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49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덕원고등학교) |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대구종합유통단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05:33 / [토요일, 공휴일] 05:30 |
막차 | 22:30 | 막차 | [평일] 22:40 / [토요일, 공휴일] 22:30 | ||
평일배차 | 12분(일 98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4분(일 83회) 토요일: 13분(일 93회) | ||
운수사명 | 삼천리버스 | 인가대수 | 20대[1] | ||
노선 | 시지(종점) - 신매광장 - 수성알파시티역 - 국립대구박물관 - 황금네거리[2] - (상동시장[단독구간] →/← 청구중동아파트[단독구간]) - 경일여고 - 대구고등학교 - 약령시 - 대구콘서트하우스 - DGB대구은행파크동편 - 북침산네거리 - (북부상수도사업소 → 무태교 →/← 성북교 ← 산격주공아파트) - 유통단지 |
중간 출발 정류소 | |
유통단지 방면 | 대구콘서트하우스평일, 대구고등학교, SK리더스뷰평일, 토요일, 우방청솔맨션, 고산2동행정복지센터평일, 토요일 |
시지지구 방면 | 중동네거리평일, 남구청평일, 토요일, 반월당역토요일, 공휴일 경상감영공원 |
2. 개요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 덕원중고교(9)에서 수성구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4)을 거쳐 북구 산격2동 대구종합유통단지(3)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0.75km. 전체 정류소 목록3. 역사
- 1998년 개편 전에는 일반버스 51번이었다. 51번은 지금 349번과 중간 경유지만 조금 달랐던 노선이었다. 51번은 원래 황금주공아파트(現 캐슬골드파크)가 종점이었으나 남부정류장까지 연장되었다가 시지지구 개발에 따라 시지지구 종점까지 연장되었다. 1980년대 고정배차제 시절엔 51번과 달리 복현동 안쪽을 경유하고 황금네거리를 거쳐 지산시영아파트로 운행하던 51-1번도 있었으나 1990년 공동배차제 시행 때 폐지되었다.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349번으로 노선 번호를 변경했다. 검단동 민들레아파트에서 경북대학교 정문과 중앙로역를 거쳐 시지지구까지 운행하였으며, 홈플러스 대구점 방면과 이마트 칠성점 방면 분리 구간이 있었다. 홈플러스 대구점과 이마트 칠성점은 본래 편도 구간이었으나 1998년 분리 왕복으로 바꿨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기점을 민들레아파트에서 산격주공아파트로 단축했다. 침산네거리에서 북침산네거리 → 무림제지 대구공장 → 북부상수도사업소 → 백사벌네거리 → 침산교 → 산격주공아파트 → 성북교 → 침산변전소 → 북침산네거리로 루프 회차 방식으로 운행했다. 분리 구간도 이마트 칠성점으로 통합했다. 경북대학교 정문 구간과 홈플러스 대구점 분리 구간은 503번에 넘겼다.
- 2008년 10월 개편 때 309번 차량 1대를 증차했다.
- 2022년 5월 1일부터 시지 방향은 산격거평타운 삼거리에서 신천동로 대신 939번처럼 상수도사업본부시설관리소건너 정류장과 연암네거리3 정류장을 경유하여 산격주공아파트로 내려간다. 따라서 시지로 내려갈 때는 신천동로를 경유하지 않는다.
- 2023년 2월 18일부터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개편 전 929번과 시지(종점)에서 황금네거리까지 100% 겹쳤다. 이 때문에 929번은 2006년 개편 때 폐선되었다. 대신 929번의 침산동 편도 구간을 349번이 이어받았고, 929번의 황금네거리 ~ 궁전아파트 ~ 대봉교 ~ 명덕역 ~ 계명네거리 ~ 서문시장 ~ 비산네거리 구간은 402번이 대체했다.
- 2006년 개편 이후 상동교에서 중동네거리를 거쳐 파동/범물1동/황금동 방향으로 가는 노선들이 대거 정리되면서,[6] 시지에서 유통단지로 갈 때의 편도 구간이자 일방통행 구간인 상동시장 구간으로는 349번만 운행한다. 반대로 상동교에서 시지로 갈 때는 신천동로(대구한의대학교부속한방병원)를 거쳐 중동시장으로 들어간다.
