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4 17:45:59

선불교통카드

교통카드/선불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교통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티머니 티머니(팝티머니 · 신 한꿈이카드 · 기후동행카드 · 와우패스) · 유패스 · 구 한꿈이카드 · 탑티머니
이동의즐거움 캐시비H(이베스트카드 · eB 티머니 · eB 유패스 · 티모아) · 한페이H · 하나로카드 · 마이비
한국철도공사 레일플러스H
DGB금융그룹 원패스(탑패스) · 대경교통카드
기타 payOn · R · 하이패스H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탑캐시) · A-Cash · K-Cash
H 선불하이패스 겸용 / R 레일플러스 기반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1. 개요

선불교통카드는 선불카드 방식으로 사용전 현금으로 충전하여 버스, 전철 탑승시 단말기에 태그하여 잔액을 차감하는 방식이다. 본 항목에는 대한민국에서 발매중인 선불식 교통카드의 목록과 사용가능한 지역을 수록하였다. 선불교통카드는 사용하기 전에 필요한 잔액 만큼을 미리 충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감사합니다'가 아니라 '(삑) 잔액이 부족합니다'라는 소리만 나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초창기에는 전철역 매표소나 근처 편의점, 도로변 가판대 등으로 가서 충전을 맡기는 식으로 충전했으나, 현재는 지하철역이나 ATM[1]에 셀프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 기기가 들어서서, 잔액이 부족해서 안내 데스크를 찾아갈 필요도 없이 그자리에서 바로바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안내 음성은 거의 기본으로 제공되고 최신 기계는 영상으로 설명해주기까지 한다. 또한 NFC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된 지금은 아예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전용 교통카드 충전 앱을 통해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2][3] 충전은 1천 원 단위로 가능하며, 한 카드에 넣을 수 있는 최대 잔액은 50만 원이다.

선불교통카드의 잔액을 충전할 때, "현금영수증이 왜 안 되냐", "왜 신용카드로는 충전할 수 없냐." 라는 불만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상품권과 똑같이 생각하면 된다. 기프티콘이나 문화상품권 등은 구입 시 신용카드 구매[4]현금영수증 처리가 안 되며, 해당 상품권을 사용할 때 현금영수증을 끊어 준다. 교통카드도 마찬가지로, 교통카드 충전은 별도의 가맹점 계약을 할 수 있고(즉, 교통카드 충전에 한해 신용카드를 받지 않아도 되고), 현금영수증 또한 충전 시 충전소에서 발급하는 것이 아니고, 교통카드를 사용한 금액을 가지고 교통카드사나 가맹점 명의(물품, 서비스 결제)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한다. 교통카드 뒷면을 보면 "현금영수증 끊어주니까 홈페이지 회원 가입하고 카드번호 등록해서 혜택을 받으세요." 라고 적혀있다.

이에 신용카드 충전은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스마트폰 앱 등을 제외하면 예외적으로 티머니는 GS25나 우리은행 ATM에서 우리카드로 충전할 수 있고, 캐시비는 세븐일레븐이나 롯데ATM에서 롯데카드로 충전할 수 있긴 하다. 물론 이 금액은 연말정산 시 (국세·지방세·등록금 카드결제금액처럼) 신용카드사에서 신용카드 소득공제 대상에서 알아서 제외시키고 국세청에 통보한다.

손님이 교통카드 충전 금액에 대해 현금영수증을 요구할 경우 위의 사실을 알리고, 그래도 말이 안 통하면 현금영수증 콜센터 126에 신고하여 직접 상담원과 부딪쳐서 깨닫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다만 교통카드 자체 '구입'금액(2천~4천원하는 공카드)은 현금영수증 처리가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분실 시 잔액환불이 안 되지만 시내버스, 도시철도에서만 사용 가능한 대중교통안심카드는 분실신고 시 등록한 계좌번호를 통해 환불이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사업자

옛날에는 지금보다 교통카드 회사가 많았고, 지역별로 사용가능한 교통카드가 다 달랐으나, 2022년 기준으로 5개의 교통카드 회사로 줄어들었고, 호환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문을 보면 상당히 내용이 많다. 각종 교통카드의 호환이 많이 이루어진 지금, 승차 불가 지역을 정리한 다음 표를 통해 대한민국 각 지역에서의 선불교통카드 사용 가능 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교통카드 종류 승차 불가 지역 현금 승차 지역
원패스
(1개 시군)
부산 부산김해경전철 경북 영양군, 전남 진도군[5]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 한페이 없음

2024년 현재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 한페이만 있어도 전국을 누빌 수 있다. 다만 한페이는 호남을 벗어나면 충전이 어렵고, 레일플러스의 경우 충전이 가능한 편의점이 CU, 이마트24, 스토리웨이 뿐이라는 단점이 있다.

