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직행좌석 | | | |||||||||
시내일반 | 1 | 1-1 | 1-5 | 1-6 | 1-7 | |||||||
3 | 5 | 7 | 8 | 10 | ||||||||
10-1 | 11 | 12-5 | 23 | | ||||||||
25-1 | 34 | 35 | 36 | 39 | ||||||||
39-4 | 72-1 | 111 | 133 | 360 | ||||||||
출퇴근형 | 10-3 | 1-1출근형 | 23-1통학 | 25-2 | ||||||||
마을 | 201 | 201-1 | 202 | 202-1 | 203 | |||||||
203-1 | 203-2 | 205 | 205-1 | 206 | ||||||||
206귀락 | 206-1 | 207 | 207-1 | 208 | ||||||||
208-1 | 208-2 | |||||||||||
의정부시 진입 관외버스 목록 | 경기도의 시내버스 목록 |
|
{{{#!folding [ 관련 사진 펼치기 · 접기 ] | | | |
2006년식 BS106. [1] | 2006년식 BC211M.[2] | ||
| | ||
2010년식 BS110CN F/L. | 2016년식 NEW BS110. | ||
| | ||
2017년식 NEW BS106. [3] | 2019년식 BS110 탄소섬유가스통 차량 | }}}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2동(민락동차고지)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구.법원소방서)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55 |
막차 | 22:3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10~15분 | 주말배차 | 12~20분 | ||
운수사명 | 평안운수 | 인가대수 | 20대 | ||
노선 | 민락동차고지 - 용암마을15~16단지 - 송양초교 - 송양고 - 부용마을아파트정문 - 산들마을2단지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북부지방경찰청 - 의정부버스터미널 - 구.터미널 - 시장앞 - 한화생명입구 - 의정부역.흥선지하도입구 - 가능역 - 녹양역 - 양주역 - 양주시청 - 유양초교 - 사단앞 - 양주테크노시티 -가납사거리 -가래비주유소 - 가래비 시장 .광적면사무소 -신사래.조양빌라.형제빌라 - 덕도삼거리 - 오현리 - 갈곡리 - 법원읍도서관 - 천현초교 → 대능3리 → 구.법원소방서 → 법원리우체국 → 천현초교 → 이후 역순 |
2. 개요
의정부시 버스 신흥 강자. 왕복 운행거리는 약 73.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현재 노선과 별개로 35번이 있었는데, 경민대학교에서 청량리역까지 가던 노선이었다. 2000년 무렵 폐선되었고, 덕분에 당시 태릉교통 소속 45-2번(현 1155번)이 민락동까지 들어오게 되었다.[4]
- 현재 노선은 광적면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09년 11월 5일에 신설했다. 개통당시에는 덕도삼거리(울어리)에서 도봉산역까지 운행했다.
- 2010년 9월 1일에 법원읍으로 연장되었다. 그동안 평안운수와 신성교통 간 세력다툼으로 인해 32-1번, 38번 등 파주에서 의정부를 잇는 노선들은 배차간격이 매우 길었는데, 지자체 간 협상을 통해 뜬금없이 35번이 법원읍에 진출하게 된 것. 지금은 재정문제 때문에 신성교통의 세력이 매우 약해졌지만, 당시에는 파주시에서 제일 영향력이 센 회사였기 때문에 버스 동호인들 사이에서도 그 해 가장 놀라운 소식들 중 하나였다. 이 노선이 연장된 덕분에 요금에서 밀렸던 32번과 배차간격에서 밀렸던 32-1번 모두 폐선되었다.
사실 이런 팀킬은 KD 운송그룹에선 흔한 일이다.
- 차량 관리 문제로 인해 2011년 9월 26일에 '의정부역 - 도봉산역' 구간을 단축했고, 기점이 대능리에서 의정부 신터미널(舊 명진여객 차고지)로 변경되었다.
- 하지만 금오동 명진여객 차고지가 없어지면서 2012년 초, 민락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으며 의정부 신터미널~공영차고지 까지 직통으로 운행했었다. 당시 행선지판에 기점을 크게 민락동이라고 기재해 승객들의 혼동이 굉장히 컸다. 사실 민락동이 아니라 민락동에 있는 차고지로 가는 것이다.
- 2012년 중반, '신터미널 - 공영차고지' 구간을 직통으로 가던 것에서 꽃동네와 성모병원을 거쳐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회차는 동일하게 공영차고지. 행선지판은 민락동에서 성모병원 표기로 변경되었으며 양주 시민들의 성모병원 이용이 편리해졌다. 이로 인해 이 때부터 수요가 많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 2013년 6월, 민락2지구에 차고지가 생기면서 민락2지구 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과거에는 23번처럼 이마트 쪽을 통해 민락2지구로 들어갔으나 2013년 12월 상가입구, 부용마을3단지 쪽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4월 16일에 첫/막차 시간이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민락동 첫차: 변동없음.
- 법원읍 첫차: 05:40 → 05:55
- 민락동 막차: 23:00 → 22:30
- 법원읍 막차: 00:15 → 23:50
4. 특징
- 수요가 생각보다 굉장히 많다. 일단 민락2지구에서 의정부 시내로 나가는 버스 중 둘째로 빠르고, 자주오는 버스가 해당노선이고 금오동에서 양주역, 가래비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보니 수요가 많을 수 밖에... 그 뿐만 아니라 법원리~가래비 구간에서 양주역까지 출근, 통학하는 승객이 35번 수요의 과반 이상을 차지 할 정도이니 아침, 저녁마다 사람들로 미어터져 괴로울 정도다. 개통 초반에는 10대로 굴리던 노선이 많이 증차된 것도 특징이다!
- 2013년 초, 35번의 보조 노선인 35-1번이 신설되었다. 32-1번을 대체하기 위해 신설된 노선으로 기존 32-1번 운행 경로에 성모병원 기점 연장, 법원읍으로 종점 단축한 노선이였다. 35번과 가래비 구간 3개 정류장을 빼고는 모두 노선이 동일. 60분 간격으로 운행했으나 얼마 못가 35번에 흡수되었다.
- 2017년 12월, 일부 차량 LED 전광판이 새 전광판으로 교체되었다. 이로 인해 일부 전광판의 자막 폰트와 크기가 수정되었다.
- 운행 경로상(우러리.공병대앞(39042) 인근)에 2002년 장갑차 압사 사고를 당한 두 여중생을 추모하는 비석이 있다. 이 노선이 당시 사건 현장을 통과한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의정부역에서 민락동 방향 막차가 밤 12시 40~45분에 지나가므로 심야시간에 유용하다.
터미널은 3600번이 있다는건 함정
- 2019년 5월 기준으로 36, 72-1번을 밀어내고 의정부시 버스 승하차량 3위로 올라감과 동시에 1일 승객 10000명을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