- 유통단지 종점에서 시내 방향으로 갈 때 복현오거리로 진입하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이 노선은 산격거평타운 뒤편으로 나와서 이마트 칠성점으로 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통단지에서 시내로 빨리 접근할 수 있다. 거기에 산격거평타운도 양 방향 모두 무정차 통과하여 산격주공아파트로 들어온다. 하지만 성북교에서 밀린다면 복현오거리와 다를 게 없다. 그래도 성북교는 RH 일부 시간대만 피하면 통과하는 데 어려움은 없으나, 복현오거리는 오거리 모두 직좌 동시신호가 들어오기 때문에 신호는 짧고 신호 대기시간은 길어서 NH에도 통과하는 데 더 오래 걸린다.
- 분리운행했을 적에는 해당 운행 차량이 엇갈려서 운행했다. 본래 편도운행 구간을 왕복으로 전환한 건데, 홈플러스 대구점 경유 노선보다 뒤로 도는 이마트 칠성점 경유 노선의 운행시간이 더 길었다. 그래서 시지 출발 차량이 이마트 칠성점을 경유하여 민들레아파트를 찍은 후, 다시 시지로 내려갈 때 홈플러스 대구점을 경유하여 중앙대로로 내려왔다.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당시 배차간격은 8분이었지만 이마트 칠성점 경유 노선이 운행 소요시간이 더 길어서 도청교~검단동 종점 구간은 실제 배차간격이 4~12분 정도 되었다. 이런 방식은 242번,[7] 609번,[8] 650번[9]도 써먹었지만, 점차 분리구간을 없애면서 현재는 이런 방식으로 중간에 분리 운행하는 노선이 단 하나도 없다. 어차피 승객은 행선판만 보고 타면 그만이었지만.
- 버스편이 많지 않은 북구 침산동 침산로 연선에서[10] 시내까지 가장 빠르게 연결해 주는 노선이라 이 구간 수요가 많으며, DGB대구은행파크 개장 후에는 대구 FC의 홈 경기일에 축구장에서 시내로 이동하는 구간 수요도 생겼다. 남구 봉덕동 효성타운, 미리내맨션 일대에서 시내로 가는 수요 역시 많다. 또한 수성구의 주요 고등학교의 상당수가 이 349번 노선상에 위치해 통학 시간대 수요가 많다. [11] 심지어 정화여자고등학교와 덕원고등학교는 다른 곳으로 이전했는데, 이전하기 전이나 지금이나 모두 이 노선에서 벗어나지 않았다.[12] 2006년 개편 전에는 검단동/복현동이나 경대정문 구간에서도 승객이 많았다. 이 승객들은 개편 후 503번 등 다른 대체 노선을 이용하는 듯 하다.
- NH 때 수성구 구간 운행 속도가 느린 편이다. 234번에 추월당하는 건 일상이고, 담티고개를 40km/h대로 주행하는 일이 다반사. 수성대학교에서 시지(종점)까지 30분 가까이 주어져서 그런 듯 하다.
