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일반국도 | ||||
3번 국도 | ||||
남해 방면 동일로 | ← | 신평화로 (장암IC~ | → | 철원 방면 평화로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로 | 신평화로 | |
로 | 강변로ㆍ강변서로ㆍ거북마루로ㆍ광암로ㆍ동광로ㆍ동두천로ㆍ동우로ㆍ못골로ㆍ방죽로ㆍ벌마들로ㆍ봉동로ㆍ삼육사로ㆍ상패로ㆍ생골로ㆍ생연로ㆍ송내로ㆍ송터로ㆍ승전로ㆍ신천로ㆍ싸리말로ㆍ아차노리로ㆍ안흥로ㆍ안창말로ㆍ어등로ㆍ어수로ㆍ원터강변로ㆍ이담로ㆍ장고갯로ㆍ정장로ㆍ중앙로ㆍ지행로ㆍ천보산로ㆍ큰시장로ㆍ탑동가산로ㆍ탑신로ㆍ평화로ㆍ하봉암로ㆍ행선로 | ||
길 | 갈마지길ㆍ걸산길ㆍ미동길ㆍ쇠목길ㆍ안창말서길 | }}}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 고속도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ㆍ세종포천고속도로 | |
대로 | 신평화로ㆍ신호국로 | ||
로 | 가마골로ㆍ감악산로ㆍ강변서로ㆍ경동대학로ㆍ고덕로ㆍ고릉말로ㆍ고삼로ㆍ고읍남로ㆍ고읍로ㆍ고읍북로ㆍ광남로ㆍ광사로ㆍ광적로ㆍ권율로ㆍ그루고개로ㆍ기산로ㆍ꿈나무로ㆍ녹양로ㆍ독바위로ㆍ동일로ㆍ마전로ㆍ만송로ㆍ백은로ㆍ버들로ㆍ부흥로ㆍ북한산로ㆍ삼숭로ㆍ삼육사로ㆍ삼일로ㆍ새터로ㆍ선하로ㆍ송랑로ㆍ양연로ㆍ양주산성로ㆍ어하고개로ㆍ연곡로ㆍ예원대학로ㆍ옥정동로ㆍ옥정로ㆍ옥정서로ㆍ외미로ㆍ용암로ㆍ운하로ㆍ원골로ㆍ원학로ㆍ월암로ㆍ월정로ㆍ유원지로ㆍ율정로ㆍ은남로ㆍ은현로ㆍ일영로ㆍ중앙로ㆍ지섬로ㆍ천보산로ㆍ청담로ㆍ칠봉산로ㆍ태봉로ㆍ평화로ㆍ현석로ㆍ호국로ㆍ호명로ㆍ화합로ㆍ회정로ㆍ회천남로ㆍ회천로ㆍ회천북로ㆍ휴암로 | ||
길 | 가래비길ㆍ개나리길ㆍ검준길ㆍ고암길ㆍ고원길ㆍ덕정길ㆍ백화암길ㆍ봉암길ㆍ석굴암길ㆍ쇠장이길ㆍ엄상동길ㆍ회암사길 | }}}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고속화도로 | 신평화로 | |
대로 / 로 | 고능로ㆍ군남로ㆍ군왕로ㆍ군자로ㆍ군중로ㆍ궁평로ㆍ남계로ㆍ노곡로ㆍ노동로ㆍ노아로ㆍ답곡로ㆍ도대로ㆍ도신로ㆍ동내로ㆍ동막로ㆍ동서로ㆍ두백로ㆍ두일로ㆍ마동로ㆍ마유로ㆍ문화로ㆍ밤골로ㆍ백동로ㆍ백령로ㆍ백왕로ㆍ백의로ㆍ백학로ㆍ북삼로 | ||
길 | 강변길ㆍ거저울길ㆍ고대산길ㆍ구석돌길ㆍ구시울길ㆍ궁평천길ㆍ긴여울길ㆍ댕골길ㆍ댕안골길ㆍ백궁길ㆍ백두길ㆍ백두1길ㆍ백두2길ㆍ백학산단길 | }}}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 고속도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ㆍ세종포천고속도로 |
고속화도로 | 동부간선도로 | |
대로 | 신평화로 | |
