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5:53:58

대구 버스 719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01b3ed>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1(-1) 156 204 232(-1) 234 240
300 304 306 309 320 323(-1)
326 349 356 401[A] 402 403
405 410(-1) 413 425 449 501
503 504 509 518 518-1 520
523 524 527 564 600[A] 609
618 623 649 650 651 653
655 665[A] 706 707 708 719
724 725 726 730 750 802
805 808 814 836 840 848
849(-1) 894 909 937 939 980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경상 5223.jpg
파일:범한719.jpg
경상버스 차량 관음교통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
2.1. 개편 전
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4.2. 노선
5. 연계 전철역6.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칠곡우방타운(7)에서 동구 지저동 대구국제공항(1)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신대리 영남대동문(9)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8.5km.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2.1. 개편 전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1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719_노선도.jpg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칠곡우방타운)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신대리(영남대동문)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평일, 공휴일] 05:33 / [토요일] 05:35
막차 [평일] 22:22 / [토요일] 22:20 / [공휴일] 22:23 막차 22:30
평일배차 14분(일 89회) 주말배차 공휴일: 18분(일 68회)
토요일: 14분(일 84회)
운수사명 경상버스, 관음교통 인가대수 21대[1][2]
노선 칠곡우방타운 - 칠곡운암역 - 구암역 - 태전역 - 팔달시장 - 침산초등학교 - 대구시청 산격청사 - 경북대학교북문 - 영진전문대학교정문 - 대구국제공항 - 방촌시장 - 율하역 - 안심교 - 임당역 - 영남대학교 - 영남대동문
중간 출발 정류소
칠곡우방타운 방향 원대역평일, 복현우체국, 대구국제공항토요일, 방촌시장, 안심주공1단지, 영남대평일, 토요일
영남대동문 방향 복현오거리, 북침산치안센터평일, 토요일, 공단역평일, 공휴일, 구암초등학교

===# 개편 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19번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칠곡우방타운)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금구리(금구동종점)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3
막차 22:22 막차 22:30
평일배차 14분(일 89회)
주말배차 공휴일: 18분(일 68회)
토요일: 14분(일 84회)
운수사명 관음교통 인가대수 21대
노선 칠곡우방타운 - 칠곡운암역 - 구암역 - 태전역 - 팔달시장 - 침산초등학교 - 대구시청 산격청사 - 경북대학교북문 - 영진전문대학교정문 - 대구국제공항 - 방촌시장 - 율하역 - 안심교 - 임당역 - 영남대학교 - 신대근린공원 - 금구리
중간 출발 정류소
금구리원대역, 복현우체국, 방촌시장, 안심주공1단지, 영남대
관음동(칠곡우방타운) 복현오거리, 북침산치안센터, 공단역, 구암초등학교

