 넘는다.[9] 2019년 5월까지 증가해 68만 명을 찍은 후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서울특별시라는 거대 도시 산하 자치구지만, 이 정도의 인구 규모는 한국의 웬만한 도시들을 뛰어넘는다. 당장 전라북도 최대 도시인 전주시와 충청남도 최대 도시인 천안시와 비슷한 인구이다.[10][11]

송파구는 1988년 강동구에서 분리 신설[12]된 이래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송파구의 주요 인프라로는 롯데월드타워, 롯데월드몰, 롯데월드, 석촌호수, 올림픽공원, 잠실 한강공원,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잠실야구장, 서울아산병원 등이 있다. 송파구는 동쪽과 북쪽으로는 같은 6학군을 공유하는 강동구[13], 동쪽으로 경기도 하남시, 탄천을 경계로 서쪽으로는 강남구[14], 남쪽으로는 성남시와 인접해 있다.[15]

한편 송파구는 2020년대 들어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 매매가 순위에서 줄곧 3~4위로, 정치, 부동산 관련 언론보도에서 서울의 한강 이남 지역 동남권의 강남3구라고 불린다.[16] 한편 서쪽부터 순차적으로 강남3구인 서초-강남-송파는 서북-남동으로 길게 뻗은 모양새를 하고 있어서, 송파구 일부 지역 거여에서 마천 등은 강동구의 상당 부분인 천호, 암사, 성내, 둔촌 등보다 동쪽이다.[17]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2022년 11월 기준 서울에서 아파트 값이 가장 비싼 1위 강남구는 평당 8,500만원과 2위 서초구 평당 7,800만원, 3위 용산구 아파트 평당 평균 매매가격은 3위 6,120만 원, 4위 송파구 아파트 평(3.3㎡)당 평균 매매가격은 무려 6,105만원이다.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통상 ‘강남’또는 강남3구라고 부른다.

2. 상징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휘장
<colbgcolor=#fff,#2d2f34> 파일:송파구 옛 로고.gif
?[18] ~ 2006년 11월 16일
지방자치제(민선구청장) 초창기부터 2006년 11월 16일까지 사용된 휘장이다. 타원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구목인 소나무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원근감 있게 뻗어나가는 타원은 활기차고 역동적이며 번영하는 송파구의 이미지를 상징한다. 소나무를 이루는 다섯개의 원은 올림픽을 치뤄낸 지역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오륜을 뜻을 포함한다. 색상은 청색과 녹색으로 "깨끗하고 살기좋은 송파구"라는 환경메시지도 담고 있다.#
파일:송파구 구 CI.svg
2006년 11월 17일 ~ 2020년 7월 5일
2006년 11월 17일 부터 2020년 7월 5일까지 사용했던 송파구의 휘장이다. 종전 휘장을 약간 리뉴얼했는데, 하단 부분이 다르다.
파일:송파구 CI(2020-2022).svg
2020년 7월 6일 ~ 2022년 12월 31일
2020년 7월 6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사용했던 송파구의 휘장이다. 'ㅅ'은 서울을 선도하는 송파, 사람을 생각하는 도시, 내일을 상상하는 도시 송파를 상징하며 'ㅅ'의 바탕이 되는 정사각형의 이미지는 도시의 바른 기반으로서 시민들의 행복을 담아내는 장소를 의미한다. 두 개의 정사각형이 결합된 이미지는 송파의 다양한 사람, 풍부한 문화, 색다른 이야깃거리가 함께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표현한다. 'ㅅ'이 두 정사각형의 경계를 넘는 모습을 통해 생각을 뛰어넘어 새롭게 도약하는 도시, 창의적인 도시를 표현한다. 상단에 사용된 스카이 블루는 송파의 하늘로서 푸르른 시민들의 삶과 도시의 내일을 상징하며 하단에 사용된 다크 블루는 송파의 땅으로서 시민들이 믿을 수 있는 바른 기반의 도시를 상징한다. # 다만 JB금융그룹 또는 더블에이 로고와 비슷하다는 혹평도 있었다. 이렇게 제작된 CI는 매우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으나, 2년 반만에 교체되었다.
파일:송파구 CI.svg
2023년 1월 1일 ~
2023년 1월 1일부터 사용중인 송파구의 새 휘장이다. 소나무 언덕(松坡)이라는 뜻에 따라 소나무와 솔방울 열매 형태의 로고로, 서울시와 송파구를 상징하는 ㅅ 형상과 더 높은 곳으로 나아가는 기상을 표현하는 화살표 형상을 활용했다. 초록색은 소나무 잎의 색상으로 구름 위에 소나무가 푸르게 우거진 살기 좋고 맑은 환경의 도시를 상징하며, 하단에 사용된 황토색은 소나무의 기둥이자 유구한 한성백제의 역사를 보존하고 있는 도시 송파를 의미한다.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슬로건
파일:송파구 구정슬로건.svg
2022.07 ~ 현재
민선 8기 송파구정의 밝은 미래와 역동성을 비상하는 이미지로 시각화하여 한 단계 도약하는 송파를 표현
창의와 혁신을 통한 다시 뛰는 송파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 표현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국제관광도시 엠블럼
파일:송파구 국제관광도시 CI.svg
2012.09. ~ 현재
올림픽 개최 도시 송파를 떠올리는 오륜기의 5가지 색깔을 이용하여 자연, 물, 도시, 사람, 희망을 꽃잎으로 표현하였고, 송파의 랜드마크가 될[19] 롯데월드타워를 꽃술로 나타낸 것이다.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캐릭터
파일:송파구 잠누리와 잠에리.png
국제관광도시송파 마스코트
파일:송파구 구 마스코트_솔이(리뉴얼 전).svg
리뉴얼 전 솔이(? ~ 2006년 11월 16일
파일:서울특별시 송파구 솔이.png

솔이 2006년 11월 17일 ~ 2020년 7월 5일
파일:송파구 마스코트.svg
2020년 7월 6일 ~ 2022년 12월 31일
2020년 7월 6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사용중인 송파구의 캐릭터 '송송', ''파파'이다.# ‘송파’의 자음 ‘ㅅㅍ’을 활용하여 귀엽고 친근한 심볼마크로 표현하였으며 명칭은 ‘송파’ 각 글자를 단순 반복한 ‘송송 , 파파’로서 재미와 친근함을 표현했다. ‘ㅅ’은 행복의 중심과 따뜻한 마음을 나타내는 하트로서 주민들의 행복한 삶을 상징하며, ‘ㅍ’은 내일을 여는 문이자 다양함을 연결하는 다리로서 내일로 연결하는 도시, 다양한 사람과 문화와 가치를 연결하는 도시를 상징한다.
파일:송파구 하하호호.jpg
2023년 1월 1일 ~ 현재
2023년 1월 1일부터 사용중인 송파구의 새 마스코트, 하하와 호호이다.

송파구는 2023년에 또 새로운 CI와 마스코트를 공개했는데 해당 링크에 댓글에는 이에 멀쩡한 송송과 파파를 버렸다며 부정적인 송파구민들이 많은 편이다. 심지어 송파구는 서울의 구들 중에 상징물을 3번이나 바꾸면서 서울 내에서 상징물을 가장 많이 바꾼 곳이 되었다.

3. 역사

||<-3><tablealign=center><bgcolor=#007147><tablebordercolor=#007147><tablebgcolor=#fff,#1f2023> 송파구 행정구역 변천사 ||
양주군 고양주면(楊州郡 古楊州面), 1896 광주군 중대면[20]
(廣州郡 中垈面)
1896
광주군 구천면 풍납리
(廣州郡 九川面 風納里)
1896
고양군 뚝도면(高陽郡 纛島面), 1914
서울특별시 성동구(城東區), 1949
서울특별시 성동구(城東區), 1963
서울특별시 강남구(江南區), 1975
서울특별시 강동구(江東區), 1979
서울특별시 송파구(松坡區), 1988

3.1. 전근대

백제의 전기시대인 한성백제의 수도 위례성이 위치해 있었다고 추정, 사실상 거의 확증되어 있다. 위례신도시/위례동의 명칭도 위례성에서 따온 것이다. 그래서 유물도 매우 많은데 풍납동에 도읍 추정지인 풍납토성, 방이동과 석촌동에는 부도읍 추정지인 몽촌토성방이동 고분군, 석촌동 고분군 등의 백제고분군이 있다. 이렇게 유적이 많을 수밖에 없는 게 이 일대가 온조왕부터 개로왕까지 장장 500여 년 동안 백제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울 지하철 9호선에는 한성백제역이 만들어졌고 그동안의 발굴물을 전시한 한성백제박물관도 있다. 이외에도 송파구 전체 면적의 무려 42.6%가 유적이 발굴될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 2020년 쯤에 들어서는 잠실진주아파트 재건축 현장을 비롯한 각종 재개발 부지에서 대규모의 거주지 유적과 새로운 고분군이 발굴되기도 했다. #

이외에도 역사와 엮일 거리가 참 많은 동네이다. 일례로 탈춤 무형문화재 중 하나인 송파산대놀이가 바로 이 곳에서 발생한 탈춤이고, '삼전'이란 동네는 병자호란 당시 삼전도의 굴욕(정축하성)이 일어났던 곳이다. '잠실'은 세종(조선) 시대 양잠 정책을 위해 뽕밭으로 개발한 곳.[21] 하지만 이제는 잠실한강공원을 제외하면 더이상 뽕나무를 찾아볼 수 있는 곳은 사실상 없다.

송파산대놀이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간혹 서울놀이마당에서 볼 수 있다. 삼전도[22]는 송파강이 석촌호수로 메워져서 흔적도 없는 데다 잠실섬 자체는 강남으로 들어와버렸고, 잠실의 뽕나무 밭은 개발의 역사에 밀려 없어진 지 오래. 그나마 석촌동의 조그만 공원 한구석에 삼전도비가 남아 있다가 2007년에 페인트 테러를 당한 적이 있다.[23] 이후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고 삼전 주민들의 재산권 관련 소송으로 인해 문화재청은 삼전도비의 이전을 결정하였고 2010년 3월, 원래 삼전도비가 있을걸로 추정되는 장소와 가장 가깝다고 추정되는 석촌호수에 삼전도비를 옮겼다. 참고로 위치를 말하자면, 잠실 롯데호텔 월드 앞에 있는 너구리상에서 석촌호수 쪽으로 길을 건너면 바로 앞에 있다.

3.2. 근대

파일:옛잠실.jpg
파일:잠실도.jpg

근대에 들어 잠실동신천동을 제외한 송파구 전역은 옛 광주군(풍납동은 구천면, 나머지 전역은 중대면)의 영역이었고, 잠실동과 신천동은 옛 양주군(고양주면)의 영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양군[24] 뚝도면으로 편입되었다. 즉 잠실·신천과 나머지 송파구 지역은 역사적으로 원래 다른 지역이었다. 중대면 지역은 조선 시대 송파장, 산대놀이로 유명하였다.

이렇게 이질적인 지역이 한 지역이 된 이유는 한강의 본류가 원래 지금과 같은 형태가 아닌 현재의 석촌호수 자리(옛 송파강)였기 때문이다. 잠실·신천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 이전까지는 강북에 해당되었으나, 대홍수로 현재의 한강 본류에 해당되는 새로운 물길(옛 신천강)이 생겨서 여의도와 같은 하중도가 되었다. 이후 1970년대 강남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한강의 유로를 정비하였고, 그 과정에서 원래의 한강 본류인 송파강을 메워 육지화시킴으로서 잠실·신천 하중도를 한강 이남으로 만들고[25], 지류인 신천강을 본류화하여 현재의 한강 본류가 되었다. 이렇게 하여 현재의 송파구 지형이 형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송파에 있던 송파나루는 그 기능이 쇠퇴해 버렸다. 더불어 지형을 원래 강 유로를 메워 형성시켰기 때문에 잠실 지역은 지반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약한 편이다.

3.3. 현대


송파구의 명칭을 정할 때 강동구에서 분구 당시 '잠실구', '올림픽구', '송파구'라는 명칭이 후보에 올랐으나 이 지역에 뽕밭이 거의 없고 올림픽은 외국어라 부적합하다면서 송파동이 신설구의 중심지이고 송파나루, 송파산대놀이와 같이 전통 문화 고취라는 취지로 송파구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당시 올림픽을 앞둔 상황이라 민주정의당이 올림픽구로의 명칭 변경을 정부에 건의하면서 개칭이 검토되기도 하였다.