로 | 가금로ㆍ가능로ㆍ거북로ㆍ경의로ㆍ고산로ㆍ금신로ㆍ금오로ㆍ녹양로ㆍ누원로ㆍ능곡로ㆍ동일로ㆍ둔야로ㆍ망월로ㆍ민락로ㆍ발곡로ㆍ백석로ㆍ버들로ㆍ범골로ㆍ본원로ㆍ부용로ㆍ비우로ㆍ산곡로ㆍ산단로ㆍ산성로ㆍ상금로ㆍ새말로ㆍ서계로ㆍ서부로ㆍ송산로ㆍ송양로ㆍ송현로ㆍ승지로ㆍ시민로ㆍ신곡로ㆍ신촌로ㆍ신흥로ㆍ안말로ㆍ오목로ㆍ외미로ㆍ용민로ㆍ용현로ㆍ의정로ㆍ입석로ㆍ장곡로ㆍ장금로ㆍ전좌로ㆍ중금로ㆍ직곡로ㆍ진등로ㆍ창포원로ㆍ천보로ㆍ청사로ㆍ체육로ㆍ추동로ㆍ충의로ㆍ태평로ㆍ평화로ㆍ하금로ㆍ행복로ㆍ호국로ㆍ호동로ㆍ호암로ㆍ회룡로ㆍ효자로ㆍ흥선로 | |
길 | 누원1길ㆍ둔배미남길ㆍ둔배미북길 |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1. 개요
3번 국도 서울 이북 구간의 우회도로이다.2. 구간
전 구간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륜차는 긴급차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진입금지이며 저속 전기차 역시 진입금지.신평화로는 평화로, 동일로 의정부 구간의 지독한 헬게이트 해소 및, 의정부 민락2지구의 교통대책으로 건설되었다.
무려, 1999년에 계획이 나왔는데 전 구간 완공은 아직도 3년이나 남았다.
이 도로의 개통으로 인해 양주시의 고읍지구와 옥정지구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의정부 평화로 방향으로[3] 쉽고 가깝게 통행할 수 있게 되었는데, 양주 버스 118, 양주 버스 1100, 굿모닝버스 G1300번이 이 도로를 통행한다.
2.1. 역사
- 1999년 : 6월. 계획이 나옴.
- 2000년 : 의정부시 장암동 ~ 양주시 봉양동 구간이 착공되었다.
- 2007년 : 양주시 봉양동 ~ 동두천시 상패동 구간이 착공되었다.
- 2008년
- 12월. 장암 IC ~ 용현IC 3km 구간이 4차선 임시 개통 되었다.
- 2010년
- 2011년
- 2012년
- 7월. 용현 IC 완전 개통. [4]
- 2013년
- 9월. 고읍 IC ~ 신내 IC 구간이 왕복 4차선으로 확장 임시개통.
- 2014년
- 1월. 신내 IC가 봉양 IC로 개칭, 민락 IC ~ 자금 IC 서울 방향만 1차선 임시 개통.
- 4월. 광사 IC 개통.
- 9월. 봉양 IC가 동두천 IC로 개칭. 동두천 IC ~ 상패 IC 임시 개통.
- 10월. 동두천 IC ~ 상패 IC 구간 왕복 4차선으로 완전 개통.
- 12월 30일. 착공 14년 만에 장암 IC ~ 상패 IC 완전 개통, 동두천 IC에서 봉양 IC로 환원.
- 2015년
- 11월. 봉양 IC 임시 출입통제.
- 12월 21일. 봉양 IC 양방향 완전 개통.
- 상패 IC가 동두천 IC로 개칭.
- 2016년
- 6월 10일. 고암 IC 개통.
- 12월 20일. 은현 IC 임시 개통.
- 2018년
- 7월 5일. 동두천 IC ~ 안흥(소요산) IC 개통.
- 10월 1일. 장암IC[5]~만가대 교차로간 버스중앙차로가 개통되었다.
