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11:54:44

대구 도시철도 6호선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초기 대구 도시철도 계획에서 구상되었던 노선}}}에 대한 내용은 [[대구 도시철도 6호선(구 계획)]]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구 도시철도 6호선(구 계획)#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구 도시철도 6호선(구 계획)#|]]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초기 대구 도시철도 계획에서 구상되었던 노선: }}}[[대구 도시철도 6호선(구 계획)]]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구 도시철도 6호선(구 계획)#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구 도시철도 6호선(구 계획)#|]]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대구권 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대경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건설 예정
건설 확정
1
대구산업선 4호선
추진 중
2
5호선 6호선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1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2 기본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 파일:Daegu6.svg대구 도시철도 6호선
大邱 都市鐵道 六號線
Daegu Metro Line 6
}}}
노선 정보
노선 분류 도시철도
차량 분류 경전철(철제차륜형 AGT)
기점 가창스파밸리역
종점 대구은행역
역 수 미정
구성 노선 대구 도시철도 6호선
개업일 2040년
소유자 대구광역시
운영사 대구교통공사
사용차량 대구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9.3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
사용전류 DC 750V
신호방식 -
최고속도 -㎞/h
표정속도 -㎞/h
지상 구간 전 구간
통행 방향 우측통행
개통 연혁 -

1. 개요2. 상세3. 역 목록4. 문제점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6번째 노선. 색상은 보라색[1]. 도시철도 음영지역인 수성구 중동, 상동, 파동 주민들이 제안한 경전철 노선.

5호선과 환승될 예정이다. 참고로 6호선 역시 5호선처럼 AGT이기 때문에 경제성을 고려함과 더불어, 1개뿐인 열차 정비창을 사용하기 위해 5호선과의 연결 선로가 설치될 가능성이 크다.[2] 또한 이 노선이 정상적으로 추진된다면, 멀지 않은 수성구에 5호선 차량기지가 생길 예정이므로 6호선도 따로 짓지 않고 5호선과 통합해 차량기지를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6호선의 남쪽 종점에 주박용 선로가 여럿 필요하긴 하다.

2. 상세

파일:수성남부선 추진위.jpg
수성남부선 추진위에서 제안한 노선

현재 파동을 비롯한 신천변 재개발로 여러 아파트가 들어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기존 도로는 확장이 쉽지 않아 수성구의회와 수성남부선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중동, 상동, 파동 주민들이 요구하고 있는 노선이다. 구 6호선, 2012년 4호선의 수성구 구간과 비슷한 루트로 가나 신천을 따라간다는 점이 다르다.

구 계획이 무산되면서 노선도는 물론 노선명조차 계획으로 언급되지도 않을 정도로 잊혀졌다가 홍준표가 대구시장에 당선되면서 2021년 시 자체 용역을 통해 수립한 2030 대구광역시 중장기 도시철도망 계획을 뒤엎고 순환선을 백지화 하면서 이전에 검토되었던 국채보상로선, 수성남부선 등의 노선을 재검토 하기로 하여 부활 가능성이 커졌다. #
파일:엑스코선 수성남부연장안 홍준표 공약.jpg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의 공약에 포함되었다. 해당 보도자료에서는 4호선과의 연계를 강조했다. 참조 이어서 2023년 3월 9일 대구광역시는 4호선 기본계획 기자회견을 열면서 추가로 5호선 (더 큰 순환선)과 함께 6호선인 수성남부선의 건설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2025년까지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수립하고 2026년 승인을 목표로 한다.

다만 확실하게 정해져 있는 구간은, 구 6호선의 남부 선형과 유사한 1단계 가창 및 파동 구간이다. 그 이북의 2단계를 어떻게 할지는 상당히 갑론을박이 있는데, 비교적 돈을 덜 들여 경대병원-시청-칠성시장-경대교로 연장해 1~4호선 환승을 시키자는 1안[3]과, 4호선과 연결을 포기하고 경대병원-중앙로-서문시장-서구청 쪽으로 보내 시내와 서구를 잇는 도시철도를 넣자는 2안[4]이 있다. 6호선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오가고 있지만, 도심 미경유로 예상보다 부진한 수요를 기록하고 있는 3호선을 반면교사로 삼아 지금 계획에서 멈추지 않고 더 나아가서 도심을 지나야 한다는 것만큼은 빠지지 않고 있다.

파일:대구6호선2506.png
2025년 6월 26일 가창 스파밸리와 대구은행역을 연결하는 노선이 확정되었다. 당초 계획과 달리 4호선과는 연계되지 않는다.

