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ffffff,#191919>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000> 지주회사 | 에코모빌리티 | |
부천시 | |||
수원시 | |||
화성시 | |||
전세버스 | |||
충전소 | |||
기타 |
<colcolor=#fff> 주식회사 현대항공여행사 | |
| |
<colbgcolor=#19255f>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안녕길 49 (안녕동) |
대표이사 | 권성욱 |
업종 | 시내버스, 전세버스 |
홈페이지 | Homepage |
1. 개요
경기도 화성시]의 버스 회사. K1 모빌리티 그룹의 계열사이며, 경진여객의 자회사이다.2. 역사
- 2006년 3월 : 현재의 현대항공여행사 법인이 설립되었다.
- 2014년 8월 : 용남고속(現 경진여객)의 3000번 협정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5년 2월 : 협성대학교 통학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6년 3월 : 화성의과학대학교(舊 신경대학교) 통학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6년 4월 : 경진여객 협정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9년 8월 : 용남고속과 경진여객의 예약제 운행을 시작하였다.
3. 특징
3.1. 회사 운영
- 이름과 달리 항공과 관련한 사업은 하지 않고, 수원과 화성, 오산 일대에서 주로 영업하는 전세버스 업체이다. 2014년부터 용남고속의 강남행 광역버스 협정을 시작하였고, 이후 경진여객도 운행중이다. 2025년부터는 KD 운송그룹의 경기고속 M5107번의 광역버스 협정도 운행하고 있다. 여산관광, 경문관광과 함께 수원과 화성의 광역버스 다수에서 볼 수 있는 전세버스 업체 중 하나이다. 광역버스 협정 외에도 예약제 운행, 경기 프리미엄버스 운행도 겸업하고 있다.
- K1 모빌리티 그룹 인수 후에는 용남고속의 자회사인 경진여객의 자회사로 바뀌었으나, K1의 권성욱 대표가 용남고속을 비롯하여 시내버스와 전세버스를 모두 총괄하여 경영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 그 밖에 고정으로 운행하는 업체로는 협성대학교와 수원여자대학교, 화성의과학대학교 등의 수원과 화성 일대의 대학교 셔틀버스를 주로 운행하며, 에버랜드 임직원의 셔틀버스도 운행한다. 아무튼, 수원을 장악한 K1답게 전세버스에도 K1의 영향력이 강한 편이다.
3.2. 차량 출고
- 도색은 크게 두 가지이다. K1 편입 이전에 사용하던 하얀색 도장과, K1 모빌리티 그룹 인수 후 적용한 푸른색 도장이 존재한다. 전자의 구도색 같은 경우, ‘Oh~ Happy day!’ 문구와 함께 스케이트보드, 바이크, 패러글라이딩, 스노보드 픽토그램과 바람개비 도장이 적용되어 있다. 여산관광의 일부 차량도 해당 도색을 사용한다. 후자의 신도색 같은 경우, K1 모빌리티 그룹이 사용하는 푸른색 계열을 적용하였으며 경기도 공공버스와 유사하게 도색을 한 것이 특징이다.[3] 그밖에도 여산관광 차량과 같이 녹색 단색으로 도색한 차량도 있으며, 한때 용남고속버스라인의 시외버스와 같이 회색과 주황색으로 도색한 차량도 존재하였다. 경기 프리미엄버스로 운행하는 차량은 프리미엄 도색(G BUS PLUS)이 적용되어 있다.
- 일반 차량은 44석으로 도입하여, 우등 차량은 28석으로 도입한다. 경기도 공공버스와 비슷하게 좌석 간격을 벌릴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해두는 것이 특징. 또한, 일부 44석 차량은 경진여객 등 광역버스의 구형차량 대차분으로 매각되어 운행중이다.[4]
- 전세버스 임에도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적극적으로 하는 회사이다. 광역버스 협정에 투입하는 차량 외에도, 일반적인 통근버스 운행도 CNG 차량을 투입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유니버스 럭셔리와 프라임은 CNG 차량을 도입하여, 일부 차량은 디젤이다. 반대로 그랜버드와 HD급 차량은 모두 디젤로만 출고하고 있다.
- 차량 측면에 노선번호(운행노선)을 표출하는 BLU를 설치한다. 보통 ‘3007(예약제)’, ‘8800(협정)’ 등의 형태로 BLU를 사용하기도 하나, 신규 도입한 차량에는 강동교통과 같이 얇은 LED 행선판을 설치하여 표출하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또한,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규모 사업체의 통근버스를 운행하는 특성상 차량 내부에 하차벨을 설치하였다.[5]
- 주로 사용하는 차고지가 오목천동의 용남고속 본사인지라, 수원여자대학교 광고가 붙어있는 차량이 매우 많은 편이다. 오히려 수원여대 광고가 붙어있지 않는 차량을 찾는 것이 더 빠를 정도로 광고 빈도가 매우 높은 편.
4. 보유차량
4.1. 현대자동차
4.2. 기아자동차
[1] 경기도 화성시 안녕길 49 (안녕동 188-357)이다. 61번과 62-1번의 일부 차량이 이곳에서 주박한다.[2]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기곡로 20(하갈동 153-1)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때 용남고속 신갈영업소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또한, 신갈 기점 시절의 9404번의 기점이기도 했다.[3] 다만, 공공버스 레터링이 들어가는 평행사변형 모양이 반대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4] K1 광역버스의 전세버스 출신 차량은 모두 스윙도어로 이루어져있다. 이 중 CNG 스윙도어 차량일 경우, 거의 100% 여산관광이나 현대항공여행사에서 중고로 매각된 차량이라 봐도 무방하다.[5] 대부분 순정으로 하차벨을 적용한 차량이지만, 적용되지 않은 일부 차량은 콜부저나 다른 버튼을 활용하여 하차벨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두었다.[6] 08시 ~ 15시 사이에는 오목천동차고지를 들락날락하는 현대항공여행사 차량과 여산관광의 CNG 전세버스가 광역버스 협정을 끝내고 가스를 충전하러 들어오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