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05:35:23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ddb16><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성주군 CI_White.svg
}}}
{{{#!wiki style="color:#1ddb16;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ddb16><colcolor=#fff> 성주 군내
(0번)
성주-용암-문양역 성주-송계/수륜/백운동 성주-선남/도흥
성주-금수 성주-장산-선석사/성주-어산-선석사 성주-동포-홈실
성주-고산정-홈실 성주-칠산/대가 성주-벽진
성주-달밭 성주-소성 성주-초전-월항-성주
성주-초전-용성-성주 성주-벽진-초전-용봉-초전-성주
대구ㆍ칠곡ㆍ고령ㆍ김천
방면
14(성주-김천) 250 400(성주-왜관)
성주-고령-대구서부
순환버스 성주읍 순환버스
}}}}}}}}} ||
파일:sjwd-unl.png 파일:경일9129.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성주버스정류장에서 대가, 가천(창천), 수륜을 거쳐 고령시외버스정류장과 대구 서부정류장을 잇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1] 기사들은 이 노선을 '서부조'라고 부른다.

2. 노선 정보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종점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종점행 첫차 06:10 기점행 첫차 07:55
막차 16:10 막차 18:10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6.5회(대구 방면 6회 / 성주 방면 7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옥련 - 금산 - 옥화 - 대천삼거리 - 가천삼거리 - 가천터미널(창천) - 가천삼거리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성리 - 윤동 - 오천2리 - 계정리 - 남은리 - 화암 - 월산 - 쾌빈3리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 26번 국도 - 동고령IC - 광주대구고속도로 - 옥포J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남대구IC - 서부정류장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금수 경유)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종점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종점행 첫차 07:10 기점행 첫차 (편도 운행)
막차 막차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0.5회(대구서부 방향만 1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33번 국도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옥련 → 금산 → 옥화 → 대천삼거리 → 도남 → 금수 → 어은 → 후평리 → 봉두리 → 신성 → 중산 → 가천터미널(창천) → 가천삼거리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성리 → 윤동 → 오천2리 → 계정리 → 남은리 → 화암 → 월산 → 쾌빈3리 → 고령시외버스정류장26번 국도동고령IC광주대구고속도로옥포JC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남대구IC서부정류장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고령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종점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헌문리(고령시외버스정류장)
종점행 첫차 09:50 기점행 첫차 10:50
막차 19:00 막차 20:00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3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옥련 - 금산 - 옥화 - 대천삼거리 - 가천삼거리 - 가천터미널(창천) - 가천삼거리 - 양정 - 수륜(신당마을) - 성리 - 윤동 - 오천2리 - 계정리 - 남은리 - 화암 - 월산 - 쾌빈3리 - 고령시외버스정류장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수륜
기점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성주버스정류장) 종점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당리(수륜(신당마을))
종점행 첫차 20:30 기점행 첫차 20:55
막차 막차
운수사명 경일교통 운행횟수 1일 1회
노선 성주버스정류장 - 33번 국도 - 대흥리 - 대가(옥성리) - 옥련 - 금산 - 옥화 - 대천삼거리 - 가천삼거리 - 가천터미널(창천) - 가천삼거리 - 양정 - 수륜(신당마을)

3. 역사

4. 특징

  • 서부정류장에서 탑승 시 승차권을 구입해야 한다. 2020년 7월까지는 성주터미널, 2024년 12월 13일까지는 고령터미널에서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고 매표를 해야 했다.[2]
  • 운행패턴과 들어가는 차량이 차량인지라 시외버스로 혼동되기 쉬운데, 엄연히 정식 분류상 농어촌버스로 분류되어 있다. 그래서 다니는 차량 면허도 경북 시외버스 면허인 경북 72 아가 아닌 시내, 농어촌버스 면허인 경북 70 자를 달고 있다.
  • 성주발 대구서부행 중 1일 1회는 금수 쪽으로 둘러간다. 반대로 서부정류장에서 출발해 금수 쪽으로 둘러가서 성주로 가는 버스는 없다.
  • 소요시간은 성주 - 가천 20분, 가천 - 수륜 10분, 수륜 - 고령 20분, 고령 - 대구서부 30분 정도 소요된다.
  • 고령군인데도 대가야여객이 오지 않는 고령군 운수면 화암리[4]에서 고령 대가야읍으로 가는 유일한 버스노선이다.
  • 주로 33번 국도의 연선 지역인 성주-대가-가천-수륜-고령간 수요와 고령-대구서부간 수요가 대부분이다.
  • 성주-대가-가천-수륜 노선은 성주-고령, 대구서부 노선의 차량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 노선에 포함하며, 가천, 수륜 방면의 막차 역할을 하고 있다. 성주-대가-가천-수륜 과거에는 성주-초전간 막차버스도 해당차량으로 운행했으나, 현재는 별도의 0번 차량으로 운행한다.
  • 월산에서 본관까지는 옆의 구 33번 국도(대가야로)를 이용하지 않고 고속화도로인 현 33번 국도(가야로)를 이용한다. 덧붙여 쾌빈리 등지에서도 고령버스와 다르게 읍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고령터미널로 가기 때문에 고령군 구간에서는 급행버스 역할도 담당한다.
  • 카카오맵 상에 고령 ~ 대구서부 구간이 국도 경유로 나와 있지만 실제로는 고속도로 경유로 운행된다. 농산물 유통센터에 역시 당연히 정차하지 않는다.
  • 성주-대구서부 전 구간 이용 시 운임은 성인 기준 5,200원이다. 대구권 광역환승제가 시행되면서 구간요금제가 폐지되어 성주 - 고령 구간은 1,500원만 받지만 고령 - 서부정류장 구간은 광주대구고속도로를 그대로 타고 가는 선형과 동일 구간을 경유하는 시외버스인 대구서부-초계, 대구서부-해인사 노선과의 형평성 문제로 시외버스 운임을 적용해 3,700원이 추가로 부과되며, 70세 이상 노인 무임 승차 제도도 적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 구간 이용 시에는 250번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5]
  • 칠곡군 왜관읍, 구미시에서 김천으로 와서 885번 예서마을종점을 타고 거창 땅까지 걸어가서 거창군 농어촌버스를 이용하여 거창에 나가는것 보다는 성주군에서는 거창을 갈때 김천으로 올라가는 것 보다 오히려 고령터미널로 와서 시외버스를 타고 거창으로 가는것이 더 낫다. 만약에 요금을 아끼고 싶다면 고령↔가조까지만 시외를 끊고 다시 거기서 농어촌버스를 이용해도 된다.[7]

