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1:38:33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 시내버스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역사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차량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전철 (대구 도시철도 ·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경산-영천 광역환승할인 ·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 대구-경북 공동생활권 대중교통 광역환승체계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전체 노선 목록버스 회사 목록요금 현황폐선 목록

파일:우주3108.jpg
파일:신진1215.jpg
간선 도색 937번 급행 도색 급행3번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Daegu Metropolitan City Bus
노선수 124개[1]
정류소수 4,023개[2]
업체수 26개
차량수 총량 1,656대
정규[3] 1,570대
입석고상 604대
입석저상 818대
좌석고상 145대
좌석저상 3대
예비[4] 86대
입석고상 55대
입석저상 4대
좌석고상 27대
좌석저상 0대
운행시간 05:30 ~ 24:20
운임제도 단일요금제(균일요금제), 환승할인제
운영제도 준공영제, 총량제
홈페이지 홈페이지
대구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
대구광역시 버스노동조합

1. 개요2. 종류 및 체계
2.1. 권역번호
3. 요금
3.1. 요금 연혁3.2. 무료환승3.3. 교통카드
3.3.1. 멘트
4. 특징 및 문제점5. 연혁6. 운영 상세
6.1. 노선6.2. 차량6.3. 교외 노선6.4. 통계
6.4.1. 연도별 이용 현황6.4.2. 노선별 승하차량6.4.3. 정류소별 승하차량6.4.4. 노선별 총연장6.4.5. 노선별 평균운행시간6.4.6. 노선별 정류소수6.4.7. 최극단
7. 공영차고지
7.1. 계획
8. 업체 목록
8.1. 현존하는 업체8.2. 폐업 및 인수합병된 업체8.3. 사명을 바꾼 업체
9. 안내방송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시내버스이며 각 버스회사의 배차권을 대구광역시가 가지는 준공영제로 운영 중이다.

2. 종류 및 체계

2006년 개편 때 버스를 4종으로 분류해 놓았다. 일부 좌석버스의 정류장을 줄여 급행화한 이름 그대로 급행간선을 만들고 나머지 좌석버스와 장거리 일반버스는 간선노선이 되었으며, 이후 대구광역시 순환도로를 따라 도는 순환노선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단거리 일반버스 및 마을버스, 벽지노선은 지선노선이 되었다. 이후 2015년 개편으로 급행, 일반간선, 순환간선, 일반지선, 순환지선, 오지지선 7종으로 나눠놨다지만 도색이나 요금이 바뀐 것도 아니고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그냥 4종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급행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각 종별 상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2.1. 권역번호

파일:daegu-bus-number.png
<colcolor=#000000> 0권역 중구, 남구
1권역 동구(안심지구(8) 제외)
2권역 서구, 북구(금호지구 한정)
3권역 북구(칠곡/금호지구(2/7) 제외)
4권역 수성구(시지지구(9) 제외), 달성군 가창면
5권역 달서구 북부(성서), 달성군 북서부(다사읍, 하빈면)
6권역 달서구 남부(월배), 달성군 남서부(화원읍, 옥포읍, 논공읍,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7권역 북구(칠곡지구 한정), 칠곡군 동명면 일부 지역(동명교통)
8권역 동구(안심지구 한정), 경산시 북부(하양읍, 진량읍), 영천시 금호읍
9권역 수성구(시지지구 한정), 경산시 남부(동지역, 압량읍)
권역 미정 군위군(간선버스 없음)
  • 간선버스, 출근맞춤버스 번호 부여 방식
첫째자리 둘째자리 셋째자리
출발지점 권역 경유지점 권역 도착지점 권역 순환형 (-1)[A][6]
출근맞춤버스 (0)
적용예시
간선버스
5 2 3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5)를 출발해 서구 평리3동 서구청(2)을 경유하고 북구 검단동 성보교통 차고지(3)까지 운행하는 버스
출근맞춤버스
7 2 5 0
북구 태전동 태전역(7)에서 북구 사수동 대구금호지구(2)를 거쳐 달서구 호림동 모다아울렛(5)까지 운행하는 출근 맞춤버스 (0)
  • 지선버스, 순환버스 번호 부여 방식
첫째자리 둘째자리 셋째자리
지선버스 생활권명 일련번호 (-1)[A]
순환버스 순환 순환도로 차수 반시계방향 : (-1)
적용예시
지선버스
칠곡 1 -1
북구 동호동 (칠곡지구)를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1번 버스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1-1번 버스
순환버스
순환 2 (-1)
2차 순환선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버스와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1번 버스
달성군 서남부 지역이 모두 6권역이다 보니 6권역의 면적이 넓다. 달성군 서남부 지역을 깊숙하게 들어가는 600번과 655번이 통과하는 권역은 2개 뿐이지만 운행거리는 왕복 100km를 근접한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많은 노선이 진입하는 경산시는 남부가 9권역, 북부는 8권역으로 정해져 있다.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군위군 지역에 간선버스가 들어갈 것을 대비해 기존 권역번호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아니면 군위에서 그나마 생활권이 가까운 칠곡지구 권역인 7권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현재 군위군에는 권역번호가 없는 대구 급행버스와 군위 마을버스만 운행중이다.

