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1:24:13

대구권 광역전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권 관내 경부선에서 운행하는 광역철도 운행계통에 대한 내용은 대경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도시철도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수도권 수도권 전철 (서울 지하철 · 인천 도시철도 · 경기 도시철도)
부산·울산권 동남권 광역전철 (부산 도시철도 · 울산 도시철도 · 경남 도시철도)
대구권 대구권 광역전철 (대구 도시철도)
광주권 광주 도시철도
대전권 대전권 광역전철 (대전 도시철도)
[1] : 충청남도 및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지역(천안시, 아산시, 춘천시) 포함
}}}}}}}}} ||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전철 (대구 도시철도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 ·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권 광역환승제
}}}}}}}}} ||
대구권 광역전철
大邱圈 廣域電鐵
Daegu Metropolitan Metro
개업일 <colbgcolor=#fff,#1c1d1f>1997년 11월 26일
총연장 153.65km
노선 수 4개
역 수 96개[A]
궤간 1,435mm(표준궤)
운행 지역 대구광역시[2]
경상북도 경산시·구미시·칠곡군
하위 체계 대구 도시철도[3]
운임 제도 대구권 광역환승제

1. 개요2. 역사3. 노선 목록
3.1. 운행 중인 노선3.2. 공사 예정 노선3.3. 추진 중인 노선
3.3.1.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3.3.2.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4. 운임5. 열차번호6. 기타
6.1. 자전거 관련6.2. 환승역

[clearfix]

1. 개요

대구권 광역전철의 노선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nopad> 파일:개정후 노선도.png
대구교통공사 노선도 링크
(개정 이후)[4]
<nopad> 파일:대구권 전철 노선도 (한국철도공사 2024년 12월 14일).jpg
한국철도공사의 대구권 광역전철 노선도
(2024년 12월 21일 기준)[5]
}}}}}}}}} ||
대한민국대구권 지역과 그 근교지역을 운행하는 대규모 통근형 도시철도(Rapid Transit)[6] 체계. 명칭은 가칭이다.[7] 현재 대구 도시철도광역철도가 운행 중이며 1호선, 2호선, 3호선, 대경선 4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2024년 12월 기준으로, 대구광역시[8], 경상북도 경산시, 칠곡군, 구미시에서 운행 중이며, 경상북도 영천시[2030년]에서도 향후 운행할 예정이고,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창녕군에도 노선 운행을 계획 중이다.

2. 역사

대구권 광역전철의 개통 연혁[1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권 광역전철/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노선 목록

대구권 광역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대경선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5px 0 -10px"
#!wikistyle="display:inline; background:#cc0000; padding:0px 2px; border-radius:6px;"
{{{-1 {{{#fff 건설 확정}}}}}}
1
#!wikistyle="display:inline; background:#999; padding:0px 2px; border-radius:6px;"
{{{-1 {{{#fff 추진 중}}}}}}
2
4호선 대구산업선 5호선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1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2 기본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

<rowcolor=#fff> 구분 분류 광역철도 지정 여부 비고
<colcolor=#fff> 1호선 <colbgcolor=#d93f5c><colcolor=#fff> 본선 도시철도 -
안심하양복선전철 안심 ~ 하양
하양금호단선전철 하양 ~ 금호 미개통
2호선 도시철도 -
3호선 도시철도 -
4호선 도시철도 - 미개통
5호선 도시철도 -
대경선 일반철도 구미 ~ 경산
대구산업선 일반철도 - 미개통
대구경북신공항철도 일반철도 의성 ~ 동대구