1988년 분구 이후로도 강동구의 흔적이 꽤 오랫동안 남아있는데, 잠실리센츠 아파트단지 내에 위치한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은 이름처럼 강동구와 송파구를 관할 구역으로 두고 있으며, 2010년까지 강동교육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다 강동교육지원청으로 바꾸고, 14년에 들어서야 강동송파교육지원청 명칭으로 기관명에 송파를 넣게 되었다. 등기소 또한 잠실본동에 강동등기소가 2017년까지 운영되다가, 현재는 문정동 서울동부지방법원등기국으로 통합 이전하였다. 아무래도 상관없지만 알바천국은 지역별 공고 메뉴에서 송파를 강동 권역으로 묶어 분류하고 있기도 하며[26], 예비군훈련장 역시 강동송파예비군훈련장 이라고 묶여있다. 지금은 나뉘었지만 예전에는 강동송파케이블이 있었다.[27]

성동구의 흔적 또한 남아있다. 광진구 관내 농협조합인 중앙농협이 잠실 일대에 지점 2곳(신천/동잠실)을 운영 중인데 원래 중앙농협 자체가 성동구의 크기가 상당히 크던 시절 성동농협으로 설립되었고 이 당시의 영업구역이 현재도 인정되기 때문이다. 심지어 신천지점은 아예 성동농협 신천지소라는 이름으로 10년간 영업했으며 2001년에 와서야 조합 명칭이 중앙농협으로 바뀌었다.[28] 이런 사정 때문에 전국조합장선거 당시 잠실 일대에 광진구선거관리위원회 명의의 현수막까지 붙어있었다.[29]

그리고 2015년 7월 초 장지동이 성남시, 하남시와 함께 위례신도시를 나눠 장지동과 위례동으로 분할되었다. 같은 위례신도시인데 송파구에 있는 아파트들은 아파트 이름 자체에 '송파'를 넣어서 강조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송파꿈에그린, 위례송파푸르지오, 위례송파비발디. 그럴만한 게 분양 당시에는 같은 위례신도시라도 평당 분양가가 송파>성남>하남 순이었고 이름에 '송파'가 들어가야 비싼 분양가로도 분양이 잘 됐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그것과 상관없이 트랜짓몰(특히 위례중앙광장)에서 가까울수록 비싸게 거래된다.

송파구의 1988년도 올림픽 시절, 대한민국 중대 역사중 하나인 88올림픽과 엮일 거리로는, 88올림픽에서 이름을 따온 오륜이 있다. 근데 정작 올림픽공원은 오륜이 아니라 방이에 있는 게 아니냐며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오륜은 올림픽선수촌아파트와 올림픽공원 일대를 관할하는 행정동이며 방이는 방이1,2동+오륜동을 모두 포괄하는 법정동이다. 따라서 이는 행정동과 법정동의 이름이 달라 생긴 오해이다. 가끔 풍납토성 행사가 이루어질 때 강동구와 같이 행사를 하거나 엮이기도 한다. 윗동네 암사동에 선사유적지가 있고, 강동구 성내동의 역사가 처음부터 풍납토성과 엮여있기 때문에 강동구와 같이 하는 듯 하다. 심지어 풍납토성 일부를 강동구와 같이 관리 하는 중이다. 아무래도 토성 위치가 천호사거리 옆에 있고, 천호사거리가 강동구 관할이라 그런 듯 하다.

3.4. 인구

파일:송파구 CI_국문.svg
서울특별시 송파구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8년 현 지역(당시 강동구) → 송파구 승격 분리
1990년 634,124명
1995년 666,806명
2000년 663,177명
2005년 605,840명
2010년 685,279명
2015년 660,302명
2020년 667,960명
2022년 12월 658,801명
#!wiki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위례동 44,477명
오금동 37,800명
잠실2동 34,758명
잠실3동 34,009명
가락2동 31,501명
석촌동 31,054명
삼전동 29,526명
장지동 28,949명
문정2동 28,645명
잠실본동 27,842명
가락1동 27,387명
방이2동 25,795명
가락본동 25,616명
풍납2동 24,241명
송파1동 23,693명
거여2동 23,653명
잠실4동 21,157명
문정1동 19,743명
송파2동 18,806명
마천1동 18,479명
마천2동 17,995명
오륜동 17,784명
잠실6동 16,555명
방이1동 15,361명
풍납1동 12,386명
거여1동 12,181명
잠실7동 9,408명
2022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4. 지역 특징

4.1. 강남3구

송파구는 언론 보도에서 강남구, 서초구와 함께 강남3구로 묶여 불리기도 하며 그 중에서 가장 늦게 형성된 지역이다. 행정적에서는 상기 언급한 강동송파교육청 등의 일례로 강동구와 묶이기도 하지만, 정치,경제,문화적으로 강남권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송파구는 강동구에서 1988년대 분리 신설된 곳으로, 강동구가 강남구에서 분리된 후 강동구 관할이였던 송파구는 1970년대 당시 강남구의 '영동개발'이 일단 완료된 후 올림픽을 앞두고 1980년대 초 계획적으로 개발된 곳이다. 특히 잠실역-잠실새내역-종합운동장역으로 이어지는 있는 올림픽로 서북부 구간은 아파트 밀집지역.[30] 2000년대 후반부터 순차적으로 재건축이 이루어졌으며 잠실새내역 주변은 고층아파트로 탈바꿈한 상태다.

송파구에서 가장 비싼 잠실동신천동 아파트 단지들을 비롯하여 올림픽공원 인근에 위치한 올림픽선수촌아파트올림픽공원과 바로 마주보고 있는 위례성대로변의 고급 빌라트[31] 국내 최대 단일 아파트 단지인 헬리오시티, 그리고 문정법조 단지 근처에 위치한 올림픽훼밀리타운 등의 전통적인 부촌 아파트 때문에 강남 3구라 불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대 총선부터 민주당계 정당들이 선전하고 있으나, 송파구 갑 지역과 지역은 강남구 서초구와 마찬가지로 강한 보수색을 띄어왔다.

한편 2021년 말 실거래가 기준으로, 강동은 20억[32], 송파는 30억[33]을 돌파하여 송파구와 강동구의 ‘국민평형(전용면적 84㎡)’ 집값이 고공행진했다. 송파구와 강동구에서 집이 수십억대에 거래되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강남 집값을 따라잡았다. 2020년대 이전에는 매매가 30억원 국민평형은 강남구와 서초구에서나 찾아 볼 수 있었는데, 앞으로 송파구의 집값은 매매가가 30억원을 넘기는 단지가 더 늘어갈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한다. 조선일보 조선비즈:강동 20억·송파 30억… 강남 쫓아가는 인근 ‘국민평형’ 집값

4.2. 내부 지역 차이

비교적 균형잡힌 개발이 이뤄진 강남구서초구와는 달리 송파구는 지역별로 개발수준에 차이가 있는 편으로, 국회의원 지역선거구에 따라 크게 세 지역으로 나뉜다.
풍납1동, 풍납2동[34],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35]
석촌동, 문정2동, 가락1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삼전동
오금동, 문정1동, 가락2동, 가락본동,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장지동, 위례동

대체로 잠실을 끌어안고 있는 송파 갑송파 을은 강남에 버금갈 정도로 고밀도의 개발이 진행된 곳이 많은 반면, 송파 병은 문정, 장지지구나 위례신도시 등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저밀도의 개발이 진행된 곳들이 많다. 이러한 입지 조건 때문인지 송파 병은 19대 총선 이전까지는 보수정당의 입성을 단 한 번도 허용하지 않은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 사실 19대 총선 때에도 민주당에서는 송파 병에서의 승리를 의심치 않은 나머지 안일한 전략으로 선거를 말아먹었다는 게 지역의 평이다. 사실 송파구에서도 보수정당을 지지해온 건 보수정당 텃밭인 아시아선수촌이 있는 잠실7동과 올림픽선수촌이 있는 오륜동의 90%가 넘는 높은 투표율과 잠실4동, 잠실6동, 방이동 고급빌라트 타운의 보수정당 몰표 때문이었지, 풍납동, 송파동, 석촌동이 보수정당 텃밭이라곤 할 수 없다.[36]

문재인 정권 출범 이후로도 갑 지역은 보수세가 여전한 반면에,[37] 을 지역은 경합지 성격이 짙어진 것도 특징이다.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 최재성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배현진 자유한국당 후보를 꺾고 승리했지만 21대 총선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실정 및 종부세에 대한 반발로 배현진 미래통합당 후보가 승리하며 보수 텃밭으로 회귀하였다.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송파구/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위례성대로야간.jpg
위의 사진에서도 볼 수 있다시피 송파구는 올림픽에 대비한 계획도시답게 주요 도로들의 폭이 매우 넓다. 이로 인해 도로교통이 매우 편리한 축에 속한다. 올림픽로양재대로, 송파대로, 위례성대로, 강동대로,동남로 등 서울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넓은 도로들이 간선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보조하는 지선 도로들도 격자형으로 잘 갖춰진 편이다.

1기 지하철 시절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만 송파구를 지나갔지만[38] 5호선과, 8호선[39]의 개통으로 교통이 매우 편리해졌다. 특히 5호선의 마천지선은 올림픽공원 동남쪽(올림픽선수촌아파트)과 오금, 거여, 마천동의 수요를, 8호선은 성남시와 송파대로 연선의 많은 인구를 수송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후 3호선9호선이 추가로 개통하면서, 강남으로의 접근성도 굉장히 크게 개선되었다. 특이한 점으로는 올림픽공원 주변을 따라서 5호선, 8호선, 9호선 2개역 3개노선 총 4개역이나 몰려 있다는 점이 있다.

서울 버스 권역 기준에 따라 강동구와 함께 3권역으로 분류된다. 버스 노선체계는 잠실대교-복정역을 잇는 송파대로의 버스중앙차로와 풍납동-올림픽공원교차로에서 종합운동장을 잇는 올림픽로, 잠실철교-방이삼거리-오금동-마천동을 잇는 오금로 중심으로 짜여있다. 수서역이 들어서면서 송파 남부에서 수서역을 잇는 노선도 꽤 있는 편이다. 버스 노선체계 자체보다는 지하철과의 환승이 고려되어 있으며, 실제 버스 이용도 지하철 환승이 주 목적이다. 이명박의 서울시장 재임 시절 버스개편의 최대 수혜 지역으로 꼽힌다. 잠실역에 잠실광역환승센터가 들어서면서 난잡하던 잠실역 인근 버스 정류장들도 정돈이 되었다.

다른 구에 비해 산지와 언덕 지역이 덜하고 중구와 함께 지하철이 웬만한 수송 수요를 담당하고 있으며 여러 지선버스들이 마을버스 역할을 대신하고 있기 때문에 한동안 마을버스가 없었다가 2019년 말부터 송파구청에서도 마을버스를 신설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 위례신도시를 비롯한 교통 소외지역과 지하철역을 연결하는 노선들을 만들려고 추진하였으며 2020년 2월부터 주민의견 수렴을 한 결과, 2022년 12월 15일부터 마을버스가 개통되었다.

다만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등 주요 일반철도역으로 가기 힘들다는 것이 불편한 점으로 꼽혔다. 서울 시내 다른 지역이나 경기도 주요 신도시와 달리 서울역으로 가는 버스가 없었고, 있더라도 장지공영차고지가 목적지인 경우가 많아 문정, 장지 지역만 살짝 걸친다. 지하철 역시 2호선 연선은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5호선은 빙 둘러오고 8호선은 환승이 강제되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이 지역은 철도보다 접근성이 나은 동서울터미널,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성남종합버스터미널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컸다. 그러나 송파에서 연결되는 버스 및 지하철 접근성이 뛰어난 수서역SRT가 들어서면서 이러한 불편 역시 해소되었다. 송파구는 강남구, 성남시와 함께 SRT 수서역의 혜택을 가장 크게 받는 지역으로 불린다.

그 외에도 종합운동장, 잠실역 등에는 오션월드 등 전국 각지의 테마파크나 스키장, 리조트 등지로 가는 셔틀버스들이 운행된다. 다른 지역에 비해 이러한 시설로의 이동 역시 편리한 편이다.

6. 경제

6.1. 금융

송파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서울송파우체국 (14)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7)
특수은행
수협은행 (5) 농협은행 (12)
시중은행
우리은행 (18) 국민은행 (16) 신한은행 (16) 하나은행 (16)
SC제일은행 (9) 한국씨티은행 (1)
제2금융권 [괄호]
농업협동조합
강동농협 (1) 서울축산농협 (1) 송파농협 (14) 중앙농협 (2)
수산업협동조합
근해안강망수협 (1) 냉동냉장수협 (2) 완도금일수협 (1) 울산수협 (1)
산림조합
서울시산림조합 (1)
신용협동조합
가락신용협동조합 (2) 동서울신용협동조합 (1) 송파동부신용협동조합 (1) 송파신용협동조합 (1)
정락신용협동조합 (1) 세한신용협동조합 (1) 롯데마트신용협동조합 (1) 삼성물산신용협동조합 (1)
수협중앙회본부임직원신용협동조합 (1)
새마을금고
가락새마을금고 (1) 마천새마을금고 (2) 서울송파새마을금고 (1) 송파새마을금고 (3)
송파중앙새마을금고 (1) 잠실새마을금고 (3) 풍납새마을금고 (1) 강동수산새마을금고 (1)
삼성SDS새마을금고 (1) 서울개인택시조합새마을금고 (2) 서울아산병원새마을금고 (1) 유한킴벌리새마을금고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OK저축은행 (1) SBI저축은행 (2) 푸른상호저축은행 (1) 스마트저축은행 (1)
BNK저축은행 (1) KB저축은행 (1)

6.2. 경제력

강남 3구에 속해있기 때문에 서울에서도 전체 1위인 강남구, 전체 2위인 서초구와 더불어 전체 3위로서 최상위권의 경제력을 자랑한다. 과거에는 허허벌판 그 자체였지만, 이건 강남구와 서초구도 마찬가지였다. 발전을 거듭하게 된 이후 높은 빌딩들이 자리잡고 있고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 강남구, 서초구와 더불어 3차 산업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한편 송파구는 빈부격차가 강남구, 서초구에 비해 제법 크다. 그나마 서울시 내에서 손에 꼽히는 부촌인 여의도, 당산동문래동, 그리고 신길뉴타운이 조성된 신길7동과 같은 중상위권 지역들, 서민 동네에 불과한 나머지 지역들로 구성되어 있는 영등포구 만큼의 정도까지는 아니다.