3. 요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700, #006700 20%, #006700 80%, #0067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700><tablebgcolor=#00670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2024년 1월 기준[1]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지역 시내버스 요금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구분 현금[6] 교통카드(선·후불)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급행|{{{#!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일반 2,200원 1,950원
청소년 1,300원 1,100원
어린이 800원 650원
노인[2] 2,200원 0원[3]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순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ac59; font-size: 14px"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14px"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14px"
[[군위군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187; font-size: 14px"
[[틀:대구광역시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1e2c; font-size: 14px"
경산 버스[4]
영천 버스[4]
고령·성주·칠곡 농어촌[5]
일반 1,700원 1,500원
청소년 1,000원 850원
어린이 500원 400원
노인[2] 1,700원 0원[3]
[1] 2024년 1월 13일부터 시행한 요금체계
[2] 노인 요금 적용 기준 나이는 2028년까지 매년 감소 (세부사항은 하단 참조)
[3]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한 전용카드를 사용해야 무료 혜택 존재
[4] 경산시내버스는 지선 · 간선 · 순환을 모두 포함, 영천시내버스는 입석 · 좌석 요금이 동일
[5] 대구 도심구간 내에서만 한정(일부 달성군 구간 제외), 다른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와 환승할인 불가, 시계외요금적용, 노인 요금 無
[6] 일부 노선에 '현금 없는 버스' 시범 도입으로 해당 차량의 경우 현금 승차 불가

* 만 5세이하 영유아 3인까지 무료 운임
}}}
}}}}}}


2019년 8월 13일부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대구 도시철도와 2009년 1월 17일부터 통합 요금제를 적용받는 경산시 시내버스, 영천시 시내버스와도 통합 요금제를 적용받는다.

2011년 7월 1일부터 버스와 도시철도 요금이 인상되었는데 대구광역시와 요금 체계가 같고 환승할 수 있는 경산시 시내버스도 똑같이 인상되었다. 성인 기준으로 교통카드 사용시 950원 → 1,100원, 현금 1,100원 → 1,200원으로 인상됐고 어린이 요금은 출산 장려의 일환으로 인상되지 않고 동결했다. 그런데 인상 첫 날, 환승 찍을 때마다 일반버스 기준으로 150원씩 요금이 더 빠져나가는 에러가 발생했다. 카드넷과 유페이먼트에서 나중에 환불 조치를 했다.

이 때에는 타 지자체에 비해 요금이 저렴한 편이었다. 성인 일반버스 교통카드 요금 기준으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서울특별시 시내버스[8]의 경우 1,200원으로 대구보다 100원 더 비쌌고, 천안시 시내버스의 경우 1,350원으로 대구보다 무려 250원 더 비쌌다. 또한 청소년 교통카드 요금 할인 폭이 일반의 약 30%로 다른 지자체(약 20~25%)에 비해 큰 편이다.

2016년 12월 30일에 도시철도 요금과 함께 성인 교통카드 기준으로 150원~200원 인상됐다. # 단, 이번에도 어린이 요금은 동결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구간요금이라고도 불리는 시계외요금2006년 10월 28일에 완전히 폐지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로 경산시, 영천시, 고령군, 칠곡군, 구미시 등 시계외로 넘어가도 시계외요금이 붙지 않는다. 이는 같은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산시, 영천시 시내버스도 마찬가지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칠곡군 동명면(기성리), 가산면 다부리(대구예술대학교), 가산면 천평리, 고령군 다산면(상곡리, 노곡리, 호촌리, 평리리, 송곡리 일대), 성산면(득성리, 벌지리, 삼대리), 구미시 산동읍(경운대학교), 칠곡군 지천면(송정리 영진전문대학 칠곡캠퍼스, 연호리 추동교 및 칠곡농장) 등까지 가는 노선도 대구 버스라면 시계외요금이 없다.[9]

다만 타 지역 버스인 고령의 606번, 성주/칠곡의 250번 등은 대구 시계외를 벗어나면 시계외요금이 붙으며, 청도의 0번은 대구 시계내에서도 시계외요금이 붙는다.

대구광역시는 2020년 하반기 이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를 확대하길 희망하는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며 21년 검토 용역을 거쳐 24년 이내에 광역환승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대구시 인근 지자체는 칠곡군, 구미시, 김천시 등이 있으며 이 세 지자체는 이미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외에 고령군, 성주군, 청도군 등이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상 대구권에 속해있다.

2023년 7월 1일부터 75세 이상 노인의 교통카드 요금이 무료화되었다. 무료 운임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동, 읍, 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카드 발급을 신청해 받아 반드시 그 카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 교통카드로는 신분증으로 나이를 증명하더라도 기존의 성인 요금이 부과된다. 또한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으로 기존 군위군 농어촌버스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동일한 요금체계를 따르고 교통카드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준해 사용 가능하며, 시계외요금도 없다.

2024년 1월 13일부터 요금이 인상된다. 교통카드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은 1250원에서 1500원, 급행버스는 1650원에서 1950원으로 인상되며 현금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는 1400원에서 1700원, 급행버스는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된다. 이번 요금조정은 2016년 12월 이후 7년 만이다. #1 #2 #3

2024년 7월 1일부터 일부 노선에 현금없는 버스 시범사업이 시행된다. 시범사업 대상 노선은 410(-1)번, 425번, 706번, 726번이다.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모니터링 및 분석을 통해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단 11월에 40개 노선으로 확대하며, 특히 급행은 군위로 가는 급행9번, 급행9-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시행한다.

2024년 12월 환승체계가 일부 변경될 예정이다.