3.1. 운행 중인 노선

운행 중인 노선
총 노선 개수: 4개 운행계통
총 노선 길이: 153.65km
총 역 개수: 96개[A]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colcolor=#ffffff> 빨간색 파일:Daegu1.svg 1호선 설화명곡역 하양역 37.3km 35개 대구광역시 대구교통공사
경산시
초록색 파일:Daegu2.svg 2호선 문양역 영남대역 31.4km 29개 대구광역시
노란색 파일:Daegu3.svg 3호선 칠곡경대병원역 용지역 23.1km 30개
코레일블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 구미역 경산역 61.85km 7개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3.2. 공사 예정 노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공사 예정 노선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개통 예정일
<colcolor=#fff> 미정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동대구역 대구국가산단역 43.9km 12개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2029년
빨간색 파일:Daegu1.svg 1호선 하양역 금호역 5.7km 2개 경산시
영천시
대구교통공사 2030년
파란색 파일:Daegu4.svg 4호선 수성구민운동장역 이시아폴리스역 12.5km 12개 대구광역시

3.3. 추진 중인 노선

3.3.1.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노선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개통 예정일
<colcolor=#ffffff> 코레일블루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김천역 구미역 22.9km 3개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미정
미정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대구국가산단역 대합산단역 5.4km 2개
미정 파일:대구신공항철도아이콘.svg 신공항철도 동대구역 의성역 77.46km 5개 미정 미정 2032년

3.3.2.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신설 계획노선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개통 예정일
<colcolor=#ffffff> 연두색 파일:Daegu5.svg 5호선 약 36km 대구광역시 대구교통공사 2033년
보라색 파일:Daegu6.svg 6호선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연장 계획노선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개통 예정일
노란색 파일:Daegu3.svg 3호선 용지역 동내역 13.0km 9개 대구광역시 미정 2028년
후보 노선
초록색 파일:Daegu2.svg 2호선 성주군청역 문양역 16.5km 6개 미정
노란색 파일:Daegu3.svg 3호선 수성못역 파동주민센터 3.4km
노란색 파일:Daegu3.svg 3호선 칠곡경대병원역 동명면 2.9km
미정 국채보상로선 대구보훈병원역 동대구역

===# 폐기된 계획 #===

4. 운임

대구권 광역전철 이용 요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구 도시철도
2024년 1월 13일부터
구분 교통카드 토큰(현금)
1회권
일반 1,500원 1,70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할인권) 400원 500원
노인(우대권)[참조] 0원 0원
단체권(20명이상)
일반 - 1,350원
청소년 -
어린이(할인권) - 450원
대경선
2024년 12월 14일부터
거리비례 이동구간제 10km 이하 기본운임
10km 초과 시 5km 마다 추가운임 100원 부과[a]
칠곡군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경산시 시도 경계 통과 시계외운임 부과 (단, 10km 이하 이동 시 면제)
구분 교통카드 토큰(현금)
기본요금 일반 1,500원 1,70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400원 500원
노인[참조] 0원 0원
5km 마다 구간 운임 일반 +100원 +100원
청소년 +80원
어린이 +50원 +50원
노인[참조] +0원 +0원
시계외운임 일반 +200원 +200원
청소년 +150원
어린이 +100원 +100원
노인[참조] +0원 +0원
[a] 경북북부구간(구미 - 서대구)과 대구구간(서대구 - 동대구), 경북남부구간(동대구 - 경산)의 거리를 별도로 계산
[b] 대경선 역사에서는 레일플러스, 티머니만 충전 가능
[c] 전국호환 복지교통카드 이용불가, 1회용 승차권 발권으로 무임 승차 가능
무임 운송 대상 66세[참조] 이상 내국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참조] 2024년 66세 이상 • 2025년 67세 이상 • 2026년 68세 이상 • 2027년 69세 이상 • 2028년 이후 70세 이상 }}}}}}}}}

대구 도시철도 1~3호선과 대경선 간 환승은 가능하나 교통카드로만 환승 처리되는 소프트 환승 방식이다. 대경선 환승시 750원의 추가요금이 있다. 또한 환승 시 환승횟수가 1회 차감된다.

대경선 개통 이후 대구·경북 권역에서 대구권 광역연계를 위한 대구권 광역환승제를 시행한다.