송파구는 사실상 롯데그룹이 장악하고 있다. 특히 롯데월드, 롯데백화점, 롯데캐슬 등등 사실상 야구단만 빼고 롯데 이름이 붙은 모든 게 있는 잠실역 인근은 롯데역이라고 불려도 손색이 없을 정도. 그래서 송파구민들은 자조적인 표현으로 '롯데 식민지', '롯데촌'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 [43] 송파구청롯데월드타워가 송파구 신천동에 위치해 있으며 바로 길건너 맞은편에 롯데월드가 연속해서 위치해 있다.[44]
2022년 9월 송파구민의 날 행사 서강석 송파구청장:
“이번 구민의 날에 송파구민대상을 추서받으신 롯데그룹 고(故) 신격호 회장은 말년을 잠실동 롯데월드타워에서 보내고 조국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에 헌신한 위대한 기업가이며 거인이었다”
“다시 한번 선각자이신 신격호 회장님에게 감사드리며 늦었지만 송파구민의 뜻을 담아 송파구민 대상을 추서드리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전국매일신문

6.3. 상권

파일:송파구 CI_White.svg 송파구의 시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7147><colcolor=#fff> 마천루 <colbgcolor=#fff,#1f2023> 롯데월드타워
쇼핑 가든파이브(NC백화점 송파점) · 가락시장 · 롯데백화점 잠실점 · 롯데월드몰 · 잠실지하쇼핑센터
영화관 롯데시네마 월드타워 · 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 · 샤롯데씨어터 · CGV 송파
숙박 롯데호텔 월드 · 서울올림픽파크텔 · 시그니엘 서울 ·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공원 석촌호수 · 아시아공원 · 올림픽공원 · 위례호수공원 · 한강공원(광나루 · 잠실)
유원지 롯데월드 어드벤처 ·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 서울스카이
경기장 서울종합운동장(주경기장 · 잠실야구장 · 잠실실내체육관 · 학생체육관 · 보조경기장) · 올림픽공원(KSPO 돔 · SK핸드볼경기장 · 벨로드롬 · 올림픽수영장 · 올림픽테니스경기장 · 실내테니스경기장)
공연장 롯데콘서트홀 · 올림픽공원(올림픽홀 · 우리금융아트홀 · K-아트홀)
교통 잠실광역환승센터
종합병원 서울병원 · 서울아산병원 · 한솔병원 }}}}}}}}}

6.3.1. 잠실역 인근

롯데백화점 잠실점롯데호텔 월드, 롯데마트, 롯데월드, 롯데월드타워, 롯데월드몰, 롯데캐슬골드 등 롯데를 중심으로한 잠실역 지상상권과 잠실역 사거리 지하를 중심으로 구성된 잠실역 지하상가로 송파구 최대 상권이다. 잠실역 지상상권은 롯데가 제공할 수 있는 온갖 소비시설은 전부 다 모아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며, 유동인구는 주말에는 말할 필요도 없고 평일에도 상당히 많다.

잠실역을 중심으로 지하에 구성된 잠실역지하상가는 일반적인 지하상가와 비슷하게 소규모 잡화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어드벤처가 있는 롯데월드와 새로지은 롯데월드몰, 롯데월드타워 건물 및 롯데캐슬골드 모두 잠실역 지하상가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롯데월드몰이 건설 승인을 받지 못해 10년동안 공터로 남아있었을 당시 부지외곽에는 포장마차촌[45]이 형성되었었으나, 롯데월드타워가 착공되면서 사라졌다.

다만 고가의 쇼핑이나 놀이공원, 아쿠아리움, 타워 전망대 등을 가는 특별한 목적이 아닌 이상, 뭔가 특징있는 즐길거리는 생각보다 스펙트럼이 좁은 편이다. 노래방이나 PC방, 여러 식도락을 즐길만한 먹자골목 등은 롯데타워를 기준으로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에 아래의 방이동 먹자골목, 송파동 송리단길 등이 있으며,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아파트로 인해 도보 이동 연계성은 조금 떨어지지만) 잠실새내역 인근(신천)에 가야 있는 편이다.

6.3.2. 가든파이브

2009년 하반기 문정동에 들어선 복합쇼핑몰 시설이다. 당초 청계천 재개발 후 청계천 상인들이 옮겨갈 후보지로 만들어진 곳이었다. 그러나 청계천 상인들이 입주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맞는 조건이 아니었고 입지 측면에서 타 상권보다 불리한데다가 인근 잠실역이 워낙 큰 상권이기에 경쟁하기도 힘들고 사람들을 끌어모으기도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서울시에서도 열심히 홍보하였고, 현빈과 손담비까지 기용해 광고를 내보냈지만, 분양률이 채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사람들도 오지 않아 사실상 영업을 하지 못할 정도였다.

그나마 2010년에서야 NC백화점 송파점, 이마트 가든5점, 킴스클럽, 엔터식스, CGV 송파, 농협, 은행 등이 들어서면서 유동인구가 많아지기는 하였으나, 이 역시 대형유통업체 쪽에 집중되면서 영세 상인들의 점포는 주말에도 한산했다. 2012년 이후로는 각종 공연도 열리고 상업시설도 계속들어와 지역상권으로는 어느정도 형태를 갖추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롯데월드몰이 조기 개장하면서 사람이 좀 빠졌다고 한다. 롯데월드몰이 장지역에서 20분 안쪽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이 없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도 2017년 5월 테크노관에 현대시티아울렛이 들어오고, 인근 송파 파크하비오 완공과 주변 오피스텔 입주, 위례신도시 덕분에 전반적인 유통인구가 많아져 이전에 비해선 꽤 많이 변화하였다.

툴관에 더 스파 인 가든파이브라는 찜질방이 들어와있는데, 가족 단위 이용객이나 커플들에게 이색 데이트 장소로 인기가 꽤 많은 모양이다.

6.3.3. 그 외 지역

신천(現 잠실새내역 인근)[46] 일대가 잠실역 다음으로는 비교적 번화한 유흥가이다. 예전에는 '뒷구정'이라 불릴 정도로 규모가 크지 않고 나이트와 음식점 위주여서 다양한 계층을 수용하기엔 무리가 있는 지역이었다. 그러나, 올림픽로와 신천역 먹자골목으로 불리는 백제고분로 7길을 중심으로 상당히 많은 음식점들이 줄을 지어 있으며 코인노래방, PC방 등 학생들이 선호하는 시설들이 들어서면서 신천중학교, 잠신중학교, 정신여자중학교 등 주변 학교 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잠실종합운동장이 있어, LG 트윈스두산 베어스의 야구경기가 있는 날이면 야구장에 가져갈 음식을 구매하려는 사람들과 경기 이후 뒷풀이를 하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특히, 신천 상권과 붙어있는 재래시장인 새마을시장은 잠실야구장 먹거리로 유명한 가게들이 다수 모여 있고 방송이나 언론에도 여러번 보도되어 유명하다. 깻잎닭강정과 파오파오 새우만두가 새마을시장에서 가장 유명한 잠실야구장 먹거리로 꼽힌다.

백제고분로 주변(송파동이며 송파나루역 부근)은 이른바 송리단길이라고 불린다. 여려 트렌디한 음식점, 카페등이 위치하고 있고 롯데월드타워-석촌호수로 이어지는 특성상 젊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원래는 평범한 주택가였으나 제2롯데월드가 완공되고부터 커진 상권이다.

가락동에는 서울시내 최대 농수산물 도매시장 가락시장이 있다. 송파구를 포함한 서울특별시 동남권에서 가장 큰 도매시장이다. 2010년대에 들어 현대화 사업이 진행되었고, '가락몰'이 새로 생겨 도매 뿐만 아니라 일반 고객 이용도 상당히 편리해졌다. 3호선과 8호선 환승역인 가락시장역과 연결되어 있어 교통도 매우 편리하고 접근성도 좋은 편.

방이동 일대에도 방이맛골로 대표되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과거 롯데월드몰 건설이 송파구 고도제한으로 인해 몇십년 이상 지연되면서 그 부지가 오랜시간 공터로 남게 되는 바람에 잠실역 상권과의 연계성이 떨어져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었고 주로 주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깃집, 유흥주점과 대규모 모텔촌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롯데월드몰의 완공에 따른 잠실과의 연담화와 9호선의 연장 개통 등으로 접근성이 개선되고 기존 모텔 대다수가 신축 오피스텔로 재건축되면서 주중, 주말 가릴것 없이 많은 유동인구로 북적이는 송파지역 최대상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롯데월드~석촌호수~방이맛골~올림픽공원이 잠실관광특구로 지정되어 방이맛골 역시 여러 환경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5호선 개롱역 인근 가락2동에 개롱골 장군거리라는 먹자골목이 있다. 방이동 일대와 같은 화려한 번화가는 아니지만 저녁시간 인근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식당가 맛집 노래방 학원 등이 모여있다. 이 지역 일대 아파트 단지가 거의다 노후화 되어있기에 재건축이 끝나는 시점에서는 오금-개롱역을 대표하는 상권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인지 구에서도 전봇대 지중화사업을 일사천리로 끝냈고 장군거리에 대한 홍보도 꾸준히 하고있는듯 하다.

동남로를 따라 문정동 안쪽으로는 문정동 로데오거리가 위치해있다. 1992년 브랜드 의류 재고품을 판매하는 매장들이 들어서면서 생긴 거리로 대한민국 로데오거리의 원조라고 한다. 다만, 잠실이나 가든파이브에 비해 인프라가 부족하고 골프웨어나 아웃도어 브랜드 위주여서 품목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평이 많다.

6.3.4. 영화관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colcolor=white> 송파
4DX
SCREENX

SPHEREX
SWEETBOX
파일:LC_W.png 월드타워
수퍼플렉스G

수퍼S
수퍼4D
Dolby Atmos

씨네패밀리
씨네커플
씨네비즈

아르떼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송파파크하비오

인구 70만의 초대형 자치구임에도 불구하고 영화관이 매우 적었다. 2008년 CGV 송파점이 개관하기 전에는 구내에 영화관은 2관짜리 롯데시네마 롯데월드점이 유일하다시피했다.[47] 그래서 송파구 주민들은 영화를 보기 위해 메가박스 코엑스를 주로 이용했었다. 그러나 CGV 송파가 개관하고, 롯데월드몰에 21관 규모를 자랑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영화관 롯데시네마 월드타워가 들어섰으며 2017년 문정법조단지에 메가박스 송파파크하비오가 생기면서 영화관이 많아지게 되었다. 롯데시네마 월드타워는 롯데시네마의 플래그십 스토어로 시사회, 무대인사, 관객과의 대화 등이 자주 열린다.

7. 생활문화

7.1. 교육

파일:송파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가락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일반고)1 문정고등학교 문현고등학교
방산고등학교 배명고등학교 보성고등학교 보인고등학교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서울체육고등학교 영동일고등학교2 영파여자고등학교3
오금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4 잠신고등학교 잠실고등학교
잠실여자고등학교 잠일고등학교 정신여자고등학교 창덕여자고등학교
윗첨자 1 : 구.덕수상업고등학교, 2022년 일반계 학급만 송파구로 이전
윗첨자 2 : 구.영동여자고등학교
윗첨자 3 : 구.영파여자종합고등학교
윗첨자 4 : 구.일신상업고등학교
푸른 바탕은 남자고등학교, 붉은 바탕은 여자고등학교. 기본 바탕은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송파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가락중학교 가원중학교 거원중학교 문정중학교 문현중학교
방산중학교 방이중학교 배명중학교 보성중학교 보인중학교
서울체육중학교 석촌중학교 세륜중학교 송례중학교 송파중학교
신천중학교 아주중학교 영파여자중학교 오금중학교 오륜중학교
오주중학교 위례솔중학교 일신여자중학교 잠신중학교 잠실중학교
정신여자중학교 풍납중학교 풍성중학교1 해누리중학교
하늘색 바탕은 남자중학교, 분홍색 바탕은 여자중학교, 흰색 바탕은 남녀공학.
1 구 풍납여자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송파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서울가동초등학교 서울가락초등학교 서울가원초등학교 서울가주초등학교
서울개롱초등학교 서울거여초등학교 서울거원초등학교 서울남천초등학교
서울마천초등학교 서울문덕초등학교 서울문정초등학교 서울문현초등학교
서울방산초등학교 서울방이초등학교 서울버들초등학교 서울삼전초등학교
서울석촌초등학교 서울세륜초등학교 서울송례초등학교 서울송전초등학교
서울송파초등학교 서울신가초등학교 서울신천초등학교 서울아주초등학교
서울영풍초등학교 서울오금초등학교 서울오륜초등학교 서울위례별초등학교
서울위례솔초등학교 서울잠동초등학교 서울잠신초등학교 서울잠실초등학교
서울잠일초등학교 서울잠전초등학교 서울잠현초등학교 서울중대초등학교
서울토성초등학교 서울평화초등학교 서울풍납초등학교 서울풍성초등학교
서울해누리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남녀공학일반고 갯수가 9개로, 서울 내에서 남녀공학 고등학교가 제일 많은 지역이다. 신도시도 있고 뉴타운도 있는것이 한몫씩 한다.

그러나 남녀합반을 3년 내내 시행하는 고등학교는 일반고 기준 단 한 곳도 없으며, 3년중 1년 합반은 고사하고 3년 내내 남녀분반인 고등학교도 있다. 남녀합반을 하더라도 3년 중 2년만 합반이다.

