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1 14:57:50

파주여객

파일:선진그룹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48d1a><colcolor=#fff> 지주회사
경기
인천
세종
시외버스
전세버스
택시
영훈교통
}}}}}}}}} ||

파일:파주시 CI.svg 경기도 파주시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기흥여객공공 신성교통 신성여객
뉴신일관광공공 신일여객 파주여객
대원고속공공 명성공공 서울여객공공
파주교통
마을버스 기흥여객 맑은교통 문산여객
뉴신일관광한정 신대운여객 우리교통
파주교통 하이상운 파인투어한정
공공 : 경기도 공공버스
한정 : 한정면허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colcolor=#ffffff> 파주여객 주식회사
坡州旅客 株式會社
Paju Passenger Co., Ltd.
<nopad> 파일:선진그룹 로고.svg
<colbgcolor=#e48d1a> 설립일 <colbgcolor=#ffffff,#1c1d1f>2014년 4월 28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서창연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자본금 25억원(2023년 기준)
매출액 73억 2,720만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1억 5,792만원(2023년 기준)
순이익 -1억 8,447만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33억 4,811만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31억 690만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1,288.01%(2023년 기준)
경영방침 지키고 싶으면 공격하라
소재지 본사 - 경기도 파주시 하지석길 422 (교하동)(1차고지 옆)
제1차고지 - 경기도 파주시 천정구로 217 (교하동)
제2차고지 - 경기도 파주시 천정구로 148 (교하동)
제3차고지 - 경기도 파주시 천정구로 46 (교하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선진그룹 홈페이지
전화번호 031-942-6133

1. 개요2. 역사3. 운행 지역4. 특징
4.1. 회사 운영4.2. 차량 출고
5. 보유 노선
5.1. 직행좌석버스5.2. 광역급행버스5.3. 시내버스
6. 영업소7. 면허 체계8. 보유 차량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파일:파주여객 1752.jpg 파일:파주M7154유니.jpg
직행좌석버스
2200번
광역급행버스
M7154번

경기도 파주시버스 회사. 선진그룹 계열사다.

2. 역사

  • 2014년 7월 19일부터 파주선진의 면허가 취소되어 운행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파주선진이 노선을 인수할 당시에는 '대명항~금촌' 노선의 인가를 활용해 인가대수를 채우는 것을 조건으로 운행할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방선거로 파주시장이 교체되면서 논의가 시작되지 않고 중간에 경유하는 지역인 고양시도 이 노선의 인가를 부동의해서 노선을 강제로 반납할 위기에 놓인 것이다. 결국 '대명항~금촌' 노선의 인가를 취소하고 광역급행버스를 증차하는 조건으로 면허를 유지한다.
  • 2023년 5월 22일에 사명이 파주선진에서 파주여객으로 변경되었다.
  • 2024년 9월부터 M7154번을 준공영제 이관과 동시에 신성교통에서 넘겨 받아서[3] 운행중이다.
  • 2024년 12월 1일부터 시행되는 신성교통의 일반 공공 노선들을 운행하기 위해 4개 노선 입찰에 신청했지만 모두 탈락했다. 반면 2025년 새해 첫날부터 시행되는 대광위 노선인 2200번, 3100번, 9030번의 입찰에는 성공했다. 그 중 2200번과 9030번은 새해 첫날에, 3100번은 4월 1일에 파주여객으로 이관되었다. 또 10월 1일부터는 7111번도 운행하고있다.

3. 운행 지역

  • 기존 신성교통 노선을 인수하여 사세를 확장한 덕에, 서울 여러 지역으로 진출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G7426번, G7625번이 M버스이던 시절에 인수하여 만들어진 업체로, 이후 선진버스가 신성교통으로부터 2000번을 양도받으면서 한동안 파주선진으로 이관되네 마네할 정도로 사세 확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신성교통이 한때 운정신도시 개발 하나만 믿고 여러 노선을 우후죽순 신설한 탓에 적자 누적이 되었고, 그 결과 회사가 제대로 망하게 되면서 직행좌석버스 노선 다수를 재입찰로 받아오게 되었다. 동시에 파주시 직행좌석버스를 과독점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4]
  • 현재 파주시 내의 거점은 운정신도시와 교하지구 일대. 큰 틀을 놓고 보자면 서울 도심(M7154), 합정(2200, 3100), 영등포(G7625, 9030, 9030-1), 강남(G7426)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G버스는 과거 M버스 시절 개통된 것을 전환한 것이라 그렇다 쳐도, 파주시나 고양시의 직행좌석버스들이 가는 웬만한 회차지에는 모두 진출한 셈.[5] 이후 똑버스도 개통하게 되면서 현재는 신성교통이 이루어내지 못했던 ‘운정신도시’에서 제대로 자리를 잡는데에 성공하였다.

