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2(-1) | 240 | 300 |
304 | 306 | 309 | 320 | 326 | 349 | |
356 | 401 | 402 | 403 | 405 | 410(-1) | |
413 | 425 | 501 | 503 | 504 | 509 | |
518 | 520 | 523 | 527 | 564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665(A) | 706 | 707 | 708 | 719 | |
724 | 725 | 726 | 730 | 802 | 805 | |
814 | 836 | 848 | 894 | 937 | ||
번호 옆 (A)표시는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
대덕교통 차량 | 대명교통 차량 |
1. 개요
동구 안심3동 동호초등학교(8)에서 북구 고성동3가 대구IM뱅크PARK(3)를 거쳐 달서구 대천동공영차고지(6)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3.8km.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등학교)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대천동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05:30 / [토요일, 공휴일] 05:35 |
막차 | [평일] 22:12 / [토요일] 22:14 / [공휴일] 22:13 | 막차 | [평일] 22:13 / [토요일] 22:11 / [공휴일] 22:10 | ||
평일배차 | 13분(일 97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6분(일 75회) 토요일: 13분(일 93회) | ||
운수사명 | 대덕교통, 대명교통 | 인가대수 | 23대[1] | ||
노선 | (→ 동호초등학교 →/← 상록아파트 ←) - 강동중·고등학교 - 반야월역 - 반야월시장 - 용계역 - 방촌시장 - 입석중학교 - 동구청 - 영진전문대학교후문 - 산격초등학교 - 침산네거리 - 대구iM뱅크파크[2] - (→ 서문시장 →/←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 - 대명시장 - 성당시장 - 서부정류장 - 월촌역 - 진천역 - 대천동공영차고지 |
중간 출발 정류소 | |
대천동공영차고지 | 서문시장평일, 토요일, 이마트칠성점평일, 산격대우아파트, 아양교역평일, 토요일, 용계역 |
동호지구행 | 실내체육관,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대구보건고등학교평일, 토요일, 한영한마음아동병원, 대구교통공사 |
3. 역사
- 1998년 5월 5일 개편 전에는 일반버스 32번이었다. 본래는 옥포면 신당리까지 운행했다가 일부 연장 운행했던 논공읍 금포리로 본선이 연장되었다.[3] 32번은 용연사, 옥포읍 신당리,[4] 현풍읍,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를 일부 연장 운행했다.
- 1990년 무렵까지는 평화시장 - 공고네거리 - 구.경북도청 - 성북교 구간을 운행했지만, 복현오거리로 단축된 일반버스 36번의 구간을 대체 운행하기 위해 동북로와 대구체육관을 경유하게 되었다.
- 1998년 5월 5일 개편으로 폐지된 31번[5]의 본리1리, 본리2리 가지 노선과 단축된 90번[6]의 다산면 가지 노선을 이어받았다.
- 1998년 6월에는 11-6번의 금강동 가지 노선을 이어받았다.[7] 그러나 금강동행은 1999년 1월 3일 개편으로 618번에 넘겼다. 2006년 개편 전까지는 836번은 가지 노선이 엄청 많았는데, 금포리 삼리2교차로1[8] 종점으로 가는 본선보다 가지 노선들이 더 많았다.[9] 가지 노선이 많았던 시절에는 가지 노선을 타고 가다 보면 본선을 타야 할 승객이 잘못 타서 다시 내리는 걸 가끔 볼 수 있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달성군청을 경유하게 되었고, 종점도 경북교통 차고지에서 동호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고령군 성산면 득성리, 다산면 노곡리는 달성1번에, 나머지 가지 노선들은 달성2번에 넘겼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유천네거리 이남 대곡역 - 논공읍 구간이 몽땅 날아갔다.[10] 기존 구간은 600번, 650번이 대체한다. 또한 공차거리 감소를 위해 대명교통이 공동 배차에 참가하여 공동 배차 노선이 되었다. 왕복 80km에 가까웠던 장대 노선이었지만 단축으로 인해 왕복 60km에 미치지 않는 노선이 되었다. 5대 감차되었지만, 폐지된 구간이 너무 길어서 배차간격이 늘지는 않았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4년 11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 사업을 개시한다.
- 동구2번의 정동고, 강동중고교 통학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동호지구 내부를 경유한다. 신설 초기 동구2번의 동호지구 - 입석중학교 구간을 그대로 운행하게 된다. 평일 배차간격은 12분에서 14분으로 늘었다.