4.1. 시간표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성주 고령 대구서부
성주시외버스터미널 → 가천, 수륜, 고령, 대구서부
성주 가천 수륜 고령 대구서부
06:10 06:30 06:40 07:00 07:30
07:10 07:50[8] 08:00 08:20 08:55
08:00 08:20 - - -
09:00 09:20 09:30 09:50 10:20
09:50 10:10 10:20 10:40 -
11:20 11:40 11:50 12:10 12:40
12:30 12:50 13:00 13:20 13:50
13:40 14:00 14:10 14:30 15:00
15:15 15:35 - - -
16:10[9] 16:30 16:40 17:00 17:30
17:00 17:20 17:30 17:50 -
17:50 18:10 - - -
19:00[10] 19:20 19:30 19:50 -
20:30 20:40 21:00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마을·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368846> 4권역
(청도군)
0 0-1
2, 5권역
(칠곡군 서부)
성서2 7 250-2
250 27 51 · 51-1 9 20
5권역
(성주군)
0 (성주-고령-대구서부 · 성주-용암-문양역)
6권역
(고령군)
606
임시운행버스
650 달성1
6권역
(창녕군)
달성6 달성7
1, 7권역
(칠곡군 동부)
급행3 급행9 급행9-1 급행9-2 급행9-3
527 730 칠곡2 팔공3 38
칠곡3 200 250 250-1 300
군위-용수 101 101-1
7권역
(구미시)
73-3 78-3
8권역
(경산시 북부)
급행5 802 814 818 55·555
8권역
(영천시)
군위-신녕
9권역
(경산시 남부)
직행1 309 509 609 649
719 848 894 동구10
100 100-1 399 803-1 949
990 991 999 999-1
권역 외
(의성군)
군위-상곡 군위-백학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 ||

파일:성주군 CI.svg 성주 - 타 시 · 군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고령군
고령-작은동
김천시
칠곡군
}}}}}}}}} ||

파일:고령군 CI.svg 고령 - 타 시 · 군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성주군
고령-작은동
합천군
}}}}}}}}} ||

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 시내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구광역시 직행1
<colcolor=#fff> 부산광역시 3002 3003 3005
3008
울산광역시 1703 1713 1723
1733 5004
충청남도
당진시
9200
전라남도
담양군
311 311-1 311-2
311-3 311-4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고령-대구서부
경상남도
양산시
1100 1200 1300
1500 3000 3100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신반-대구서부 의령,신반-마산
}}}}}}}}} ||


[1] 20시 30분 운행편은 성주-대가-가천-수륜 구간만 운행한다.[2] 서부정류장에서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한건 터미널 수입 때문. 이로 인해 대구권 광역환승제가 차단되어 논란이 될수도 있다. 서부정류장 내에서 매표 수입 방해로 교통카드 사용이 어렵다면 대명역 쪽으로 정류소를 옮겨 실행해야 해결된다. 고령-성주는 12월 14일 단일요금제 시행에 따라 교통카드를 사용할수 있다. 다만 고령→대구서부도 교통카드를 사용할수는 있으나 시외 운임으로 그대로 적용된다.[3] 성주방면의 경우 250번 첫차가 6:10 으로 성주버스 중 제일 이르다.[4] 2012년까지만 해도 고령-화암-수륜 노선, 고령-화암-작은동 노선이 1회 운행하였으나, 폐지되었다.[5] 그래서 고령에서 이 노선으로 다사나 성서로 넘어 간다면 서부정류장으로 시외운임까지 들여서 환승하지 말고 성주로 넘어 간 다음 250번을 이용해 2000원에 가는 것이 오히려 낫다.[6] 고령터미널 에서만 대구로 나갈때만 적용되며 서부정류장은 표를 끊어 타야되기에 이 시스템이 차단된다.[7] 대구 성서에서 10시 10분, 다사읍에서 10시 20분경에 도착하는 250번 탑승해 성주→고령 11시 20분 이 노선 환승 고령터미널 도착 50분 대기 고령→가조 13시 00분 시외버스 탑승, 가조→ 거창 거창군 농어촌버스 13시 40분 배차 순으로 대구 성서, 다사읍에서 거창군까지 서부정류장까지 가서 직통 시외버스를 타지 않고도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고령터미널에서 장시간 대기로 대구 시내버스, 도시철도로 서부정류장으로 이동해 거창행 시외버스를 타는 시간보다는 2.5배가량 오래 걸린다는 점은 감안해서 이용해야 한다.[8] 금수경유로, 금수에는 7:30 쯤에 들어온다.[9] 대구서부방면 막차[10] 고령방면 막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