- 2022년 12월 : 동두천 IC ~ 청산 IC 구간 개통예정.[6]
27km 도로를 개설하는 데 2000년 첫 삽을 뜬 이후 14년의 오랜 시간이 걸렸다.[7]
2.2. 세부 구간
행정구역 | 나들목 명 | 접속 도로 | 누적거리 | 비고 |
경기도 의정부시 | ||||
장암 IC | 동일로, 동부간선도로 | 0.0km | 기점. 동일로 서울 방향에서 연천 방향으로만 진출 가능[8] | |
신곡 IC | 금신로, 회룡로 | 1.7km | 장암지구로 진출 및 연천 방향으로만 진입 가능[9] | |
용현 IC | 43번 국도(송산로, 시민로) | 3km | 양방향 진출입 가능, 용현동 만가대 사거리 접속[10] | |
민락 IC | 민락로, 세종포천고속도로 | 6.1km | 양방향 진출입 가능, 세종포천고속도로 민락 IC와 민락지하차도로 직결 | |
자금 IC | 43번 국도(호국로) | 8.1km | 양방향 진출입 가능[11] | |
경기도 양주시 | 광사 IC | 98번 지방도 360번 지방도(부흥로) | 10.1km | 양방향 진출입 가능 |
고읍 IC | 고덕로 | 13km | 양방향 진출입 가능 | |
고암 IC | 독바위로(고암동, 옥정동) 회천남로(덕계동, 고암동, 옥정동) | 14.6km | 양방향 진출입 가능 | |
회암 IC | 56번 지방도(화합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양주 지선 | 17km | 양항뱡 진출입 가능 세종포천고속도로 양주 IC와 직결 | |
봉양 IC | 3번 국도(평화로) | 20.7km | 국도 본선과 교차, 양방향 진출입 가능 | |
은현 IC | 선하로 은현로56번길 운하로434번길 | 23.1km | 양방향 진출입 가능 375번 지방도와 간접 연결 | |
경기도 동두천시 | 동두천 IC | 364번 지방도(삼육사로) | 26.9km | 양방향 진출입 가능 |
소요산 IC | 강변로 | (2019년 2월 현재 종점) | ||
봉암 IC | ||||
신천 IC | ||||
경기도 연천군 | 초성 IC | 3번 국도(평화로) |
2.3. 교통편
- 의정부 버스 10-1, 의정부 버스 10-2, 의정부 버스 10-3, 의정부 버스 111, 양주 버스 118, 양주 버스 1100,
양주 버스 G1200, 굿모닝버스 G1300,연천 버스 G2001, 시외버스 3003, 시외버스 3005, 공항버스 7100, 공항버스 7600, 경기순환버스 8906, 시외버스 8456, 시외버스 8629, 시외버스 8718번이 이 구간을 통과한다.[12] 10-1, 111번은 용현 IC~장암 IC / 10-2번은 민락 IC~장암 IC / 118, 8906번은 광사 IC~자금 IC 구간을 이용하며 1100번은 광사 IC~장암 IC를 이용한다. 또한 민락동 금강펜테리움 부근의 고가에 BRT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 다만, 엄격하게 법 적용을 한다면 위 시내버스 중 일반시내버스 등급 노선들은 문제가 될 소지가 크다. 이 구간이 자동차전용도로이기 때문에 전 좌석 안전벨트 달린 차량이 들어가야 하나, 그렇지 않기 때문.
3. 특징
- 3번 국도 평화로 연선 최초의 6차로 자동차전용도로이다. 장암 IC부터 봉양 IC 입구까지가 6차로, 봉양 IC부터 소요산 IC까지가 4차로이다.
- 추후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계획되어 있다. 2018년 10월 1일 장암고가도로를 포함해 호장교-만가대 교차로 간 버스전용차로(BRT)가 개통되었다.