- 2025년 4월 1일에 평일 배차간격은 13분으로 줄었다.
- 2025년 8월 1일부터 대신미싱골목 정류장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4. 특징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대구iM뱅크파크, 대구실내체육관을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가 대구를 연고로 하던 시절에는 이 버스를 타고 농구를 보러 가는 농구팬도 많았다. 또한,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가 있으면 이 노선을 타고 야구 보러 가는 야구팬도 많았다.[11] 2021년부터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가 새로운 구장이 신축될 때까지 대구체육관을 사용하기로 하면서,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홈 경기가 있는 날에는 농구팬으로 차내가 많이 혼잡해진다.
- 2009년 설화리로 단축될 뻔했다. 가창면 ~ 달성군청 직통 노선을 신설하기 위해 설화리 - 사월보성아파트 구간을 운행했던 604번의 기종점을 금포리 - 가창면 대일리로 조정하려고 했으며, 604번의 설화리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서 836번을 설화리로 단축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604번을 운행했던 세진교통이 수요 감소를 이유로 반대해 무산되었다.[12]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604번은 폐선되었고, 836번은 아예 달성군을 다니지 않는 노선이 되었다.[13]
- 2014년 6월 그동안 오랫동안 많이 이용하는 노선 1위를 차지하고 있던 726번을 제치고 9월까지 4개월 연속으로 많이 이용하는 노선 1위로 올랐다. 겉보기에도 수요가 많아 보이는데, 특히 구간 수요가 많아서 그렇다. 대천동 단축 이후에는 상위 10위권에서 벗어날 정도로 수요가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2015년 8월 개편 이후에 하차단말기 2대 설치 노선에서 제외되었다. 그래도 기존 구간의 수요도 많고 동구 구간의 수요가 단축 전보다 늘어서 이용객 수는 상위 20위권 안에 들어갔다.
- 836번의 단축은 화원, 논공, 옥포 주민들의 반발로 이어졌다. 화원 지역에서는 836번이 다니지 않게 되어 고령 606번, 650번, 651번의 수요가 모두 늘었다.[14] 836번의 논공 - 서부정류장 연결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600번이 동년 9월 7일에 KT남대구지사로 연장되었고, 2016년 2월 보완 개편 때 623번이 옛 세한여객 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그러나 623번은 동산병원 정문이 아닌 큰장네거리로 가며, 월성지구, 안지랑역, 서구청 굴곡이 있어서 836번에 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월성지구, 안지랑역 - 대가대병원 구간 수요는 그리 많은 것[15]도 아니어서 옥포, 논공 지역 주민들의 불편만 가중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 동구와 북구 복현동 - 산격동, 침산동을 오가는 수요가 많다. 이 수요는 2015년 개편, 2025년 개편을 거치며 해당 구간을 보조해주던 지선들이 사라지면서 더 늘었다. 평시에도 해당 구간에서 수요가 많으며, 출퇴근 시간에는 중고교 통학 수요와 영진전문대 통학 수요도 많이 나온다.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폐지된 동구2번의 정동고·강동중고교 통학 수요, 동호지구 주민 수요도 이어받았다. 또한 복현동과 산격동에서 서문시장을 가는 수요, 서문시장에서 성당로, 월배 지역으로 가는 수요도 논공 종점 시절부터 많다.
- 단축 후에는 월배로와 달서대로를 연결함에 따라 836번을 타고 대천동으로 들어와서 성서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달서대로에서 가까운 진천역을 환승하는 단거리 구간 수요가 새로 생겼다. 609번은 진천역에서 이마트 월배점과 조암로로 들어갔으며, 2017년 1월 21일 개편으로 유천네거리 대신 달서구자동차검사소로 구간이 조정되었다. 따라서 월배로와 달서대로를 왕복으로 오가는 노선은 836번만 남았다.
-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808번 방촌시장 분리구간 폐지, 980번의 단축, 동구2번 폐지 영향을 받아 동구 구간 수요가 대폭 늘었으며, 2025년 3월에 706번을 제치고 이용객 수 상위 10위권으로 올랐다. 2025년 7월 기준으로 이용객 수 순위는 9위이다.
- 동호공영차고지 방면 막차는 대덕교통이, 대천동공영차고지 방면 막차는 대명교통이 고정 분담한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반야월역 ← 서문시장 → 논공, 반야월역 - 복현오거리 - 서문시장 - 논공 이었다.