4.1. 대구 도시철도

1997년 최초 개통 시에는 부산 도시철도와 같이 10km 구간제 요금으로 성인 1구간 500원, 2구간 600원이었으나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을 시작한 후 2006년 10월 28일 요금 개편으로 현재 1호선, 2호선, 3호선의 전 구간은 단일 요금이며 버스와의 무료 환승(최초 하차 이후 30분 이내)도 가능하다. 운임이 계속해서 인상되었으나, 단일요금제 방식은 유지하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는 기존의 종이로 만들어진 승차권이 아니라 동그란 RF 토큰이 나온다. 2004년 12월 13일부터 토큰형 승차권을 사용중이며, 이전에 사용하던 종이승차권은 폐지되었다. 새로운 RF 토큰은 광주 도시철도에서 최초로 시행했으며 이후 대구 도시철도도 실시하고 뒤에 나온 대전 도시철도에서도 이런 방식을 채택했다. 수도권 전철에서도 2009년 종이 승차권이 다회용 승차권으로 바뀌면서 대구 도시철도와 같은 RF 방식(하차와 동시에 승차권을 반납)의 채택도 검토되기도 하였지만, 교통카드 사용 유도를 목적으로 현금으로 승차하는 승객에게 불이익을 주는(번거로운 환불 절차를 거쳐야 한다.) 1회용 교통카드가 채택되었다. 수도권 전철에서 다회용 RF 승차권제도를 시행하려면 지금까지 개통된 모든 역의 개찰구를 개조해야 한다. 그러면 그 비용이 엄청나게 깨지니 손쉽게 계획할 수 있는게 아니다. 대구 도철은 과거에는 정액권도 판매되고 있었으나, 2002년부터 도시철도에 교통카드제를 시행함과 동시에 폐지됐다. 또한 2005년부터 매표소 무인화를 시행하였다.

서울이나 부산 사람은 처음 대구 도시철도에 와서 승차권을 뽑으면 이상한 동그란 게 나와 당황하기 마련이나, 탈 때 교통카드 찍듯이 찍고 지나가면 된다. 교통카드 단말기에는 이 승차권을 찍으면 1회권이라는 뜻인지 "1"로 뜬다. 단, 내릴 때는 교통카드처럼 찍지 말고 찍는 곳 바로 옆에(처음 보면 눈에 잘 안 띈다.) 있는 저금통에 동전을 넣는 구멍과 비슷하게 생긴 조그만 구멍에 넣어야 한다. 이 저금통 투입구와 비슷하게 생긴 홈에다가 동그란 승차권을 넣지 않으면 개찰구를 통과할 수 없다. 카드 찍는 곳에 대면 일회권을 투입하여 주십시오라는 멘트가 나온다. 도시철도를 이용할 것도 아니면서 표를 사다가 (재미삼아서 혹은 수집 목적으로)자기가 챙겨 가는 사람이 간혹 있어 손해가 난다는 뉴스가 나온 적도 있는데, 제조 단가가 무려 1,500원이다.[12] 이렇게 발생하는 손해는 고스란히 시민의 세금으로 채워야 하니, 그런 짓은 하지 말자. 만약 주변에 그러려는 사람이 있다면 만류하자.

교통카드는 2002년부터 사용이 개시되었다. 선불교통카드로는 주 사용카드인 원패스를 비롯해,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티머니, 캐시비, 한페이, 레일플러스, 후불교통카드로는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씨티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대경교통카드와 탑패스, 원패스만 역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이외 교통카드는 역 주변 편의점에서 충전해야 한다. 2013년 경에 캐시비가 대구 도시철도 역 충전을 추진했었고, 레일플러스도 대구 도시철도 역에서 충전할 수 있게 개발을 추진한다고 언급했으나 합의가 안 되었는지 현재는 계획이 삭제됐다. 이에 대한 문의가 많은 지 보충기에 티머니, 캐시비 충전 불가라고 붙여놓은 경우도 있으며, 대구교통공사의 공식 유튜브 영상에서도 이를 안내한 바 있다. 또한 타 지역 카드의 충전이 될 수 있도록 DGB유페이에 수 차례 요청을 했다고 고객의 소리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아무래도 DGB유페이가 도시철도 역 충전은 정말 안 해주려는 모양이다.