3. 역 목록

역 수와 역 위치가 공개되지 않았으므로 환승역을 제외하고는 경로만 표시한다.
횡단 기호 설명
승강장에서 반대편 선로의 승강장으로 횡단 가능
대합실 또는 환승통로를 이용하여 반대편 선로의 승강장으로 횡단 가능
×어디에서도 횡단 불가능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0.0 기점역 - 달성군 대구광역시
가창스파밸리~가창면행정복지센터~파동~수성못오거리~상동네거리~중동네거리
5호선 환승역 파일:Daegu5.svg 5호선 수성구 대구광역시
중동네거리~동성초등학교앞~동성학교네거리
수성시장 壽城市場 파일:Daegu3.svg 3호선 수성구 대구광역시
9.3 대구은행 大邱銀行 파일:Daegu2.svg 2호선

4. 문제점

아직은 구상 단계이긴 하나 벌써부터 수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먼저 수성구에 도시철도가 너무 몰린다는 점.[5] 실제로 6호선의 대부분 역이 수성구(일부 역은 가창면) 소재이다. 비슷한 수요와 인구수를 보이는 달서선 등이 난항을 겪으므로 그런 말이 나올 만도 하다. 북구 역시 4호선이 아파트단지와 상업지구가 형성되어 있는 칠성동, 침산동을 경유하여 도심으로 가지 않아 불만이 많은데, 이 부분이 여기서 지역갈등으로 번질 소지도 다분한 상황.

그 다음으로는 도심을 거쳐 더 뻗어가지 않고 대구은행역에서 멈춘다는 점이다. 경대병원역을 경유하여 더 연장하여 도심으로 가거나, 도심을 경유해 4호선과 가칭 경대교역에서 환승하는 안, 아예 계획 단계에서 수십 년 잠들어있는 국채보상로선과 직결해 서구로 가자는 의견까지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는 상황. 3호선이 도심 미경유로 인해 당초 예상보다 저조한 수요를 기록하고 있음에도[6] 4호선과 6호선 등 도심을 코앞에 두고 미경유하는 노선을 계획한다는 점에서 대구광역시청은 3호선의 부진에서 얻은 교훈이 없다고 할 수 있다. 6호선 연선 주민들도 전통적으로 중구 도심과 남구 봉덕시장 일대를 주 생활권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시내버스 노선 역시 범어네거리 등 수성구의 중심지보다 중구, 남구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 훨씬 많다. 수성구 내부의 상권을 이용 시에는 수성못과 지산범물의 상권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문제는 대구권 전철의 중추를 담당하는 1호선, 4호선과 환승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각한 환승저항도 예상되고 있다.[7]

또한 대상인 중동, 상동, 파동 인구 총합이 약 4.2만에 불과하고 그중 환승저항, 애매한 위치에 사는 주민 등 변수를 고려하면 더욱 적으므로 수요부족 우려도 크다. 또한 가창, 파동과 도심을 연결하는 가창2번신천동로를 경유하여 표정속도가 높고 중앙로, 대구역, 칠성시장을 경유하여 6호선의 단점인 도심 미경유 문제를 보완하기에 이 버스의 수요를 도시철도로 온전히 가져오기가 어려워보인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로 인해 대구광역시가 추산한 B/C값이 0.74, AHP값이 0.5로 저조하다는 문제가 있다. 지자체 자체 추산은 정부 추산보다 낙관적인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이보다 더 저조할 것이다.

2025년 수정안은 더욱이 동쪽으로 다소 옮겨가 강변에 밀착되는 기존안보다 건설비 상승이 우려된다.

다만 이번 계획은 홍준표 전 시장의 유산으로 보이며[8], 차기 대구시장이 6호선을 뒤집을 가능성이 있다.
[1] 단, 구체적인 색상코드까지 정해진 것은 아니며, 나무위키에서는 과거 대구지하철건설지에서 참고할 수 있는 DIC색상코드를 반영하였다.[2] 홍준표 전 시장이 4호선과의 연결을 공약하였으나 4호선과 환승은 취소되었다.[3] 시청까지는 유사하나, 이후 대구 iM뱅크PARK가 있는 남침산네거리를 지나며 칠성동과 침산동, 산격동까지 4호선과 연계하지 않고 북쪽으로 연장하자는 의견도 있다.[4] 물론 이 안은 국채보상로선과 구 6호선 계획을 합쳐 하나로 만들자는 것이다.[5] 2025년 계획 기준, 1호선과 대경선을 제외한 모든 대구권 전철이 수성구 관내에 위치할 예정인 역을 지난다.[6] 3호선은 예타 통과 당시 장기적으로 (영남대역 연장 이전) 2호선의 수요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측되었다.[7] 동대구역이나 서부정류장역 등 중심지를 갈 때 1, 4호선이 유용하게 이용되나 6호선은 2호선, 3호선, 5호선을 거쳐야만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8] 홍준표는 시장 취임 전 제21대 국회에서 수성구 을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