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0:54:11

현풍시외버스터미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문서의 정류장이 폐장된 후 2023년 9월 1일에 옮겨 개장한 곳에 대한 내용은 현풍공영버스정류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colbgcolor=#008837> {{{#!wiki style="margin: -12px 0;"<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colcolor=#fff> 터미널 동대구 · 서대구 · 북부 · 서부 · 군위
정류소 서대구역 · 용계역 · 현풍 · 효령 · 우보
기타 용산역(서부정류장행 하차 전용) · 태전역(북부정류장행 하차 전용) · 용계(가창) · 구효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폐쇄/운행중단 터미널 · 정류소 목록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8837><colcolor=#fff> 터미널 대구동부남부 · 현풍(시외)
정류소 대구혁신 · 시지 · 대구공항
}}}}}}}}} ||
{{{#!wiki style="margin: 0 -8px"
서울 · 부산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세종

현풍시외버스터미널
Hyeonpung Bus Terminal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현풍중앙로 129-12(성하리 404-2)

1. 소개2. 폐장3. 편의시설4. 운행 노선
4.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4.1.1. 직행4.1.2. 완행·농어촌
4.2.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5. 승차홈
5.1. 연계 시내버스

1. 소개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주관문이었던 현풍시외버스터미널.
파일:20220316_141911.jpg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현풍중앙로 129-12[1]에 있었던 버스 터미널.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달성3번, 달성6번, 달성7번의 기종점이자, 시내버스 환승센터 역할도 겸하고 있었다. 2006년 이전에는 교통카드로 시내버스 승차가 불가능해 승차권을 구입하여 승차해야 했으나, 이후로는 승차권을 폐지하여 교통카드로도 승차가 가능했다. 그 외에도 달성5번과 주말휴일 유가사행 600번이 터미널 내부를 경유했다. 터미널 내부로 진입하지 않지만 600번 본선이 터미널 옆길인 현풍중앙로[2]를 경유한다. 그러나 655번과 급행4번은 현풍중앙로가 아닌 비슬로(신길)[3]로 운행하므로 구 터미널에서는 볼 수 없고, 현재의 신 터미널로 지나간다.

1998년 개편 전까지는 모두 1995년 개통되어 현풍터미널~서문시장 구간을 운행하던 일반버스 34번, 34번과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고 덤으로 구지면, 유가읍 오지 지역을 일부 연장 운행하던 좌석버스 334번[4], 현풍터미널~대영학원 구간을 운행하던 일반버스 90번의 시종점으로 사용되었다. 이 밖에도 1996년에 개통된 좌석버스 332번이 있었지만, 이 노선은 현풍터미널 대신 현풍주공아파트 인근 공터를 시종점으로 사용했고 현풍주공아파트~동부정류장 구간을 운행했다. 1997년 34번, 1998년 개편 때 334번이 폐선되었고 좌석버스 332번은 노선이 대구국제공항~현풍터미널로 조정되어 좌석버스 601번로 변경되었으며, 90번은 시내 구간이 잘리고 현풍터미널과 유가읍, 구지면 오지 지역을 연결하는 오지버스 66-1번, 66-2번, 66-3번, 66-4번으로 단축되었다. 그러나 개편 1달 만에 601번은 대구국제공항 대신 동부정류장으로 조정됨과 동시에 시내 구간은 옛 332번으로 환원됐다.

2006년 개편 때 601번은 현풍터미널~칠성시장 구간을 운행하는 600번 간선버스, 66-1번은 구.달성4번, 66-2번은 달성5번, 66-3번은 달성6번, 66-4번은 달성7번 지선버스로 개편되었다. 2007년 달성공단2번이 신설되어 한동안 600번, 구.달성4번, 달성5번, 달성6번, 달성7번, 달성공단2번의 시종점으로 쓰이다가 2011년 600번구지면 달성2차산단으로 연장되자 655번논공읍 금포리에서 현풍터미널로 연장되어 현풍터미널을 시종점으로 사용했고,[5] 2012년 달성공단2번이 달성3번으로 개편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2. 폐장

2016년 6월, 현풍터미널을 운영하는 사업자 측에서 터미널 폐쇄를 공지했다. 관련 기사 현풍과 대곡역[6]을 오가는 급행8번이 운행하면서, 시외버스 수요 감소로 적자가 누적되어 더 이상 운영이 힘들어서 폐쇄가 불가피하다고 한다. 현풍터미널은 대구광역시청에 수 년 간 터미널 사업 면허를 반납하려 했으나, 공공성이 크다는 이유로 무시되어 왔다고 한다. 지금도 대구시는 현풍터미널 측에 폐쇄를 보류하라고 설득하는 중이고 현풍터미널은 이에 일단은 수용했으나, 폐쇄가 진행될 가능성이 아주 크다.

