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재건축 이후}}}에 대한 내용은 [[빌 라디우스 잠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빌 라디우스 잠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빌 라디우스 잠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재건축 과정}}}에 대한 내용은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재건축 이후: }}}[[빌 라디우스 잠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빌 라디우스 잠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빌 라디우스 잠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재건축 과정: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ffffff 자치구}}}]] |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147> | }}} | ||||
{{{#!wiki style="color: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letter-spacing: -1px" | <rowcolor=#fff> 최초 입주 | 현황 | 입주 연도 | 세대수 | 시공사 | |
<colbgcolor=#007147><colcolor=#fff> 1단지 | 잠실엘스 | 2008년 9월 | 5,678 | | ||
2단지 | 리센츠 | 2008년 7월 | 5,563 | | ||
3단지 | 트리지움 | 2007년 8월 | 3,696 | | ||
4단지 | 레이크팰리스 | 2006년 12월 | 2,678 | | ||
5단지 | 잠실주공5단지[1] | 1977년 11월 | 3,930 | |
}}}}}}}}}}}} ||
| |
<colbgcolor=#00428e><colcolor=#ffffff> 명칭 | 잠실주공5단지아파트 |
영문 명칭 | Jamsil Jugong Apartment Complex 5 |
종류 | 아파트 |
브랜드 | 주공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1] 송파대로 567 (잠실동) |
입주 | 1977년 11월 15일[2] |
동수 | 30개동 |
층수 | 지상 15층 |
세대수 | 3,930세대 |
전용 면적 | 76.5㎡ ~ 82.6㎡ |
주차대수 | 2,411대(세대당 0.61대) |
시공사 | 대한주택공사 |
1. 개요
|
|
<colbgcolor=#00428e><colcolor=#fff> 완공 후 입주 초기 정문에서 바라본 시점 |
|
|
<colbgcolor=#00428e><colcolor=#fff> 입주 초기(위)와 현재(아래) 같은 각도에서 바라본 시점[3] |
2. 연혁
1970년대 잠실지구를 개발하면서 송파강[5]의 물길을 막고, 현재 한강 본류인 신천강의 남쪽 사면을 매립하고 그 자리에 지은 아파트다. 1977년까지 분양을 마치고 1977년 11월 첫 입주를 시작했다. 갓 지어질 당시 15층이 넘는 대한주택공사의 최초의 고층아파트[6]였으며 압구정 현대아파트, 대치 은마아파트와 함께 단일 단지로서는 세대 수가 가장 많았다고 한다. 단지 전체 넓이가 엄청 넓은데 무려 10만평이 넘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이다. 첫 입주 당시에는 주민들의 통근, 통학에 관한 대중교통 문제로 엄청 고생하다가 1980년 11월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이 개통되면서 어느 정도 해결. 버스 수가 적어서 그렇지 잠실대교가 바로 옆에 있어 사정이 아예 나쁘지는 않았다고 한다.송파대로 서쪽에 1단지부터 5단지까지 구성되어 있으나 5단지를 제외한 다른 모든 단지들이 헐려 재건축되었고 5단지도 곧 재건축될 예정이다. 같은 상황의 둔촌주공아파트는 안녕, 둔촌주공아파트라는 추억 프로젝트가 있는데, 잠실주공5단지도 안녕, 잠실주공5단지라는 페이스북 페이지가 있다.
2.1. 재건축 : 빌 라디우스 잠실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재건축 이후}}}에 대한 내용은 [[빌 라디우스 잠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빌 라디우스 잠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빌 라디우스 잠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재건축 과정}}}에 대한 내용은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재건축 이후: }}}[[빌 라디우스 잠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빌 라디우스 잠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빌 라디우스 잠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재건축 과정: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빌 라디우스 잠실/재건축 과정#|]]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3. 특징 및 시설
잠실주공아파트가 완전체였을 때는 1단지~4단지는 모두 5층의 저층아파트였고, 5단지만 15층의 고층아파트여서 이름도 초창기에는 5단지라기 보다는 잠실고층아파트나 잠실 고밀도아파트[7]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다. 롯데월드가 들어서기 전인 1980년대 중반까지는 멀리서 잠실을 보면 5단지와 그 옆 잠실장미아파트만 보였었다고 한다.복도식 세대와 타워형 세대가 있으며, 중형 평수인 30평대 아파트 (34~36평형) 뿐이었다. 입주할 때에는 1단지~4단지와는 달리 높은 분양가에 중산층 이상 거주자들만 들어와 살았다. 예를 들어 34평이나 36평의 경우 방이 4개인데 주방 옆에 있는 쪽방이 바로 가정부방이자 창고방 용도로 만들어 놓은 것이 그 예다.[8] 녹지도 많고 아파트와 아파트 간격이 매우 넓다.[9] 평수도 비슷했으며 주민들의 생활 수준도 다 비슷했다.