3.1. 요금 연혁

(괄호)는 토큰 및 교통카드 요금
구분 일반버스 좌석버스[10]
기간 일반 중, 고생 초등생
1996년 4월 1일 ~ 1997년 8월 16일 360 270 170 800
1997년 8월 12일 ~ 1998년 2월 8일 400 290 180 850
1998년 2월 9일 ~ 2000년 5월 13일 500
(490)
350
(340)
200 1,000
(990)
2000년 5월 14일 ~ 2002년 11월 30일 600
(580)
420
(390)
250 1,200
(1,100)
2002년 12월 1일 ~ 2004년 10월 20일 700
(680)
500
(470)
200 1,300
(1,200)
2004년 10월 21일 ~ 2006년 2월 18일 900
(800)
600
(550)
200 1,300
(1,200)
2006년 2월 18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구분 일반버스 좌석버스 · 급행버스
기간 일반 청소년 어린이 일반 청소년 어린이
2006년 2월 19일 ~ 2006년 10월 27일 1,100
(950)
800
(670)
500
(400)
1,500
(1,300)
1,100
(910)
800
(650)
2006년 10월 28일 일반버스-좌석버스 요금 통합
구분 일반버스 급행버스
기간 일반 청소년 어린이 일반 청소년 어린이
2006년 10월 27일 ~ 2011년 6월 30일 1,100
(950)
800
(670)
500
(400)
1,500
(1,300)
1,100
(910)
800
(650)
2011년 7월 1일 ~ 2016년 12월 29일 1,200
(1,100)
900
(770)
500
(400)
1,600
(1,450)
1,200
(1,010)
800
(650)
2016년 12월 30일 ~ 2023년 6월 30일 1,400
(1,250)
1,000
(850)
500
(400)
1,800
(1,650)
1,300
(1,100)
800
(650)

노인 무료화[11]
구분 일반버스 급행버스
기간 일반 청소년 어린이 노인 일반 청소년 어린이 노인
2023년 7월 1일 ~ 2024년 1월 12일 1,400
(1,250)
1,000
(850)
500
(400)
1,400
(0)
1,800
(1,650)
1,300
(1,100)
800
(650)
1,800
(0)
2024년 1월 13일 ~ 1,700
(1,500)
1,000
(850)
500
(400)
1,700
(0)
2,200
(1,950)
1,300
(1,100)
800
(650)
2,200
(0)

과거에는 2년 정도 주기로 요금을 올렸다. 그래서 요금을 올릴 때마다 '시민이 봉이가?, 요금은 올라도 어째 서비스는 그대로냐?'하는 말들이 많이 나왔다. 그러다가 2006년 이후로는 요금 인상 주기가 5년 정도로 길어지면서 요금을 올려도 과거처럼 반발은 별로 없는 편이다.

3.2. 무료환승

환승 제도는 2006년 준공영제 도입 당시에 '교통카드 사용시 1시간 이내 무제한 환승'이었고[12], 2011년 2월 1일부로 교통카드 사용시 최초 하차 후 30분 이내 3번 환승으로 변경되었다. 그런데 지속적으로 민원이 제기되어 최초 하차 후 30분[13] 내 무제한 환승으로 바뀌었다. 다만 광주광역시와 동일하게 최초 교통수단 하차 후 30분 이내이므로 하차 이후 제한시간이 갱신되지 않는다. 수도권과 같은 거리비례 요금제가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 환승하지 않는다면 내릴때 하차태그를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노선 이용도 조사를 위해 환승을 안 하더라도 하차 태그를 해 달라고 따로 시청에서 공지가 뜨는 일은 있다. 이 환승기준 시간은 간선과 지선 특유의 긴 배차간격을 고려하여 50분 이상으로 늘리거나 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동일 노선(808대구대-808금호 등 가지노선도 무료환승 불가)의 경우 타지자체와 마찬가지로 무료환승 적용이 안 되며 A노선→B노선→A노선 처럼 중간에 다른 노선을 끼더라도 불가능하다. 그러나 순환형 노선에서 A번과 A-1번과의 환승은 가능한데. 예를 들어 순환2번과 순환2-1번 사이에는 환승이 가능하다. 또 도시철도의 경우 '1호선-버스-1호선'과 같은 경로는 무료 환승이 적용된다.

주의해야할 점은 일반→급행→급행으로 환승했을 경우이다. 이 경우 첫번째 일반버스에서 하차 후 두번째 급행버스를 탔을 때 성인 기준으로 급행요금과 일반요금의 차액인 400원이 빠져나간다. 여기까지는 괜찮은데 문제는 세 번째 급행버스를 다시 환승했을 때에도 400원이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즉 이 경우 저 세 버스를 타는 데 드는 비용은 1,250원+400원+400원=2050원이다. 두 번째 급행버스를 탔을 때 차액이 빠져나갔다는 걸 단말기가 인식하지 못 하고 최초 탑승이 일반버스였기 때문에 일반버스에서 급행버스로 환승한 것으로 인식하여 요금이 이중으로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무료환승제 도입 초기부터 있었던 문제점으로 그 때만 해도 기존 좌석버스 노선은 그대로 좌석간선으로서 좌석버스 요금을 받았기 때문에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그 후 얼마 안 가서 통합요금제를 실시하면서 좌석요금을 받는 노선이 급격히 줄어서 이런 문제점이 크게 이슈화되지 않았던 듯하다. 반면 급행→급행→급행 순으로 환승한 경우에는 차액 차감 없이 요금을 1회만 지불하면 된다.[14]