교통카드를 시행하지 않는 영양군, 진도군, 옹진군은 현금으로만 탑승이 가능하다. 이중 진도군은 교통카드 단말기는 설치되어 있으나 사용을 하지 않고 있으며, 영양군은 단말기조차 설치되지 않았다. 옹진군은 790번과 영흥도 공영버스만 교통카드가 가능하고 나머지는 현금승차다. 2023년 2월 19일부터 함평군민교통이 티머니와 계약이 해지되어 현금승차만 가능하다가 함평교통 500번과 같은 삼원FA 단말기가 설치돼 교통카드 승차가 재개됐다. 또 다른 교통카드 미시행 지역이었던 청송군은 2023년 1월 1일부터 버스요금 전면 무료화되었다. 봉화군도 영주-봉화를 운행하는 33번을 제외하고 현금승차만 가능하며, 2024년 1월 1일부터 전면 무료화된다.

오랫동안 교통카드를 도입하지 않았던 경북 북부에서는 지속적으로 교통카드 도입을 시도했고, 한국스마트카드에서 경북 4개 군이 공동 도입하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송군에서 공동도입 협조 공문을 수차례 보내고 청송, 영덕이 예산 확보를 매년 하는 등 노력하였으나 2017년 4월 군위군 포기[6], 9월 영양군 포기, 10월 영덕군 포기, 11월 청송군[7] 포기하면서 무산되었다. 그 중 영덕군은 2019년 DGB유페이와 계약하며 원패스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반대로 서울 공항버스, 대성운수, 서울교통네트웍, 현대교통, 인천 2-1번, 6번, 24-1번, 34번, 35번, 62번, 76번, 103-1번, 111번, 307번, 330번, 순환43번, 510번, 511번, 535번, 579번, 586번, 바로타 버스(B3번 제외),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전체 노선, 세종 두루타버스, 경기 프리미엄버스 전체 노선[8]은 현금승차가 불가능하다. 이런 버스에 탑승하려면 선불 또는 후불교통카드가 무조건 필요하다.

센스패스의 사업 지역을 한국스마트카드에서 인수함으로써 캐시비는 전국, 레일플러스는 김해시를 제외한 전국호환이 2018년 연내에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2021년 기준 경남 7개 군의 타 교통카드 호환이 지연되고 있다. 다만 현재는 고성군을 제외한 구 센스패스 지역들이 마이비와 계약하면서 단말기를 교체해 캐시비 사용이 가능해졌다.

또한 센스패스의 경상남도 시외버스의 교통카드 사업권을 이비카드에서 인수하면서, 2018년 1월 17일부로 경상남도의 시외버스도 교통카드로 탑승이 가능해졌다.

아래 목록 중 따로 괄호가 쳐져 있지 않은 지역은 전 지역 사용 가능을 의미하며, 수도권 전철은 운임 체계가 다른 구간[9]이라도 수도권에 속한다.

2.1. 티머니/한꿈이카드 ((주)티머니)