특히 단지가 오래된 덕에 수령이 오래된 나무도 많아서, 계절에 따라서는 굉장히 멋드러진 풍경을 볼 수 있다는 것도 특징. 단지 입구에서 동쪽 라인을 따라 잠실역 쪽으로 이어지는 일명 벚꽃길은 벚꽃 시즌엔 주변 동네의 사람들이 바글바글 몰려들어 촬영에 열을 올릴만큼 유명하고, 반대편의 은행나무 라인에서는 가을이 되면 웬만한 산길 못지않은 단풍 구경을 할 수 있다.[10]
지금은 잠실3동으로 통합되었지만 1978년부터 2008년까지 5단지 아파트만 행정동으로 잠실5동으로 묶였었다. 그래서 잠실5단지=잠실5동일 때가 있었다. 여담으로 아파트 단지만 있었던 관계로 동별 주요 선거 투표율 또한 가장 높았던 동 중 하나였다고 한다.
롯데월드가 개장한 후에 5단지 주민과 롯데월드와 분쟁이 있었는데, 원인은 네온사인과 정시만 되면 울려퍼지는 정문 시계 음악소리와 햇빛반사 등 때문이였다. 자정이 지났는데도 네온싸인이 반짝반짝 거리고 유리로 인한 햇빛반사와, 시계정시음악[11] 소음 같은 소리가 나는 등등 한다며 5단지 주민들[12]이 롯데월드에 소송을 걸었는데 결국 1989년에 승소하여 롯데월드가 5단지 주민들에게 12억[13]이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을 보상하기도 하였다. 이후로 롯데월드는 네온사인 점등시간을 줄이기로 했으며, 정시알림음악소리는 아예 꺼버렸다.
아파트 각 동 지하에 매우 넓은 지하공간이 있고, 이 지하공간들은 상가건물과 지금은 없어진 수영장까지 포함해 모두 지하통로로 연결돼 있다.[14][15]
비상계단의 경우 복도 양 끝에 위치해 있고 외부와 연결되는 1층 비상계단 출입구도 전부 닫아걸어놔서 갈 일이 별로 없다. 그래서 그런지 이곳만 관리가 매우 부실하다. 청소가 안되어있는건 물론, 계단에 균열이 많고, 천장과 벽면 도색 곳곳이 갈라져있다.[16] 바닥에는 떨어져 나간 도장과 콘크리트 조각이 널부러뜨려져 있다. 몇몇 동은 비상계단 문을 잠그고 출입을 금지시키기도 한다.
단지 내에 성당이 존재한다. 관할 구역은 잠실주공5단지 및 갤러리아팰리스, 리센츠 일부. 신부님들이 2분 계신다. 특이사항으로는 수녀님의 부재.[17] 사제관은 성당 소유의 주공 5단지 아파트 3채다.
엘리베이터는 1977년식 신영전기엘리베이터 AC-2 모델을 설치해서 운행했으며, 2010년대 중반에 리모델링되었다.
523동 6층 1호 라인 옆 비상계단 통로에 한강 방향으로 총안이 뚫려 있다.