4. 특징

4.1. 회사 운영

  • 똑버스를 제외한 이 회사의 모든 노선이 신성교통 출신이다. G7426, G7625번은 2014년에 이관된 것을 시작으로, M7154번은 2024년 9월 7일에, 2200, 3100, 7111, 9030번은 2025년에 이관되었다. 신성교통의 지속적인 경영난으로 인한 노선 매각으로 파주여객이 해당 노선들을 모조리 인수하면서 규모가 순식간에 커지게 된 것. 현재는 신성교통에 이어 파주시 직행좌석버스를 과독점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7권역 일대에서 고양시에 그치던 영업권을 파주시까지 확장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본사는 교하동에 있으며, 제1차고지에는 경기도 공공버스가 주박하고 제2차고지에는 똑버스가 주박한다. 이후 신성교통 출신 노선을 추가로 인수하면서 차고지 수용량 과부하로 인하여, 당하동 부근에 제3차고지를 마련하여 G7426번과 G7625번 전용 차고지를 신설하였다. 2020년에 현재의 교하동차고지를 마련하였으며, 이전에는 한국전력공사 파주전력지사 건너편(운정동 동쪽)에 차고지를 두고 있었다.
  • 선진버스의 영향력이 큰 편이다. 대표이사도 선진버스와 동일한 서창연 대표이사이며, 일부 차량은 선진버스 출신이기도 하다. 종종 차량 정비를 위해 구래리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는 경우도 보일 정도로 선진버스의 자회사격 업체가 된 셈.

4.2. 차량 출고

  • 2200번과 9030번의 경우 신성교통 시절에 출고하여 이관된 차량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타 회사에서 출고한 차량을 넘겨받은 후 신차로 대차한 케이스다. 현대 유니시티는 모두 신성교통 출신 차량이며[6], 볼보 BR8LE F/L 2층버스[7]와 9030번 계열에서 운행중인 유니버스 역시 신성교통 시절 출고한 차량이다. 한동안 신차 투입이 없었으나, 2024년과 2025년에 유니버스 프라임을 대거 출고하여 각각 M7154번과 3100번에 투입하여 운행중이다. 그 외에도 예비차로 운용중인 럭셔리 한 대는 선진고속 출신 중고차량이다.
  • 다른 선진그룹 계열사와 같이, 스카이웰 리오네를 도입하였다.[8] 현재 G7426번과 G7625번, 3100번, M7154번은 선진그룹 자체 출고분이, 9030번, 9030-1번은 전 차량 신성교통 출신 차량으로만 운행중이다. 대부분의 노선이 신성교통 출신인지라, 기존 차량이 넘어오지 않은 경우 신차를 투입하고 운용이 가능한 차량은 그대로 투입한 케이스다. 다만, 대광위에 편입된 노선은 정부 방침상 중국산 차량 투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니버스 프라임을 출고한다.
  • 똑버스에 투입되는 쏠라티 다수는 신성여객 시절 출고되어 사업권 이관과 함께 넘어온 것이다.

5. 보유 노선

5.1. 직행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2200 맥금동 갈현농협 - 파주프리미엄아울렛 - 헤이리 - 자유로 - 문발동 - 파주출판도시 - 자유로 - 강변북로 - 합정역 홍대입구 10~20
3100 교하동 해오름마을 - 산내마을 - 지산중학교 - 한울마을 - 새암공원 - 산남교차로 - 자유로 - 합정역 홍대입구역 15~20
7111 교하동 해오름마을 - 산내마을 - 해솔마을 - 한빛마을 - 새암공원 - 제2자유로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세대앞 - 이대후문 - 광화문 - 신한은행본점 숭례문 평일 4회
9030 교하동 오도리 - 다율동 - 청석마을 - 숲속길마을 - 산내마을 - 지산중학교 - 한울마을 - 새암공원 - 자유로 - 당산역 - 영등포시장 영등포소방서 10~35
9030-1 교하동 가람마을 - 산내마을 - 숲속길마을 - 문발동 - 파주출판도시 - 자유로 - 당산역 - 영등포시장 영등포소방서 평일 4회
G7426 당하동 별하람마을 - 가람마을 - 야당역 - 한빛마을 - 새암공원 - 자유로 - (→ 강변북로 → 한남대교 →/← 가양대교 ← 올림픽대로 ←)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양재역 10~35
G7625 당하동 별하람마을 - 가람마을 - 운정행복센터 - 한울마을 - 새암공원 - 자유로 - 강변북로 - 당산역 -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15~40