3. 역사

  • 1998년 5월 개편 때 323번은 노선 번호가 719번으로 변경되었고 기점이 관음동으로, 종점이 삼천리버스 차고지로 연장되었다.[4][5] 입석네거리~조영동 구간은 980번과 100% 동일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구암네거리 경유로 변경되었다. 이 때 기점을 동명교통 차고지로 바꾸려고 했지만 관음동 주민들의 반발이 심해서 취소되었다.[6]
  • 2006년 10월 통합요금제 실시 때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했다.
  • 2009년 1월 17일 개편 때 980번과 중복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심로를 경유하고 경산시장을 편도 경유하지 않고 경산네거리에서 바로 영남대로 좌회전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그와 함께 우창여객에서 순환선으로 개편했던 849(-1)번 차량 증차를 위해 2대 감차했다. 운행거리가 줄어서 배차간격은 늘어나지 않았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관음교통 차량 1대가 425번으로 이동하고 경상버스에서 증차분 1대를 719번에 투입했다.
  • 2019년 9월 17일부터 관음공영차고지에서 장기정차한다. 724번, 750번처럼 칠곡우방타운에서 운행을 마치고 관음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 조영동 삼천리버스 차고지 부지가 매각되면서 2019년 12월 9일 개편 때 종점이 영남대로 임시 단축되었다. 영남대정문 종점~갑제동 회차지 구간은 공차회송했다.
  • 2020년 2월 15일에 갑제동 회차지의 기종점 인가를 정식으로 받아 종점이 영남대동문으로 연장되었다. 공차회송 구간이었던 영남대정문~영남대동문 구간도 승하차를 받는다.
  • 2020년 10월 17일 개편 때 경상버스 1대가 323번으로 이동했다.
  • 2021년 2월 25일부터 시간표 조정으로 인해 평일 배차간격은 14분으로 늘어났다. 고수요 노선이지만 1대 감차, 영남대동문 연장, 시간표 조정으로 인하여 평일 배차간격이 꽤 늘어났고, 한 대를 놓치면 20분씩 기다려야 하는 등 배차가 불안정해졌다.
  • 2023년 2월 18일부터 관음동 방면 막차의 영남대동문 출발 시간이 22시 41분에서 22시 30분으로 변경되었으며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종점이 금구리로 변경되며, 그동안 대구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던 신대근린공원과 마위지근린공원을 경유하게 되는데 증차 없이 연장되어 배차간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구2번의 폐선으로 방촌 - 경북대 백업노선도 없어지면서 719번의 과밀 수송 문제는 더 심해질 전망이다.

