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화천군과 양구군을 잇는 평화로에 대한 내용은 460번 지방도 문서
참고하십시오. | ||||||||||||||||||||||||||||||||||||||||||||||||||||||||||||||||||||||||||||||||||||||||||||||||||||||||||||||||||||||||||||||||||||||||||||
|
平和路 / Pyeonghwa-ro | ||
← 남해 방면 신평화로 | 3번 국도 | 철원 방면 → 연천 ~ 신서 |
← 남해 방면 연천 ~ 신서 | 종 점 | |
← 김포 방면 군남로 | 78번 지방도 | 포천 방면 → 현문로 |
← 파주 방면 청정로 | 372번 지방도 | 화천 방면 → 청창로 |
← 연천 방면 도신로 | 376번 지방도 | 포천 방면 → 도내로 |
노선 번호 | ||
3번 국도 지방도(78 · 372 · 376) | ||
기점 | ||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경기도계 | ||
종점 |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마리 대마사거리 | ||
연장 | ||
68.1km | ||
관리 | ||
경기도, 강원도 | ||
왕복 차로 수 | ||
2~8차로 | ||
주요 경유지 | ||
경기도계 ↔ 생골사거리 ↔ 연천군청 ↔ 대마사거리 |
[clearfix]
1. 개요
평화로는 3번 국도의 일부 구간으로 도봉로와 직결되며,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1동과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경계[1] 부터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 월정리역 앞까지 이어진다.이 도로의 기원은 1970년대 의정부시에서 철원군 대마리까지 이어지는 3번 국도를 평화를 기원하는 바람으로 지어진 '평화로'라고 명명[2]된 것에서 유래된다.
대부분 구간이 왕복 4차로이며, 연천군 신서면 ~ 철원군 철원읍까지는 왕복 2차로이다. 대체도로는 동일로가 양주시청까지, 신평화로가 2015년 현재는 동두천까지, 2023년에는 전곡읍까지 개통될 예정이다.
1.1. 연신로
연신로 漣新路 / Yeonsin-ro | ||
← 남해 방면 연천 ~ 신서 | 3번 국도 | 철원 방면 → 평화로 |
← 연천 방면 도신로 | 376번 지방도 | 포천 방면 → 도내로 |
노선 번호 | ||
3번 국도 376번 지방도 | ||
기점 |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연천교차로 | ||
종점 | ||
강원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 ||
연장 | ||
16.87km | ||
관리 | ||
경기도 | ||
왕복 차로 수 | ||
2~4차로 | ||
주요 경유지 | ||
연천교차로 ↔ 신망리역 ↔ 대광리역 ↔ 대광리 |
평화로 구간 중 연천읍내 ~ 신서면 대광리에 이르는 구간은 연신로라는 도로명이 같이 부여되어 있으며, 이 구간에 있는 건물에는 도로명으로 평화로가 아닌 연신로가 부여되어 있다. 그렇다고 평화로라는 도로명이 중간에 끊기는 것은 아니고 계속 이어진다.
[clearfix]
2. 통행량
당연히 많다. 가장 피크구간은 의정부~양주 구간이며 나눠서 설명한다.2.1. 의정부시 구간
경원선이 옆으로 지나간다. 의정부 중심축인 관계로 항상 차가 많다. 이 도로에 대원여객 가능차고지가 있으며, KD가 판치고 다니는 도로이다.의정부역도 이 도로에 인접해있고, 138 좌석버스 시리즈가 종점으로 삼기 때문에 항상 버스가 많다. 그 외 7번, 8번, 106번등 배차간격이 좋은 버스들도 많이 다닌다.
호원고가 ~ 양주시계는 왕복 4차선. 호원고가 ~ 서울시계는 왕복 8차선이다.
2.2. 양주시 구간
의정부보단 여유있으나, 옥정신도시, 고읍신도시, 회천신도시의 차량들 다수가 이리로 몰리기 때문에 헬게이트가 열린다. 이웃 43번 국도 부인터사거리 이남구간도 비슷.게다가 신호체계도 좋지 않아 가다서다를 반복한다.
양주역이 이 도로 옆에 있으며, 엄청난 KD 버스를 구경할 수 있다. 그러나 짱박기[3]로 인해 주위가 많이 혼잡하다.
2.3. 동두천시~철원군 구간
동두천 구간은 시내 주요도로여서 차가 많은 편이다. 연천군~철원군 구간은 웬만하면 밀리는 일이 없다. 경원선 대체운송버스 직행노선이 대광리역~소요산역 구간을 평화로를 경유하여 그대로 질주한다.소요산 등산객들로 주말에 버스들이 가축수송을 한다(...)
2.4. 우회도로 개설
이와 같이 영 상황이 개판에 막장이라서 결국 우회도로가 새롭게 개설되었다. 엄청난 시간[4] 끝에 2014년 12월 동두천까지 개통되었다!이 도로의 개통으로 인해 양주시의 덕정, 고읍지구와 양주신도시 옥정지구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물론이고 민락신도시 주민들도 편하게 동두천[5], 양주[6], 의정부[7]에 쉽고 가깝게 통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도로를 경유하는 시내버스로 의정부 버스 1-9, 의정부 버스 10-1, 의정부 버스 10-2, 의정부 버스 1102, 포천 버스 1386, 양주 버스 118, 양주 버스 1100, 양주 버스 1101, 양주 버스 G1200, 양주 버스 G1300, 연천 버스 G2001번이 통행한다.
3.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평화로15번길부터 도로명주소가 부여된다. 골목길 초입에 있는 마을은 주소가 의정부시인데 거기서 조금 들어가면 있는 인강원과 서울도솔학교는 주소가 도봉구다.[2] 유사한 작명 사례로 자유로, 통일로 등이 있다.[3] 배차 맞춘다고 길에 차대고 기다리는것[4] 1999년부터 계획이 나오고, 2002년에 공사 시작, 2008년 ~ 2013년에 임시개통 남발 흡사 그 임시개통 도로가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 광주대구고속도로 꼴이었다.[5] 봉암리(양주), 상패동, 송내동(송내지구, 신시가지) 방향.[6] 만송동, 광사동, 고읍동(이상 고읍지구), 옥정동(양주신도시), 고암동, 회암동, 덕정동(이상 덕정지구), 봉양동(평화로 본선), 은현면(선하로, 운하로, 강변서로) 방향.[7] 낙양동, 민락동(이상 민락신도시), 금오동(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금오지구, 의정부버스터미널), 신곡동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