하차시 앞문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대면 하차 처리가 되지 않는다. 경고 멘트도 뜨지 않고[15] 바로 요금이 지불된다.[16] 원래는 앞문 하차기능도 있었는데, 같은 노선을 하차태그하지 않고 승차한 경우 승차 처리가 되지 않고 하차 처리[17]되는 버그 때문에 2012년 7월부로 앞문 단말기로는 무조건 승차만 되도록 바뀌었다. 물론 수도권, 부산, 대전 등 앞문 하차 태그가 가능한 타 지역 버스에서는 여전히 이런 버그가 일어나기도 간혹 존재한다.[18] 단말기에는 차량번호가 입력되어 있지만 그 것을 활용하지 못 하고 앞문 하차를 막아버리므로써 유야무야 해결했다. 혼잡 등의 이유로 어쩔 수 없이 앞문으로 하차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운전기사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앞문 하차 태그가 가능하도록 조치할 수는 있다. 뒷문 승차는 이런 번거로운 절차 없이 승차 시 태그를 하면 탈 수는 있지만 차내 안전사고나 질서 혼란의 이유로 승차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앞문 하차 태그가 가능한 타 지역에서 온 승객들이 실수를 하면 기사들이 눈치를 채서 즉석에서 환불을 해주는 기사도 있으며, DGB유페이에 전화를 해서 이런 상황 때문에 요금이 더 나갔다고 얘기를 해주면 수요일에 일괄적으로 환불해주니 이용에 참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구 버스 의료R&D지구 DRT는 관광버스를 개조한 차량으로 출입구가 앞문만 있기 때문에 앞문 단말기에 하차 태그 기능이 상시 개방되어 있다.

3.3. 교통카드

2024년 10월 현재 대구 시내버스에서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는 선불은 탑패스, 원패스(주 교통카드),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 한페이, 후불은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외환카드 포함), 씨티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000년에 대경교통카드가 발행되면서 교통카드를 개시했으며, 2011년 초까지는 대경교통카드KB국민카드만 사용이 가능했다. 그 때에 비하면 엄청나게 괄목상대한 셈이다.

2014년 12월에 광주광역시 교통카드인 한페이한국철도공사레일플러스가 추가되었다. 레일플러스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 및 스토리웨이, NH농협은행우리은행 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다만, 레일플러스는 충전처가 제한되어 있다는 게 단점이며, 레일머니 앱에서 NFC 충전시에는 수수료가 부과된다. 한페이대구광역시에서 세븐일레븐이마트24, 미니스톱, 롯데ATM에서만 충전할 수 있으며, 일부 세븐일레븐에서 판매 중인 5,000원짜리 하이패스형과 2,500원짜리 일반 카드형만 구할 수 있다.

2015년 4월 티머니팝카드가 대구에서 유통이 시작되어 지금은 GS25 편의점에서 잘 팔고 있다. 충전도 가능하며,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우체국, KB국민은행, 신협, 농협 ATM에서는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충전이 가능하다.

광주와 달리 신형 티머니는 2011년 중순부터 이미 호환 사용 중이며, 2016년 1월 30일에는 원패스의 수도권 호환이 개시되어[19] 양 지역에서 상호 호환이 가능하게 됐다.

3.3.1. 멘트

구분 단말기 안내 멘트
승차 일반 감사합니다.
청소년 안녕하세요.
어린이 반갑습니다.
어르신 사랑합니다.
환승 환승입니다.
국가유공자 고맙습니다.
외국인 관광용 Thank you.
후속 차량 연계[20]
잔액부족 잔액이 부족합니다.
잔액부족예고 다음 승차 시 충전이 필요합니다.[21]
사용기간만료 사용기간이 만료된 카드입니다.
하차 하차입니다.
접촉 오류 사용할 수 없는 카드입니다.
이중 접촉 카드를 한 장만 대어주십시오.
재접촉 이미 처리된 카드입니다.
접촉 요구 카드를 대어주십시오.
타지역 카드 타지역 카드입니다.

4. 특징 및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특징 및 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연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개편 목록
1998년 개편 2006년 개편 2015년 개편 2025년 개편 }}}}}}}}}

6. 운영 상세

6.1. 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d8202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00ac59>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순환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순환2/2-1 순환3/3-1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01b3ed>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1
101-1
156 204 234 240 300
304 306 309 323
323-1
349 356
401[A] 403 405 410
410-1
413 425
449 503 509 518 518-1 523
524 527 564 600[A] 609 618
623 649 650 651 653 655
706 708 719 724 726 730
750 805 808 814 836 840
849
849-1
909 937 939 980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6af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82d438>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7250 8140

6.1.1. 마을버스

대구광역시 군위군의 마을버스는 기존 경상북도시절의 군위군 농어촌버스를 대체하는 노선들로, 대구광역시 군위군 및 영천시 신녕면내에서만 운행한다. 아래 노선들은 시내버스 면허가 아니다.
대구 본거지 일부지역의 마을버스는 사실상 요일제로 운행하는 DRT로 대체되었다.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002187>
파일:군위군 CI_White.svg
대구광역시
군위군 마을버스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군위1 상곡방면 · 교수촌방면 군위7 노행방면 · 신녕방면
군위2 대북방면 · 달산방면 군위8 둔덕방면
군위3 보현방면 군위9 백학방면
군위4 산법방면 군위10 낙전방면
군위5 매곡방면 군위11 의흥-부계방면
군위6 노행방면 · 용수방면 행복 행복버스1 · 행복버스2
* 2024년 7월 10일 기준
}}}}}}}}} ||

6.1.2. 대구시티투어

대구시티투어버스 문서 참조.

행정 인가상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속하지만, 한정면허로서 요금, 운행체계, 운행주체가 완전히 별개로 돌아간다. 대구시 BIS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다.