3.1. 상업 시설
잠실주공5단지의 단지 내의 상업시설은 잠실3사거리 인근에 위치한 잠실중앙상가와 509동 맞은편에 위치한 병원상가, 옛 수영장 부지의 상가가 있다. 단지 바깥쪽 길 건너에는 갤러리아팰리스 상가와 크고 위엄넘치는 롯데월드 건물 내의 롯데마트와 롯데백화점 잠실점, 하이마트가 있다. 인근에 롯데월드몰까지 있으니 말할 필요가 없다.- 잠실중앙상가 : 잠실주공5단지의 메인상가인 잠실중앙상가는 지상3층 지하1층 구조를 갖춘 상가이다. 옛 잠실주공아파트1단지~4단지의 메인상가들이 단지 중앙에 비치된 것과 비교해 건설 당시에는 상당히 혁신적이였다. 아파트 건축시기와 같이 지어진 터라 7~80년대의 건물 풍경들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예전에는 상당히 다양한 종류의 상점이 들어와 있었으나, 오래된 아파트 단지의 상가들이 대게 그렇듯이 지금은 부동산, 학원, 병원 정도만 주류로 남은 상태. 특히 1층은 점포의 7할이 부동산이다. 국세청이 고시한 '2023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에서 3년 연속 전국에서 가장 비싼 상가로 뽑혔다.[18]
- 병원부지상가 : 509동 맞은편에 위치한 상가로 지상 2층 지하 1층 구조의 상가이다. 잠실중앙상가가 도로변에 위치해 있어 외부에서도 손님이 이따금씩 오는 반면 잠실병원상가는 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아파트 주민들로만 장사를 해야하는 구조이다. 이 곳의 상점들 중에 1층 문방구와 작은 구멍가게는 거의 30년 가까이 영업 중인 걸 보면 단지 안의 세대수가 워낙 많다보니[22] 그만큼 가벼운 소비는 집 근처의 익숙한 가게에서 때우는 사람의 수 자체도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그 정도의 단골만으로도 충분히 버티는 것. 그렇기 때문에 살다 보면, 이 건물에서 바뀌는 가게 자리는 대게 정해져 있다는 것도 알게 된다. 더불어 이 곳을 제외하면, 정말 세대수에 비해서 단지 내에서 딱히 한 잔 걸치거나 적당히 식사를 하면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곳이 마땅치가 않다. 그나마 중앙상가 지하 1층 정도가 있지만, 여기도 밤에 뭔가를 먹기엔 어울리지 않는 덕에 이 상가의 치킨집이나 횟집으로 단지 거주민들의 수요가 몰리는 것. 덕분에 이 가게들은 저녁~밤 시간에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금방 망할 거라고 근처 주민들이 예상하던 횟집도 몇 년째 잘만 장사하고 있으니 의외로 과거에는 야채가게, 만화책 대여점, 문방구(2개소), PC방, 피아노 학원, 서예학원, 비디오 대여점 등 다양한 업종의 가게들이 자리잡고 있었으나 세월의 풍파에 이기지 못하고 거의 대부분이 요식업소로 바뀐 상황이다.
- 지하 1층: 마트, 음식점
- 지상 1층: GS25편의점, 슈퍼마켓, 빵집, 음식점(치킨집, 족발집, 장어집, 정육식당 등), 치과, 동물병원
- 지상 2층: 세탁소, 피아노학원
- 구 수영장 부지 상가 : 지금은 흔적을 찾아볼 수 없지만 과거 이 상가 뒤에는 수영장이 있었다. 8자 모양이라 "8자수영장'으로 불렸는데 큰 원은 보통 수심이고 작은 원은 아동용으로 얕은 수심이었다.(사진1, 사진2) 1992년에 익사사고[23]가 일어난 뒤 수영장 영업이 중단되었으며, 이후 수영장은 흉물처럼 남아있다가 주차장으로 매립되고 탈의실과 샤워장, 화장실을 겸하던 1층에는 여러 가게들이 생겨났다가 사라져 갔다. 지상 2층 구조의 상가로 현재 1층에는 부동산과 인테리어 가게, 작은 슈퍼가 있으며 2층에는 호프집, 미용실 등이 있다. 과거에는 비디오가게, 약국, 슈퍼 등 꽤나 다양한 가게들이 입점해 있었다.
- 잠실제일교회 건물 : 교회 1층에 우리은행[24]이 있었지만 폐점후에는 굿모닝 마트라는 슈퍼마켓이 있다.
4. 주변 환경
대부분 남향이지만 복도식 아파트라 거실 기준으로 한강을 바라볼 수는 없다.한강공원 잠실지구로 바로 이어지기도 한다. 길 건너서 롯데월드 뒷편에는 석촌호수도 있다.
4.1. 교육
단지 내에 서울신천초등학교가 있다.[25]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인근 학교로 배정받는다.
