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나들목 議政府 나들목 Uijeongbu Interchange | ||
퇴계원 방면 별내IC ← 7.3 km | 수도권1순환선14 | 일산 방면 호원IC 1.7 km → |
주소 | ||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 ||
관리기관 | ||
수도권1순환선 | | |
개통 | ||
수도권1순환선 | 2006년 6월 30일 | |
접속도로 | ||
동일로 · 동부간선도로[1] |
[clearfix]
1. 개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14번.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있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의정부시에서 유래했다. 동부간선도로와 간접적으로 연결된다.2. 구조
2.1. 일산 방향
2.2. 퇴계원 방향
3. 역사
- 2006년 6월 30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퇴계원 나들목 - 의정부 나들목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 2007년 12월 28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의정부 나들목 - 송추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4. 여담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과 도봉차량사업소가 의정부IC 바로 북쪽에 붙어 있다. 일산방향으로 가다 보면 장암역과 도봉차량기지가 잘 보인다.해당 나들목으로 진입한 차량은 중도에 톨게이트에서 통행료를 내거나 송추IC, 별내IC 진출 과정에서 통행료를 지불하게 된다. 왜냐하면 이 나들목에는 요금소가 없기 때문. 어차피 폐쇄식 구간인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북부구간 내에서 요금소가 없는 나들목은 이거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정산 시 진입 요금소 정보가 없는 차량은 의정부IC 진입으로 간주하면 된다. 원래는 요금소를 만들려고 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의정부IC 주변 토지 중 일부가 국유지[2]로 편입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70도 터빈으로 꼬여 있는 의정부IC 도로 구조 상 요금소를 놓기 어려워서 땅은 민자사업자 매입 이후 국가에 기부채납했지만 요금소는 만들지 못한 것 같다.
러시 아워에는 항상 막힌다. 특히 퇴근시간에는 '동부간선도로+동일로 서울방향+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서울방향'이라는 헬게이트가 열린다. 고양JC, 송추IC, 토평IC, 강일IC와 더불어 북부 구간의 정체를 유발하는 주범이다.
나들목 진출로에 곡선구간이 굉장히 많다.(...) 수락산터널 때문에 그러는지 모르겠지만, 고속도로로 진입하거나 나가기 위해서는 적어도 S자(...)형태의 곡선을 그리면서 들어가기 때문에 굉장히 어지럽다.[3]
세종포천고속도로 동의정부IC로부터 4km 거리에 위치해있다. 민락IC하고도 가깝다. 우회 시에 참조 바람.
의정부시에 있지만 의정부시청보다는 노원구청이나 도봉구청이 더 가깝다. 의정부시청은 오히려 호원IC가 가까우니, 의정부시청으로 가려면 호원IC를 이용하자.
호원IC 개통 이후 점차 의정부IC의 이용 차량이 줄고 있다. 의정부 서부 등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호원IC를 이용한다. 호원IC와 의정부IC 사이에는 장암대교가 있다.
5. 관련 항목
==# 둘러보기 틀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판교JC( 구리IC - 구리SA - 퇴계원IC - 불암산TG - 별내IC - 의정부IC - 호원IC - 송추IC - 양주TG - 양주SA - 통일로IC - 고양JC( 자유로IC - 김포IC - 김포TG - 노오지JC( 시흥하늘SA - 조남J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