====# 폐선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c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입석
·
간선
좌석
지선
출근
맞춤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차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교외 노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68846> 8권역
(경산)
급행5 518-1 708 814 818
818-1 808 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 309 449 509 609 649
719 840 909 939 980
849-1 100 100-1 399 803
990 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초록색 : 경산시 시내버스.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칠곡간 시내·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68846> 5권역 성서2 7 9 20 27
50 · 50-1 250
7권역 급행3 급행9 급행9-1 527 730
칠곡2 칠곡3 팔공3 38 200
250 250-1 300 군위-용수
龜: 구미시 진입 노선. 軍: 군위군 진입 및 경유 노선. 星: 성주군 진입 노선.
초록색 : 칠곡군 농어촌버스. / 연두색 : 성주군 농어촌버스.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마을·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68846> 4권역
(청도군)
0 0-1
5권역
(성주군)
250 성주-대구서부
6권역
(고령군)
650 달성1 606
6권역
(창녕군)
달성6 달성7
5, 7권역
(칠곡군)
틀:대구-칠곡간 시내·농어촌버스
7권역
(구미시)
칠곡3 73-3 78-3
8, 9권역
(경산/영천)
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권역 외
(의성군)
군위-상곡 군위-백학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들어가는 인접지역
    • 경산시 : 급행5, 309, 449, 509, 518-1, 609, 649, 708, 719, 808, 814, 840, 849(사월역 방면), 849-1(반야월역 방면), 909, 939, 980, (팔공1)[22]
    • 영천시 : 808(금호초등학교 방면),군위7(신녕),군위8(신녕)
    • 구미시 : 칠곡3(경운대학교 방면 한정)
    • 칠곡군 : 급행3, 급행9, 급행9-1, 527, 730, 칠곡2(연호2리, 추동교발 노선 한정), 칠곡3, 팔공3, 성서2, (101(-1))[23]
    • 고령군 : 650, 달성1
    • 창녕군 : 달성6, 달성7[24]
  • 대구광역시를 들어가지 않는 대구 시내버스 노선

6.4. 통계

6.4.1. 연도별 이용 현황

승차 승객 합계
연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35,376 35,060 33,070 31,112 30,824 27,919 25,329 24,007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4,223 26,182 27,705 28,531 29,319 29,432 28,711 29,027
연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8,641 26,417 24,773 23,822 23,905[28] 28,569 20,551 3,039[29]
연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단위 : 만명[30]
수송분담률
연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퍼센트 21.7 21.1 21.7 21.4 20.1 20.2 - - 19.1% 17%
연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퍼센트
단위 : %

6.4.2. 노선별 승하차량

  • 2024년 7월 기준
노선별 승하차량
순위 노선명 승하차량(천 명)
1 726 572
2 401 586
3 527 514
4 814 514
5 937 512
6 503 495
7 623 490
8 425 489
9 724 478
10 706 477
이하 생략

6.4.3. 정류소별 승하차량

  • 2024년 1월 기준
정류소별 승하차량
순위 정류소명 승하차량(천 명)
1 약령시건너(동성로입구) 154
2 경상감영공원앞 145
3 동대구역건너 115
4 반월당역(2번출구) 103
5 동구청건너 102
6 동대구역 101
7 아양교역(1번출구) 100
8 약령시앞 100
9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앞 98
10 2.28기념중앙공원앞 91
이하 생략

6.4.4. 노선별 총연장

  • 가지노선이 있는 경우 그 중 가장 긴 가지노선 적용
노선 총연장
순위 노선명 총연장(km)
1 급행9 95.74
2 655 94.17
3 급행9-1 89.41
4 급행8 84.8
5 939 80.19
6 708 79.42
7 840 77.2
8 623 74.7
9 급행1 73.85
10 칠곡3 73.59
이하 생략

6.4.5. 노선별 평균운행시간

  • 가지노선이 있는 경우 그 중 가장 긴 가지노선 적용
노선 평균운행시
순위 노선명 평균운행시간(분)
1 동구2 179
2 달성1 155
3 북구2 150
4 달성2 145
5 323-1 143
6 323 142
7 524 139
8 503 138
9 칠곡3 136
10 101 135
이하 생략

6.4.6. 노선별 정류소수

  • 가지노선이 있는 경우 그 중 가장 정류소가 많은 가지노선 적용
노선 총연장
순위 노선명 정류소수(개)
1 칠곡2 99
공동2 101 98
공동2 101-1 98
공동2 356 98
5 동구2 97
6 칠곡3 96
7 북구2 94
공동8 급행1 92
공동8 팔공3 92
10 팔공1 89
이하 생략

6.4.7. 최극단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최극단 노선, 정류소
방위 노선명 정류소 위치
동쪽 808(금호방면) 808종점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냉천리
서쪽 달성3(도동방면) 도동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남쪽 달성7 신세월입구1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목단리
북쪽 군위3 사리1리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사리리

대구광역시대한민국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광역시인 만큼 거리가 상당하다.

7. 공영차고지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공영차고지 목록
시내버스
동호⛽⚡ 매곡§⛽ 대천 관음⛽⚡H₂ 방천
대곡⛽⚡ 방촌 봉무 유곡 범물⛽⚡
제2범물§ 연경지구§ 금호워터폴리스 대곡2지구
화물자동차
금호 신서 달성 태전
§ : 입주 업체가 없는 시내버스차고지
⛽ : 천연가스 충전소
⚡: 전기 충전소
H₂: 수소 충전소


현재 개장 중이거나 설계, 건설 중인 차고지는 각 항목 참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관리·운영 등에 관한 조례
제2조(정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라 함은「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제2조제3호에 따른 차고지로서 대구광역시장이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의 원활한 운행을 위하여 설치하는 공영차고지를 말한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관리·운영 등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제2조(사용허가기준) ① 대구광역시장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관리·운영 등에 관한 조례」 제3조에서 정한 운송사업자에 대하여 공영차고지 사용허가를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순위에 의한다.