2009년 대구광역시에서는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新) 교통카드를 새로 도입하려고 했지만 어른의 사정으로 대구 시내버스 조합과 카드넷이 터뜨린 사고로 인해 빼도박도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자세한 내막은 iM유페이 참조. 결과적으로 기존 카드넷은 그대로 두고, 예전부터 협상을 시도하던 유페이먼트(비씨 - 삼성 컨소시엄)와 계약을 체결하여 탑패스라는 교통카드를 발매하기로 하고 단말기도 삼원FA제로 교체하여 2011년 1월에 신 교통카드 시스템이 개통되었다. 신형 시스템 개통과 함께 비씨카드(후불교통카드)도 사용 가능한 카드로 추가되었다. 발급회원 은행에 관계없이 모든 비씨카드(당연히 후불교통 기능이 있어야 함)는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세계육상경기대회에 맞춰 2011년 8월 16일부터 티머니캐시비도 사용이 가능하다. 2014년 12월 23일에는 한페이가 추가됐고, 12월 30일에는 레일플러스가 추가로 호환됐다. 티머니의 T-마일리지는 2014년 11월부터 대구 사용분이 적립되며, 캐시비는 호환될 적부터 L.포인트를 적립해 준다. 2016년 7월에 티머니의 편의점 빗장이 풀리며 양대 전국구 교통카드 모두 대구 충전처가 꽤 확대됐다. 한페이는 세븐일레븐롯데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레일플러스는 NH농협은행(오직 계좌이체만 가능), 우리은행 ATM, 롯데ATM대구역, 동대구역 구내 여행정보센터 및 스토리웨이, 레일머니 앱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물론 신 교통카드인 탑패스가 도입됐어도 기존 업체인 카드넷의 대경교통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2014년 1월에 대경교통카드가 단종됐지만 대구은행 비씨 체크카드같은 것을 통해 아직 나오고 있긴 하나, 국토교통부의 압력으로 인해 2017년 3월부터 학생증 체크카드를 시작으로 원패스로 교체될 듯하다. 2012년 2월 카드넷과 유페이먼트의 합병 떡밥이 지역 언론을 통해 나왔으며, 카드넷이 해산하고 유페이먼트로 합병됐다. 동시에 대경교통카드만 받고 있었던 영천시 시내버스에서도 탑패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는 본래 일반 카드형만 삽입충전이 가능했으나, 액세서리형의 충전 편의를 위해 2호선이 개통하고 나서 몇 달 후 RF 접촉식으로 모두 개조했다.

2023년 11월 9일, 대구시에서 '시내버스와 더불어서 요금 인상을 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즉, 2016년 이후로 7년만에 가격 인상한다는 셈. 현재 성인, 교통카드 기준 1,250원에서 1안은 250원 상승[13], 2안은 300원 상승[14], 3안은 350원 상승[15] 중 선택 후, 시내버스와 달리 도시철도는 거리비례제[16]를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일단 1안이 선택되었다.

2024년 1월 13일부터 요금이 인상된다. 교통카드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은 1250원에서 1500원, 급행버스는 1650원에서 1950원으로 인상되며 현금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는 1400원에서 1700원, 급행버스는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된다. 이번 요금조정은 2016년 12월 이후 7년 만이다. #1 #2 #3

실수로 횡단 불가 역에서 반대편 승강장에 들어가서 다시 찍고 나왔거나, 환승 통로에서 착각하고 하차한 경우 10분 이내에 역 직원에게 문의 시 1회분 운임이 환불된다. 최초 승차 태그 후 열차를 이용하지 않고 10분 이내에 역 직원에게 문의 시에도 운임 환불이 된다. 단, 환불 신청 후 버스로 환승한 경우에는 환불 불가하다.

