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9 19:27:09

고령군 농어촌버스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광역전철 (대구 도시철도 · 경북 도시철도)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경산-영천 광역환승할인 ·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 대구경북 공동생활권 대중교통 광역환승체계
}}}}}}}}} ||
파일:대가야9004.jpg
고령군 농어촌버스의 운행 모습.

1. 설명2. 요금3. 운행노선
3.1. 폐선된 노선3.2. 고령군 농어촌버스 노선 역사
4.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5. 둘러보기

1. 설명

고령군의 농어촌버스에 관한 문서로, 대가야여객이 단독 운영한다.

2. 요금

구분 교통카드 현금
기본요금(10km 이내)
일반 1,500 1,500
청소년 1,200 1,200
어린이 800 800
10km 초과시 구간요금 1km당 131원 82전
606번 고령-대구 구간요금(위천삼거리(위천1리), 삼리리)
일반 2,000 2,000
청소년 1,600 1,600
어린이 1,100 1,100
606번 고령-대구 구간요금(논공읍사무소~서문시장)
일반 2,900 2,900
청소년 2,300 2,300
어린이 1,500 1,500

계열사 경일교통에서 운행하는 성주군 농어촌버스처럼 교통카드 이용시 할인 혜택 없이 현금 요금과 동일하며, 환승할인제가 없고, 군계내에서도 구간요금을 징수한다.[1] 뒷문으로 승차하고 하차할 때 요금을 낸다. 2024년 이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으로 환승할인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때도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제를 유지할 지, 단일요금제를 시행할 지 관건이다.

버스 단말기는 성주,[2] 칠곡과 더불어 삼원FA 3세대를 사용하는 지역이다.[3] 하지만 세 곳 역시 향후 광역환승이 예정되어 있어 교체될 확률이 높으며, 이들의 지역을 끝으로 삼원 3세대 단말기는 전멸될 것으로 보인다.

3. 운행노선

  • 606번 : 고령시외버스터미널 ~ 논공 ~ 옥포 ~ 화원 ~ 상인네거리 ~ 송현역 ~ 서부정류장 ~ 서문시장
    고령시외버스터미널에서 대구 서문시장으로 오가는 606번이 가장 수익이 많고 메인 간선 노선이지만, 농어촌버스답게 오지 노선들이 많아서 서문시장에서 고령터미널로 돌아오면 각 오지 지역으로 지선을 운행하기 위해 출발한다. A조 기준으로 서문시장 종료차량은 서문시장(구.동산병원)까지 운행하지 않고 비산네거리에서 직진하여 북부정류장까지 공차회송한다.

3.1. 폐선된 노선

  • 구 607번 : 606번에서 분리된 606-1번이 607번으로 번호를 바꾼 노선으로 고령시외버스터미널과 다산면의 오지노선을 다니던 노선이었고 1일 3회 대구 시내로 들어왔었다.[4] 고령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606번과 달리 607번은 다산금류타운에서 출발하는 것만 다르고 화원삼거리 이 후 구간은 완전히 동일했다. 하지만 당시 다산에 들어오던 대구 608번은 좌석버스라 요금이 비쌌는데, 607번은 대구 608번과 경쟁하기 위해 시계외요금을 받지 않았다. 그래서 운행 횟수가 적지만 이 노선을 타고 대구 시내로 나가는 수요도 많았다.

그러나 2006년 7월 2일 상곡리 회차지의 정비가 완료되면서 대구 650번이 상곡리로 풀 타임 운행을 시작하자 수요가 급감했다. 2006년 개편 때 대구 시내버스 요금이 급행버스만 좌석버스 요금을 받았기에 급행버스가 아닌 650번은 요금 측면에서 메리트가 있었다. 거기에 650번은 607번에 비해 넘사벽급으로 운행 횟수가 많았기 때문에 607번의 수요는 엄청나게 저조해졌다. 그래도 607번은 감차하며 끝까기 묵묵히 버텼으나, 2010년대 들어 대구 650번에 밀려[5] 대구에서 완전히 철수하여 다산면과 대가야읍을 잇는 지선 노선으로 전락했다.