- 의정부시 구간에서는 43번 국도의 우회 역할도 한다.[13] 다만, 만가대사거리에서 용현교차로로 진입하여 자금 IC까지 갈 수는 없다. 도로 설계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 광사 IC 구간에서 자금 IC 구간(하행선)은 차로가 자금 IC 진출 차로와 직진 차로가 분리되니 주의. 하지만 진출차로를 타도 자금 IC에서 나가지 않고 직진해서 본선으로 합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 은현 IC ~ 동두천 IC구간은 양주연천고속도로와 공유할 예정이다.
- 광사 IC - 고암 IC 간 3.5km 구간은 평균속도 및 구간단속 구간이며, 봉양 IC - 장암 IC까지 구간단속을 포함해서 군데 군데 과속 단속 카메라가 많은 편이다. 이 도로는 제한 속도가 80km/h인 도로이므로 제한 속도를 지키며 안전운전하자.
- 2018년 8월 기준으로 개통한 동두천 IC - 소요산 IC 방향 차로는 제한 속도 60km/h 구간이며 중간에 60km/h 과속 단속 카메라까지 있으니 특별히 감속운전하자. 특히 상패터널을 지나면 바로 앞에 40km/h 과속 단속 카메라도 있어 감속운행은 필수.
- 소요산 IC는 구조가 다소 특이한데, 다이아몬드식 램프로 건설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서울방향진입과 서울방향에서의 진출로가 특이하게 분리가 되어있다. 서울 방향으로 진입 시 동두천동, 동두천산업단지에서 진입 시 안흥교를 건너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실제 램프가 있는 신흥고등학교 북쪽에 있는 곳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14] 직진하여 삼거리에서 우회전한 다음 로터리에서 유턴하듯이 진입해야 한다. 안흥교를 건너서부턴 표지판과 현수막을 이곳 저곳 붙여뒀으니 그걸 보고 가자. 그리고 동두천이나 연천으로 가는 경우 동두천 IC에서 진출하라고 표지판이 되어있는데 그렇게 되면 삼육사로와 강변로를 거쳐 신호가 많은 도로로 가게 되므로 연천이나 소요산에 가는 사람은 동두천지방산업단지 표지판을 보고가자. 그럼 소요산 IC에서 진출하고 좌회전 후 동안교에서 신천을 건너 강변로를 타고 연천으로 빨리 갈 수 있다.
[1] 미개통 구간이라 중간에 끊겨버린다.[2] 소요산IC가 종점이지만 3번국도는 평화로로 이어지기 때문에 봉양IC에서 3번국도가 임시로 평화로로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3] 금오동, 민락동,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버스터미널 방향이다.[4] 2008년 당시에는 퇴계원, 별내 방면 진출로가 개통이 되지 않았다.[5] 정확히는 호장교부터 시작하는 버스중앙차로.장암고가도로를 경유함.[6] 봉암마을 노선변경으로 인한 토지보상 문제로 공사 지연중이라고 한다.[7] 뭐 수인선 복선전철은 2004년 첫 삽을 뜬지 15년이 지났는데도 오이도~수원 구간이 아직 완공이 안된 상태이다. 수인선/분당선도 1970년대부터 시작했으면 1기 지하철 계획 노선들과 비슷한 시기에 완공됐을 듯.[8] 양방향의 1차선은 장암고가도로로, 버스만 이용하는 버스전용도로(BRT)이다.[9] 애초에 양방향 진출입 계획이 없는 도로인데, 사실상 장암 IC랑 한 몸이라 보면 이해가 쉬울 듯. 그리고 신곡-용현 구간은 유일하게 자전거 및 도보 겸용도로가 있다. 물론 다니는 사람이 매우 적어 풀만 무성하다.[10] 단 43번 국도에서 양주·동두천 방향 진입 불가, 서울 방향에서 43번 국도 진입 불가[11] 단 서울 방향에서 43번 국도 포천 방향 진입 불가, 양주·동두천 방향에서 43번 국도 신곡 방향 진입 불가[12] 가끔씩 동두천 버스 53(-5)번도 가스충전을 위해서 이 구간을 종종 통과한다. 통과 구간은 봉양 IC~회암 IC.[13] 구간은 자금-민락-용현.[14] 이쪽은 현재 막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