1. 업체대형화(통합) 실적이 우수한 운송사업자
2. 기·종점이 공영차고지와 가장 근거리에 있는 운송사업자
3. 기존의 차고지가 공공사업으로 수용된 운송사업자
4. 경영·서비스 평가결과가 우수한 운송사업자
5. 기존 차고지가 소음·공해 등 민원이 제기된 지역에 있는 운송사업자
6. 차고지가 부족하여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운송사업자
7. 자기소유의 차고지를 확보하고 있으면서 공영차고지 입주를 희망하는 운송사업자
다수의 업체가 차고지 입주 신청을 한 경우, 위 순위에 따라 사용을 허가하게 된다. 우주교통이 1호, 신진자동차가 2호, 남도버스가 3호에 의해 입주된 사례다. 차고지 면적이 충분한 경우 2개 이상 업체가 입주할 수도 있다.

7.1. 계획

계획 중인 차고지는 총 6곳으로 아래와 같다.
  • 대곡2지구공영차고지
    • ?년 예정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1052 (대곡2지구)
    • 6권역
  • 사수공영차고지
    • 2024년~2030년 예정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774 일원(금호지구)
    • 2권역
  • 연호동공영차고지
    • 2024년~2030년 예정
    • 대구광역시 수성구 연호동
    • 9권역
  • 문양리공영차고지[32]
    • 2024년~2030년 예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리
    • 5권역
  • 대일리공영차고지
    • 2024년~2030년 예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
    • 4권역
    • 2006년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 152번지 일원에 조성예정이던 가창공영차고지가 상수원 보호 문제로 취소 변경되었는데 중장기사업으로 부활했다.

8. 업체 목록

8.1. 현존하는 업체

노선 번호 옆에 있는 †는 2개 이상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는 경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경산버스, 대화교통공동 배차하는 노선이다. 실제 차고지가 대구광역시 시외(경산시, 칠곡군)에 있는 경상버스, 동명교통, 삼천리버스, 세진교통, 우창여객, 한일운수의 경우 면허지는 당연히 대구광역시 시내 관할지로 되어 있다. 기존 경상북도 군위군 시절 농어촌버스를 운행했던 군위교통대구광역시 관내에 있는 노선버스업체이긴 하지만 시내버스 업체가 아닌 마을버스 업체이다.
상호명 사무소 소재지 운행노선
경북교통 대구광역시 동구 경안로 752 (동호동) 급행5†, 순환3†, 651†, 805, 814††, 937†, 수성3
경상버스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공단로 125 (일언리) 323†, 323-1, 649†, 719†, 840††, 동구1
경신교통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로 350 (방천리) 240†, 509††, 523†, 609†, 7250†, 북구4†, 서구1, 성서2
관음교통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로40길 18 (방촌동) 306, 425†, 719†, 동구3
광남자동차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400 (봉무동) 급행6†, 101(-1), 401†, 8140†, 북구2, 팔공1, 팔공2
남도버스 대구광역시 달서구 한실로 10 (대곡동) 653†, 706†, 달서4, 달서4-1†, 달서5†
달구벌버스 대구광역시 동구 경안로 700 (동호동) 156†, 300, 518†, 518-1, 8140†, 동구4, 동구7, 북구3
대덕교통 대구광역시 동구 경안로 700 (동호동) 650†, 708††, 836†, 동구1-1
대명교통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서대로 117 (대천동) 609†, 650†, 726†, 836†, 달서3
대일버스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699 (만촌동) 234, 503†, 524†, 651†
동명교통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동석4길 11 (금암리) 급행3†, 급행7†, 급행9 , 급행9-1 , 724†, 726†, 730, 7250†, 북구4†, 칠곡2, 칠곡3, 칠곡4, 칠곡5, 팔공3†
삼천리버스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부적길 107 (부적리) 309, 349, 509††
성보교통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북로11길 97 (검단동) 급행2†, 순환2(-1), 356†, 623†, 8140†, 북구1, 가창2
세왕교통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길 9 (삼산리) 240†, 304, 405, 413, 449†, 8140†
세운버스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서대로 117 (대천동) 급행6†, 급행8†, 156†, 618†, 달서5†, 달성1
세진교통 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87길 25-4 (대평동) 급행1†, 급행5†, 순환3-1†, 403, 564†, 618†, 724†, 814††, 939††, 8140†, 수성3-1
세한여객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중앙대로2길 45 (유곡리) 급행4†, 급행8†, 356†, 623†, 655†
신일여객 대구광역시 동구 대림로2길 8 (괴전동) 808, 동구2†, 동구6
신진자동차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14 (범물동) 급행3†, 순환3†, 순환3-1†, 401†, 410, 수성1(-1)
신흥버스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93 (갈산동) 급행5†, 급행7†, 425†, 503†, 518†, 7250†, 달서1†, 서구1-1
영진교통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176길 23 (동호동) 급행2†, 503†, 523†, 609†, 653†, 동구8, 동구9, 팔공3†
우주교통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로 127 (관음동) 204†, 527†, 609†, 706†, 750, 937†, 7250†, 칠곡1(-1), 칠곡6
우진교통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빈남로 414 (봉촌리) 급행1†, 급행7†, 524†, 527†, 564†, 655†, 성서1(-1), 성서3
우창여객 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87길 9 (대평동) 618†, 649†, 651†, 708††, 849(-1), 980, 동구5, 수성2
한일운수 경상북도 경산시 원효로 304 (평산동) 449†, 609†, 840††, 909, 동구4-1
현대교통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중앙대로2길 45 (유곡리) 급행4†, 급행8†, 204†, 401†, 410-1, 524†, 600, 남구1(-1), 달서1†, 달서4-1†, 달성2, 달성3, 달성4, 달성5, 달성6, 달성7, 수성4