4. 특징

  • 관음교통 운행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관음동으로 들어간다. 하지만 관음교통 차고지는 동구 방촌동 방촌공영차고지에 있다.
  • 경상버스 운행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수성구청으로 가지 않으며, 경상버스는 719번과 그 전신 번호 323번을 모두 운행한다.
  • 경산시 대평동차고지 ~ 폐수처리장(시경계) 구간은 대구 차적의 719번과 980번만 다닌다. 경산시 시내버스는 다니지 않는다.
  • 고수요 노선이다. 경북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영남대학교를 경유하므로 대학생 승객이 많다. 영진고등학교, 경상고등학교 통학 수요도 많다. 동구 거주 학생들이 719번을 타고 통학한다. 노선이 적은 구암초교, 구암역 일대에서 팔달교 이남으로 가는 수요가 많다. 팔달시장, 침산남로~성북로 일대에서도 719번을 많이 이용한다. 영남대동문 연장 이후로 연장 구간에서 율하역, 방촌시장, 대구국제공항, 경북대학교를 오가는 신규 수요도 생겼다. 다만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 연장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일부 승객들이 도시철도로 이동하여 장거리 수요가 조금 줄었다. 그리고 2호선 영남대역 연장 이후 율하지구와 경산을 오가는 일부 승객들이 604번을 타고 연호역에서 환승하는 경로를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율하지구~경산 이동 수요도 604번으로 조금 이동했다. 604번 폐선 이후에는 수성3(-1)번이 계승하고 있다.
  • 가스 충전은 관음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관음교통 기사 교대는 방촌역에서, 경상버스 기사 교대는 복현우체국에서 실시한다.
  • 반야월역 환승은 칠곡우방타운 방면 한정으로 안심중학교 정류소와 반야월역 출입구 간 거리가 멀기 때문에 환승하기 불편하다. 이 때문에 정류소와 출입구가 가까운 신기역(1번출구) 정류소 하차량이 의외로 많다.
  • 719번은 7권역 회사가 참여하지 않아서 두 업체 모두 공차회송 시간이 많이 나온다. 특히 경상버스의 경우 칠곡우방타운에서 경상버스 차고지까지 무려 약 1시간 40분이나 걸린다고 한다. 이 문제는 7권역 업체가 719번 배차에 참여해서 해결해야 하지만, 운수업체 사이 이해관계 때문에 해결하기 쉽지 않다.[8] 2020년 10월 17일 1대 감차 이전에는 관음교통이 칠곡 방향 막차 순번 대부분을, 경상버스가 경산 방향 막차 순번 모두를 전담했다.[9] 그러나, 2020년 10월 17일 이후에는 두 회사가 전 순번을 돌아가면서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개편 전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관음동 ← 복현오거리 → 영남대, 관음동 - 만평네거리 - 대구공항 - 영남대 였다.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19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2,553명 -
2015년 12,506명 ▽ 47
2016년 12,509명 △ 3
2017년 12,326명 ▽ 183
2018년 12,126명 ▽ 200
2019년 11,222명 ▽ 904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6,688명[10] ▽ 4,534
2022년 8,156명 △ 1,468
2023년 7,883명 ▽ 273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19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영남대동문차고지
21899
영남대동문 건너
03018
영남대동문
03015
압량한라빌라트 건너
-
압량한라빌라트
03013
우진아파트 앞
-
압량성당 앞
-
영남대 건너
05606 파일:Daegu2.svg
영남대 앞
05605 파일:Daegu2.svg
북부동행정복지센터 건너
05604
북부동행정복지센터
05603
임당역1번출구
05598 파일:Daegu2.svg
임당역2번출구
05597 파일:Daegu2.svg
중방e편한세상 건너
-
중방e편한세상(구.세왕주유소)
05596
경산네거리(대구방향)
05551
대평주공A 건너
05550
대평주공A
05549
대평협성휴포레 건너
05684
대평협성휴포레 앞
05682
대평LPG충전소 건너
05683
대평LPG충전소
05681
폐수처리장 건너
-
폐수처리장
-
성동건너
01663
성동앞
01674
안심교(반야월방향)
01664
안심교(경산방향)
01673
반야월역(2번출구)
