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0:21:23

정선군 농어촌버스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시내/농어촌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강릉시 고성군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원주시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춘천시 태백시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운수 업체 목록
}}} ||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0 -10px"
<colbgcolor=#ffffff>춘천시춘천시민버스원주시동신운수 · 대도여객 · 태창운수
철원군제일여객횡성군명성교통
화천군대진교통영월군영월교통
양구군현대운수평창군평창시티버스
인제군금강고속 · 대한교통정선군정선군 와와버스
홍천군금강고속 · 대한교통 · 현대교통태백시영암고속 · 화성고속
양양군강원여객삼척시강원여객 · 영암고속 · 화성고속 · 굿프랜드투어
속초시동해상사 · 강원여객동해시강원여객 · 동해상사
고성군동해상사강릉시동진버스 · 동해상사
녹색은 영서 지역, 주황색은 영동 지역.
}}}}}}}}}

1. 개요2. 역사3. 운임4. 면허 체계5. 노선6. 마을버스7. 민영제 시절8. 현재 보유차량9. 과거 보유차량10. 둘러보기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로, 정선군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정선군 캐릭터 와와군에서 따와 정선군 와와버스라는 브랜드가 있다.

민영제 시절에는 신동읍, 북평면, 여량면, 임계면 지역은 강원여객 정선영업소가, 고한읍과 사북읍 지역은 영암·화성고속이 단독으로, 정선읍과 화암면, 남면 지역은 양사 차량이 같이 운행했었다.

도에서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 지도에서는 민영제 시절 노선으로 나오며, 실시간 정보가 뜨지 않으니 주의할 것.

2024년 2월부터 실시간 운행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2. 역사

  • 최승준 정선군수의 공약인 정선군 농어촌버스 완전 공영제 시행을 위해 2018년부터 타당성 조사 이후 운수사와의 간담회(관련 기사)를 가졌으며, 2020년 상반기까지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강원여객은 정선군으로부터 12억 원을 받고 정선영업소를 정리하기로 했다. 관련 기사
  • 2019년 7월 1일에 강원여객의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으로 많은 노선들이 폐지/조정된 동시에 운행 시간대도 변경되었다.
  • 2020년 6월 1일에 정선 버스 완전공영제의 도입으로 구간요금제 폐지 후 1000원 단일요금제 도입, 읍면별 마을버스 운행, 노선번호 전면 개편 및 시간표 조정 등의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다.
  • 완전 공영제로 바뀐 후 전에 있던 노후차량들은 대차 시기에 맞춰 2021년 초까지 그린시티로 대차했다.
  • 2024년 11월 25일에 카카오맵에서 실시간 초정밀 정보가 게시되었다.

3. 운임

운임은 정선 군내 이용시에는 성인 1000원, 학생 및 어린이 500원이며, 태백시로 이동시에는 2배가 된다.

단, 정선군 관내 거주 만 65세 이상 노인, 초중고 재학생, 등록장애인 및 보호자 1명, 국가유공자 및 상이등급 1급 이상 유공자의 보호자 1명,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정선교통복지카드가 발급되어 정선 관내에 한해 무상 이용 가능하다.

4. 면허 체계

  • 내연기관버스
    • 강원 73 자 7XXX
  • 전기버스
    • 강원 73 자 72XX

5. 노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0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000>
파일:정선군 CI_White.svg
}}}
{{{#!wiki style="color:#008c44;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5.1. 정선읍 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선군 농어촌버스/정선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고한, 사북읍 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선군 농어촌버스/고한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남면 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선군 농어촌버스/남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신동읍 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선군 농어촌버스/신동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임계면 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선군 농어촌버스/임계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마을버스

지금은 모두 폐선되고 와와버스에 흡수되었다.

7. 민영제 시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선군 농어촌버스/민영제 시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현재 보유차량

8.1. 현대자동차

8.2. 자일대우버스

8.3. 우진산전

8.4. 범한자동차

9. 과거 보유차량

9.1. 자일대우버스

10.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1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1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4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고령군8, 성주군8, 예천군9, 의성군, 청도군8, 칠곡군8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대구권 광역환승제 실시 지역
9: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 ||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교통체계
<colbgcolor=#3772b8> 철도 태백선 예미역, 민둥산역, 사북역, 고한역
정선선 민둥산역, 별어곡역, 선평역, 정선역, 나전역, 아우라지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40.svg평택제천고속도로(정선IC)(미개통)
국도 35번 국도, 38번 국도, 42번 국도, 59번 국도
지방도 28번 지방도, 410번 지방도, 414번 지방도, 415번 지방도, 421번 지방도, 424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정선군 농어촌버스, 정선버스터미널,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1] 강원특별자치도 유일의 아폴로 1100이며, 중국산 전기버스가 강세인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춘천시민버스에디슨 NEW e-화이버드스마트 110현대 일렉시티, 삼척 강원여객의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와 더불어 몇 안되는 국산 전기버스다.[2] 투입 당시에는 고한•사북 노선 1대, 정선터미널 1대로 운행했다.[3] 현재 고한•사북 노선 2대, 정선터미널 1대로 운행중이다.[4] 공식 기록(면허등록일 기준) 최초가 맞다. 다만 홍천군 금강고속 차량 중에 먼저 만들어진 차량이 있다.[5] 현재 고한•사북 노선 3대, 정선터미널 노선 2대로 운행중이다.[6] 김천공장 생산분이며, 전문은 폴딩형식이다.[7] 현재 정선공영버스터미널의 충전소 자리부족으로 도입한 차량 모두 고한•사북 노선에서 운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