송파구 잠실2동 리센츠 아파트 내에 위치한 강동송파교육지원청에서 송파구와 강동구 초, 중, 고등학교를 관할한다. 송파구 관내에는 총 40곳의 초등학교, 28곳의 중학교[48], 20곳의 고등학교가 존재한다. 대학교는 유일하게 한국체육대학교올림픽공원 옆에 위치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교육환경이 좋은 편이다. 학교의 수도 상당히 많은 편이고, 학교들의 수준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관내 자사고는 보인고등학교가 유일하지만, 강남과 강동의 자사고 및 외고가 통학할 수 있는 거리에 다수 위치하고 있다. 꼭 자사고가 아니더라도, 역사가 깊은 보성고등학교, 배명고등학교, 정신여자고등학교, 창덕여자고등학교가 있으며 그 외에도 입시 실적이 좋은 학교들이 꽤되는 편. 위례성대로 연선의 방이동 학원가와 잠실새내역, 가락로 인근으로 학원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교육의 메카인 대치동과의 거리도 가까워 많은 학생들이 대치동 학원을 다닌다. 아무래도 강남3구로 묶인 강남의 영향도 있고, 상대적으로 부유층이 많아 교육열이 상당히 뜨겁다.

1999년 6학군으로 분리되기 전에 8학군이었다. 90년대 후반 송파구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이 경기고, 휘문고로 배정받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다. 관내 고등학교가 남녀공학이 많고 여학교도 꽤 있는 편이라 여학생들은 무리없이 배정되는 반면에 남학생들은 자리가 없어 남학교가 많은 강남으로 배정되었던 것이다.[49] 보통 잠실1,2단지와 아시아선수촌에 사는 학생들은 가까운 잠신고를 두고 경기고, 휘문고, 심지어 청담동청담고영동고, 압구정동-신사동 지역의 구정고, 현대고로 배정받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그런가하면 강남구와 가까운 곳에 있는 훼미리아파트의 가원중학교 학생들이 더 가까운 문정고로 배정을 받는 바람에[50]문정고가 강남구와 멀지만 중간에 고등학교가 없어 붕 떠버린 송파중학교를 중심으로 한 가락2동 일대 학생들의 강남 통학률이 높았다.[51] 이러한 현상 탓에 잠실고에서 잠실동 사는 학생을 찾는 것보다 잠신고에서 잠신동[52] 사는 학생을 찾는게 쉬웠다는 농담도 있다.

박정희 정권 당시 강남개발로 인하여 인구 이전을 시키려 강제 고등학교 이전명령으로 인해 다수의 사립고가 이전되게 되었다.[53] # 당시에 역사가 짧은 공립고등학교는 평이 좋지 않았다.[54] 또한, 거여동마천동 일대에는 일반계 고등학교가 없어 버스와 5호선을 타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증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이런 얘기도 먼 옛날 이야기가 된지 오래다. 송파구에 문정고[55], 문현고, 잠일고 등 고등학교가 증설되고, 전면무작위 배정에서 지명배정으로 서울시 고등학교 배정 제도가 바뀐 다음부터는 송파는 강동과 함께, 강남은 서초와 함께 서로 다른 일반학교군으로 묶이면서 탄천을 건너 강남으로 통학하는 것이 거의 없어졌다. 다만, 일부 상위권 학생들이 인근 보인고, 배재고, 중동고, 휘문고, 한대부고 등 자사고나 대원외고, 한영외고 등 외고과학고 같은 특목고로 진학하여 강남구를 포함한 다른 지역으로 통학하기도 한다.

특목고나 자사고가 아닌 일반고에 진학하고자 하는 신천중학교잠신중학교, 정신여자중학교의 학생들의 대부분은 영동일고를 선호하며 전기고인 과학고등학교를 떨어졌다거나 이과형인 학생들은 보통 일반적으로 잠신고의 과학중점반이나, 의대진학률이 높은 잠실여고에 지원한다. 여고를 희망하는 여학생들은 정신여고잠실여고 등에 원서를 넣는다. 지역형 자사고인 세화여고한대부고에도 많이 넣는다.

서울 내에서 학교폭력이 제일 적은 동네라고 볼수 있다. 2017년 서울 학교폭력 10만명당 검거된 청소년 통계를 보면 송파구(8.6), 마포구(9.1) ,강동구(9.7) ,강서구(10.1) 순으로 나타났다. 웬만한 동네들은 학교폭력 건수가 100건 이상 수준인데 송파구는 20~ 30여건밖에 되지 않으며 다른 동네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7.2. 공원

파일:석촌호수 가을 전경.jpg
석촌호수
파일:올림픽공원0.jpg
올림픽공원

강남개발 당시 새로 개발된 도시답게 녹지시설이 잘 마련되어 있는 지역이다. 서울을 대표하는 호수인 석촌호수와 여의도 절반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의 올림픽공원, 한강을 따라 있는 잠실한강공원 그 밖에 아시아공원, 오금공원, 문정근린공원 등 크고 작은 공원들이 많다. 탄천성내천이 동서로 흐르며 하천 주위로 산책로 또한 잘 마련되어 있어 운동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

석촌호수잠실동(잠실3동)과 신천동(잠실6동)에 걸쳐있는 호수로 송파대로를 기준으로 서(西)호와 동()호로 나누어져 있으며, 서호는 잠실동, 동호는 신천동에 속해 이름과는 달리 어디도 석촌동에 속하지 않는다. 1990년대 이후로 신도시 등지에 조성된 호수들[56]에 비하면 호수의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산책로에 그늘이 많아 걷기에 좋고 주거지로부터 접근성이 좋다.[57] 무엇보다도 봄에는 벚꽃놀이의 대표적인 명소이기도 하고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답게 피며 겨울에는 눈 쌓인 얼어버린 호수와 같이 사계절마다 특색이 다르고 주변에 롯데월드타워롯데월드 등 랜드마크들과 조화를 이루는 야경 또한 아름다워 서울시가 뽑은 서울의 아름다운 야경 10대 명소에 선정되기도 했다.

올림픽공원1988 서울 올림픽 개최를 기념하고자 1986년에 완공되었다. 서울특별시가 소유하고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운영중이다. 규모는 약 50만평정도이며 서울종합운동장의 좁은 부지 특성상 그 부지 안에 건설하지 못한 일부 종목의 경기장(체조, 펜싱, 역도, 수영, 테니스, 사이클)이 위치하고, 몽촌토성과 각종 현대 조각작품들이 전시된 공원 영역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공원이다.

현재는 경기장 상당수가 용도 변경되어 웬만한 콘서트는 여기서 치러지곤 한다. 물론 '체육시설'이기 때문에 체육행사가 우선시되며, 전문적 공연장에 비하면 질이 떨어지긴 한다. 하지만 전용 공연장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 엄청난 규모의 주차장과 등 주변 인프라가 워낙 뛰어나서 많은 사람을 모으기에는 이만한 곳이 없어 조금 부족해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민체육진흥공단도 이러한 문제를 잘 알고 있고 고질적인 재정문제로 인해 대관행사가 줄면 타격이 크기 때문에 올림픽공원 내 위치한 벨로드롬, K-아트홀등을 활용해 2021~2022년 내로 K-POP 전용 공연장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라 올림픽공원에서 콘서트 행사를 여는 풍조는 올림픽공원에 버금가는 규모의 공연인프라와 부지가 갑자기 생기지 않는 한 이어질 듯 하다. 자세한 사항은 올림픽공원 문서 내 각 시설물 설명 참고.

참고로 잠실주경기장, 잠실야구장 등이 위치한 서울종합운동장과는 관리 주체가 다르고, 위치도 다르다. 올림픽공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서울종합운동장은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다.[58]

7.3. 관공서

파일:Songpa-gu Office(2023).jpg
서울 송파구청

송파구청서울특별시 송파구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자치단체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26[59]에 위치하고 있다.

송파구는 분구 대신 문정지구 내에 규모를 늘린 신청사를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했었으나 송파구청, 신청사 건립추진…서울시 "쉽지 않은 일" 위례신도시 등 주변지역의 개발 본격화에 힘입어 장기간 미분양 상태였던 문정지구 업무용지가 빠른 속도로 매각되면서 송파구청 이전도 사실상 물건너 갔다.

2013년 5월 송파세무서에서 관할하던 잠실동, 신천동, 풍납동, 삼전동, 방이동, 오륜동, 오금동을 잠실세무서로 분리했다. 송파세무서와 같은 청사 1, 3층을 사용했는데[60] 이것을 분구를 위한 준비 작업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세무서는 중앙정부기관이므로 지방행정과는 어떠한 관련이 없다. 송파세무서만으로는 60만이 넘는 인구를 담당하기 벅차기 때문에 분서(分署)한 것일 뿐. 만일 그랬다면 강남구는 이미 3조각(강남, 삼성, 역삼)났을 거다. 대신 공간이 부족했는지 2014년 6월 14일자로 강동세무서가 길동사거리로 쫓겨났다. 그러면서 현재는 서로 주차장을 공유하지만 건물은 다른 바로 옆 청사를 사용하고 있다.

2017년 문정동 일대에 문정법조단지가 들어섰다. 서울동부지방검찰청, 서울동부지방법원, 서울지방경찰청 제3기동단, 서울동부구치소, 서울동부준법지원센터, 대검찰청 국가형사사법기록관 등이 모여있다. 오금역에 위치한 서울송파우체국, 바로 맞은편의 서울송파경찰서, 마천동 송파소방서가 송파구를 관할한다.

7.4. 의료기관

국내 최대 병상수를 가진 서울아산병원(2,732병상)이 풍납동에 있다. 덕분에 서울아산병원으로 가는 셔틀버스와 시내버스는 항상 터져나가는 중. 이 병원은 지역적으로는 송파, 강동, 하남뿐만 아니라 광진구 일부까지 커버하는 상급종합병원이지만, 지역의 의미가 없는 전국구 병원이다보니 오히려 지역민들이 이용하기에 편리하지만은 않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 국립경찰병원(279병상)이 있으며 경찰공무원 및 소방공무원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병원이지만 일반인도 이용하는 데는 전혀 문제 없다. 거여동(위례신도시)에 길병원(1,200병상)이 2024년 착공 예정이다. 거여, 마천, 오금, 장지동 주민들의 의료 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그 외 자잘한 병의원들은 많다. 강남3구에 속한만큼 미용 목적의 의원들도 많다.

7.5. 스포츠

서울특별시 송파구 연고 프로 구단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야구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농구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서울 SK 나이츠 서울 삼성 썬더스
축구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 }}}}}}}}}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개발된 지역이라 스포츠 관련 시설이 상당히 많으며 주로 서울종합운동장올림픽공원에 나뉘어 분포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 체육행정의 중추역할을 하는 대한체육회국민체육진흥공단이 있다.

종합운동장의 시설들은 여러 프로 구단들이 홈구장으로 사용 중이다.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LG 트윈스두산 베어스가 공동으로 사용 중이며, 서울 SK 나이츠서울 삼성 썬더스잠실학생체육관잠실실내체육관을 각각 사용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차상위 축구리그인 K리그2에 참가하는 서울 이랜드 FC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 자리잡고 있다.[61]

올림픽공원에는 SK 슈가글라이더즈의 홈구장인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 서울에 몇 없는 50m레인이 있는 올림픽수영장, 국제규격의 올림픽테니스경기장등 각종 국제규격에 맞는 스포츠 시설들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2021년부터 서울종합운동장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지나는 형식의 포뮬러 E 전용 서킷이 개장될 예정이다.