  • 보급형 티머니[10]/대중교통안심카드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수도권 교통수단 이외의 어떠한 곳에서도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한 마디로 유패스나 다름없다는 말이다.
  • 스마트 티머니/한꿈이카드(모바일티머니)/POP티머니
    • 교통카드 미도입 지역[11]을 제외한 전국의 시내/마을/농어촌버스 및 도시철도, 광역전철
    •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시외버스
    • 전국 고속버스
    • 한국철도공사 매표창구
티머니 제휴 사용 지역에서의 구입, 충전 및 잔액 환불은 GS25, CU, 미니스톱 편의점우체국, 신한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신협, KB국민은행 ATM에서만 할 수 있다. 단 NH농협은행, 신협, KB국민은행 ATM은 당행 계좌가 있어야 충전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가까운 신한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우체국을 이용하자. 일부 신한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중앙회) 지점에서 티머니 기능이 포함된 IC현금카드를 발급하기도 하는데, 재고 여부는 미리 문의해야 할 듯. 똑같은 스마트 티머니라도 2008년 이후에 발행된 것들이 타 호환 지역에서 잘 인식되며, 2004년에 나온 초기형 스마트 티머니는 인식이 잘 안 되거나 아예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단, 티머니 미호환지역에서는 편의점에서 충전이 불가능하며[12], 티머니 제휴 사용 지역 중 인천, 경기, 부산, 창원, 목포, 여수, 천안, 아산, 원주, 횡성, 강릉 지역은 은행, GS25, CU, 미니스톱 외에 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 일반 가판대에서도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다.[13] 경상남도 시외버스의 교통카드 사업권을 이비카드에서 인수하면서, 2018년 1월 17일부로 경상남도의 시외버스도 교통카드로 탑승이 가능해졌다.※ 2005년 4월 15일부터 발매된 수도권 전철 통합 정기권 카드다. 가격은 역시 2,500원. 정기승차권 카드를 구입한 후, 각각 '서울전용'과 '거리비례제' 방식으로 충전한 후, 30일 이내/60회 이내 탑승이 가능하다. 역무실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탑승가능 횟수와 기타 사항들을 구입시 안내해 준다.

2.2. 캐시비((주)이동의즐거움, (주)마이비, 부산하나로카드(주))

  • 교통카드 미도입 지역[14]을 제외한 전국의 시내/마을/농어촌버스 및 도시철도, 광역전철
  • 전국 시외버스
  • 전국 철도역[15]
캐시비의 전신인 이비카드(티모아와 제주시에서 발행한 이비 티머니 등도 포함)도 캐시비와 카드번호 체계가 같으므로 위와 같으나, 티모아의 전신인 구형 eB카드[16]캐시비 출범 이후 호환된 일부 지역(원주, 횡성, 대구, 경산, 영천, 울릉, 문경, 상주, 안동, 영주, 봉화, 예천, 김해, 거제, 통영, 속초, 고성, 양양, 영월, 평창, 정선, 홍천, 철원, 양구, 화천, 인제, 세종, 광주, 강진, 구례, 제주)에서의 사용은 불가능하다.[17] 구형 eB카드의 전신인 이베스트카드[18]경기도경상남도 버스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2.2.1. 마이비

마이비의 경우 기본적으로 같은 계열의 카드를 사용하는 다른 지역에 가도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ex.디지털경남카드로 광주 도시철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환승도 가능) 단, 지역별로 특정 지역의 카드를 사용할 경우 인식이 되지 않거나, 환승이 되지 않는 등의 일도 있다. 이러한 카드(지역)은 분리해 표기하였다. 2014년 8월 부로 편의점 등에서의 결제가 되지 않으니 유의하자. 한때 부산 도시철도에서는 오직 디지털부산카드만 충전이 가능하기도 했다.
  • 타 지역 호환 가능 기종
    • 디지털부산카드: 부산광역시
    • 빛고을카드[19]: 광주광역시[20]
    • 디지털울산카드: 울산광역시
    • 봄내카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원주카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횡성군)
    • 신나리카드: 경상북도(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 디지털경남카드: 경상남도(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의령군, 함안군)
    • 신명이카드: 전라북도
    • 디지털예향전남카드: 전라남도
    • 으뜸e카드: 충청북도[21]
    • 디지털충남카드: 충청남도
  • 지역 제한 기종
  • 호환 사용 가능 지역
    • 수도권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속초시, 양구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고성군, 양양군)
    • 경상북도(포항시)
    • 경상남도(거제시, 통영시)
    • 제주특별자치도
※ 호환 사용 단계에 있는 지역에서는 사실상 구입과 충전이 불가능하다. 충전은 부산은행 서울영업부(시청 옆), 여의도지점, 강남지점, 구로디지털지점, 인천남동공단지점, 롯데슈퍼,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부역 안내소, 코레일멤버십 회원가입창구(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광명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 광주역)에서만 가능. 롯데ATM에서는 2014년 11월 MIFARE 마이비카드의 충전이 전면 중단됐다. 그나마 인접 지역이 마이비 사용지역인 전남권은 좀 낫지만...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교통카드를 티머니로 갈아 엎으면서 구형 MIFARE 마이비카드의 사용을 전면 금지시켰다.
※ 2012년 4월부터 발매되는 신 마이비카드[23]캐시비의 사용 권역에 준하여 이용 가능하다.