8.2. 폐업 및 인수합병된 업체

#:폐업한 업체
@:인수합병된 업체
1990년대까지는 폐업이나 인수합병 사례가 전혀 없다가[33] 2000년대 들어서 인수합병 사례가 생겼다.
  • 대현교통 (1970년 1월 12일~2001년 / #) - 수성구 범물1동에서 설립했으며, 폐업한 후에는 우일교통이 이 회사의 자리로 옮겨서(또한, 회사 전화번호도 대현교통의 것을 계승했다.) 2002년까지 사용했다. 잉여 차량들은 청산 때 대명교통, 우일교통, 동광버스, 우주교통이 인수했다. 2001년 6월에 청산한 업체인데, 대구 시내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천연가스버스를 단 1대도 운행하지 못했다. 참고로 면허는 대구 70자 2101~2200호 사이의 번호를 썼는데, 이 회사가 폐업하고 잉여 차량들이 여러 회사로 흩어지면서 잉여 차량들이 쓰던 차량번호도 모두 바뀌어서 2101~2200호 역시 결번이 되었다가 세진교통우일교통을 합병하고 규모를 확장면서 차량 대수가 100대를 초과하게 되자, 마침 다음 번호이기도 했고 결번이었기에 일부 2100호대 번호를 쓰고 있다. 즉, 현재 세진교통이 쓰는 2100호대 차번은 대현교통에서 바로 인수한 면허가 아니라는 것. 대구광역시에서 유일하게 시내버스로 중형버스인 코스모스를 운행한 적이 있는 회사가 여기. 기존에는 아시아자동차의 비중이 타 회사보다 월등히 많았다는 거 외에는 특징이 없던 회사였으나,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1999년에 부도가 나면서 점점 이상해지더니 2000년대에 들어서는 경영 상태가 막장으로 흘러가고 파업도 잦았다.
  • 동광버스 (1959년 1월 17일~2004년 / @) - 동구 용계동에서 설립했으며, 2002년 같은 계열이었던 우일교통과 세진교통이 합병하자 이 때 경산시 대평동으로 차고지를 이전했다. 다만 면허지는 처음에 설립한 용계동 그대로였다. 2004년에 세진교통과 합병했는데, 합병 전에도 우일교통, 세진교통과는 계열 관계였다. 세진교통에 합병된 후에는 우창여객이 대평동으로 이전해 왔으며, 합병하는 과정에서 차량들은 세진교통과 우창여객에 각각 배분됐고 그 때 일부 세진교통 차량은 대명교통으로 넘어갔다. 참고로 대구시내버스 중 가장 빨리(2001년에) 전 차량 냉방화를 달성한 회사였다.
  • 동신여객 (1970년 1월 6일 ~ 2010년 3월 30일 / @) - 북구 관음동 칠곡IC 옆에서 설립되었으며, 2009년 차고지에서 북쪽으로 나오는 칠곡1지구 인근에 관음공영차고지가 조성되었다. 2010년 3월 우주교통이 인수한 후 월성1동 본사 차고지를 버리고 동년 9월에 관음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중 가장 규모가 작았던 회사로 겨우 33대였지만, 2006년과 2007년에 서비스 순위 1위를 차지하는 등 내실은 그런대로 탄탄한 업체였다. 이 회사의 합병 이후에는 신일여객이 가장 규모가 작은 회사다. 합병 후에는 전 차량이 우주교통으로 넘어갔고, 운전직 근로자도 전원 고용 승계됐다. 양사 모두 대우 원메이크 업체였기에, 계속 대우 원메이크로 운용했다. 회사 전화번호도 동신여객의 것을 승계했다.[34] 이 회사의 전 대표이사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포항 동지상업고등학교(현 동지고교) 동창으로 알려져 있다.
  • 우성교통 (1967년 4월 20일~2010년 10월 16일 / @) - 동구 용계동에서 "극동버스"라는 사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3년 동호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그 해에 "유원버스"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다시 극동버스로 사명이 회귀된 적이 있었다. 2004년에 우성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하는 한편 경영난을 겪기도 하였으며, 이런 와중에 일부 차량들은 국일여객(현재 달구벌버스)으로 넘어갔고 성보교통의 계열사로 편입됐다. 2010년 10월에 성보교통과 합병하고 검단동차고지로 통합했으며, 합병하고 3개월 후인 2011년 1월에 일부 차량들은 경상버스로 넘어갔다. 때마침 차고지 임차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던 달구벌버스가 입주 신청 승인을 받아 공백이 생긴 동호공영차고지에 이전해 왔다.
  • 창성여객 (1970년 8월 10일~2010년 / @) - 설립 당시 사명은 "대경교통"이었고, 2010년 4월에 현대교통이 인수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8.3. 사명을 바꾼 업체