올림픽공원에는 현재 '올림픽스포츠콤플렉스'라는 명칭으로 2022~23년 완공을 목표로 국내최초로 국가주도하에 설립될 체육 전문 박물관인 국립체육박물관, 스포츠전문도서관, 스포츠행정기관 등이 들어서며 스포츠 행정타운으로 변화할 예정이다.[62] 자세한 사항은 올림픽공원(서울) 3.15문단참고

8. 산하 기관

9. 정치

8회 지선 송파구 개표 결과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투표율
후보 송영길 오세훈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5,890
(34.04%)
201,217
(64.69%)
- 95,327
(▼30.65)
313,297
(55.01%)
풍납1동 39.78% 59.01% ▼19.23 51.52
풍납2동 35.61% 63.26% ▼27.65 51.67
거여1동 39.80% 59.08% ▼19.28 49.85
거여2동 38.56% 59.92% ▼21.36 54.23
마천1동 40.56% 58.22% ▼17.66 47.09
마천2동 41.85% 56.97% ▼15.12 48.61
방이1동 34.79% 63.94% ▼29.16 53.69
방이2동 39.65% 58.82% ▼19.17 41.24
오륜동 21.00% 78.03% ▼57.03 62.99
오금동 34.70% 64.01% ▼29.30 52.16
송파1동 39.13% 59.44% ▼20.31 47.28
송파2동 31.61% 67.01% ▼35.40 58.33
석촌동 41.57% 56.96% ▼15.39 43.38
삼전동 42.66% 55.78% ▼13.11 43.52
가락본동 34.20% 64.64% ▼30.44 48.03
가락1동[G] 24.65% 74.45% ▼49.81 59.59
가락2동 35.80% 62.78% ▼26.98 52.94
문정1동 33.98% 64.90% ▼30.91 51.58
문정2동[H] 25.58% 73.33% ▼47.75 50.61
장지동 40.83% 57.72% ▼16.89 51.59
잠실본동 38.71% 59.76% ▼21.04 42.50
잠실2동 24.09% 74.78% ▼50.70 57.13
잠실3동 19.84% 79.26% ▼59.41 59.84
잠실4동 25.22% 73.62% ▼48.40 60.52
잠실6동 21.92% 77.25% ▼55.33 61.12
잠실7동 17.01% 82.31% ▼65.30 66.51
위례동[I] 40.60% 58.04% ▼17.43 52.79
후보 송영길 오세훈 격차
거소투표 26.08% 70.51% ▼44.42
관외사전투표 39.70% 58.82% ▼19.12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 오세훈 격차 투표율
송파구 갑[J][67] 31.92% 66.87% ▼34.95 53.22
송파구 을[K][69] 29.29% 69.54% ▼40.25 51.41
송파구 병[L][71] 37.85% 60.84% ▼22.99 51.22
송파구청장 선거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투표율
후보 박성수 서강석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9,533
(41.71%)
180,953
(58.28%)
- 51,420
(▼16.56)
313,300
(55.01%)
풍납1동 47.17% 52.82% ▼5.65 51.49
풍납2동 44.15% 55.84% ▼11.69 51.89
거여1동 47.04% 52.95% ▼5.91 49.85
거여2동 47.58% 52.41% ▼4.83 54.23
마천1동 47.96% 52.03% ▼4.07 47.08
마천2동 49.49% 50.50% ▼1.02 48.61
방이1동 43.02% 56.97% ▼13.95 53.68
방이2동 49.42% 50.57% ▼1.15 41.24
오륜동[F] 26.63% 73.36% ▼46.73 62.99
오금동 41.80% 58.19% ▼16.40 52.16
송파1동 48.31% 51.68% ▼3.37 47.27
송파2동 39.10% 60.89% ▼21.80 58.32
석촌동 49.83% 50.16% ▼0.33 43.37
삼전동 51.06% 48.93% △2.13 43.52
가락본동 42.10% 57.89% ▼15.80 48.02
가락1동[G] 30.41% 69.58% ▼39.17 59.59
가락2동 44.15% 55.84% ▼11.70 52.94
문정1동 41.08% 58.91% ▼17.83 51.56
문정2동[H] 32.89% 67.10% ▼34.21 50.59
장지동 48.99% 51.00% ▼2.01 51.57
잠실본동 46.95% 53.04% ▼6.09 42.55
잠실2동[A] 31.10% 68.89% ▼37.78 57.16
잠실3동[B] 25.78% 74.21% ▼48.43 59.83
잠실4동[C] 31.78% 68.21% ▼36.42 60.51
잠실6동[D] 29.68% 70.31% ▼40.63 61.12
잠실7동[E] 22.13% 77.86% ▼55.72 66.53
위례동[I] 49.44% 50.55% ▼1.11 52.65
후보 박성수 서강석 격차
거소·선상투표 39.36% 57.97% ▼18.62
관외사전투표 44.21% 52.39% ▼8.19
20대 대선 송파구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명 윤석열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80,490
(40.15%)
255,166
(56.76%)
- 74,676
(▼16.61)
453,536
(80.15%)
풍납1동 46.23% 50.43% ▼4.20 76.24
풍납2동 42.05% 54.69% ▼12.64 77.43
거여1동 47.07% 49.66% ▼2.59 77.22
거여2동 45.66% 50.60% ▼4.95 79.58
마천1동 48.78% 47.80% △0.99 72.48
마천2동 50.48% 46.15% △4.33 74.00
방이1동 42.91% 54.00% ▼11.09 80.87
방이2동 44.36% 51.98% ▼7.63 71.91
오륜동[F] 25.84% 71.82% ▼45.98 85.22
오금동 40.86% 56.15% ▼15.30 76.74
송파1동 45.55% 50.66% ▼5.11 77.39
송파2동 37.16% 60.00% ▼22.85 81.80
석촌동 48.06% 48.41% ▼0.35 72.71
삼전동 48.41% 47.90% △0.51 72.79
가락본동 40.47% 56.08% ▼15.61 75.59
가락1동[G] 30.40% 67.25% ▼36.84 84.08
가락2동 40.36% 56.44% ▼16.08 79.13
문정1동 41.93% 55.13% ▼13.21 80.39
문정2동[H] 30.52% 66.72% ▼36.20 79.07
장지동 46.09% 50.72% ▼4.63 79.39
잠실본동 44.42% 52.13% ▼7.71 72.03
잠실2동[A] 29.55% 68.17% ▼38.62 83.25
잠실3동[B] 24.55% 73.16% ▼48.61 81.85
잠실4동[C] 29.81% 67.91% ▼38.10 83.44
잠실6동[D] 27.67% 70.24% ▼42.57 81.70
잠실7동[E] 23.09% 74.88% ▼51.79 84.74
위례동[I] 45.04% 51.61% ▼6.57 80.60
후보 이재명 윤석열 격차
거소·선상투표 39.36% 57.97% ▼18.62
관외사전투표 44.21% 52.39% ▼8.19
재외투표 46.83% 49.63% ▼2.81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 윤석열 격차 투표율
송파구 갑[J][91] 38.21% 58.78% ▼20.58 79.11
송파구 을[K][93] 35.56% 61.60% ▼26.04 78.17
송파구 병[L][95] 44.10% 52.63% ▼8.53 77.75
지역 이재명 윤석열 격차 투표율
위례신도시[96] 44.65% 52.53% ▼7.88 80.06
21대 총선 송파구 개표 결과[97]
국회의원 선거 (송파구 갑)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투표율
후보 조재희 김웅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4,704
(48.02%)
58,318
(51.20%)
- 3,614
(▼3.17)
114,985
(72.0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풍납1동 52.80% 46.02% △6.78 64.42
풍납2동[98] 51.78% 47.36% △4.42 69.39
방이1동 49.22% 50.06% ▼0.84 72.37
방이2동 56.00% 42.89% △13.11 62.37
오륜동[99] 33.80% 65.75% ▼31.94 79.03
송파1동 55.11% 43.95% △11.15 65.99
송파2동 45.58% 53.81% ▼8.23 74.51
잠실4동[100] 41.79% 57.87% ▼16.08 76.60
잠실6동[101] 35.36% 64.14% ▼28.78 75.12
후보 조재희 김웅 격차
거소·선상투표 46.83% 50.00% ▼3.16
관외사전투표 56.75% 42.20% △14.55
재외투표 50.00% 49.21% △0.78
}}}}}} ||
국회의원 선거 (송파구 을)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투표율
후보 최재성 배현진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5,763
(46.04%)
72,072
(50.46%)
- 6,309
(▼4.42)
143,935
(71.9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석촌동 56.67% 38.52% △18.14 63.08
삼전동 57.42% 37.86% △19.55 63.60
가락1동[102] 39.04% 58.17% ▼19.13 77.88
문정2동[103] 41.91% 54.48% ▼12.57 69.67
잠실본동 54.20% 41.66% △12.54 63.11
잠실2동[104] 41.19% 56.47% ▼15.28 76.21
잠실3동[105] 33.69% 63.73% ▼30.04 75.65
잠실7동 29.35% 68.25% ▼38.90 79.59
후보 최재성 배현진 격차
거소·선상투표 49.76% 47.00% △2.76
관외사전투표 55.51% 40.54% △14.97
재외투표 50.67% 46.09% △4.58
}}}}}} ||
국회의원 선거 (송파구 병)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투표율
후보 남인순 김근식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8,789
(52.48%)
64,869
(43.21%)
+ 13,920
(△9.27)
151,513
(70.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거여1동 51.13% 42.29% △8.84 68.60
거여2동 53.95% 39.35% △14.60 68.77
마천1동 53.22% 41.12% △12.10 59.45
마천2동 55.20% 38.92% △16.28 65.36
오금동 49.10% 47.48% △1.62 68.86
가락본동[106] 51.09% 45.91% △5.18 66.25
가락2동 49.21% 47.36% △1.85 72.10
문정1동 48.55% 48.18% △0.37 68.30
장지동 54.95% 41.15% △13.80 69.72
위례동 53.47% 42.87% △10.59 73.01
후보 남인순 김근식 격차
거소·선상투표 45.71% 40.00% △5.71
관외사전투표 59.56% 35.49% △24.07
재외투표 67.08% 30.37% △36.70
}}}}}} ||
비례대표 선거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50,549
(37.86%)
117,855
(29.63%)
35,331
(8.88%)
35,553
(8.94%)
22,487
(5.65%)
+ 32,694
(△8.22)
410,478
(71.2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풍납1동 34.50% 34.01% 8.86% 7.42% 5.33% △0.49 64.32
풍납2동 35.6190% 31.15% 9.85% 8.92% 5.85% △4.45 69.40
거여1동 34.93% 32.55% 7.83% 7.10% 5.31% △2.37 68.57
거여2동 32.19% 33.24% 9.19% 7.65% 5.41% ▼1.05 68.71
마천1동 32.61% 34.70% 7.88% 6.27% 5.37% ▼2.09 59.45
마천2동 32.38% 37.59% 7.69% 5.39% 4.87% ▼5.21 65.34
방이1동 37.60% 29.91% 9.02% 9.10% 5.68% △7.70 72.36
방이2동 30.63% 35.17% 8.90% 8.42% 5.95% ▼4.53 62.37
오륜동[F] 50.62% 19.58% 7.21% 11.11% 4.91% △31.04 79.02
오금동 37.15% 29.31% 8.47% 8.53% 5.35% △7.83 68.85
송파1동 32.53% 34.45% 9.06% 8.35% 5.74% ▼1.92 66.01
송파2동 40.91% 28.57% 7.74% 9.90% 5.08% △12.34 74.51
석촌동 30.53% 36.14% 10.46% 7.27% 5.75% ▼5.61 63.09
삼전동 30.31% 36.39% 11.36% 6.94% 5.76% ▼6.07 63.61
가락본동 36.39% 30.71% 8.91% 8.76% 5.23% △5.68 66.25
가락1동[G] 44.81% 22.99% 8.66% 12.01% 5.00% △21.82 77.88
가락2동 37.03% 29.38% 8.82% 9.36% 5.46% △7.65 72.08
문정1동 38.24% 29.16% 8.68% 8.11% 5.41% △9.08 68.32
문정2동[H] 44.71% 23.73% 8.90% 10.55% 4.97% △20.98 69.67
장지동 31.69% 33.59% 9.26% 8.28% 6.07% ▼1.91 69.71
잠실본동 33.12% 34.23% 9.95% 7.62% 5.99% ▼1.11 63.11
잠실2동[A] 45.68% 23.75% 8.32% 10.96% 5.90% △21.92 76.20
잠실3동[B] 52.17% 19.76% 7.24% 10.00% 4.62% △32.41 75.66
잠실4동[C] 46.26% 23.19% 7.78% 11.19% 5.46% △23.07 76.60
잠실6동[D] 49.74% 20.73% 7.06% 10.24% 4.97% △29.01 75.13
잠실7동[E] 58.38% 15.31% 6.25% 9.31% 4.72% △43.07 79.59
위례동[I] 35.18% 30.35% 8.88% 10.76% 6.27% △4.83 73.02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거소·선상투표 35.34% 26.46% 4.59% 11.25% 5.07% △8.87
관외사전투표 30.63% 33.62% 10.53% 8.49% 7.42% ▼2.98
재외투표 34.80% 31.21% 8.93% 5.33% 11.90% △3.59
}}}}}} ||
서울특별시 송파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 선거구명 지역
국회의원 송파구 갑 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
송파구 을 석촌동, 삼전동, 가락1동, 문정2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송파구 병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장지동, 위례동
시의원 송파구1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송파구2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송파구3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송파구4 삼전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송파구5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장지동, 위례동
송파구6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역대 선거 결과를 볼 때 갑, 을은 보수정당, 병은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했다. 전체적으로는 민주당 vs 보수정당의 스윙보터 지역으로서의 역할을 해왔고, 서울 내에서는 강남3구로 묶여 용산구와 함께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동네마다 정치색이 다르다. 송파구 또한 집값이 비싼편에 속하다보니 송파구 주민들 중에는 고학력에 전문직에 종사하거나 성공한 자영업자나 중소기업 오너, 대기업 임원 등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부자들이 많다. 특히 선거 상 송파 갑에 속해있는 신천동 아파트들과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가 있는 오륜동, 올림픽공원과 마주보는 위례성대로변을 따라 다수의 고급빌라트가 위치한 방이1동방이2동 일부[116], 송파 을에 속해있는 아시아선수촌아파트가 있는 잠실7동, 그리고 올림픽훼밀리타운[117]가 있는 문정2동은 웬만한 강남 지역 보다 더한 보수 강세 지역이다. 이 동네들로 인해 송파구가 보수를 선호하는 정치 지형으로써의 강남3구라고 봐도 무방하다.[118]

갑구의 경우 네 개의 동에서 유독 보수정당 몰표가 나오고 있는데, 바로 잠실4동, 6동과 오륜동, 송파2동이다. 민주당계 정당은 이 네 곳을 넘지 못하고 늘 낙선한다. 대단지 아파트들[119]이 밀집해있어 인구도 많은 데다, 고급 빌라트나 재건축 아파트 등의 영향으로 고소득자들이 거주하는 경우가 대체로 많다. 그런 관계로 다른 동네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앞서도 오륜동, 송파2동 및 잠실4,6동에서 보수정당에 몰표가 나오기 때문에 득표율이 대체로 보수 55 : 진보 45 정도로 나왔다.