2.2.2. 하나로카드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 춘천시, 횡성군을 제외한 전 지역)
  • 경상북도(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포항시)
  • 경상남도(김해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의령군, 함안군)
  • 전라북도
  • 전라남도(강진군, 구례군, 완도군, 진도군[미시행]을 제외한 전 지역)
  • 충청북도
  • 제주특별자치도[25]
※ 부산을 제외한, 호환 사용단계에 있는 다른 지역에서는 구입이 힘들다. 충전은 롯데ATM(세븐일레븐,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에 있음)에서 가능했으나 삭제됐다. 부산은행 지점에서도 가능하다.
※ 2012년 4월부터 발매되는 신 하나로카드[26]는 캐시비의 사용 권역에 준하여 이용 가능하다.

2.3. 원패스/탑패스 (DGB유페이)

각 카드 종별로 상세한 사용 가능 여부는 원패스 항목에 정리되어 있다.

원패스는 전국의 모든 시내버스와 부산김해경전철을 제외한 모든 전철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탑패스는 전국호환 규격이 아니라서 아래의 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영양군[미시행], 경주시를 제외한 전 지역)
  • 경상남도(김해시)
  • 제주특별자치도(사용은 가능하나, 대구은행과 이마트24가 없는 관계로 충전, 구입 불가)
  • 전라남도(강진군, 구례군, 함평군) (이마트24에만 충전가능)
※ 광주광역시와 경주시에서는 신형 원패스만 사용되고 구형 탑패스를 사용할 수 없으며, 경주시 이후 개방한 나머지 경상북도 내 교통카드 사용 지역에서는 둘 다 호환이 가능하다.
제주특별자치도, 강진군, 구례군, 함평군에서는 구형과 신형 모두 호환이 가능하다.
※ 성주군, 청도군 면허 버스에서는 해당 지역의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없다.
※ 수도권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대구은행 3곳(을지로2가 서울영업부, 여의도지점, 강남지점), 경기도에 위치한 안산시 반월산단지점, 성남지점, 화성지점, 평택지점,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가정동 인천지점과 이마트24에서만 충전할 수 있다. 대신 반월공단지점, 화성지점을 제외하면 모두 점내 ATM이므로 충전하고 싶다면 오후 4시가 되기 전에 이용할 것. 자동충전카드는 쓸 수 없다.

2.4. 한페이

  • 교통카드 미도입 지역[28]을 제외한 전국의 시내/마을/농어촌버스 및 도시철도, 광역전철

2.5. 레일플러스 (코레일네트웍스)

2014년 10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 교통카드 미도입 지역[29]을 제외한 전국의 시내/마을/농어촌버스 및 도시철도, 광역전철
  • 한국철도공사 매표창구
카드 충전 여건이 나쁘다는 게 큰 단점. 레일머니 앱으로 NFC 충전을 하는 것 외에는 철도역 및 수도권 전철역, 동해선 광역전철 역사, 스토리웨이, 이마트24, CU, 우리은행 ATM, 롯데ATM을 이용해야 한다. NH농협은행은 계좌이체 충전만 가능하므로 논외. 2018년 4월 17일에 출시한 대중교통안심카드는 스토리웨이, 이마트24에서 충전 및 사용 할 수 없다. 오직 CU, 철도역 및 수도권 전철역, 동해선 광역전철 역사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30]동해선 광역전철 전용 정기권 카드다. 가격은 2,000원. 정기승차권 카드를 구입한 후 충전하면, 30일 이내/60회 이내 탑승이 가능하다. 승하차역을 지정해야 하며, 지정역 이외의 역에서는 승하차 불가. 역무실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탑승가능 횟수와 기타 사항들을 구입시 안내해 준다.