중학교는 보통 남자의 경우 신천중학교 아니면 잠신중학교로 배정을 받는다. 남녀 구분없이 잠실중학교로 배정받는 경우도 더러 있다. 여학생의 경우 잠신중학교, 잠실중학교,정신여자중학교 중 배정받는 경우가 많은데 예전에는 정신여중배정은 거의 없었으나 최근에는 잠실일대의 거의 모든 학교가 초과밀 상태라 여학생은 되도록이면 정신여자중학교로 배정받는 추세.
그후 고등학교는 대부분 잠신고등학교, 잠실고등학교, 잠일고등학교 등 잠실 내 고등학교나 그 외 송파구 지역이나, 강동구 쪽으로 배정받는 경우가 많지만 강남구에 위치한 경기고등학교, 영동고등학교, 압구정고등학교, 현대고등학교 등으로도 많이 간다.
4.2. 교통
4.2.1. 지하철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이 지나는 잠실역이 바로 앞에 있다.다만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잠실역까지 걸어가려면 적어도 7분~9분 정도 소요된다. 501동~507동 라인에 사시는 분이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잠실역을 이용할 때는 걸어가는 것보다는 맞은편 갤러리아팰리스 정류장에서 3315번을 타는 게 더 낫다고 한다.
4.2.2. 버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잠실역#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잠실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많은 광역버스들과 경기도 시내버스들의 종점이자,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들의 거점인 잠실역 정류장이 단지 바로 앞에 있다. 버스로 못 갈 곳이 없다.
다만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가 좀 문제인데,
5. 여담
- 20년 넘게 주차장에 살고 있는 할머니가 계셨다. 원래 파독 간호사였던 할머니는 그때 모은 돈으로 최초 분양을 받아 계속 거주해온 입주민이었다. 그러다 집을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타 지역의 아파트 2채에 투자했으나 이자도 갚지 못하게 되자 2001년경 집이 경매로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게 되었다. 하지만 본인은 이를 인정하지 못하고 집을 찾아야 한다면서 20년 넘게 해당 아파트 동 앞의 주차장에 세워둔 폐차[28]에서 생활해 오고 있는 것이다.[29] 2011년 10월 6일에 SBS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와 2018년 1월 19일 MBN 현장르포 특종세상 방송, 2021년 5월 14일 SBS 궁금한 이야기 Y 방송 등에서 이를 다뤘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해당 차량은 행방불명 되었고 그 할머니도 행방불명되셨다고 한다.
- 1979년 10월 1일 강동구가 강남구에서 분구되어 강동구 관할이던 시절에 해당 자치단체내 최초의 고층아파트 단지였다. 1988년 1월 1일 강동구 중 옛 성동구 송파출장소 지역 및 풍납동이 송파구로 분구되면서 해당 타이틀은 1980년 10월에 입주한 둔촌진흥아파트(현 둔촌 푸르지오)가 가져갔다. 송파구 관할인 현재도 해당자치단체 내의 최초의 고층아파트 단지이다.
- 단지 중앙 공원에 홍익대학교 교수를 지낸 조각가 김찬식의 청동 조각상 '정(情)'이 세워져 있다.
- 1988년 12월 20일 516동 1504호에서 미국인 학원강사 피살사건이 발생했으나, 결국 범인을 잡지 못한 채 영구미제 사건으로 남았다.
- DJMAX Portable 2의 수록곡인 Brandnew Days의 BGA에 살짝 등장한다.