을구의 경우 2010년대 중반에는 민주당이 다소 우위를 보였다. 그동안 보수정당이 계속 당선되는 이유는 문정2동의 올림픽훼미리아파트와 잠실3,7동 에서의 압도적인 지지 덕분이었다. 하지만 그동안 문정2동과 잠실2동의 개발이 끝나서 젊은층이 많이 유입되었고, 박근혜 정부의 실정 및 세대 투표의 이점으로 20대 총선부터 7회 지선까지는 더불어민주당이 승기를 잡았다. 하지만 가락1동의 헬리오시티가 2018년 12월에 완공되면서 자유주의 성향의 부유층이 무려 9,500세대나 입주했고, 문정2동 법조단지의 입주 및 종부세 이슈로 문재인 정부에 대한 민심이 급격히 악화되는 바람에 2020년에 들어서는 보수세가 강화된 모습을 보인다.

병구는 거여동, 마천동 등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은 주민들이 대거 거주하기 때문에, 분구된 이래로 단 한 번도 보수정당에게 의석을 내주지 않은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이었다. 하지만 오금동,가락동,문정동은 상대적으로 보수가 높다.예외적으로 19대 총선에서는 김성순 대신 공천을 받은 정균환 전 의원이 김을동에게 패하며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보수정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송파구의 또다른 특징으로는, 출구조사와 실제 결과가 다르기로 유명하다. 국회의원 총선거에서는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120]를 빼고는 3개 선거구 모두 단 한번도 출구조사에서 접전으로 안 나온 적이 없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때부터 시작된 송파구의 접전 구도는 무려 2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까지만 하더라도 민주당계 정당이 강세를 보였으나, 1996년 15대 총선에서 민주당계 정당의 분열 및 신한국당의 대규모 신인 공천으로 보수정당 쪽으로 지형이 기울어지기 시작했다. 그 이후로 송파구 갑, 을 지역에서는 박근혜 정부 시기를 제외하면 간발의 차이로 보수정당이 우위를 보이고, 병 지역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이 우위를 보이며 전체적으로 접전을 펼치는 경향이 있다.[1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로는 맹형규를 제외하고 송파구에서 3선 이상을 한 국회의원이 없었지만, 21대 총선에서 송파 병에서 남인순이 당선되며 송파구의 두 번째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하지만 남인순은 초선을 비례대표로 했기 때문에 지역구로는 재선에 가깝다. 때문에 다른 지역과 달리 송파구를 정치적 기반으로 삼은 정치인이 누구인가 하면 잘 떠오르지 않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2017년에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홍준표 후보와 국민의당안철수 후보를 상대로 약 18%p차의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문 후보는 잠실7동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행정동에서 승리했다.

구청장 선거에서는 보수정당이 상당한 강세를 보인 지역이었다. 2002년부터 2014년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한나라당새누리당이 연이어 구청장을 가져갔으나,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보수정당 심판론에 휩쓸려 20년 만에 더불어민주당이 구청장 자리를 가져갔다. 더불어민주당 박성수 후보가 자유한국당 박춘희 후보를 20%p 가까이 되는 격차로 무난하게 승리하였다.

2022년 3월에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를 상대로 16.6%p 차로 압승하였는데, 마천동과 삼전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윤석열 후보가 승리하였고, 잠실과 같은 보수 강세 지역에서는 이재명 후보를 압도하는 결과가 나왔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국회의원
송파구 갑 송파구 을
13대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우석 (초선)
김종완 (초선)
14대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조순환 (초선)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김종완 (재선)
송파구 갑 송파구 을 송파구 병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홍준표 (초선)[122]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맹형규 (초선)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병태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회창 (초선)[123]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맹형규 (재선)
김성순 (초선) [124]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맹형규 (3선)[125][126]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계동 (재선)
이근식 (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영아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일호 (초선)
김성순 (재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인숙 (초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유일호 (재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을동 (재선)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인숙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명길 (초선)[127]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남인순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재성 (4선)[128]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웅 (초선)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배현진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남인순 (3선)
서울특별시 송파구청장
1기 (95~98)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김성순 (초선)
2기 (98~02)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성순 (재선)[129]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유택 (초선)[130]
3기 (02~06)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유택 (재선)
4기 (06~10)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순 (초선)
5기 (10~14)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춘희 (초선)
6기 (14~18)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춘희 (재선)
7기 (18~22)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성수 (초선)
8기 (22~26)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서강석 (초선)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송파행정.png 파일:송파법정.jpg
송파구의 행정동 송파구의 법정동

잠실동과 신천동은 옛 고양군 뚝도면, 풍납동은 옛 광주군 구천면에 속했으며, 나머지 지역은 옛 광주군 중대면에 속했다.

10.1. 잠실본동,잠실2,3,4,6,7동

관할 법정동은 잠실동과 신천동이다. 잠실본, 2, 3, 7동잠실동, 잠실4, 6동신천동이지만 다 잠실로 불리고, 그렇게 불려도 어색하지 않다. 잠실로 불리는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잠실 문서로.

10.2. 삼전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9,526명.[P] 잠실본동과 석촌동 사이에 끼인 동네이다. 다세대주택이 많으며 삼전초, 배명중고, 송파구의회, 송파구민회관이 있다. 2018년 12월 1일 서울 지하철 9호선 삼전역석촌고분역 등 두 역이 개통됐다.

10.3. 석촌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1,054명.[P] 서쪽으로 삼전동, 동쪽으로 송파동 사이에 끼여있다. 북쪽으로는 석촌호수 서호와, 남쪽으로는 헬리오시티와 접한다. 석촌초, 석촌동 백제고분군이 있으며 다세대 주택이 거의 대부분인 것은 삼전동, 송파동과 비슷하다. 9호선이 동의 가운데를 지난다.

10.4. 송파1동, 송파2동

관할 법정동은 송파동이다. 석촌호수 동호의 남쪽이자 송파대로의 동측에 위치한 주거지역으로 가락로를 경계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에 해당한다. 인구는 1동 23,693명, 2동 18,806명.[P]

대부분 다세대 주택이지만 잠실여고, 일신여중여상, 중대초, 가락중, 가락고가 있는 2동에 아파트가 몰려있다.

1동에는 송파초와 송파한양1차아파트만 있다. 석촌역송파역이 동의 좌측을 지나간다. 입지상으로는 가락삼익맨숀[141]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의 오금역, 다세대 주택 근처의 송파역으로 교통은 편리한 편. 잠실을 걸어갈 수 있다.

10.5.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관할 법정동은 방이동이다. 가락로의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에 해당하며, 위례성대로 북쪽으로는 오륜동이다. 인구는 1동 15,361명, 2동 25,795명, 오륜동 17,784명.[P]

올림픽공원을 따라있는 위례성대로 뒷편 이면도로가는 소규모의 고급빌라와 대부분의 다세대 주택으로 이루어진 주거지역이다.

위례성대로를 축으로 오륜동과 북측으로 맞닿아있는 1동의 경우 공원뷰때문에 대로변을 따라서 유명음식점과 까페[143], 학원[144], 고급 주상복합등이 들어서 있다. 1동의 동쪽은 방이역과 닿아 있으며 방이초, 방산초중고, 방이동 백제고분군이 있다.

2동에는 9호선 역 2가 지나간다. 방이중, 한미약품 본사와 한미사진미술관이 있다. 몽촌토성역 2번, 3번 출구 근처에는 방이맛골이 형성되어 있다.

10.6. 풍납1동, 풍납2동

관할 법정동은 풍납동이다. 풍성로를 기준으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인구는 1동 12,386명, 2동 24,241명.[P]

동 이름의 어원인 풍납토성이 있다. 풍납토성의 여파로 동네가 그리 발달하지 못했다. 성내천으로 인해 잠실신천동과 갈라지기도 했고, 강동구 성내동천호동과 바로 붙어있는지라 사실상 동네 분위기 및 생활권이 강동구다. 때문에 외지인들에겐 풍납동 자체가 강동구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146] 풍납1동에는 풍납초, 풍납2동에는 풍성초중, 풍납중, 토성초, 영파여중고, 서울아산병원, 잠실세무서, 송파세무서가 있다.

10.7. 오금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1985년 9월 1일 방이동에서 분리되었다. 인구는 37,800명.[P]

양재대로-중대로의 서북부, 중대로-동남로의 중부, 동남로-문정로의 동남부로 나뉜다.

성내천이 올림픽선수촌아파트로부터 중부로 흘러내려와 마천로 밑을 지나서 아남아파트/보인중고 인근을 지난다. 서북부는 아파트가 많은 지역으로 마천로 북측에는 오금대림 1, 2단지, 현대백조, 쌍용아파트, 올림픽파크 센트레빌아파트가 있으며 오금초/세륜중이 있다. 방이역 옆 골목(위례성대로20길)에는 식당거리도 있다.

마천로 남부에는 오금현대2,3,4차아파트가 있고 오금역과도 접한다. 오금역 인근에는 오금중고가 있으며 일룸/퍼시스 본사 및 송파어린이문화회관이 있다. 중부는 주택과 빌라가 많은 지역이다. 마천로 북부의 절반은 동서울화훼단지가 있었는데, 오금공공보금자리주택지구(송파레미니스 1단지,송파레미니스 2단지,민간분양인 송파호반베르디움더퍼스트)가 개발되었다. 나머지 절반은 빌라이다

마천로 남부도 거의 대부분 오금공원이 차지하고 있으며 오금동아남아파트, 오주중, 송파참노인병원, 송파도서관이 위치해있고 나머지는 모두 빌라이다. 동남부에는 마천로 북부에는 하남시의 영역도 꽤 있으며 누에머리공원과 거여초교가 있다. 마천로 남부에는 오금동우방/영풍/송파두산위브, 성내천, 목련공원, 가랑우창/상아/오금삼성아파트, 보인중학교, 보인고등학교, 개롱초가 있다. 개롱역이 오금동과 가락2동의 경계에 걸쳐져 있다.

10.8. 마천1동, 마천2동

관할 법정동은 마천동이다. 인구는 1동 18,479명, 2동 17,995명.[P]

마을 동쪽에 있는 천마산에서 비롯되었다. 다른 유래로는 조선 중기 임경업 장군이 이곳에서 백마를 얻어 거여동 지역을 지나다가 말에게 물을 먹인 곳이 백마물이란 곳인데, 가뭄이 심해도 물이 계속 나온다고 하여 마천동이라고 했다고 한다.

송파구 안에서 거여동과 함께 개발이 늦게 진행되었던 곳 중 하나이다. 거여마천뉴타운이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되면서 다시 개발이 시작되고 있다.

지리적, 교통적 여건과 인근에 군부대와 그린벨트 때문에 개발이 늦어진 것이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149]

5호선 마천지선의 종점인 마천역, 마천초가, 2동에 남천초, 마천시장, 송파소방서가 있다. 이곳도 저밀도 주거지역이고 성내천의 끝자리에 있으며 남한산성도립공원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다.[150]

바로 뒤 감일지구와 위례신도시의 개발과 함께 마천 또한 변화하고있다. 거여마천뉴타운 재개발을 통한 롯데캐슬과 e편한세상을 중심으로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편이다. 또한 위례신도시가 완공되면 위례와 마천을 잇는 트램이 설치될 예정이다.

마천4구역 재개발에 입찰한 현대건설이 디에이치 브랜드를 공약으로 하여 출사표를 던졌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강남3구 낙수효과의 시작이자 마천동이 아무리 변방이어도 어쨌든 강남3구라는 이미지를 건설사가 인정했다는 데 고무된 분위기. 불과 10년 전만 해도 거마대학생이라는 사회문제로 비화될 정도로 피라미드 업체가 난립하던 거여, 마천동 일대가 반포동, 개포동 수준의 초호화 아파트가 들어서기로 약속된 곳이 되었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병(丙) 선거구에 속한다.

10.9. 거여1동, 거여2동

관할 법정동은 거여동(일부)이다. 거마로, 양산로, 위례서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인구는 1동 12,181명, 2동 23,653명.[P]

송파구 안에서 마천동과 함께 개발이 늦게 진행되었던 곳 중 하나이다. 거여마천뉴타운이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되면서 다시 개발이 시작되고 있다. 그 이유는 거여동 남부에 절반 넘게 차지하고 있었던 육군특수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 미군부대[152] 및 기타 군 관련 시설과 그린벨트로 인하여 거여동 북부와 남부가 막혀있었던 탓이 컸다.[153]

육군특수전사령부 및 관련 군부대들이 2016년 경기도 이천으로 이주완료하여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가 사라졌고[154] 그 덕분에 거여동과 마천동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추가적으로 남부 위례신도시 북부 감일신도시가 생기며 위 아래로 도로가 새로 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해졌고 결과적으로는 두개의 신도시 사이에 위치하게 되었다.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거여1동을 제외한 거여2동 및 마천동이 2005년에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었지만 한 차례 취소되고 오랜기간에 거쳐 다시 진행중이며 거여2-1구역 송파 시그니처 롯데캐슬은 2022년 완료되었다. 거여2-2구역 e편한세상 송파 파크센트럴은 공사가 2020년 공사가 완료되었다.

그 외 지역주택조합 거여1동 3곳이 진행중이며, 거여2동 새마을지역의 경우 과거 재개발 구역이 해제 되었으나. 재개발을 다시 추진중이다.