2.5.1. 코레일멤버십카드/KTX패밀리카드 (코레일네트웍스)

이 카드도 선불제 교통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처는 한국철도공사가 아니라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 기반 시스템은 마이비이며, 티머니와 마이비를 쓸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쓸 수 있다.(단 경기도, 인천, 대구, 경산, 세종, 대전, 포항, 안동, 영주, 문경, 상주, 봉화, 예천, 울진, 의성, 강진, 구례, 통영, 거제, 거창, 고성, 남해, 산청, 창녕, 하동, 함양, 합천,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의 모든 버스는 인식이 아예 안 된다.)

발매 초창기에는 수도권에서는 코레일멤버십카드를 발급하는 서울, 용산, 영등포, 광명, 수원역(현재 철수) 외에는 충전소가 없었기 때문에 사용에 애로사항이 있었으나, 현재는 코레일 전 구간 수도권 전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1회용 교통카드발매 충전기에서 충전을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전국에 철도역 매표창구에서도 모든 코레일멤버십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마이비카드를 쓰는 모든 지역에서도,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코레일멤버십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티머니 충전기에서는 이 카드로 충전이 불가능하다.

2010년부터 발급처인 코레일네트웍스에서는 교통카드 기능을 제외한 버전으로 공급했다.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카드의 고장률과 인식불량률이 상당히 심각해서 2009년을 마지막으로 삭제됐다.[31] 다만 교통카드 기능을 제외했음에도 코레일 멤버십 카드 뒷면에 찍혀 있는 카드 번호는 현재 발행 중인 레일플러스 일반형처럼 2099로 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2013년에 코레일 멤버십 카드의 발행도 전면 폐지되어 현재 코레일 멤버십 카드는 한국철도공사의 네임드급 철도역 내 라운지 출입용 카드 정도로 이용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가 2014년 개통을 목표로 교통카드 정산센터를 구축하고, 여기에 맞춰서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출시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름은 예전에 코레일 멤버십 마일리지 이름으로 쓴 적이 있었던 레일플러스로 결정됐다. 다만 두 사업 모두 감사원으로부터 태클을 한 차례 먹은 상태인데 언론 보도가 많지 않아 실제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미지수였으나 2014년 10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됐다.

2.6. 공통 제약 사항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승차권 구입시 매표창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승차권 자동발매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명절 특별수송 기간에는 매표창구에 가더라도 선불교통카드로 결제할 수 없다. 코레일톡 어플에서도 선불 교통카드 사용이 안 된다.[32]

대중교통안심카드[33]의 경우, 오직 버스나 도시철도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유통결제용으로는 사용이 안 된다.