607번이 대구로 진입할 때는 대구 650번, 대구 836번과 98% 일치하는 노선이었다.[6]

607번 시절 인가대수는 단 2대라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었는데 2013년 607번이라는 번호가 사라지고 번호가 없는 노선인 고령 버스 고령-다산으로 바뀌었다.

3.2. 고령군 농어촌버스 노선 역사

1980년 3월 21일 경상교통이 설립되어 무번호 고령군 농어촌버스와 고령시외버스정류장~논공~화원~서부정류장 300번 시외완행버스를 운영하였다. 1998년 11월에 고령시외버스정류장~논공~화원~서부정류장 300번 시외완행버스와 동년 5월에 폐선된 구. 334번 좌석버스[7]의 서부정류장~서문시장 구간을 통폐합과 동시에 고령군 농어촌버스로 전환해 서문시장으로 연장해 노선번호를 606번으로, 운행구간을 고령시외버스정류장~논공~화원~서부정류장~서문시장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이 때 고령,다산~화원~서부정류장,서문시장 606-1번도 개통하였으며, 2005년에 607번으로 변경되어 운행하다 2013년때 폐선되어 고령~성산/용암~다산 구간을 무번호로 운행하고 있다.
2000년대에는 사장의 횡령으로 인해 자금난에 시달리면서 이때부터 지금과 같이 중고차를 뽑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에는 고령로얄이 부도나자 2003년에 고령버스로 사명이 변경되어 동부강남고속에 매각하였고 2005년에 동부강남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007년에는 경일교통이 인수하여 가야고령버스/진흥여객으로 변경하였고 2010년에는 경일여객여행, 2015년에 지금의 사명인 대가야여객으로 변경됨으로써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4.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

파일:고령군 CI.svg 고령 - 타 시 · 군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성주군
고령-작은동
합천군
}}}}}}}}} ||
606번이 고령과 서문시장을 이어주며, 그 외 다산회차지에서 고령 버스 고령-다산대구 버스 650이 서로 연계되며, 성산면, 다산면 일부 지역에서 대구 버스 달성1이 들어온다.
경일교통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가 대가야읍내까지 들어오며, 그 외에는 백운동에서 고령-백운동 버스와 성주-백운동 버스, 작은동에서 성주-작은동 버스와 고령-작은동 버스, 용암에서 성주-용암/선남/문양역간 버스와 고령-용암간 버스가 연계된다.
두 지역은 인접해있지만 버스가 서로의 땅으로 거의 들어오지 않는다. 아무래도 고령과 합천의 왕래 수요가 적어서 그런 것 같은데, 시외버스를 이용해 오가야 한다. 일단 고령 버스가 야로면 나대리에 들어오며, 합천군 농어촌버스도 나대리에 들어온다. 하지만 서로 연계는 되지 않으며 합천 농어촌버스가 나대리에 들어오는 것은 장날만이다. 일단 연계가 되는 가장 가까운 곳은 분기-신촌쪽. 고령 버스 고령-쌍림을 타고 '석사'라는 곳에서 내려 1.9km 정도 걸으면 '분기'라는 곳이 나오는데, 여기서 합천 버스 808과 연계된다. 그 외 고령-신곡 버스를 타고 박곡재를 넘어 박곡에서 합천군 농어촌버스가 연계된다. 하지만 편수가 적으므로 시외버스를 타고 오갈 것을 권한다.