00693 파일:Daegu1.svg
안심중학교앞
02611 파일:Daegu1.svg
반야월모란1차아파트
01282
안심중학교건너
20505
신기역(화성타운앞)
01283 파일:Daegu1.svg
신기역(화성타운건너)
20504 파일:Daegu1.svg
안심주공2단지앞
20503
안심주공1단지건너
20507
안심주공1단지앞
20502
율하역(5번출구)
01284 파일:Daegu1.svg
율하역(4번출구)
20501 파일:Daegu1.svg
율하남교2
20508
율하남교1
20499
용계삼거리1
20593
용계삼거리2
09163
용계역(1번출구)
20594 파일:Daegu1.svg
용계역(2번출구)
20602 파일:Daegu1.svg
백자맨션건너
20595
백자맨션앞
20596
방촌치안센터앞
20605
방촌치안센터건너
20612
방촌역(1번출구)
02297 파일:Daegu1.svg
방촌역(2번출구)
20611 파일:Daegu1.svg
방촌시장건너
01075
방촌시장앞
20610
퀸벨호텔건너
20606
퀸벨호텔앞
20609
해안역(1번출구)
20607 파일:Daegu1.svg
해안역(3번출구)
20608 파일:Daegu1.svg
홈플러스동촌점앞
20618
홈플러스동촌점건너
09195
동촌역(신길)1
20619 파일:Daegu1.svg
동촌역(신길)2
20617 파일:Daegu1.svg
동촌화성타운건너
20620
동촌화성타운앞
20616
입석중학교건너
20662
입석중학교앞
20615
강산아파트건너
20649
강산아파트앞
20642
대구국제공항앞
20650
대구국제공항건너
20641
불로우방아파트건너
20576
불로우방아파트앞
20640
복현서한2차아파트
21724
복현우방아파트
00168
명문세가APT앞
21723
명문세가APT건너
21722
영진전문대학교정문앞
00330
영진전문대학교정문건너
00329
영진고등학교앞
02097
복현성모약국앞
02712
영진전문대학교후문앞
20027
영진전문대학교후문건너
00328
복현오거리1
00327
복현우체국건너
20695
복현우체국앞
00350
경북대학교북문건너
20696
경북대학교북문앞
20697
경북대체육센터건너
00349
경북대체육센터앞
21756
경북대학교서문건너
21757
경북대학교서문앞
20719
산격청구맨션앞
21708
대구시산격청사건너2
00241
대구시산격청사앞
05042
대구시산격청사건너1
02123
성북교2
02119
성북교1
02122
침산화성파크드림건너
21741
침산화성파크드림앞
20734
북구보건소앞
21744
북구보건소건너
21763
침산초등학교앞
21745
침산초등학교건너
21762
북침산치안센터앞
21746
북침산치안센터건너
09261
원대역1
20803 파일:Daegu3.svg
원대역2
09072 파일:Daegu3.svg
팔달시장앞
20804 파일:Daegu3.svg
팔달시장건너
02132 파일:Daegu3.svg
팔달신시장
00276
팔달시장역
02131파일:Daegu3.svg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1
01040 파일:Daegu3.svg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2
09077 파일:Daegu3.svg
트레이더스홀세일클럽비산점건너
21838
트레이더스홀세일클럽비산점앞
09076
공단역1
01038 파일:Daegu3.svg
공단역2
02332 파일:Daegu3.svg
대백인터빌앞
20727 파일:Daegu3.svg
대백인터빌건너
20731 파일:Daegu3.svg
농수산물도매시장건너
01226 파일:Daegu3.svg
농수산물도매시장앞
01227 파일:Daegu3.svg
매천중고등학교건너
20728
매천중고등학교앞
20730
대구병원앞
20767
대구병원건너
20729
두성파크아파트앞
01222
두성파크아파트건너
20932
태전역1
20788 파일:Daegu3.svg
태전역2
20931 파일:Daegu3.svg
태전삼거리1
20924
태전삼거리2
20923
구암교2
01775
구암교1
01797
구암역(운전면허시험장)2
09214 파일:Daegu3.svg
구암역(운전면허시험장)1
01768 파일:Daegu3.svg
구암가구골목2
20769
구암가구골목1
05329
구암초등학교건너
20770
구암초등학교앞
20749
칠곡청구타운건너
01774
칠곡청구타운앞
20748
칠곡화성타운앞1
20782
칠곡화성타운건너
20794
한국농어촌공사건너
20784
한국농어촌공사앞
20793
칠곡운암역2
20785 파일:Daegu3.svg
칠곡운암역1
20026 파일:Daegu3.svg
칠곡에덴타운건너
20786
칠곡에덴타운앞
20787
칠곡서한맨션앞
01467
칠곡한신아파트앞1
20920
칠곡IC 1
01486
칠곡IC 2
20919
한국도로공사건너
01221
한국도로공사앞
20689
칠곡한라타운앞
01220
칠곡한라타운건너
20688
관음변전소2
01216
관음변전소1
20687
양지마을건너
01212
양지마을앞
05031
칠곡우방타운앞(종점)
01204
칠곡우방타운건너(종점)
20705
}}}}}}}}} ||