- 서부정류장에서 두류공원으로 직진하는 노선들 중 650번과 함께 서부정류장(관문시장앞)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6,429명 | - |
2015년 | 17,189명 | △ 760 |
2016년 | 13,294명 | ▽ 3,895 |
2017년 | 12,724명 | ▽ 570 |
2018년 | 12,836명 | △ 112 |
2019년 | 10,855명 | ▽ 981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9,118명 | ▽ 1,737 |
2022년 | 9,132명 | △ 14 |
2023년 | 10,087명 | △ 955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8월 개편으로 인해 유천네거리 이남 수요가 빠져나가 승차량이 감소하였다. 그런데 2021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수요 감소율은 16%로 다른 노선들에 비해 타격을 덜 받았다.
4.2. 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대천공영차고지앞 21604 | |||||
↓ | ↑ | 대천교 21019 | ||||
성서4차산업단지앞2 21603 | ||||||
유천포스코앞 01639 | ↓ | ↑ | 유천포스코건너 21800 | |||
유천초등학교앞 04020 | 유천교1 21602 | |||||
유천교(진천초등학교앞) 05174 | ↓ | ↑ | 유천교(진천초등학교건너) 21020 | |||
진천역(2번출구) 00833 | 진천역(1번출구) 05010 | |||||
월배시장앞 00836 | ↓ | ↑ | 월배시장건너 21601 | |||
월배초등학교건너 00847 | ||||||
월배역(3번출구) 00848 | ↓ | ↑ | 월배역(4번출구) 00845 | |||
성모여성의원앞 02267 | 성모여성의원건너 09124 | |||||
대구교통공사앞 02268 | ↓ | ↑ | 롯데백화점상인점건너 00995 | |||
경북기계공고건너 05187 | 경북기계공고앞 02266 | |||||
월촌역(6번출구) 00829 | ↓ | ↑ | 월촌역(7번출구) 21798 | |||
앞산청구제네스앞 05260 | 앞산청구제네스건너 21797 | |||||
↓ | ↑ | 송현1동치안센터건너 09120 | ||||
송현역(2번출구) 05261 | 송현역(1번출구) 21796 | |||||
송현역(3번출구) 05210 | ↓ | ↑ | 송현역(4번출구) 21795 | |||
한영한마음아동병원앞 20029 | 한영한마음아동병원건너 00572 | |||||
↓ | ↑ | 서부정류장(관문시장건너) 00571 | ||||
두리봉네거리2 00742 | 두리봉네거리1 21609 | |||||
문화예술회관건너 21227 | ↓ | ↑ | 문화예술회관앞 05008 | |||
두류수영장건너 00629 | 두류수영장앞 05007 | |||||
문성병원앞 00628 | ↓ | ↑ | 문성병원건너 05217 | |||
성당시장앞2 02184 | 성당시장건너 21610 | |||||
굿모닝병원앞 21230 | ↓ | ↑ | 굿모닝병원건너 01003 | |||
대구보건고등학교건너 01223 | 대구보건고등학교앞 20937 | |||||
대명시장앞 05191 | ↓ | ↑ | 대명시장건너 20110 | |||
계명대학교대명캠퍼스앞 02166 | 계명대학교대명캠퍼스건너 02163 | |||||
경북공고앞 20111 | ↓ | ↑ | 경북공고건너 20109 | |||
남산초등학교앞 20112 | 남산초등학교건너 20113 | |||||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앞1 20067 | ↓ | ↑ | 서문시장 01046 | |||
달성공원건너 20068 | ||||||
수창초등학교 21880 | ↓ | ↑ | 달성공원역3번출구 20064 | |||
고성아파트(서편) 02225 | 고성아파트건너(서편) 21226 | |||||
KT북대구지사건너 00134 | ↓ | ↑ | KT북대구지사앞 00131 | |||
대구IM뱅크PARK남편건너 00135 | 대구IM뱅크PARK남편앞 20732 | |||||
대구IM뱅크PARK동편건너 20054 | ↓ | ↑ | 대구IM뱅크PARK동편앞 20055 | |||
오페라삼정그린코아APT 09266 | 이마트칠성점앞 20028 | |||||
침산네거리1 21750 | ↓ | ↑ | 침산네거리2 21760 | |||
CBS방송국앞 20718 | CBS방송국건너 20911 | |||||
실내체육관건너 21709 | ↓ | ↑ | 실내체육관앞 21710 | |||
산격4동행정복지센터앞 21713 | ||||||