거여역 주변으로 빌딩 건물을 부수고 신축 및 리모델링 하는 건물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상가들이 입점하며 거여역 중심으로 상권이 확장되고 있다. 주변의 아파트 개발과 맞춰서 거여역 주변이 새롭게 태어날것으로 예상된다.

10.10. 가락1동, 가락2동, 가락본동

관할 법정동은 가락동이다. 탄천교와 광평교를 통해 강남구와 접한다.
  • 가락본동: 인구는 25,616명.[P] 북쪽으로 양재대로, 서쪽으로 송파대로와 접하며 가락시장역에서 국립경찰병원 사이에 오피스지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락시장역 5번 출구 앞에 중앙전파관리소가 있다. 오금역 5번 출구 앞에 서울송파경찰서가 있다. 이외에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동부지청, 신가초, 석촌중, 서울평화초, 가원중이 있다.
  • 가락1동: 인구는 27,387명.[P] 송파대로의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가락시장헬리오시티, 송파동부센트레빌, 탄천변의 탄천유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때 헬리오시티 재건축으로 2018년 3월 기준 800명대까지 인구가 줄었었다. 2019년 다시 입주해 2020년 2월 기준 28,000명 선을 회복했다. 지금은 27,000명 선을 유지 중.
  • 가락2동: 인구는 31,501명.[P] 북쪽으로 중대로, 오금로와 접하며 가동초, 가주초, 송파중이 있다. 알수 있겠지만, 옛 구치소 바로 근처에 학교가 세개나 있다. 심지어 2차선도로를 두고 접해있는 가동초에선 4~5층만 올라가면 구치소 내부가 훤히 보였다. 하지만 구치소는 2017년 6월에 이전하였다.

10.11. 문정1동, 문정2동

관할 법정동은 문정동(일부)이다. 광평교를 건너면 강남구 수서동이다. 송파대로의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에 해당한다.

10.12. 장지동

관할 법정동은 문정동(일부)·장지동(일부)이다. 인구는 28,949명.[P]

문현초중고,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162], 장지역, 복정역, 송파글마루도서관과 장지공영차고지가 있다. 장지역 일대에 송파파인타운 택지지구가 조성되었다.

복정역 2번 출구쪽에 복정역 환승센터가 있고, 송파대로가 관통해서 이용할 수 있는 버스 노선이 많다. 위례신도시 개발계획에 따르면 복정역 주변에 업무지구, 상업지구가 조성될 예정이다. 그리고 서울 경전철 위례선의 종착역으로 예정되어 있어서 3개 노선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3번출구 북쪽에는 서울 복합물류단지가 존재한다. 2번 출구 및 3번 출구 길 건너 맞은편 헌릉로 - 성남대로와 창곡천 사이 자투리 땅에는 ' 장지화훼마을'이라는 판자촌이 있다.

10.13. 위례동

관할 법정동은 거여동(일부)·장지동(일부)이다. 인구는 44,477명[P]으로 송파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

위례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면서, 2015년 7월 6일 장지동에서 분동되었다.[164] 송례초, 송례중이 있다.

2015년 12월 7일부로 성남시, 하남시와의 경계가 조정되었다.

11. 기타

송파구 홈페이지가 웹 접근성 인증마크를 획득했다.

인구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구임에도 잠실을 제외하면 각 동네의 인지도는 낮다. 실제로 타지 사람에게 "삼전동 살아요", "오금동 살아요", "방이동 살아요"라고 하면 전혀 못 알아듣다가 잠실에서 가깝다, 올림픽공원 옆동네 라는 식으로 이야기해야 그제서야 "아~" 하고 알아듣는 정도.

서울에서 강서구와 더불어 공항고도제한이 묶인 자치구다. 김포국제공항이 있는 강서구와 달리 송파구에는 공항도 없는데 왜 묶여있나 의아할 수 있다. 그것은 서울에서 바로 나가면 있는 서울공항 때문이다. 송파구는 서울공항 활주로 방향에 있어 상당한 지역들이 고도제한이 꽤 엄격하게 묶여 있으며, 이 때문에 개발제한이 심해 언급했다시피 강남 3구 중에서도 도심을 형성하지 못한 유일한 구가 되었다. 지금은 완공된 롯데월드타워 역시 이 고도제한 때문에 1980년대부터 무려 20여년 간 보류상태로 있다가, 결국 활주로 각도를 살짝 비틀면서 공역을 피해 어렵사리 지은 것이다.

2006년 이후 갑작스럽게 인구가 폭발스럽게 증가했다. 이는 잠실주공 재개발이 완료되어 입주한 영향이 크다. 5~6층짜리 아파트에서 고층아파트로 바뀌면서 세대수가 늘었다. 그 결과 60만 명을 간신히 넘기는 수준이던 인구가 갑작스럽게 증가해 70만명에 육박하던 시절도 있었으나 현재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인근에 위례신도시[165]와 미사강변신도시, 세곡동보금자리지구가 생기면서 송파구를 생활권으로 삼던 사람들이 하남시, 성남시, 강남구 세곡동쪽으로 전출한 영향, 가락1동의 재건축으로 거주하던 사람들이 타지역으로 전출한 영향으로 인한 것이다. 다만 위례신도시가 송파구쪽에도 걸쳐져있고 문정업무지구쪽에 신규아파트가 생겼기 때문에 전출하는 사람보다는 적지만 전입자도 있어서 인구수가 급감하는 현상으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향후 헬리오시티 입주, 문정업무지구 완공에 따른 기업 입주가 본격화되면 다시 인구가 증가할 수도 있다.

시설명칭이 위치한 법정동명과 다른 시설이 유독 많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상업시설을 제외해도 이정도이고 오피스텔, 종교시설, 상업시설까지 포함하면 정상적인 경우가 별로 없다.

