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04:34:15

서울 버스 N26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N13 N15 N16 N26 N30
N31 N37 N51 N61 N62
N64 N72 N73 N75 심야A21
}}}}}}}}} ||
파일:N26다모아.jpg 파일:N26메트로버스.jpg
다모아자동차 차량 메트로버스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노선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다모아자동차메트로버스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2.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2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N26 노선도.svg
기점[1]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개화역광역환승센터) 종점[2]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종점
첫차 00:05 기점
첫차 00:00
막차 03:25 막차 03:30
배차간격 20~30분 (1일 10회)
운수사명 다모아자동차 / 메트로버스 인가대수 10대[3]
노선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개화산역 - 마곡우촌아파트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등촌역 - 염창역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 당산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2호선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서대문역 - 종로1~6가 - 동대문역 - 신설동역 - 제기동역.서울약령시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삼육서울병원 - 중랑역.동부시장 - 상봉역.중랑우체국 - 망우역 - 능산지하차도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3. 역사

  • 2016년 11월 28일부터 당산역을 추가로 경유하며, 동시에 2대가 증차됐다. 관련 공문 각각 다모아자동차 470번, 메트로버스 262번에서 1대씩 차출됐다.
  • 2018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기존 운행차량(8대)에 다모아자동차, 북부운수 차량이 각 1대씩 한시적으로 증차되어 10대로 운행했다.
  • 2021년 중 일자미상(9월 중 추정)으로 서울 TOPIS 상의 기종점이 반대로 바뀌었다.(중랑차고지 기점, 개화역 종점 → 개화역 기점, 중랑차고지 종점) 다만, 업체별로 기점이 이원화되어 있는 건 여전해서 실 운행 상의 변동사항은 없다.
  •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1월 1일까지 인가댓수가 한시적으로 8대에서 10대로 증차됐다. 이 기간동안 배차간격이 20~30분으로 줄어들었다.관련 게시물
  • 2022년 3월 18일부터 강서세무서를 추가로 정차한다.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2대가 증차되어, 25~35분이던 배차간격이 20~30분으로 줄어든다. 차량은 N72번, 260번에서 각각 1대씩 투입된다. 관련 공지사항
  • 2023년 12월 15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710번과, 2227번에서 각 1대씩 총 2대가 증차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서울시의 첫 올빼미버스 노선이다. 당초에는 술 먹고 집에 가는 사람들이 이용객의 대부분일거라고 예측했지만, 오히려 대리기사, 직장인, 대학생이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홍대에 클럽이 많고 밤새 노는 사람들이 많아 불금이나 불토를 즐기러 가는 승객들이 많고 밤 늦게 귀가하는 사람들도 이 노선을 선호하게 됐다. 이용객 수는 시행 첫 주말에 900명대, 둘째 주말에는 일 1000명을 넘을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 특히 주말에는 첫차부터 중간 시간대까지는 버스가 터져나가다시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종로나 번화가인 신촌, 홍대지역에서는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리며, 서울 동쪽 구간에서도 승객이 매우 많다. 또한, 면목동에서 동대문으로 들어오는 수요도 상당한데, 심야에 일하러 가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다.[7] 평일에는 주말에 비해 낫지만 앉아서 가는 것은 힘들다. 발산역에 도달할 때까지 빈 자리가 없다.
  • 처음 생겼을 때는 이 구간을 하나만 다니는 바람에 버스가 사람으로 가득차는 등 과밀이 심각하여 배차간격을 줄여야 한다는 말이 나왔지만, N62번의 노선 변경, N73번, N51번, N75번의 신설로 등촌역-아현역/종로2~6가 구간 수요를 분담해주고 있다.
  • 노선 신설 초기에 23시~0시 쯤이면 '빈차' 표시를 켜고, 장거리 손님만 고집하는 서울 택시들에 시달리다가 결국 웃돈을 주고 '콜'을 부르는 악순환에 시달렸던 사람들은 '택시 손님이 없어요'라는 업계의 징징거림에 '업보다', '꼬시다'는 반응을 보였다.
  • 노선 선형이 정말 곧게 뻗어있다.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만 왕복 61km나 되고, 노선 전 경로상에서 회전하는 곳이 당산역 구간을 제외하면 10개 이하에 그친다.
  • 당산역은 양 방향 중첩으로 강서공영차고지 방향은 2번 출구 무중력지대 영등포 앞 정류소에 정차하고, 중랑공영차고지/홍대/신촌 방향은 13번 출구 그랜드컨벤션센터 앞 정류소에 정차한다. 단 이 노선과 똑같이 운행하여 각 정류장에 안내문이 붙어있는 603번과는 다르게, 이 노선은 그런 안내가 부재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중랑공영차고지 방향 강서공영차고지 방향

    중랑차고지 강서차고지
  • N64번과 더불어 김포국제공항 코 앞까지 가는 심야버스지만 김포국제공항으로는 진입하지 않는다. 송정역 지나서 우회전하면 바로 다음에 나오는 '공항시장' 정류장[8]에서 내린 후, 길을 건너면 바로 왼쪽에 있는 '공항시장' 정류장에서 605번이나 6629번으로 환승하면 첫 비행기 이용이 가능하다[9]. 중랑공영차고지에서 03시 05분에 출발하는 차량을 타면 04시 40분 즈음에 송정역에 도착하며, 다음 정류소인 '공항시장' 정류소에서 길을 건너 환승하면 김포국제공항에는 04시 50~55분 경 도착한다. 송정역 하차 시 도보 거리가 매우 긴 편[10]이고 공항행 첫차가 없으므로 다음 정류소인 공항시장에서 내리는 것이 좋다.

