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04:42:59

서울 버스 106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1665576782039.jpg 파일:서울106_5027.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6 노선도.svg
기점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대원여객) 종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4가(종로5가.광장시장)
종점
첫차 04:00[A] 기점
첫차 05:25[A]
막차 23:00 막차 00:20
평일배차 12~15분 주말배차 토요일 14~17분 / 공휴일 15~20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인가대수 19대(예비 1대)[3]
노선 대원여객 - 가능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도봉구민회관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입구 → 혜화동로터리 → 명륜3가.성대입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종로5가.광장시장 → 방송통신대.이화장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삼선교.한성대입구 → 이후 역순

2. 개요

대원여객에서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5.2km였다.

3. 역사

  • 구 13번 도시형버스(가능동 - 종로5가)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회차구간을 동대문, 동대문운동장(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경유로 연장하였고 번호도 106번으로 바꾸었다.
  • 2004년 10월 14일에 연장된 회차구간을 다시 단축했다. 그래서 당시 노선도에 '구 13 변경"으로 표기된 적이 있었다.
  • 2017년 8월 21일에 현대힐스테이트녹양역 정류장을 들른 후 가능동으로 들어가게 되어 녹양역지구를 한바퀴 순환한다. 관련 공문
  • 2018년 1월 1일에 6대가 감차되어 107번, 108번, 370번으로 이동되었다. 이로 인해 배차간격이 3~5분정도 길어졌다. 관련 공문
  • 2018년 6월 25일에 2대가 감차되어 2312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으며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걸쳐 운행 차량이 2대씩 줄었다. 본래 6월 11일에 감차될 예정이었으나 차량 재도색 등 준비기간이 필요해 미뤄진 것이다. 같은 6월 25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도 감회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 15회, 토요일/공휴일 각각 14회 감회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걸쳐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1~2분 가량 더 길어졌다. 관련 공문 1, 관련 공문 2
  • 2020년 1월 29일에 1대가 감차되어 같은날에 신설된 01번으로 이동되었다.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걸쳐서 운행 차량이 1대씩 줄고 1일당 총 운행횟수도 5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동과 함께 상세 배차가 조정되어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반적으로 줄게 되었다.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21년 9월 1일에 평일에 한해 1대 투입되는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08회에서 107회로 1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공문
  • 2021년 11월 15일에 현대힐스테이트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차고지에서 바로 가능역으로 가도록 변경되었다. 이번 단축으로 인가 운행소요시간은 185분에서 180분으로 줄었으나, 운행횟수 증회나 배차간격 축소는 전혀 없었다. 관련 게시물
    {{{#!folding [ 변경 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6 노선도(2021).png}}}
  • 2021년 11월 22일부터 동년 11월 28일까지 2416번 신설 준비에 따라 운행 댓수가 임시로 1대 감축되었고, 11월 29일부터는 정규차 3대 전용예비 1대가 정식으로 감차되어 4대 모두 2416번에 투입되었다. 그리하여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4대씩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우선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에는 평일 2회, 토요일/공휴일 각각 5회 감회되었으며, 여기에 11월 29일 정식 감차 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5회 추가 감회되었다.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은 평일 배차간격에는 큰 변동이 없으나 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1~14분/12~15분에서 12~15분/12~16분으로 늘어났고, 11월 29일부터는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2~15분/14~17분/15~20분으로 크게 늘어났다. 관련 공문
  • 2024년 8월 3일에 폐선되었다. 동년 6월에 폐선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차량은 3324번341번, 3323번 증차분으로 이동된다. 폐선 안내문 마지막 줄에 "오랜 세월을 우리 106번 버스와 함께해 주신 고객 여러분 덕분에 우리 대원여객이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라는 문구처럼 1972년부터 KD 운송그룹의 모체가 된 舊 13번 시내버스의 역사는 52년만에 막을 내렸다. 하지만 의정부시와 도봉구에서의 강력 반발로 결국 의정부시에서 2025년에 106번을 대체하는 노선 신설 계획을 밝혔으며, 신설 노선 개통전 대책으로 106-1번이 신설됐다. 서울 구간이 모조리 없어지면서 도봉산역으로 단축됐지만, 실질적으로는 구 13번 → 106번의 후신으로 볼 수 있으며, 그나마 구 13번의 역사를 어느 정도 계승은 하고 있다. 의정부시 인스타그램 안내 게시물 그러나 운행 대수가 훨씬 적고 막차 시간이 매우 일러 106번의 대체 기능을 제대로 하지는 못하고 있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했던 노선이다.
  • 의정부시 평화로에서 도봉산역까지 직선으로 운행하는 노선은 7번, 72번 등 상당히 있으나 가장 인지도가 높고 또한 첫차가 1호선보다 이르므로 의정부에서 서울로 새벽에 출근하는 시장상인, 미화원 등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했다.
