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8:43:11

정신여자중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송파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가락중학교 가원중학교 거원중학교 문정중학교
문현중학교 방산중학교 방이중학교 배명중학교
보성중학교 보인중학교 서울체육중학교 석촌중학교
세륜중학교 송례중학교 송파중학교 신천중학교
아주중학교 영파여자중학교 오금중학교 오륜중학교
오주중학교 위례솔중학교 일신여자중학교 잠신중학교
잠실중학교 정신여자중학교 풍납중학교 풍성중학교1
해누리중학교
하늘색 바탕은 남자중학교, 분홍색 바탕은 여자중학교, 흰색 바탕은 남녀공학.
1 구 풍납여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중학교 고등학교
정신여자중학교 정신여자고등학교

파일:정신여중1.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정신여자고등학교 로고.jpg 정신여자중학교
貞信女子中學校
Chungshin Girls' Middle School
}}}
<colbgcolor=#4B0082><colcolor=#ffffff> 개교 1887년
성별 여학교
운영형태 사립
교장 이정혁
교훈 굳건한 믿음, 고결한 인격, 희생적 봉사
상징 교목: 회화나무
교화: 난초
관할 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길 16 (잠실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시설4. 출신 인물5. 교통편6. 기타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위치한 여자중학교.

2. 학교 연혁

1886년 미국장로회 소속 선교사인 애니 앨러스(Annie J. Ellers)가 서울 중구 정동에 정동여학당을 만든 것이 시작이었다. 이희천 교장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처음 세워진 교사 부지는 현재의 덕수궁 석조전 자리. 1895년 종로구 연지동으로 이사 가면서 연동여학당으로 교명을 바꿔 1907년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꽤 고난의 역사를 겪었다. 1911년에 학제개정으로 중등교육기관이 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편될 때, 일제 학무국이 정신여학교를 여자고등보통학교로 인가 해주지 않고 탄압했다. 그 와중에 1919년 고종황제의 국상 때 복상[1]하며 일제에 항거한 것은 덤이다. 동문(同門) 등에서 구명운동을 벌인 끝에 1928년 지정학교로 지정받았다. 당시 지하조직을 통하여 3.1 운동을 전개하였던 애국부인회 회장에 정신여학교 4회 졸업생인 김마리아가 선출되고, 그 본부가 정신여학교에 설치되자 그것도 탄압의 표적이 되는 데 일조했다는 듯. 고종황제 복상과 애국부인회 이야기는 학교에서도 자주 가르쳐주지는 않는 편이다.

1939년 국어말살정책과 신사참배에 대한 거부[2]로 1945년 3월 폐교됐다. 학교는 이후 이후 친일 한인에게 경영권이 형식적으로 승계되었다가 1945년 3월 풍문학원(豊文學園)에 합병되었다.
정신여중고에 애착이 큰 선배나 교직원들은 여기에 자부심과 아쉬움을 동시에 갖고 있다. 이화여자전문학교김활란의 친일 부역 덕에 간신히 일제강점기를 넘기고 해방 후 이화여자대학교로 개편된 것과 비교하는 것. 자부심은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장이 일본에 부역할 때 우리 교장은 독립투사였다"는 식이고, 아쉬움은 "당시의 박해가 없었다면 우리도 정신여자대학교를 세울 수 있었다"는 식이다.

1947년 졸업생인 김필례가 교장이 되어 학교가 다시 문을 열었다. 1951년 한국 전쟁 때는 부산에 피난 학교도 임시로 세웠었다. 1978년 현재의 위치인 송파구 잠실동으로 이사왔다. 지금이야 상상이 어렵지만, 이때만 해도 잠실이 본격적으로 개발된 지 얼마 안 됐을 때라, 잠실로 이사왔을 당시에는 학교 주위가 온통 밭이었고 원두막도 있었다 카더라. 옛 연지동 부지에는 학교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대호 빌딩'이라는 사무용 건물로 사용하고 있다.

3. 학교 시설

1층부터 4층까지 있으며 동쪽으로 2014년에 증축한 김필례 회관과 연결되어 있고, 서쪽으로는 급식실과 본관과 연결되어 있다. 2층 서쪽 끝에 생활지도부실이 있다.
2014년 교과교실제 시행으로 학교 시스템이 바뀌면서 동편 김필례관이 증축되었으며 교사동 일부 교실은 휴게실로 개조되었다. 본관보다 미묘하게 층 높이가 낮다.[3] 2015년 여름에 외벽을 교체하는 보수공사를 완료한 바 있다.

4.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5. 교통편

버스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
잠실종합운동장 (24-154) 11-3, 301, 333, 341, 342, 345, 350, 360
1100, 1700, 2000, 2000-1, 2415, 3217, 3314
3322, 3411, 3412, 3414, 3417, 3422, 4319
6006, 6900, 7007, 8001, 9303, N13
잠실종합운동장 (24-144) 11-3, 301, 333, 341, 342, 345, 350, 360
1100, 1700, 2000, 2000-1, 2415, 3217, 3411
3412, 3414, 3417, 3422, 4319, 6900
7007, 8001, 9303, N13 (심야)
잠실종합운동장 (24-710) 6006
지하철
종합운동장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6. 기타

  • 입지조건이 좋다는 평이 많다. 바로 맞은편이 잠실종합운동장이며 걸어서 5~10분쯤 거리에는 COEX가 있다. 게다가 롯데월드도 그리 멀지 않다. 공부하다 지쳐서 여가활동을 하기엔 최상의 입지조건을 갖췄다. 그래서인지 평일 방과 후 시간대가 되면 COEX와 롯데월드에서 정신여중고 학생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1] 상복을 입음[2] 당시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당한 개신교 계통 미션스쿨은 몇몇 더 있다. 당시의 신사참배 거부는 단순히 종교적 의미가 더 컸으므로 단지 이것만 갖고 독립운동했다고 주장하는 건 병크.[3] 본관과 별관을 연결하는 연결복도에 계단이 2~3개 있어 양쪽 높이를 맞추는 식.[4] 현재 재학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