4.1. 시간표

N26번 운행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횟수 중랑 출발 개화역 출발
1 00:00 00:05
2 00:20 00:25
3 00:40 00:45
4 01:05 01:10
5 01:30
6 02:05 02:00
7 02:25 02:20
8 02:45 02:40
9 03:05[11] 03:00
10 03:30 03:25
}}}}}}}}} ||

4.2.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26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07550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07418
중랑공영차고지
07337
신내교회.신내데시앙아파트
07303
신내교회.신내데시앙아파트
07302
신내초등학교
07304
신내새한아파트앞
07305
능산지하차도
07307
능산지하차도
07306
우림시장.망우사거리
07009
우림시장.망우사거리
07010
망우역.망우지구대
07007
망우역.망우지구대
07008
망우역
07001
망우역
07002
상봉역.중랑우체국
07003
상봉역.중랑우체국
07004
중랑역.동부시장
07005
중랑역.동부시장
07006
중랑교
06009
중랑교
06010
삼육서울병원
06011
삼육서울병원
06012
시조사삼거리
06013
휘경동입구
06117
떡전교사거리.동대문노인복지관
06014
서울성심병원
06114
청량리미주아파트.동대문세무서
06021
-
청량리역환승센터(4번승강장)
06015
청량리역환승센터(1번승강장)
06016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
06022
청량리수산시장
06426
제기동역.서울약령시
06024
제기동역.서울약령시
06023
용두동사거리.한국의류시험연구원
06026
용두동사거리
06025
신설동역
06028
신설동역
06027
동묘앞
01044
동묘앞
01041
동대문역.흥인지문
01037
동대문역.흥인지문
01023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01022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01021
종로5가.광장시장
01020
종로5가.광장시장
01019
종로4가.종묘
01018
종로4가.종묘
01017
종로3가.탑골공원
01016
종로3가.탑골공원
01015
종로2가
01014
종로2가
01013
종로1가
01012
종로1가
01011
광화문역
01010
광화문역
01009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01008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01007
서대문역사거리
01006
서대문역사거리
13047
충정로역
13046
충정로역
13045
아현역
13044
아현역
14068
웨딩타운
13042
웨딩타운
14067
이대역
13025
이대역
14064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13023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14063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13021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14062
동교동삼거리
13019
동교동삼거리
14061
홍대입구역
14016
홍대입구역
14015
서교동
14014
서교동
14013
합정역
14012
합정역
14011
당산역2번출구
19176
당산역
19172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19216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19214
양평동한솔아파트
19134
양평동한솔아파트
19218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
19215
안양천입구
19217
염창역.서울도시가스
16001
염창역.서울도시가스
16002
등촌역.강서보건소
16003
등촌역.강서보건소
16004
등촌중학교.백석초등학교
16005
등촌중학교.백석초등학교
16006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7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8
KBS스포츠월드
16009
KBS스포츠월드
16010
한국가스기술공사
16011
한국가스기술공사
16012
발산역
16013
발산역
16017
마곡동로사거리
16021
마곡동로사거리
16022
마곡역
16018
마곡역
16019
강서세무서
16024
강서세무서
16023
공항중학교.마곡엠밸리9.10단지
16020
공항중학교.마곡엠밸리9.10단지
16016
송정역
16117
송정역
16014
공항시장
16118
공항시장
16119
공항시장역3번출구
16120
공항시장역.공항성산교회
16121
방화2동청성아파트
16436
방화2동청성아파트앞
16123
마곡우촌아파트
16433
마곡우촌아파트
16125
방신전통시장.방화사거리
16126
방신전통시장.방화사거리
16127
한서고등학교.방화사거리
16286
한서고등학교.방화사거리
16285
개화초교.개화산역2번출구
16288
개화산역2번출구
16287
개화119안전센터
16167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70
개화역광역환승센터
16434 · 16435
}}}}}} ||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26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201명 -
2014년 1,025명 ▽ 176
2015년 987명 ▽ 38
2016년 964명 ▽ 23
2017년 1,250명 △ 286
2018년 1,313명 △ 63
2019년 1,384명 △ 71
2020년 1,038명 ▽ 346
2021년 690명 ▽ 348
2022년 1,001명 △ 311
2023년 1,249명 △ 248
2024년 1,517명 △ 26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6.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9_icon.svg 개화역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출발/도착
왕복 경유
편도 경유
}}}}}}}}} ||

[1] 다모아자동차(N26강서) 출발점[2] 메트로버스(N26중랑) 출발점[3] 각 운수사별 5대씩 운행(메트로버스 예비차 1대 포함)[4] 충정로역 - 중랑공영차고지[5] 당산역 - 충정로역[6] 강서공영차고지 - 당산역(김포공항 구간 제외)[7] 주로 상인들, 일찍 출근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8] 공항시장역하고는 별개인 정류장이다.[9] 첫차가 이미 출발했고, 2개 노선 중 하나를 타면 되므로 대기시간은 10분 이내로 짧다.[10] 짐이 많음을 생각해야 한다.[11] 김포국제공항에서 6시 30분 이전 출발의 비행기를 타려면 이 차를 타야 한다.[A] 삼육서울병원 하차[A] [A] [15] 평일 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