산격초등학교앞 21714 | ↓ | ↑ | 산격초등학교건너 21715 | |||
대원유치원건너 21717 | 대원유치원앞 21716 | |||||
산격종합시장앞 02100 | ↓ | ↑ | 산격대우아파트앞 21737 | |||
신세계병원앞 00325 | 신세계병원건너 00326 | |||||
복현오거리1 00327 | ↓ | ↑ | ||||
영진전문대학교후문건너 00328 | 영진전문대학교후문앞 20027 | |||||
영진고등학교건너 21721 | ↓ | ↑ | 영진고등학교앞 02097 | |||
신암공원 20651 | 복현네거리 21735 | |||||
동대구해모로웨스트아파트 04209 | ↓ | ↑ | 복현푸르지오아파트앞 21734 | |||
국립신암선열공원건너 20652 | 국립신암선열공원앞 20668 | |||||
큰고개오거리2 00193 | ↓ | ↑ | 큰고개오거리1 05047 | |||
동구청건너 09057 | 동구청앞 02091 | |||||
아양교역(2번출구) 20410 | ↓ | ↑ | 아양교역(1번출구) 20416 | |||
아양교1 20614 | 아양교2 20643 | |||||
입석중학교앞 20615 | ↓ | ↑ | 입석중학교건너 20662 | |||
동촌화성타운앞 20616 | 동촌화성타운건너 20620 | |||||
동촌역(신길)2 20617 | ↓ | ↑ | 동촌역(신길)1 20619 | |||
홈플러스동촌점건너 09195 | 홈플러스동촌점앞 20618 | |||||
해안역(3번출구) 20608 | ↓ | ↑ | 해안역(1번출구) 20607 | |||
퀸벨호텔앞 20609 | 퀸벨호텔건너 20606 | |||||
방촌시장앞 20610 | ↓ | ↑ | 방촌시장건너 01075 | |||
방촌역(2번출구) 20611 | 방촌역(1번출구) 02297 | |||||
방촌치안센터건너 20612 | ↓ | ↑ | 방촌치안센터앞 20605 | |||
백자맨션앞 20596 | 백자맨션건너 20595 | |||||
용계역(2번출구) 20602 | ↓ | ↑ | 용계역(1번출구) 20594 | |||
용계삼거리2 09163 | 용계삼거리1 20593 | |||||
LG물류센터건너 20657 | ↓ | ↑ | LG물류센터앞 20592 | |||
정동고등학교건너 09012 | 정동고등학교앞 20591 | |||||
율하교동편1 01255 | ↓ | ↑ | 율하교동편2 01256 | |||
반야월시장1 20658 | 반야월시장2 20590 | |||||
각산태영데시앙건너 01260 | ↓ | ↑ | 대구파라곤프레스티지아파트 01258 | |||
안심지구대건너 09165 | 안심지구대앞 09181 | |||||
경북교통 20589 | ↓ | ↑ | 경북교통앞 20586 | |||
반야월역(1번출구) 01277 | 반야월역(4번출구)1 01274 | |||||
반야월역(3번출구) 20506 | ↓ | ↑ | 반야월역(4번출구)2 02919 | |||
각산역(2번출구) 01291 | 각산역(1번출구) 20585 | |||||
동호육교1 01671 | ↓ | ↑ | 동호육교2 20581 | |||
신서성당앞 02477 | 신서성당건너 20579 | |||||
강동중·고등학교 01668 | ↓ | ↑ | 강동중·고등학교건너 20580 | |||
영조아파트건너 01666 | 영조아파트앞 01669 | |||||
상록아파트 01672 | 동호초등학교건너 01665 |
5. 연계 철도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각산역[17], 반야월역, 용계역, 방촌역, 해안역, 동촌역, 아양교역, 동구청역[18], 서부정류장역[19], 송현역, 월촌역, 상인역, 월배역, 진천역, 대곡역[20]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21]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22], 남산역[23]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직행 | |
급행 | ||
간선 | ||
지선 | ||
경산 | ||
영천 | 55, 555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고령 | 606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산격캠퍼스 | ||||
<colcolor=#DA2127> 정문 동문 | 410-1 | 503 | 937 | 북구2 | |
북문 제2북문 | 300 | 306 | 410-1 | 501 | |
523 | 706 | 719 | 북구6 | ||
서문 | 순환2-1 | 232-1 | 300 | 304 | |
306 | 403 | 410-1 | 501 | ||
523 | 623 | 706 | 719 | ||
북구6 | |||||