문제는 현풍터미널을 기종점, 회차지로 사용하고 있는 시내버스가 내쫓길 판이라는 것과 지역민들의 불편, 상가에 큰 타격이 오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시내버스가 과거에 비해 많이 확충되었으나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600번의 시내 구간이 날아가고, 급행4번설화명곡역까지, 급행8번은 (연장 전에) 대곡역까지만 운행하므로, 현풍과 서부정류장을 잇던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편도 증가한다는 것이다. 일단 2018년 4월 현재까지는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시외버스 이용객이 많지 않아서 미래가 밝지만은 않다. 대구테크노폴리스 등 주변 지역이 개발되면서 현풍터미널과 가까운 현풍 읍내에 거주하는 주민 수가 줄고 있고, 대구테크노폴리스에서 도심 방면으로 갈 때 그냥 급행8번을 타고 진천역으로 가지, 현풍터미널까지 와서 시외버스를 타고 나가지는 않는다. 자체로 돌아가는 코스인 데다가 대구테크노폴리스에서 달성1차산단 방면으로 가는 655번달성8(-1)번과 통합해서 유곡리공영차고지로 연장해 현풍터미널을 거쳐가지 않으며, 2023년 9월에 생긴 현풍 신 터미널로 간다.

결국 2023년 8월 31일을 마지막으로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이 폐장됐다. 2023년 9월 1일부터 현풍 신길의 현풍중고교 맞은편에 생긴 현풍공영버스정류장을 사용한다. 시내버스는 아직까지 구 터미널에서 회차하고 있으며, 구 터미널 도로변 정류장은 달성군민체육관으로 정류장명이 변경됐다.

3. 편의시설

승차장은 시내버스 전용 홈과 시외버스 전용 홈을 구분했다. 600번655번이 전용 출발 홈을 썼으나, 각각 달성2차산업단지와 유곡리공영차고지까지 연장하면서 사용하지 않았다. 구지[7], 유가[8]방면 노선들은 출발 홈에 각 방면 행선지[9]가 적혀 있는 홈에서 승.하차했다.

파일:20220316_140627.jpg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의 대구 도심 외곽, 그것도 시골에 있는 읍 소재지 터미널답게 내부는 허름하며, 세븐일레븐 편의점이 터미널 면적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터미널 내부는 잘 정돈된 편이었다. 거기다 규모, 시설, 노선, 정비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남부정류장에 비해 현대적이었다. 남부정류장이 현풍시외버스터미널보다 좋았던 점은 교통편과 접근성이었다. 다만 남부정류장은 2016년 12월 12일에 개장한 통합 동대구터미널에 일부 노선들이 이전[10]하면서 사라졌고, 북부정류장, 서부정류장만 살아남아 현존하는 터미널 중에서는 가장 상대적으로 노후된 정도가 강한 버스 터미널이다. 2000년대 초만 해도 터미널 시설은 좋지 않았다.거기다 2006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무료환승제를 도입하기 전에는 이 터미널에서 교통카드로 버스를 타는 게 불가능했기 때문에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도 승차권을 구입해서 검표원에게 확인을 받은 후에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런 승차 방식이 2002년 8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는 좌석버스를 이용하는 중고교생들에게는 손해를 주었다. 2002년 8월 15일부터 좌석버스 중고교생 교통카드 요금이 900원으로 인하되었는데[11] 이 터미널 발권기에서는 900원짜리 승차권을 팔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이라도 1,100원짜리 승차권을 뽑아야 했다.

당시에는 이 터미널에서 위천삼거리를 벗어나려면 좌석버스인 601번을 타야 했는데, 좌석버스 601번이 이 터미널에서 위천리를 벗어날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었기 때문이었다.[12]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교통카드 요금보다 더 비싼 요금을 내고 버스를 타야 했다. 다행히 이런 문제는 2002년 12월 1일 대구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면서 성인용 승차권과 학생용 승차권을 구분해서 발권하기 시작하면서 해결되었다. 그리고 2006년 2월 무료환승제를 도입하면서 시내버스 승차권은 따로 팔지 않고 이 터미널에서도 교통카드 승차가 허용되었다. 더불어 2006년 개편 때 좌석버스 601번이 칠성시장으로 이전하고 일반버스로 전환되어 600번이 맡게 되었으며, 2011년 8월 18일 600번이 달성2차산단으로 연장되자 655번600번 대신 현풍 신길 구간을 맡을 겸 현풍으로 연장되고 2012년 10월 급행4번이 추가되면서 현풍 쪽 시내버스 교통 사정은 훨씬 양호해졌다.