  • 도봉산역부터 종로5가까지 구간은 중복 노선이 워낙 많다보니 존재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특히 종로5가에서 끊기기에 서울특별시청, 서울역, 여의도, 강남 등 더 먼 방향으로 이동하는 140번, 150번, 160번도 있고 중간에서 만나는 다른 중복 노선들도 행선지가 다양하다 보니 보조 형태를 지녔지만, 도봉로 버스수요와 전철수요가 워낙 높아서 출퇴근 시간대에 이 노선의 혼잡도는 높은 편이었다. 장거리 행선지인 130번, 140번, 150번, 160번 등은 장거리승객이 기점부 부터 자리를 깔고와 중간에 내리지 않고 끝까지 이동하다 보니 수유역 이남 구간에서 단거리 이동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사람에게는 이용이 어려운 상황이 생겼다. 장거리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어 구간 수요를 크게 책임져 줬다.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6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종로5가.효제초등학교
01205 파일:Seoulmetro1_icon.svg
종로5가.광장시장
01019
종로5가.효제동.김상옥의거터
01204 파일:Seoulmetro1_icon.svg
원남동
01198
방송통신대.이화장
01219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01002
혜화역2번출구.마로니에공원
01220 파일:Seoulmetro4_icon.svg
명륜3가.성대입구
01003
혜화역.동성중고(장면총리가옥)
01229 파일:Seoulmetro4_icon.svg
혜화동로터리.여운형활동터
01005
삼선교.한성대학교.조소앙활동터
08010 파일:Seoulmetro4_icon.svg
삼선교.한성대학교
08009 파일:Seoulmetro4_icon.svg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08008 파일:Seoulmetro4_icon.svg파일:UiLine_icon.svg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08007 파일:Seoulmetro4_icon.svg파일:UiLine_icon.svg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08006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08005
길음뉴타운
08004 파일:Seoulmetro4_icon.svg
길음뉴타운
08003 파일:Seoulmetro4_icon.svg
길음2동주민센터
08002
길음2동주민센터
08001
미아사거리역
09012 파일:Seoulmetro4_icon.svg
미아사거리역
09011 파일:Seoulmetro4_icon.svg
도봉세무서.성북시장
09010
도봉세무서.성북시장
09009
미아역.신일중고
09008 파일:Seoulmetro4_icon.svg
미아역.신일중고
09007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09006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09005
- 수유역
09003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유역.강북구청
09004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유(강북구청)역
09013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유3동우체국
09002
수유3동우체국
09001
우이1교앞
10018
우이1교앞
10017
쌍문역
10016 파일:Seoulmetro4_icon.svg
쌍문역
10015 파일:Seoulmetro4_icon.svg
도봉구민회관.도봉문화원
10014
도봉구민회관.도봉문화원
10013
도봉보건소.북한산아이파크아파트
10012
도봉보건소
10011
도봉소방서.방학역남부
10010 파일:Seoulmetro1_icon.svg
도봉소방서.방학역남부
10009 파일:Seoulmetro1_icon.svg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역북부
10020 파일:Seoulmetro1_icon.svg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역북부
10019 파일:Seoulmetro1_icon.svg
신도봉사거리
10008
신도봉사거리
10007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10006 파일:Seoulmetro1_icon.svg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10005 파일:Seoulmetro1_icon.svg
도봉한신아파트
10004
도봉한신아파트
10003
도봉산역
10002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Seoulmetro7_icon.svg
도봉산역
10001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Seoulmetro7_icon.svg
다락원.서울도솔학교앞
61604
다락원.서울도솔학교앞
61605
롯데.신도아파트
61039
롯데.신도아파트
61038
호원고교.호암초교
61037
호원고교.호암초교
61036
장수원.신한대학교
61035
장수원.신한대학교
61044
그랑베르아파트
61042 파일:Seoulmetro1_icon.svg
망월사역3번출구
61020 파일:Seoulmetro1_icon.svg
안말.병무청.호원예비군훈련장
61045
안말.병무청.호원예비군훈련장
61034
회룡중학교
61033
회룡중학교
61046
자동차검사소.한주아파트
61031
자동차검사소.한주아파트
61047
호원동.한주3.4차아파트
61180
호원동.한주3.4차아파트
61030
회룡역
61029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ULine_icon.svg
회룡역
61032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ULine_icon.svg
의정부교앞
61041
의정부교앞
61040
의정부역센트럴자이.위브캐슬아파트
61024
의정부역센트럴자이.위브캐슬아파트
61023
구)의정부3동우체국
61022
구)의정부3동우체국
61021
의정부역.농협앞
61009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역.흥선지하도입구
61010 파일:Seoulmetro1_icon.svg
- 의정부경찰서앞
61002
중앙초등학교
61003
경기북부보훈지청
61120
가능역.성베드로병원
61001 파일:Seoulmetro1_icon.svg
가능역.성베드로병원
61169 파일:Seoulmetro1_icon.svg
가재울교차로.일신건영휴먼빌아파트
61014
가재울교차로.일신건영휴먼빌아파트
61171
대원여객
08425 · 61172
}}}}}} ||

4.2. 일평균 승차인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6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1,205명 -
2014년 20,349명 ▽ 857
2015년 19,437명 ▽ 912
2016년 19,507명 △ 70
2017년 18,177명 ▽ 1,330
2018년 12,317명 ▽ 5,860
2019년 11,149명 ▽ 1,168
2020년 9,039명 ▽ 2,110
2021년 9,604명 △ 565
2022년 9,036명 ▽ 568
2023년 9,276명 △ 240
※ 하차 인원 미포함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7~2018년 1년 사이에 승객수가 크게 준 것을 볼 수 있는데 한 해 동안 2번에 걸쳐 32대에서 24대로 8대나 감차된데다 대당 운행횟수까지 한 번 감축되어서 그런 것이다. 그에 따라 대당이용승객이 3년새 100명 가까이 줄어들었다.
  • 2022년 코로나 시국이 완화되었지만 대부분 노선의 승객이 증가한 와중에 이 노선은 또 4대나 감차되면서 승객이 감소했다.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


[A] 첫차는 2대가 동시 출발한다.[A] [3] 토요일 15대 / 공휴일 13대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