5. 연계 전철역

6. 둘러보기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대구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 · · · ·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68846> 8권역
(경산)
급행5 518-1 708 814 818
818-1 808 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 309 449 509 609 649
719 840 909 939 980
849-1 100 100-1 399 803
990 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남색 : 경산시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타 지역 간 버스
파일:경산시 CI.svg 경산-타 지역 간 버스 · 파일:영천시 CI.svg 영천-타 지역 간 버스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칠곡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안심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경산
영천 55, 555
}}}}}}}}} ||

[폐지]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폐지된다.[2] 하양읍을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대화교통과의 공동배차가 파기된다.[3]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노선 번호가 802번으로 변경된다.[4]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849-1번은 폐지되고 849번은 노선 번호가 848번으로 변경된다.[5]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지선으로 형간전환되어 노선 번호가 동구10번으로 변경된다.[폐지]

파일:경북대학교 심벌마크.svg 경북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산격캠퍼스
정문
동문
410-1 503 937 동구2
북구2
북문
제2북문
급행6[정차] 300 306 410-1
523 706 719
서문 급행6 순환2-1 300 304
306 323-1 403 410-1
523 623 706 719
체육관 300 306 323-1 410-1
523 706 719
쪽문 순환2-1 306 403 503
동구2
테크노문 순환3-1 323-1 410-1 413
719 836 937 북구1
북구2
상주캠퍼스
시내버스 500번대 610번
시외버스 김천 ↔ 안동 대구북부 ↔ 점촌 동대구 ↔ 점촌 청주 ↔ 안동[미정차]
[정차] : 북문만 정차, 제2북문 미정차
[미정차] : 상주종합버스터미널 미정차
}}}}}}}}}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산캠퍼스
정문 309 449 509[동문] 609
649 719 840 909
980
100[가지1] 109 399[가지2] 803
809 911 918 990[가지3]
991 경산1-1 경산3 압량1
동문 309 509 609 719
980 991
후문 509[소라] 100 109 990
경산1-1 경산2-1 남산1 남산2[정평역]
용성1[정평역]
시외버스 경산 ↔ 포항 경산 ↔ 울산
대구캠퍼스
대구고등학교 349 405 410-1 503
649
영대병원역 564 남구1-1 순환3-1
영남이공대학교 300 306 518 651
달서4-1
[동문]: 영남대 동문 방면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소라]: 소라아파트 방면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복현캠퍼스
정문 503 719 북구1 동구2
후문 순환3-1 323-1 410-1 413
719 836 937 북구1
북구2
글로벌캠퍼스
정문 성서2 250-1
}}}}}}}}} ||


[1] 경상버스 11대 / 관음교통 10대[2] 토요일은 20대(경상버스 10대 / 관음교통 10대), 공휴일은 16대(경상버스 10대 / 관음교통 6대)로 운행[3] 비슷한 일반노선은 21번이 있었으며, 1998년 개편 때 718번으로 변경되었다가 2006년 개편 때 폐선됐다.[4] 1998년 개편 이전부터 영남대 학생들은 당시 반야월에서 영남대로 가던 유일한 노선인 30번이 혼잡하며 경산시장 굴곡 구간으로 인해 경산네거리에서 바로 좌회전하는 것보다 15~20분 더 시간이 소요되어 불만이 많았고, 무료환승제가 없던 시절임에도 경산네거리에서 1번, 36번, 75번 등으로 환승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영남대생들은 지역 언론 등을 통해 30번과 유사한 좌석버스인 330번을 경산네거리에서 바로 좌회전하는 형태로 반야월에서 영남대까지 연장해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330번은 331번과 통합해 608번이 되었다가 2006년 폐선되었고, 330번 대신 연장된 323번의 후신 719번은 2009년까지 영남대 방면에 한하여 경산시장 굴곡 구간이 있었다.[5] 다만 719번의 삼천리버스 차고지 연장을 포함해 1998년 5월 개편 당시 경산 방면 노선 조정은 경산시와 협의하지 않았다.# 경산버스는 449번 신설과 719번 무단 연장에 반발하여 경산 99번을 서문시장으로, 경산 399번을 동대구터미널로 무단 연장되었다. 다만 449번 신설은 1990년 무렵 대구시와 원활한 협의가 없이 이뤄졌던 100번의 황금네거리 연장에 대한 맞대응이라고도 볼 수 있다.[6] 당시 관음동에는 717번, 719번, 724번이 있었는데 개편 초안에는 717번의 폐지와 719번의 기점 변경 계획이 있었다. 이대로 하면 관음동에는 724번만 남게 되어 관음동 주민들이 반발했던 것이다. 다만 717번이 폐지되었지만 719번의 기점 변경 계획이 취소되었고 750번이 관음동까지 운행하게 되어 반발이 사그라들었다.[7] 팔달교, 공항교, 안심교[8] 그나마 관음교통의 경우 외곽순환도로 둔산IC 덕분에 공차거리 문제가 경상버스에 비해 조금이나마 나아졌다.[9] 성북교, 영진전문대후문 종료 순번은 경상버스가 전담했다.[10]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11] 반야월역(영대방면)/안심중학교(칠곡방면) 정류장[12] 농수산물도매시장 정류장[13] 대백인터빌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