4. 운행 노선

주로 서부정류장에서 서남부권, 남부권으로 가는 경유지가 많았다. 때문에 경주, 포항, 영천으로 가는 시외버스 탈려면 동대구터미널로 가야 했다. 메인은 서부정류장을 거쳐가는 서대구 직행 노선인데, 약 20분의 배차간격으로 운행했다. 사실 직통으로 서부정류장에 갈 수 있는 시내버스 600번이 있지만, 달성1차산업단지 때문에 1시간 20분정도 소요된다. 시내버스 요금으로 굴곡을 피해서 도심 방면으로 빨리 가고 싶다면 시간 맞춰서 김흥리로 들어가는 달성5번이나 600번(주말휴일 유가사 노선)을 이용하여 설화명곡역에 가거나, 655번을 타고 하나리움 정류소에 가서 건너편 급행8번으로 환승해야 했다.

과거 코로나19 이전에는 이 터미널에 일반이 80%, 우등이 20% 정도로 일반이 훨씬 더 많이 들어왔으나 코로나19 이후로는 우등이 58%, 일반이 42% 정도로 우등이 조금 더 많이 들어왔다. 주요 일반노선이었던 대구서부행의 대거감회와 현풍-고령-거창행의 전회우등 전환이 원인인 듯 하다.

그러나 최근 대구서부행1일 7회로 감회당하면서 그 외 시간에는 울며 겨자먹기로 600번이나 달성5번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 되어 버렸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대비 약 74%가 감차된 것이다.

4.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폐장 직전까지 운행했던 노선은 2022. 11. 1 기준이며, 운행이 중단된 노선과 예매 사이트 요금 확인 불가 행선지는 2019. 3. 1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4.1.1. 직행

행선지 정류장 소요시간 운임 운행 회사
대구서부 대구서부 0:30 ₩ 2,800 경전고속, 밀성여객
운행 시간 07:30, 08:10, 12:00, 13:10, 15:30, 17:40, 18:30
비고 서부정류장 직행. 현장발권.
현풍→대구서부
경전고속은 의령 혹은 신반 출발, 밀성여객창녕 출발. 밀성여객은 시외버스, 경전고속은 농어촌버스로 운행중.
거창 고령 ₩ 3,100(일반)
₩ 4,500(우등)
고려여객, 천일여객
가조 ₩ 5,700(일반)
₩ 8,200(우등)
거창 ₩ 6,600(일반)
₩ 9,500(우등)
운행 시간 08:30, 09:40, 11:20, 12:40(가조 경유), 14:00, 15:20, 16:40, 18:00(가조 경유), 19:20 20:20
범례 (가조 경유) 가조 경유, 이외 시간대 미경유, 시외우등
비고 부산서부발 노선이 경유. 시외우등 28인승, 이외 시간대 41인승 운행. 인터넷 예매 가능. 단, 가조는 현장발권만 가능.
부산서부→현풍→고령→가조→거창
고령 고령 ₩ 3,400(일반)
₩ 4,500(우등)
고려여객, 천일여객
운행 시간 08:30, 09:40, 11:20, 12:40, 12:50(신흥, 일반), 14:00, 15:20, 16:40, 18:00, 19:20, 20:20
범례 시외우등
비고 부산서부발 노선이 경유. 시외우등 28인승, 이외 시간대 41인승 운행. 인터넷 예매 가능.
부산서부→현풍→고령→가조→거창
마산
창원
김해
마산 1:00 ₩ 6,000 신흥여객
창원 1:10 ₩ 7,000
장유 1:40 ₩ 9,000
김해 2:00 ₩ 11,000
운행 시간 1 16:35
비고 거창, 고령발 노선이 경유. 장유, 김해는 코로나와 김해여객의 파산으로 인하여 운행 중단
부산서부 부산서부 ₩ 12,700(우등) 고려여객, 천일여객
운행 시간 08:00, 09:30, 11:00, 12:25, 13:40, 15:00, 16:20, 17:45, 19:00, 20:00
비고 거창, 고령발 노선이 경유. 시외우등 28인승 운행. 인터넷 예매 가능.
거창→고령→현풍→부산서부
동서울 동서울 3:20 ₩ 29,100(우등) 대원고속
운행 시간 08:55, 11:30, 16:50
비고 의령발 노선이 경유. 시외우등 28인승 운행. 인터넷 예매 가능.
의령→신반→적교→이방→현풍→동서울
서울남부 서울남부 3:30 ₩ 30,600(우등) 천일여객
운행 시간 07:50, 11:50, 15:20, 18:20
비고 부곡, 창녕발 노선이 경유. 시외우등 28인승, 이외 시간대 41인승 운행하였으나, 2021년 2월 기중 코로나19로 인하여 41인승 운행편은 운휴중. 인터넷 예매 가능.
부곡→영산→창녕→현풍→서울남부