- 기사 교대는 대륜중고등학교에서 실시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49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2,082명 | - |
2015년 | 11,492명 | ▽ 590 |
2016년 | 11,827명 | △ 345 |
2017년 | 11,186명 | ▽ 641 |
2018년 | 10,160명 | ▽ 1,026 |
2019년 | 10,193명 | △ 33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7,861명 | ▽ 2,332 |
2022년 | 8,182명 | △ 312 |
2023년 | 8,999명 | △ 817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지하상가] 중앙로역[17], 반월당역, 명덕역, 교대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역, 만촌역[18], 담티역, 연호역, 수성알파시티역, 고산역, 신매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명덕역, 황금역[19]
- 대경선: 대구역[지하상가]
- 일반 철도역: 대구역(무궁화호, ITX-새마을)
6. 둘러보기
대구 시지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간선 | |
지선 | ||
경산 |
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캠퍼스 | ||||
정문 | 309 | 449 | 509[동문] | 609 | |
649 | 719 | 840 | 909 | ||
980 | |||||
100[가지1] | 109 | 399[가지2] | 803 | ||
809 | 911 | 918 | 990[가지3] | ||
991 | 경산1-1 | 경산3 | 압량1 | ||
동문 | 309 | 509 | 609 | 719 | |
980 | 991 | ||||
후문 | 509[소라] | 100 | 109 | 990 | |
경산1-1 | 경산2-1 | 남산1 | 남산2[정평역] | ||
용성1[정평역] | |||||
시외버스 | 경산 ↔ 포항 | 경산 ↔ 울산 | |||
대구캠퍼스 | |||||
대구고등학교 | 349 | 405 | 410-1 | 503 | |
649 | |||||
영대병원역 | 564 | 남구1-1 | 순환3-1 | ||
영남이공대학교 | 300 | 306 | 518 | 651 | |
달서4-1 | |||||
[동문]: 영남대 동문 방면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소라]: 소라아파트 방면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518-1 | 708 | 808 |
814 | 840 | ||||
803 | 809 | 818 | 818-1 | ||
911 | 진량1 | 진량2 | 하양-와촌1 |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급행6 | 순환3-1 | 503 | 609 | |
618 | 623 | 650 | 706 | ||
805 | 836 | 남구1-1 | 서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08 | 836 | 남구1-1 | ||
동구2 | |||||
606 |
[1] 토요일 19대, 공휴일 17대 운행[2] 정류장명은 헬로TV대구방송[단독구간] [단독구간] [5] 행선판은 여전히 북침산네거리로 나와 있다가, 이후 모든 차량들의 행선판이 유통단지로 수정되었다.[6] 424번은 452번으로 단축되면서 상동가압장으로 돌렸으며, 434번, 616번은 폐선되었다.[7] 범물1동주민센터로 갔었을 적에 분리 구간이 생겼다. 범물동으로 내려올 때 경북고등학교 경유 후 범물동에서 다시 올라갈 때 황금네거리 및 캐슬골드파크 경유로 간 적이 있었고,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8] 특히 609번은 난해했다. 그냥 1/2 운행이라고 하면 될 것을 운행 차량의 다이어대로 월성지구 및 상인역 편도 구간을 다 늘어놓는 바람에 행선판만 보고 타면 그만인 것을 더 복잡하게 안내했었다. 결국 해당 구간은 2009년 1월 17일에 없어졌다.[9] 달서3번 종점으로 들어오는 시간대에 다산발이 종점을 통과하고 시내에서 다산에 도착할 때 들어오는 것. 반대의 케이스도 있었다.[10] 중앙대로에는 410(-1)번, 503번, 706번이 있지만, 침산로에는 사실상 349번뿐이다.[11] 경북고등학교-정화여자고등학교-경신고등학교-오성고등학교-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영남공업고등학교-대륜고등학교-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시지고등학교-덕원고등학교로 쭈욱 이어진다. 이 노선과 상관없는 고등학교는 능인고등학교, 대구여자고등학교, 대구남산고등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 대구수성고등학교, 대구중앙고등학교, 동문고등학교 정도. 그 중 능인고의 경우는 청수로 하차 후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캐슬골드파크 정류장에서 능인고까지 대구남양학교 방향 남쪽으로 1km 조금 넘게 떨어져 있다.[12] 現 정화중/정화여고는 범어4동 동도중학교 근처에 있고, 現 덕원중고교는 이 노선의 종점이다. 舊 덕원중고교 자리는 현재의 태왕아너스인데 동도중학교에서 멀지 않은 위치며, 舊 정화여중고교 자리는 현재의 정화우방팔레스다.[13] 509번도 서구를 지나지 않는 걸로 보일수 있겠으나 두류역 정류장이 서구 소재이다.[낚시] 323(-1)번과 마찬가지로 낚시였다. 북침산네거리부터 편도구간이긴 하지만 이곳이 종점은 아니었다.[낚시] [지하상가] 대구콘서트하우스 또는 경상감영공원 정류장, 대구역 지하상가를 통해 이동.[17] 경상감영공원 또는 약령시 정류장[18] 만촌육교 정류장[19] 헬로TV대구방송 또는 SK리더스뷰 정류장[지하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