  • 광림교통 - 1982년 세운버스로 변경
  • 선호교통 - 1984년 건진교통으로 변했다가 1990년 동신여객으로 변경, 이후 우주교통에 흡수.
  • 광진교통 - 폐업 후 1988년 8월 우창여객으로 신규승인
  • 영진버스 - 1997년 세진교통으로 변경
  • 한영교통 - 1997년 세림교통으로 변경했다가 2001년 성보교통으로 변경
  • 국일여객 - 2006년 달구벌버스로 변경
  • 일신교통 - 2003년 6월에 상기운수로 변경했다가 3달 만에 부민교통으로 변경, 이후 2004년 영진교통으로 변경
  • 세한여객 - 2015년 뉴세한여객으로 변경이 되었으나 2017년 6월 22일 기준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으로 변경되었다. 외부나 홈페이지에는 '세한여객'으로 표기한다.
  • 현대교통 - 위 세한여객과 더불어 2017년 6월 22일 기준 '해피투게더 현대교통'으로 변경되었다. 외부나 홈페이지에는 '현대교통'으로 표기한다.

9. 안내방송

이번 정류장은, OO입니다. 다음 정류장은, OO입니다.
모닝스타테크[36] 안내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관련 문서



[1] 급행 11개 / 간선 61개(순환 4개 포함) / 지선 50개 / 출근버스 2개.[2] 2024년 3월 기준[3] 2024년 11월 기준[4] 2024년 6월 3일 기준[A] 순환형 노선인 경우 반시계방향 노선에 붙인다.[6] 순환형 노선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최근들어 기존 노선에서 분리신설되었다는 이유로 518-1번이나 급행8-1번과 같이 예외의 경우도 존재한다.[A] [8] 기본요금 기준[9] 성묘객을 위해 추석 한정으로 730번을 지천면(현대공원)까지 연장 운행하는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다.[10] 당시 좌석버스는 중고생이나 초등생 할인 없이 일반과 동일한 요금을 받았다.[11] 2023년 시행하여 75세를 시작으로 매년 1세씩 기준연령을 내린다. 도시철도는 반대로 65세부터 기준연령을 1년씩 상향하여 결과적으로 28년에는 만70세로 기준이 일치된다.[12] 이 당시엔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처럼 하차 단말기가 없어 당연히 승차시각 기준이었다.[13] 실제로는 단말기 시간 오차 등을 감안해서인지 수도권, 부산권처럼 하차 후 33분까지는 환승이 가능한 듯 하다.[14] 비슷한 방식인 울산의 경우 좌석→좌석→좌석으로 환승해도 환승할 때마다 좌석요금과 일반요금의 차액인 800원이 빠져나간다.[15] 앞문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은 뒤 3분이 되기 전에 다시 교통카드를 찍을 경우 '이미 처리된 카드입니다'라는 멘트가 뜬다.[16] 울산도 마찬가지로 하차시 앞문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대면 요금이 다시 나간다. 다만 울산의 경우 뒷문이 없는 노선에 한하여 승차 단말기로 하차 처리를 할 수 있다.[17] 예를 들어, 750번을 승차 후 하차 태그 없이 하차한 뒤 다시 750번 버스를 타서 승차태그를 하면 하차로 인식해 버렸다.[18] 이럴 땐 승차 시 하차처리가 되면 기사가 다시 찍으라고 말한다.[19]수도권 전철 역사 내 교통카드 충전기에서의 충전은 불가하다.[20] 버스 고장 등의 이유로 뒷 차량에 승객을 보내야 할 때 앞차에서 단말기 조작을 통해 후속 차량으로 연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뒷차에서 하차할 때 정상적으로 태그되며 이 조작이 이행되지 않을 경우 승차처리 되어 요금이 이중으로 부과된다.[21] 이것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예시로 "감사합니다(어린이는 반갑습니다, 청소년은 안녕하세요). 다음 승차시 충전이 필요합니다." 이런 식으로 나온다. 다른 문안과는 다르게 이 문안만 구형 녹음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22] 동구 능성동 - 경산시 와촌면 음양리 시경계까지 운행. 401번도 한때 예비군훈련 시즌 한정으로 능성종점 회차 후 운행했으나 2018년에 훈련장 회차로 환원됐다.[23] 동구 덕곡동 -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시경계까지 운행[24] 극히 외곽지대만 잠깐 들어간다. 어쨌든 창녕군에서 설치한 버스정류장 시설물이 있다.[25] 서부정류장 8번 홈에서 출발한다.[26] 2021년 9월 10일부터 시외버스에서 농어촌버스로 전환[27] 서부정류장 1번 홈에서 출발한다.[28] 2018년 9월의 승차 승객 수는 0명으로 나왔다.[29] 2월 기준[30] 현재 천명에서 만명으로 단위를 바꾸면서 끝자리를 반올림하였다.[31] 금호워터폴리스 사업으로 사라질 성보교통 차고지를 대체할 것이다.[32] 매곡공영버스차고지를 종점으로 하던 일부 시내버스 노선이 이곳으로 연장될 듯하다.[33] 부산의 경우 1980년대부터, 서울도 1997년 외환 위기를 전후로 인수합병이 잦았다.[34] 관음동으로 완전히 이전하기 전까지는 본사차고지 전화번호는 월성1동 본차고지 전화번호를, 제2차고지(관음동)는 기존 동신여객 전화번호를 사용하였다.[35] 세진교통, 동광버스는 무냉방 시절 현대버스의 비중이 높았으며 냉방시절로 넘어오면서 대우버스의 비중이 높아졌다.[36]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안내방송 제작 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