5.2. 광역급행버스

<rowcolor=#00b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M7154 청석마을 숲속길마을 - 산내마을 - 한울마을 - 새암공원 - 제2자유로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숭례문 - 서울시청 광화문 30~50

5.3. 시내버스

6. 영업소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본사 경기도 파주시 하지석길 422 (교하동 302-1) 2200, 3100, 9030, 9030-1, 7111, M7154 [CNG]
교하1 경기도 파주시 천정구로 217 (교하동 302-1)
교하2 경기도 파주시 천정구로 148 (교하동 300-32) 파주똑버스
01
당하 경기도 파주시 천정구로 46 (당하동 453) G7426, G7625, M7154[10] [11]

7. 면허 체계

  • 경기 731283~1284,3291
  • 경기 7610##
  • 경기 761263,1266
  • 경기 7617##,18##
  • 경기 761979~1980,1982~1983
  • 경기 7620##호, 21##

8. 보유 차량

8.1. 현재 보유 차량

8.1.1. 현대자동차

8.1.2. 스카이웰

8.1.3. 볼보버스

8.2. 과거 보유 차량

8.2.1. 현대자동차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경기고속2 경기버스 경기상운
경기여객2 경기운수 대원고속1
대원버스 대원운수 명진여객
이천시내버스 진명여객2 평안운수
평택버스 화성여객2 가평교통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
선진시내버스 연천교통 파주여객
포천교통 포천상운 경진여객
남양여객 소신여객 수원여객
용남고속 제부여객 화성운수
경원여객 써클라인 시흥교통2
태화상운 경남여객2 고양교통
과천여객 군포여객 금강고속
기흥여객2 뉴부일교통 뉴신일관광
대덕운수 대명운수 대양운수
더버스 도원교통 동부고속1
명성 백마운수 백성운수
보영운수 부일교통 부천버스
산본여객 삼경운수 삼영운수
서울여객 성광운수 성일운수
성남시내버스 성우운수 신성교통
신성여객 신일여객 양주교통2
여산교통2 오산교통2 와부버스2
용남고속버스라인 의왕교통2 청우운수
태산운수2 파주교통2 평택운수
평택여객 학의운수 협진여객
화영운수2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경기고속 대원고속1 선진고속
경기공항리무진 경남여객 경일여객
금강고속 대화관광 동부고속1
동양고속1 삼화고속1 용남고속버스라인
중앙고속1 한일고속1
}}}}}}}}}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KST그룹 계열사



[1] 인수할 당시에는 M버스(광역급행버스)였다.[2] 참고로 선진그룹은 파주여객 설립 이전에도 신성교통 관련 건을 인수받은 이력이 있었는데, 2000년 봄 신성교통 계열사 선진버스를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선진그룹은 신성교통 친인척 회사도 인수받은 이력이 있는데, 2013년에 강화운수(현 선진상운)를 인수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다.[3] 원래 신성교통이 운행했고, 준공영 운송사업자로 선정되었지만 임금체불, 4대보험 미납 등으로 인해 운행을 포기했다.[4] 아직 신성교통이 악착같이 잡고 있는 7200번(구.G7111번) 정도를 제외하면 신일여객이 9709번과 9710번을 운행하며 명성이 3400번과 7101번, 고양 1500번으로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신일여객 노선은 운정을 거치지 않고 통일로 축으로만 운행하기에 전혀 연관성이 없다고 생각하면 운정과 교하 일대에서는 거의 과점 중.[5] 고양시 최대의 버스 업체인 명성을 보더라도 도심행 노선이 대부분이고, 그 밖에는 영등포행 노선을 비롯하여 합정에 진출해있다. 7권역의 직행좌석버스는 서울로 나오는 길이 자유로, 중앙로, 통일로 정도가 전부인지라 죄다 틀이 비슷할 수 밖에 없긴 하다.[6] 45석 옵션으로 출고되어, 다른 차량에 비해 좌석간격이 유독 좁은 편이다.[7] 신성교통 시절에 출고한 차량은 다람쥐 마스코트인 ‘루루’가 좌석에 새겨져있다.[8] 9030번에서 운행중인 리오네는 모두 신성교통에서 출고한 차량이며, 예비차로 운용중인 2대는 선진버스 출신 차량, 1대는 전주고속 취소분이다.[CNG] 인근의 신성교하차고지에서 충전하나, 신성교통의 지속적인 경영난으로 맥금동차고지 등 여러 차고지를 돌아다니며 충전한다.[10] 일부 차량이 이곳에서 주박한다.[11] 기존 본사 차고지를 사용하였으나, 신성교통 노선 인수로 인한 포화로 당하동 노선인 G버스만 별도 차고지로 분리하였다. 동시에 전기버스 충전소도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