체육관 | 232-1 | 300 | 306 | 410-1 | |
501 | 523 | 706 | 719 | ||
북구6 | |||||
쪽문 | 순환2-1 | 306 | 403 | 503 | |
북구6 | |||||
테크노문 | 순환3-1 | 232-1 | 410-1 | 413 | |
503 | 719 | 836 | 937 | ||
북구1 | |||||
상주캠퍼스 | |||||
시내버스 | 500번대 | 610번 | |||
시외버스 | 김천 ↔ 안동 | 대구북부 ↔ 점촌 | 동대구 ↔ 점촌 | 청주 ↔ 안동[미정차] | |
[미정차] : 상주종합버스터미널 미정차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802 | 814 | 894 |
803 | 809 | 818 | 818-1 | ||
913 | 989(-1) | 진량1 | 진량2 | ||
하양-와촌1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순환3-1 | 326 | 501 | 503 | |
609 | 618 | 623 | 650 | ||
706 | 805 | 836 | 남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36 | 남구1-1 | 동구1-1 | ||
606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 캠퍼스 | 급행5 | 802 | 814 | 894 |
803 | 803-1 | 818 | 818-1 | ||
989-1 | 991 | 진량1 | 399 |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대명동 캠퍼스 | 326 | 509 | 609 | 618 | |
650 | 706 | 805 | 836 | ||
남구1-1 | 달서2 | 순환2-1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복현캠퍼스 | ||||
정문 | 719 | 북구1 | 북구2 | ||
후문 | 순환3-1 | 232-1 | 410-1 | 413 | |
503 | 719 | 836 | 937 | ||
북구1 | |||||
글로벌캠퍼스 | |||||
정문 | 성서2 | 250-1 |
[1] 대덕교통 14대 / 대명교통 9대[2] 동편과 남편(야구장) 정류소 모두 경유한다.[3] 같은 코스의 좌석버스로는 1997년 신설되었다가 1998년 개편 때 폐선된 352번이 있었다.[4] 원래 본선이었지만, 금포리로 연장되면서 가지 노선으로 변경되었다.[5] 화원유원지 - 경북교통 차고지 구간을 운행했으며, 일부 시간대에 본리1리, 본리2리를 운행했다.[6] 서문시장 -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을 운행했으며, 다산면, 유가읍, 구지면 가지 노선을 운행했다. 1998년 5월 5일 개편으로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유가, 구지 오지노선으로 단축되어 66-1번, 66-2번, 66-3번, 66-4번으로 분리되었다.[7] 1998년 5월 개편 이전에는 30번이, 5월 개편 후에는 11-6번이 금강동을 운행했다.[8] 前 달성군예비군훈련장[9] 가지 노선이 연달아 2대가 지나가는 경우 본선은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졌다.[10] 현재 논공 구간은 623번이 운행하고 있다.[11] 과거형인 이유는 2016년부터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홈 경기를 치르기 때문이다. 새 야구장은 수성구 연호동 수성알파시티역 앞에 있다.[12] 대신 604번은 2012년 2월 18일 개편으로 대구미술관 - 대구스타디움 - 욱수초등학교 - 사월보성아파트 구간 대신 대구미술관 - 대공원역 - 범안로 - 율하지구 - 동호공영차고지 구간으로 조정되었다.[13] 설화리는 같은 시기에 연장된 653번의 회차지로 사용되고 있다.[14] 그러나 606번은 막차가 빨리 끊겼으며, 2025년 5월에 폐선되었다. 651번은 월성2동행정복지센터와 안지랑네거리로 돌아서 간다.[15] 월성지구 수요는 609번과 651번, 706번이 많이 가져가기 때문이다. 그나마 조암남로 구간 수요는 있는 편이다.[16] 618번과 651번도 반야월 지역으로 다니지만, 안심로(반야월 신길)로 다닌다.[17] 동호육교 정류장에서 승하차하면 된다.[18] 동구청 또는 큰고개오거리 정류장[19] 반야월방면은 한영한마음아동병원 정류장[20] 유천교/유천초등학교 정류장[21] 남산초등학교 정류장[22] 남산초등학교 정류장[23] 경북공고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