6. 관련 문서
[1] 완공 당시 강남구. 이후 1979년에 분구되며 강동구.[2] 출처 2024년을 기해 [age(1977-11-15)]주년을 맞았다. 그 유명한 대치 은마아파트(1979년 8월)보다도 약 1년 9개월 먼저 지어진 건축물이다.[3] 나무의 높이에서 세월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다. 입주 초기 사진에서 옥상에 설치된 이사용 곤돌라는 1990년대에 사다리차가 도입되어 철거 공사를 통해 사라졌다.[4] 준공 당시에는 강동구 잠실5동이였다.[5] 대부분 매립되었고 일부 구간이 남아 석촌호수가 되었다.[6] 이전까지 15층 이상 고층 아파트로는 낙원상가아파트(15층)와 남산외인아파트(16층~17층) 정도였다. 그리고 한동안 서울시 아파트 층고가 12층으로 제한되기도 했었다.[7] 초창기 잠실지구 개발시 1~4단지를 저밀도지구, 5단지를 고밀도지구로 불렀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저밀도지구는 그린벨트처럼 건축제한이 있어서 그렇게 불렀던 것으로, 원칙적으로는 5층을 초과하는 아파트를 지을 수 없었다. 재개발을 위해서는 저밀도지구의 해제가 필수였고 1990년대 중반 저밀도지구가 해제되어 재건축사업이 가능할 수 있었다.[8] 아파트가 보급되지 못하던 1970년대에는 아파트 소유 자체가 부유층들의 전유물이었는데 강남 일부 지역의 큰 평수 아파트들에는 저렇게 가정부실까지 만들어놓은 곳이 많았다.[9] 이 뜻은 아파트 단지의 건폐율이 낮아 생활 환경이 낫다는 뜻도 된다.[10] 여름에도 한창 가지를 뻗은 나무들이 녹색 그늘을 단지 내에 가득 드리우고 있는 것 자체가 꽤나 볼거리가 된다. 다만 이렇게 나무가 많고 녹지가 많은덕에, 상대적으로 벌레들의 숫자도 엄청나게 많다는 것이 문제였다.[11] 일명 인형 시계로, 매일 정시만 되면 음악이 연주되고 있다.[12] 특히 롯데월드와 바로 마주보고 있었던 522동, 530동 주민들이다.[13] 지금 시점에서 12억은 적을 수 있다 생각하겠지만 당시 물가를 생각하면 엄청 비싼 돈이다.[14] 애들끼리 플래시를 들고 여기를 탐험하는 놀이도 있었는데 당연히 위험한 행동이다. 무릎 이상으로 물이 차 있는 곳도 있고, 환기가 불량하며, 각종 고압전기 시설에 노출되고 길을 잃을 수도 있다.[15]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부터 걸레 비슷한 냄새가 나고 상당히 지저분하다. 거미줄이 대롱대롱 붙어있는 곳도 상당수 있다.[16] 옥상과 연결되는 꼭대기층이 제일 심하다.[17] 다만 원래 없던건 아니고 적어도 2002년까지만 해도 신부님은 한분만 계셨고 수녀님들도 2~3분이 계셨다.[18] 현재 상권은 낡은 주공아파트와 길건너 갤러리아 팰리스만 있을 뿐더러 근처 롯데에도 뺏기는 상태에서 이렇게 된 이유는 재건축 후의 가치가 선반영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리센츠 쪽으로 치우쳐 있지만 재건축 후에는 상업시설이 잠실역사거리로 이동하므로 단순히 새 건물이 아니라 입지와 상권 가치가 크게 상승한다.[19] 잠실중앙상가 휴무시간과 별개취급되어 상가휴무일에도 휴무하지 않는다.[20] 과거에는 수 많은 음식점들이 있었으나 인근 장미종합상가와 달리 주변에 직장인이 있는 곳도 아니라서 세월의 풍파를 이기지 못하고, 빈 점포들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21] 구 GS THE FRESH 잠실점은 2023년 초 폐업하고 알파마트로 변경되었고, 이후 알파마트도 폐업하여 현재는 방치된 상태. 중앙상가의 세월의 흐름을 대변해주고 있다.[22] 4,000세대에 가깝다.[23] 기사에서는 심장마비로 추정[24] 전신인 한일은행 시절부터 있었다.[25] 잠실 개발 이전부터 있었던 학교이다. 현빈, 최시원이 이 학교 출신이다.[26] 0분 33초경에는 잠실 장미아파트도 나온다.[27] 직전에 나오는 아파트는 잠실 트리지움 305동이다..[28] 차종은 대우 르망. (1991년식) 사실상 운행 불가 상태이나 자동차세도 내고 있어 강제처분은 불가능하다고 한다.[29] 애꿎은 현재 집주인에게 매일 저주를 외우고 심지어 찾아가기도 하는 등 민폐를 끼치고 있다. 사회복지사가 와서 무상으로 거처할 장소와 생활지원금을 안내했으나 본인이 고사하고 있으며, 가족으로 동생들이 있으나 이들의 도움도 거절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