4.1.2. 완행·농어촌

행선지 정류장 소요시간 운임 운행 회사
거창 고령 ₩ 3,400 신흥여객
쌍림(귀원) 0:30 ₩ 4,500
분기 0:40 ₩ 5,800
묘산 0:50 ₩ 6,100
권빈 1:00 ₩ 7,600
거창 ₩ 9,500
운행 시간 12:50
비고 김해, 장유, 창원발 노선이 경유.
의령 차천 0:10 ₩ 1,600 경전여객
솔례 0:10 ₩ 1,500
구지 0:10 ₩ 1,500
모정 0:15 ₩ 1,500
대암 0:20 ₩ 1,800
이방 0:25 ₩ 1,900
내동 0:30 ₩ 2,600
적교 0:40 ₩ 3,400
신반 0:50 ₩ 5,000
운행 시간 09:30, 15:30, 19:30
세간 1:00 ₩ 5,600 경전여객
중교 1:10 ₩ 6,500
용덕 1:20 ₩ 7,500
의령 1:30 ₩ 8,400
운행 시간 15:30, 19:30
비고 대구서부발 노선이 경유. 동서울발 의령행 노선은 발권불가.
창녕 차천 0:10 ₩ 1,500 밀성여객
한정 0:10 ₩ 1,500
대견 0:10 ₩ 1,500
십이리 0:10 ₩ 1,500
무솔 0:15 ₩ 1,500
모지 0:20 ₩ 1,600
모전 0:25 ₩ 2,100
왕산 0:30 ₩ 2,200
창녕 0:27 ₩ 2,900
운행 시간 10:30, 13:30, 17:00, 20:30
비고 대구서부발 노선이 경유. 서울남부발 창녕, 부곡행 노선은 발권불가.

4.2.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 적교, 초계 : 2005년에 폐선되었다. 현재 현풍에서 초계로 가려면 1일 3회 밖에 없는 신반-(의령)행 농어촌버스를 타고 적교에 내려 초계-합천행 농어촌버스로 갈아타거나 고령행 시외버스를 타서 고령에서 초계행 시외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 구지, 진주완행 : 2021년 코로나로 인해 폐지되었다.

5. 승차홈

  • 1번 : 서울남부, 동서울
  • 2번 : 마산, 창원, 남산동, 김해장유, 김해, 부산서부
  • 3번 : 고령, 거창, 귀원, 분기, 묘산, 권빈
  • 4번 : 차천, 한정, 대견, 십이리, 무솔, 모지, 모전, 왕산, 창녕, 차천, 대동, 구지, 모정, 대암, 이방, 내동, 적교, 신반, 세간, 오방, 중교, 정곡, 석곡, 용덕, 의령
  • 5번 : 대구서부(직행)

파일:20220316_140410.jpg
자동발권기기(2022년 3월 16일 기준)

5.1. 연계 시내버스



[1] 성하리 404-2[2] 터미널~현풍농협 구간인 현풍 구길[3] 현풍우회도로. 현풍중고교~달성우체국 구간[4] 1997년 34번, 334번이 서문시장에서 범물1동까지 연장되었다. 34번은 상인동에서 범물1동으로 갈 때 월성주공아파트~달서구청~남부지원교육청~서부정류장을 경유했는데 '현풍~범물동'이라는 행선판을 단 334번도 똑같은 구간을 운행했다.[5] 2019년 4월 20일부터 유곡리공영차고지로 연장 운행한다.[6] 이는 2016년 기준의 이야기로, 2022년 현재는 대곡역 대신 진천역에서 대구 1호선과 연계된다. 그리고 서대구역 연장으로 서울, 대전 방면 장거리 수요로도 연계 가능해졌다.[7] 달성3번, 달성7번[8] 달성5번, 달성6번[9] 예를 들면 응암리, 예현리 등[10] 청도 0번, 남부 - 청도/밀양/얼음골 경유 울산완행, 남부 - 운문사 - 언양완행만 동대구터미널로 이전했으며, 그 외 노선들은 경산터미널 혹은 가창면 용계리(헐티재경유 풍각행)로 단축됐다.[11] 성인 요금은 당시 1,100원이었다.[12] 서부정류장으로 가는 시외버스 외에는 전무했다. 지금이야 600번, 655번, 급행4번이 있지만 당시에는 601번만 현풍에서 대구 시내 방면으로 나갔다.[13] 본선은 터미널 옆 가변, 주말휴일 노선은 터미널 내부[14] 신 터미널을 지난 후 군민체육관네거리에서 우회전해서 구 터미널 방향으로 진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