12. 출신 인물

13. 관련 문서



[1] 13개 법정동, 27개 행정동[2] 2022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3] 송파구 가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이강무, 장종례
송파구 나선거구 (방이2동, 오류동): 김광철
송파구 다선거구 (방이1동, 송파1동, 송파2동): 박경래
송파구 라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손병화, 이혜숙
송파구 마선거구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7동): 김영심, 김순애
송파구 바선거구 (삼전동, 잠실3동): 최상진
송파구 사선거구 (거여1동, 마천1동, 마천2동): 이하식
송파구 아선거구 (거여2동, 장지동, 위례동): 장원만
송파구 자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김성호
송파구 차선거구 (가락2동, 문정1동): 김행주
비례대표: 전정, 곽노상
[4] 송파구 가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김정열
송파구 나선거구 (방이2동, 오류동): 정주리
송파구 다선거구 (방이1동, 송파1동, 송파2동): 최옥주
송파구 라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박성희
송파구 마선거구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7동): 배신정
송파구 바선거구 (삼전동, 잠실3동): 김호재
송파구 아선거구 (거여2동, 장지동, 위례동): 조용근
송파구 자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신영재
송파구 차선거구 (가락2동, 문정1동): 박종현
비례대표: 김샤인
[5] 송파구 사선거구 (거여1동, 마천1동, 마천2동): 나봉숙[6] 송파구 제1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김규남 (초선)
송파구 제2선거구 (방이1동, 방이2동, 오류동, 송파1동, 송파2동): 남창진 (재선)
송파구 제3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임춘대 (초선)
송파구 제4선거구 (삼전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이성배 (재선)
송파구 제5선거구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장지동, 위례동): 유정인 (초선)
송파구 제6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김원태 (재선)
[7] 송파(松坡)는 '소나무 언덕'이라는 뜻이다.[8] 1988 서울 올림픽 관련[9] 원래 1위는 노원구였으나 위례신도시, 아파트 개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송파구에 비해 노원구는 아파트 개발도 별로 없고 별내신도시 등이 생겨나면서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강서구마곡지구 개발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면서 송파구가 1위, 강서구가 2위, 강남구가 3위, 노원구는 4위이다.[10] 현재 천안은 인구가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고 전주는 성장세가 멈춰있지만, 송파를 비롯한 서울은 인구 감소 추세이기 때문에 조만간 송파구의 인구를 역전할 것으로 보인다.[11] 강남구, 송파구, 강서구는 대도시 특례의 기준인 인구 50만 명 이상을 넘는 대형 기초자치단체이다. 즉 만약 이 세 구가 서울에서 독립되면 경기도 산하의 대도시가 된다는 것이다.[12] 대통령령 제 12367호에 의해 강동구에서 송파구가 분리 신설. 명칭을 잠실구나 올림픽구로 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고려시대부터 불렸던 지명인 유서있는 송파라는 명칭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소나무가 많은 언덕이라는 뜻의 '송파(松波)'에서 유래한 송파구이다.[13] 강동송파교육지원청 관할[14] 언론 보도 등에서 강남구, 서초구와 함께 강남3구로 불리기도 하는데 그중 가장 동쪽에 있다. 연합뉴스[15] 송파구청장은 송파구는 88서울올림픽으로 탄생한 곳이며,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하여 서울시에서는 잠실에 주경기장을 비롯한 올림픽 컴플렉스를 건설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16] 법적인 용어는 아니지만 언론 등에서 통용된다. 2020년대 들어 강남구 평당 약 8,400만원에 22억, 서초구 평당 약 7,800만원에 20억, 송파구 평당 약 6,100만원에 16억 정도 수준에서 등락을 지속 중이다.[17] 예로, 마천역에서 북쪽 방향으로 쭉 올라가면 고덕역이다.[18] 1996년 12월 6일에 특허청에서 업무표장 심사를 통과했으므로, 그 시점 전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19] 제정 당시에는 공사중.[20] 현재 송파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21] 남산이 누에의 모습을 하고 있기에, 이 '누에'를 잘 키우면 조선에 복이 온다고 했는데, 이걸 키우는 방법이 바로 누에의 입에 해당하는 잠실에 뽕나무를 대량으로 심는 것이었다. 그래서 동네 이름도 누에방이란 뜻의 蠶室인 것이다. 이 잠실이 현재 강남구 지역에도 하나 더 있었는데, 송파구 잠실동이 먼저 서울에 들어가버리는 바람에 강남구(현 서초구) 잠실동은 잠실동이라는 이름을 받지 못하고 주변의 신원리와 합쳐서 잠원동이 되어버렸다.[22] 삼전도는 섬이 아니라 나루터 도(渡)를 쓴다.[23] 이 훼손 용의자는 이후 2012년 12월, 노태우 전 대통령 생가 방화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리고 2016년 12월 1일에는 또다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생가에 불을 질렀다.[24] 한때 고양군은 사대문안과 용산구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현대 서울의 강북지역(여의도 및 잠실 포함)을 차지하고 있었다.[25] 이 과정에서 송파강의 일부를 호수로 남긴 것이 바로 석촌호수이다.[26] 강남구와는 탄천으로 갈라져 있지만, 강동구와는 시가지가 연속되어 있어 길바닥에 금 그어놓은 것과 다름없기도 하다.[27] 현재 각자 구 이름이 붙은 케이블이 있지만 채널 번호가 99% 공유한다.[28] 본점을 비롯한 상당수 지점이 광진구 관내에 있고 정작 성동구에는 금호/옥수지점 달랑 2곳뿐이라 좀 더 포괄적인 명칭으로 바꾼 듯.[29] 사실 여기만 그런 것이 아니라, 지역단위 농협들은 과거 시(도농통합시 제도 이전)·구·읍·면당 1개소를 두었기 때문에 이후 행정구역의 변천과는 별개로 각 지역단위 농협들은 전통적인 행정구역을 따라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경기도 고양시의 경우 신도읍, 원당읍, 벽제읍, 일산읍, 지도읍, 송포면 등 고양군 시절 행정구역들이 1992년 고양시 승격으로 모두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양농협 또는 일산농협/덕양농협 등으로 통합하지 않고 여전히 신도농협, 원당농협, 벽제농협, 일산농협, 지도농협, 송포농협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부천시 역시 부천군 시절 소사읍에 해당되는 곳은 부천농협(구 소사농협)이, 오정면에 해당되는 곳은 오정농협이 따로 유지되고 있다(이 때문에 오정농협은 오정구 관내 농협들뿐만 아니라 원미구에 있는 도당농협, 약대농협도 관할한다). 안산시의 경우 안산농협(구 시흥군 수암면), 군자농협(구 군자면), 반월농협(구 화성군 반월면)의 3개 지역단위 농협이 안산시를 3분하여 관할하며, 안산농협은 시흥시 연성동, 목감동 일대까지, 군자농협은 시흥시 군자동, 정왕동 일대까지, 반월농협은 군포시 대야동, 수원시 입북동 일대까지 관할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서구 역시 1995년 김포군 검단면을 편입하였으나, 기존 인천직할시 서구를 관할하는 서인천농협과 기존 검단면을 관할하는 검단농협이 여전히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30] 잠실우성 아시아선수촌-파크리오-진주-미성크로바-장미-잠실주공5단지-리센츠-엘스-트리지움-레이크팰리스 순.[31] 올림픽공원 조망권이 있는 해태그린피아빌라트, 한솔리치빌, 한승오디브, 태평양파크빌라트 등과 같은 초대형평수 고급 주상복합들. 분양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싼 분양가를 자랑했던 고급주택들이었다. 올림픽아파트 가장 넓은 평수의 몇 배 가격이었다고 한다. 오래된 아파트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여기 사는 사람들은 여전히 부촌의 기준에 부합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도심에서 볼 수 없는 50만평 올림픽공원 영구조망권은 기본, 6층만 넘어도 한강 넘어 멀리 워커힐까지 보이는 엄청난 조망권에, 과거부터 사업터가 좋다는 소문까지 겹쳐 여전히 내로라하는 부자들이 많이 살고 있다고 한다. 전설의 버스왕인 KD 운송그룹허명회 회장, 홍정욱의 아버지인 배우 남궁원, 유명 방재업체인 세스코 회장, 가수 이승환, CJ대한통운 전 대표이사, 현대자동차 전 사장, 전현직 삼성, 한솔그룹 사장과 임원 등 유명 기업인들과 연예인 다수가 포진해있다. 전영록의 아버지인 황해(배우)와 트로이카로 유명했던 김지미 등 원로배우 다수들도 올림픽공원 앞 고급빌라촌에 거주했었다.[32] 고덕지구[33] 잠실지구[34] 옛 광주군 시절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하면 강동구에 있어야 하나 송파구 분구 당시 인구수 문제로 송파구로 넘어간 이후 강동구에 반환되지 않고 있다. 근데 사실 아산병원은 원래 신천동 잠실섬이었으나 잠실 개발과 함께 성내천 유로를 서쪽으로 연장하면서 법정동계가 조정되어 풍납동에 편입된 지역이다.[35] 잠실4,6동은 법정동으로는 신천동이지만 행정동명을 잠실동으로 쓰고 있다. 하지만 이게 긍정적이지 않은 이유가 잠실동에 위치한 잠실새내역은 법정동은 신천동이 아닌 잠실동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역명이 신천역이어서(반대로 잠실동의 지명이 들어간 잠실나루역이 신천동에 속해 있다. 하지만 정작 이 역은 예전에 신천역, 잠실역도 아닌 성내역이었다.) 근방 상인들이 모두 신천에 관련된 문구로 홍보를 하고 있다. 그리하여 신천동에서 맛집을 찾기 위해 신천맛집을 검색하면 잠실새내역 근방으로 나오고 반대로 잠실맛집이라고 쳐야지 이 지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36] 풍납동은 인접한 강동구 동네들과 마찬가지로 경합지역, 송파1동과 석촌동은 민주당 우세, 송파2동은 보수정당 경합우세 지역이다.[37] 그런데 21대 총선에서는 여기가 외려 을 선거구보다 더 격차가 적었다. 강남3구 전 선거구에서 가장 적은 득표율 차이인 3% 수준.이는 보수세가 강한 잠실4동의 미성 크로바와 진주 아파트의 재건축 이주로 인한 이탈 여파이다.[38] 종합운동장역, 잠실새내역, 잠실역, 잠실나루역(당시 성내역) 4개역 뿐이라 잠실 주변이 아니라면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 버스를 타고 역 근처까지 가야했다.[39] 8호선은 17개 역 중 8개 역이 송파구에 있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43] 비슷하게 타 지자체들 중에서 경기도 수원시삼성그룹이 장악하고 있고, 울산광역시범현대가, 포항시포스코가 장악하고 있다.[44] 특이하게도 잠실역 주변이 신천동, 잠실새내역 (舊신천역) 주변이 잠실동이다. 이것이 2016년 잠실새내역 역명변경의 한 이유였다.[45] 인근 주민들은 '잠포'라고 불렀다.[46] 2016년 역명이 바뀌었는데, 토박이나 출신자들은 아직까지도 일대 상권으로서의 명칭으로는 '신천'을 훨씬 선호한다.[47] 원래 신천(현 잠실새내역)쪽에 '키노극장'이라는 영화관이 있었으나,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에 밀려 2007년경에 폐점했다. 영화관이 있던 건물은 평범한 상가, 오피스 건물로 쓰이는 중(송파구 올림픽로 82)[48] 서울특별시에서 중학교가 가장 많다. 2013년까지는 노원구와 26곳으로 공동 1위였으나, 2014년에 위례신도시에 송례중학교가 개교하면서 단독 1위가 되었으며 2019년 가락동에 해누리중학교가 개교하면서 28곳이 되었다.[49] 이러한 현상은 강동구에서도 마찬가지라서 강동 학생들은 송파로, 송파 학생들은 강남으로 배정 받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고등학교가 하나도 없던 천호, 성내, 암사동의 학생들이 잠실고, 영파여고, 보성고로 가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선사고등학교성덕고등학교가 개교하면서 해결되었다.[50] 문정고 개교 전에 훼미리아파트 거주자 등 문정동 중학교 졸업생들은 중동고등학교, 중산고등학교(서울)로 배정을 받았다. 문희준(문정중 - 중산고), 송창의(가원중 - 중산고)가 그 예다. 배명중학교 졸업생이 중동고, 휘문고, 단대부고, 경기고로 배정받은 사례도 있다.[51] 송파중학교와 방산중학교 학생들은 배명고로 많이 배정받았다.[52] 없는 지역이다[53] 혜화동과 재동에서 각각 올림픽선수촌아파트 단지쪽으로 이전한 보성고창덕여고, 연지동에서 잠실로 이전한 정신여자고등학교 그리고 왕십리에서 이전한 배명고등학교가 있다.[54] 항간에서는 초중고를 같은 이름의 학교로 나오면 망한다는 농담아닌 농담이 있다. 쓰리잠신, 쓰리잠실, 쓰리방산, 쓰리가락, 쓰리오금, 쓰리문정, 쓰리문현(쓰리장지) 등 다양하다. 비록 명성있는 사립이지만 남중 남고인 탓에 평가가 박한 삼전초 배명중 배명고의 삼배배테크 역시 비슷한 소리 듣는다[55] 개교하기 전인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잠실주공 3단지(현 트리지움)에 소재한 영동일고가 아파트 재건축으로 인해 잠시 이곳에 있었던 적이 있다.[56] 이를테면 일산호수공원, 상동호수공원, 광교호수공원, 청라호수공원[57] 다른 신도시 호수공원은 공원에 들어와서도 물을 구경하려면 좀 걸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석촌호수는 가까운 아파트의 경우 길만 건너면 바로 물가다.[58] 서울종합운동장과 올림픽공원은 엄연히 분리되어있는 시설들이고, 거리도 약 4Km 떨어져있다. 그리고 서울종합운동장의 시설 중 잠실학생체육관은 운영 주체가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가 아니라 서울특별시 교육청이다.[59] 지번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29-5 송파구청[60] 강동세무서(민원실은 이미 강동역 인근 빌딩으로 이전함)가 이전하기 전까지 한 부지에 세무서만 무려 세 곳이었다.[61] 다만 서울 이랜드는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의 리모델링으로 인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양천구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룬다.[62] 국민체육진흥공단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kspo2011/221624707085[G] 헬리오시티 대단지가 있는 동네[H] 법조단지올림픽훼밀리타운 대단지가 있는 동네[I] = 위례신도시[J] 방이1동, 방이2동, 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67] 지역구 국회의원: 김웅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K] 삼전동, 석촌동, 삼전동, 가락1동, 문정2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69] 지역구 국회의원: 배현진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L]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장지동, 위례동[71] 지역구 국회의원: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3선)[F] [G] [H] [A] [B] [C] [D] [E] [I] [F] [G] [H] [A] [B] [C] [D] [E] [I] [J] [91] 지역구 국회의원: 김웅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K] [93] 지역구 국회의원: 배현진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L] [95] 지역구 국회의원: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3선)[96] 서울특별시 송파구 + 성남시 수정구 + 하남시[97] 의석은 통합당 2석:민주당 1석이지만, 통합당이 이긴 갑/을의 표차가 작았던 반면 민주당이 이긴 병은 표차가 커서 구 전체 총합은 민주당이 근소하게 앞선다.[98] 서울아산병원이 있는 동네[99] 올림픽공원, 한국체대, 올림픽선수기자촌이 있는 동네[100] 잠실 파크리오가 있는 동네[101] 송파구청, 롯데월드몰, 롯데월드타워가 있는 동네[102] 헬리오시티, 가락시장이 있는 동네[103] 문정법조단지가 있는 동네[104] 서울종합운동장이 있는 동네[105] 롯데월드가 있는 동네[106] 국립경찰병원이 있는 동네[F] [G] [H] [A] [B] [C] [D] [E] [I] [116] 위례성대로변 한정[117]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기자, 임원, 선수가족을 위해 쓰인 아파트였다.[118] 그런데 송파구의 경우 잠실 아파트 단지와 올림픽선수촌, 그외 몇몇 고가 아파트들이 보수정당 지지율을 워낙 뻥튀기시켜 놓아서 그렇지, 나머지 동네들은 옆에 있는 강동구와 표심이 사실 큰 차이가 없다.[119] 파크리오아파트와 올림픽선수촌아파트만 합쳐도 12,000세대가 넘는다.[120] 다만 송파병에서만 출구조사에서 접전으로 조사됐으나 민주당이 9%차로 압승했고, 송파갑과 송파을에서는 통합당이 10%차이로 여유롭게 1위로 당선된다고 예측되었으나 의외로 4% 이내의 박빙으로 통합당 후보들이 당선되었다.[121] 쭉 읽어보면 묘하게 용산구와 정치 성향 분포가 비슷한데, 둘 다 한강변에서 가까울수록 보수성향이 강하고 반대 방향은 진보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지역간 성향 차이가 심한 편이라서 어느 쪽이 더 결집하느냐에 따라 선거결과가 판가름 나는 것도 닮았고 구의 전체적인 비례대표 선거 득표율이나 전국 단위 선거 결과도 상당히 유사하다. 다만 늘 미묘한 차이로 용산구가 조금 더 보수 득표율이 높긴 한 편이다.[122] 99.3.9.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123] 99.6.3. 재보궐선거, 15대 총선 당시 전국구 1번으로 당선되었다가 대선 출마 과정에서 사직했으나, 보궐선거로 다시 당선.[124] 국회 의석수가 299석 → 273석으로 조정됨에 따라 2개로 조정되었다.[125] 06.1.31. 서울특별시장 경선에 출마하고자 의원직을 사퇴하였으나, 경선에서 패배하고 재보궐선거에서 원래 지역구로 다시 공천되었다(...)[126] 06.7.26. 재보궐선거에서 다시 당선.[127] 17.12.5.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128] 18.6.13. 재보궐선거에서 당선.[129] 00.2.12. 구청장직 사퇴 (16대 총선 출마)[130] 00.6.8. 재보궐선거에서 당선.[P]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P] [P] [P] [135] 현재 잠실 미성 크로바 아파트와 잠실 진주 아파트는 재건축 진행중이다[P] [P] [P] [P] [P] [141] 송파2동의 거의 끝부분이다.[P] [143] 홈수끼, 코벤트가든, 스타벅스 올림픽공원남문점 등...[144] 청어람수학원, 청담어학원, 구주이배 등...[P] [146] 사실 외지인들이 생각한 그대로 틀린 말은 아니다. 과거를 보면 강동구랑 같은 광주군 구천면이었기 때문[P] [P] [149] 마천역 근처에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주둔했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위례신도시 계획으로 인해 이천시로 이전되면서 모두 철거되었지만 거여삼거리에 사자아파트, 비호아파트 등 군인아파트 단지가 있었다. 군부대와 아파트가 없어진 현재도 그 주변 버스정류장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150] 그러나 이 곳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하남시 감이동과 학암동이다. 등산로 입구로 가는 길목에 경계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P] [152] 위례신도시를 개발하면서 숨겨져 있었던 미군 제39특전대대 주둔 사실이 밝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위례신도시 개발사업이 더 지연되었다.[153] 일명 거여동 군부대지역이라 불렸고, 마천4구역 재개발구역 건너편 거여2동에 5층짜리 군인아파트가 상당히 넓게 위치했었다. 남한산성 등산로도 역시 곳곳에 철책이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현재는 거여동에서 위례신도시를 관통해 성남시 수정구까지 도로가 연결되어 있으나 군부대가 주둔하던 시절만 해도 거여 4단지아파트 남쪽으로 모두 군부대였기 때문에 철책이 설치되어 도로가 끊겨 있었다. 군관계자 및 군가족은 출입증이 있으면 송파구체육문화회관 뒤에 있던 군아파트의 영내도로를 통해서 장지동의 장지공영차고지와 송파파인타운쪽으로 통행이 가능하였다.[154] 군부대가 1970년대부터 주둔했던 탓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시외곽으로 빠지지 않고 송파구 주거지 한가운데를 관통하거나 5호선 거여역~마천역 구간이 우회하여 마천역의 위치가 대로변이 아닌 주택가 한가운데에 위치한 것도 군부대 주둔의 영향이다.[P] [P] [P] [P] [159] 건너편의 가락본동 지역도 포함된다.[P] [P] [162] 정식 고등학교가 아닌 학력인정 학교. 태민, 크리스탈, 은비가 졸업하는 등 수많은 연예인을 배출하는 학교다.[P] [164] 성남시, 하남시에서는 이에 반발하여, 자기들 관할 구역에도 위례동을 만들면서 위례동이 3개나 존재하게 되었다.[165] 송파구에 걸친 지역도 있기는 하나 성남시와 하남시쪽에도 걸쳐져 있다.[166] 석촌동 고분군은 석촌동에 있다. 석촌고분역 가까이 고분군이 있어서 지었는데 위치랑 이름이 안 맞는 상황이 된것.[167] 8호선은 전지역 신천동이며, 2호선은 신천동과 잠실동 경계에 있으나 주소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지하 265 (신천동)이다.[168] 삼전도비가 원래 있던 곳은 석촌동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