4.2. 대경선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개통에 맞춰 김천시 시내버스, 구미시 시내버스, 칠곡군 농어촌버스, 성주군 농어촌버스, 고령군 농어촌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청도군 농어촌버스, 영천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와 통합운임 및 환승제도인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제도 시행이 시작됐다. 기존 대구-경산-영천-도시철도간 및 김천-구미-칠곡간 체계의 광역철도 요금 및 환승제도를 통폐합하고 성주군·고령군·청도군농어촌버스 요금제를 추가하는 방식이다.

광역철도 요금은 전구간 성인 카드 기준 10km내 1,500원이며 이후 5km마다 100원씩 추가된다. 또 칠곡군 ↔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 경산시 시도 경계 통과 시 200원의 추가 요금이 있다. #

iM유페이 발행 카드 중 원패스만 대경선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대경교통카드탑패스를 사용할 수 없으며, 역에서의 충전은 티머니, 레일플러스만 가능하다.

5. 열차번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권 광역전철/열차번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6.1. 자전거 관련

자전거와 도시철도 등 교통수단 간 연계성 강화를 위해 평일과 주말을 가리지 않고 도시철도 1·2호선 열차 내 모든 형태 자전거 반입이 가능하다. 다만, 열차 혼잡 등이 예상되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반입이 제한된다. 평일 오전 7~10시, 오후 4~7시를 제외한 나머지 운영 시간에 자전거 반입을 허용한다. 휠체어 전용공간이 마련된 맨 앞칸 및 맨 뒤 칸에만 입장을 허용한다.

6.2. 환승역


대구 도시철도끼리의 환승역은 모두 중구에 모여있다. 도시철도는 대구 중심부로 모이고, 광역철도 대경선 또한 도심을 관통하는 형태이다.


[A] 환승역 중복 제외[2] 군위군 제외.[3] 경상북도에서도 구미 등 광역철도 연계 트램 추진을 위해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준비하고있다. 기사[4] 2024년 11월 개정. 개정 전 노선도와는 달리, 동서 방향은 올바르게 되어 있지만 남북 방향은 반전되어 있는 형태이다. 자세히 보면 실제로는 대구의 남서측에 위치한 설화명곡역이 노선도 기준으로는 북서측에, 실제로 남동측에 위치한 용지역은 노선도의 북동측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교통공사 측은 “방위 개념을 적용하지 않고 정보 인지와 탐색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라고 밝혔다. (관련 기사) 하지만 이렇게 상하반전된 노선도는 평이 좋지 못하다. 상하반전 노선도 논란 참조.[5] 좌측 하단 지도를 자세히 보면 하양역, 경산역, 영남대역 세 역 모두 대구광역시 안에 위치해있다고 표기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경산구라 생각한듯[6] 대만타이베이 첩운에서 첩운(捷運)의 영어 표현과 같다.[7] 철도 기관 및 학회, 언론에서 대구권 광역전철망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지만, 도시철도공사에서 사용한 용례는 아직 없다. 한국철도공사는 공식 유튜브 채널에 대구권 전철 대경선으로 표현한 용례가 있다. [8] 군위군 제외.[2030년] [10] 2024년 12월 14일 개통된 대경선, 개통 예정인 대구 도시철도 1호선하양연장, 대구 도시철도 4호선, 대구 도시철도 5호선, 대구산업선 광역전철까지 포함된 상태이며 이 중 대구 5호선은 아직 확정 상태는 아니다. 또한 대구 1호선 금호연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A] [12] 어린이의 경우는 요금이 500원으로 제조단가가 그의 3배이다.[13] 1,500원[14] 1.550원, 서울시와 같은 요금 인상폭[15] 1,600원[16] 10km 이하는 기본 운임, 11~16km는 100원 추가, 17km 이상은 200원 추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