[1] 현금 뿐만 아니라 계좌이체 충전과 신용카드 충전(우리카드-우리은행 ATM/롯데카드-롯데ATM 한정)도 가능하다.[2] NFC 유심을 써서 스마트폰 자체를 교통카드로 쓰는 모바일티머니, 모바일캐시비 등은 NFC 유심에 교통카드를 저장하며, NFC 읽기쓰기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앱으로 플라스틱카드를 갖다대 충전하는 방식(NFC 유심과 전혀 무관하다.)은 레일플러스 등 나머지 브랜드도 다 지원하고 있다. 충전요금 지불은 휴대폰 소액결제나 계좌이체, 신용/체크카드 등을 이용한다. 단, 현금충전 시와 달리 약간의 수수료가 부과된다.[3] 물론 스마트폰이 출시되기 전의 피처폰에서도 모바일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했다. 스마트폰처럼 USIM카드에 교통카드 정보를 넣어 결제하는 방식이지만 통신방식은 NFC가 아닌 RF방식으로 차이가 있다. 또한 USIM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CDMA 규격의 피처폰이나 LG U+의 피처폰은 별도의 모바일칩을 통해 이용할 수 있었다. 다만, 이용할 수 있는 모델이 제한적이었으며, 홍보가 잘 되지 않아 지금처럼 이용빈도가 높진 않았다. 은행사 앱을 이용한 앱 또는 VM방식으로 이용되며, 모바일칩을 이용한 뱅킹 서비스가 아니기 때문에 교통카드 이용 자체가 불가능하다.[4] 접대비 처리 규정과 여신법의 충돌로 원칙상 법인카드로만 되는 걸로 유권해석이 난 상태. 카드 소액결제 참조.[5] 전남 완도군, 경북 청송군, 봉화군은 무임승차제를 시행 중이기 때문에 교통카드나 현금이 필요 없다.[6]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로 편입으로 DGB유페이의 원패스 주 사용지역으로 교통카드제를 시행했다.[7] 청송사과 자판기는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하다.[8] 경기 프리미엄버스는 애초에 예약제이고, 예약자가 등록한 교통카드를 통해서만 승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금승차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9]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도 구간이나 광역전철의 강원도, 충청남도 구간[10] 카드번호가 16자리 숫자 표준형이 아닌 중간에 영문자가 들어간 비표준형이다. One Card All Pass 규격 티머니 발매 이후로 완전히 단종되었다.[11] 경상북도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12] GS25에서 결제나 홈플러스에서 짱플러스 구입이나 은행 ATM으로 충전은 가능. 예전에는 티머니 호환지역에서도 충전이 불가능한 지역이 있었으나, 대구는 2015년 4월부터 GS25에서 티머니의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며 2016년 7월부터 T-마일리지 충전이 가능하다. 광주는 2016년 4월부터 GS25에서 티머니의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다.[13] GS25에서 충전, 결제가 가능한 지역 #[14] 경상북도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15] 전국호환교통카드가 아닌 기존 일반 캐시비 카드도 전국의 철도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16] 카드번호가 16자리가 아닌 1,500원짜리 카드로, 카드번호 중간에 EBA(일반용), EBS(청소년용), 혹은 EBC(어린이용)라고 적힌 카드로, 인천/경기도에서 발행한 이비 티머니와 이비 유패스도 여기에 속한다. 이비 유패스는 수도권에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버스, 서울 9호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상기 노선 제외)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EBA/EBS/EBC로 시작하는 구형 카드들은 2012년에 캐시비로 교환해 주는 행사를 열기도 했다.[17] 원주, 횡성의 경우 캐시비 신형 카드가 안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에러가 개선된 듯하다.[18] 2004년 7월 서울시내버스 노선 개편 전에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서 발매된 카드로, 카드번호 중간에 EA(일반용) 혹은 ES(학생용)라고 적힌 카드[19] 빛고을카드는 수도권에서 인천광역시경기도 시내버스, 서울 9호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상기 노선 제외)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충전은 부산은행에서 불가능하다.[20] 광주 도시철도는 대학생에게도 할인 운임을 적용하기 때문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학생용 카드를 별도로 발매한다. 단, 2016년 8월 1일 광주광역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과 함께 대학생 요금제가 폐지되어 대학생 교통카드는 단종되었다. 광주광역시는 2011년 말에 마이비와 계약이 끝나고 한페이시스와 새로 계약했다.(단, 마이비한페이시스의 주식을 갖고 있다) 2014년 현재도 마이비 역시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21] 아이러니하게도 수도권(서울)에서는 충전/환승은 물론이고 인식 자체가 되지 않는다.[22] 이 카드로는 창원시 시내버스의 환승할인을 받을 수 없다.[23] 마이비 로고가 붙은 캐시비다.[미시행] [25] 가끔 하나로카드는 인식이 잘 안 되는 일이 있다고 한다.[26] 하나로카드 로고가 붙은 캐시비다.[미시행] [28] 경상북도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29] 경상북도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30] 여담으로 너무 오랫동안 카드 사용을 하지 않은 경우, 청소년이나 어린이 요금으로 할인등록되어 있다면 성인 요금으로 바뀐다.[31] 다만 2012년에 발급받은 카드도 한국철도공사 충전기에서는 교통카드로 인식이 된다. 그런데 개집표기에서는 인식이 아예 되지 않는다.[32] 코레일톡의 경우 레일플러스 모바일 교통카드는 사용 가능하다.[33] 일반 선불 교통카드와는 달리 분실 시에도 잔액 환불이 가능하다. 티머니, 원패스, 레일플러스에서 발매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