5. 둘러보기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제 실시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1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고령군2, 성주군3
1: Happy 700 평창 우리동네 평화마을버스 제외
2: 대구광역시 구간은 단일요금제, 시행 검토중
3: 대구광역시 및 칠곡군 구간은 단일요금제, 시행 검토중. 성주읍 순환버스 제외
}}}}}}}}} ||


[1] 평창군 농어촌버스(Happy 700 평창 우리동네 평화마을버스는 해당되지 않음)와 더불어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제를 실시하는 3곳이다. 반면 성주군과 같은 경일교통에서 운행하는 칠곡군 농어촌버스는 교통카드 할인혜택,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이 있으며, 군계내 단일요금제를 시행 중이다. 또한 도 내에서 청송버스농어촌버스를 운행하는 청송군은 2023년 1월 1일 전국 최초로 전면 무료화가 이뤄졌으며, 영주여객에서 운행하는 봉화군도 2024년 1월 1일부터 전면 무료화되어 봉화여객으로 독립한 것과 반대된다.[2] 성주읍 순환버스 제외[3] 반면 다음 세대인 삼원 4세대 단말기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를 끝으로 전멸되었다.[4] 노선 구간은 다산금류타운 ↔ 다산주공아파트 ↔ 다산농협 ↔ 호촌리 ↔ 화원동산 ↔ 성산리 ↔ 화원삼주타운 ↔ 화원농협주유소 ↔ 대구교도소 ↔ 대원고등학교 ↔ 대곡역 ↔ 유천교 ↔ 진천역 ↔ 월배시장 ↔ 월배초등학교 ↔ 월배역 ↔ 월배우체국 ↔ 상인역월촌역송현역서부정류장/성당못역대구문화예술회관 ↔ 두류수영장 ↔ 두류공원네거리(문성병원) ↔ 성당시장 ↔ 두류1동우체국, 성남초교입구 ↔ 구남보건고교 → 내당네거리(서대구시장) → 반고개역 → 비산2,3동주민센터 → 비산네거리(대구제일고교) → 큰장네거리 → 서문시장(동산의료원) → 남산초교 → 경북공고 → 계명대학교대명캠퍼스 → 대명시장 → 구남보건고교 ↔ 이후 역순 구간이었다.[5] 2006년 개편 때 대구 650번화원동산 방면의 경우 1:1 비율로 화원동산 종점으로 들어가지 않고 사문진교 다산 방향으로 바로 통과하므로 화원동산으로 들어가는지 통과하는지 행선판을 보고 타야 했었다. 또 시내버스 안내에서 <화원유원지-신암캐스빌>(짝수 순번)은 다산에서 시내로 갈 때 화원동산을 들어갔다 나오고 시내에서 다산으로 올 때에는 화원동산을 무정차하는 방식이었다. 또 <화원유원지-다산>(홀수 순번)은 반대로 다산에서 시내로 갈 때 화원동산을 무정차 통과하고 시내에서 다산으로 갈 때에는 화원동산을 들어갔다가 나오는 방식이었다. 한 마디로 화원동산 내부를 1/2로 경유했으나, 2012년에 폐지하여 사문진교 풀 타임 직통으로 다산으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6] 다산금류타운~내당네거리 구간이 대구 650번과 중복되었고, 서문시장 방면으로는 화원삼거리~내당네거리 구간, 다산 방면으로는 동산네거리 ~ 화원삼거리 구간이 중복되었다. 오직 중복되지 않는 2%는 서문시장 방면으로, 내당네거리 ~ 비산네거리 ~ 동산네거리 구간, 즉 짧은 편도 구간 뿐이었다. 거기다가 화원삼거리 ~ 비산네거리 ~ 서문시장 구간은 606번과도 중복되었다.[7] 현풍~범물동 구간을 운행하였으나 1995년에 현풍~동부정류장 구간을 운행하는 332번이 개통되어 332번에 밀렸다. 332번은 1998년 5월에 601번으로 번호가 바뀌어 망우공원으로 연장되었고 2006년 2월에는 지금의 600번으로 번호가 바뀜과 동시에 칠성시장으로 단축되었으며, 600번은 연장과 단축을 거듭해 지금의 달성2차공단~앞산공원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9 (이전 역사)
문서의 r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