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1:12:38

영양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 중종의 왕자에 대한 내용은 영양군(152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0bb>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fe0000 21%, #ed1c24); font-size: 1em"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 포항시
자치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width=25%> 파일:봉화군 CI.svg
봉화군
||<width=25%> 파일:성주군 CI.svg
성주군
||<width=25%> 파일:영덕군 CI.svg
영덕군
||
파일:영양군 CI.svg
영양군
파일:예천군 CI.svg
예천군
파일:울릉군CI임시.png
울릉군
파일:울진군 CI.svg
울진군
파일:의성군 CI.svg
의성군
파일:청도군 CI.svg
청도군
파일:청송군 CI.svg
청송군
파일:칠곡군 CI.svg
칠곡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d208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d2088>
파일:영양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21c2a>
군청
영양읍
석보면 수비면 일월면 입암면 청기면
}}}}}}}}} ||
경상북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영양군 CI.svg영양군
英陽郡
Yeongyang County
}}}
<colbgcolor=#e21c2a><colcolor=#fff> 군청 소재지 영양읍 군청길 37 (서부리)
광역자치단체 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 1 5
면적 815.87㎢
인구 15,335명[1][2]
인구 밀도 18.80명/㎢[3][4]
군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오도창 (재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5]

1석[6]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7]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임종득
지역번호 054 - 68X[8]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5. 인구6. 교통7. 금융8. 관광
8.1. 특산물
9. 문화/편의시설/기타10. 교육11. 정치12. 하위 행정구역13. 사건 사고14. 대중문화에서의 영양군15. 기타16. 자매 결연 도시17. 출신 인물1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영양군청.jpg
영양군청
경상북도 영양군 군청길 37

경상북도 동북부에 있는 . 서쪽은 안동시, 북쪽은 봉화군, 남쪽은 청송군, 동쪽은 영덕군, 울진군과 접하고 있다.

전국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낮은 기초자치단체이다.[9] 또한 육지에 있는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동네로, 경북의 오지 3총사를 뜻하는 BYCY를 맡고 있다.[10] 다리로 연결되지도 않은 섬들이 대부분인 인천광역시 옹진군, 태평양의 외딴 섬나라인 팔라우보다도 인구가 적다. 영양군보다 인구가 적은 기초자치단체는 경상북도 울릉군뿐인데, 울릉군의 인구 밀도는 영양군의 6배 수준이다.[11]

더불어 대한민국 유일의 교통카드 제도 미시행 지역이라는 타이틀도 있다

2. 상징

영양군의 CI
파일:영양군 CI.svg
둥근원은 영양의 한글 머릿글자 'ㅇ' 을 의미하며 영양 특산물인 고추를 태극모양으로 형상화하여 세계속에 뻗어 나가는 영양인의 진취적인 기상을 표현하였음. 적색, 청색, 녹색은 영양의 특산물과 푸른산, 맑은 물을 표현, 청정이미지를 극대화하였다.
영양군의 브랜드
파일:영양군 BI.svg
영양의 대표 특산물인 영양고추의 매우면서도 달고 강렬한 특성을 표현하며, 활기찬 도약을 위해 열과성을 다하는 공직자 및 군민의 열정과 패기를 나타냄.

3. 역사

<rowcolor=#fff> 영양군 행정구역 변천사
영양군
(英陽郡)
보성부 진보현
(甫城府 眞寶縣, 고려 초)
영양군
(英陽郡)
진보현
(眞寶縣, 1413)
영양군
(英陽郡, 1895)
진보군 북면 / 동면
(眞寶郡, 1895)
영양군
(1914)

신라 때 고은(古隱)이라 불렸으며, 고구려 장수왕 때 잠깐 고구려 땅이 되었다가 신라에게 돌아왔고 이후 영양(英陽)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1179년 영양현이 신설되었는데, 1413년 영해부에 편속되었다가 1683년에 다시 이 되었고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다.

1906년 영해군 석보면을 편입하였다. 1914년 진보군 북면, 동면을 편입하였다. 1962년 12월 11일에 울진군 온정면 본신리를 수비면에 편입시켰다.[12]

1971년 12월에는 일월면, 청기면 일대 일월산에 있는 사이비 종교였던 일월산기도원 사건이 뉴스에 오르내리기도 했었다.

1979년 5월 1일 영양면을 읍으로 승격하여 현재에 이른다.

4. 지리

파일:attachment/영양군/영양군의-위치.jpg

해발 고도가 대부분 200m 이상이고 북쪽으로 갈수록 고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제대로 된 평지는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수비면은 평균 해발고도가 400m로 영양군에서 가장 고도가 높은 지역이다. 최고봉은 해발 1219m인 일월산이다. 기후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냉대 습윤 기후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13] 수비면과 일월면 북부가 주로 냉대 습윤 기후, 나머지 지역은 냉대 동계 건조 기후이다. 한여름에도 해가 떨어지면 쌀쌀할 정도로 일교차가 크고 서늘한 편으로, 이로 인해 영양 고추의 맛이 좋다고 한다. 겨울은 윗동네 봉화군과 아랫동네 청송군에 묻히는 감이 있지만, 이 동네도 여타 남부 지방들에 비해 매우 추워 겨울 기온이 -10℃ 이하로 심심치 않게 떨어진다. 특히 많이 추울 때는 -25℃ 근처까지도 떨어진다. 또한 도 제법 많이 내리는 편이며, 지형적인 영향으로 수비면 동부 일대에는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지질은 단순하다.

전국에서 손꼽히는 오지인 만큼 대기 질이 아주 좋다. 심지어 영양군의 5면 중 하나인 수비면대한민국에서 가장 밤하늘이 어두워서 별자리를 관측하기 좋은 덕분에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국제밤하늘보호공원으로 지정됐다. 2000년대 기준 가로등 하나 없는 감천유원지에서 육안으로 은하수 관측이 가능한 굉장한 곳이었다. 아직도 여름철에 수비면에서 빛이 없는 마을 입구, 다리 위, 밭에 누워 밤하늘을 보면 은하수가 잘 보인다. 또한 공기가 깨끗하고 빛 공해가 적어 별이 잘 보인다는 특성 때문인지 수비면에는 "영양 반딧불이 천문대"가 있다. 추가로 수비면은 2019년 7월에 개봉한 영화 별의 정원의 배경지이기도 하다.

영양군 석보면 맹동산 일대에 대규모 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현재 영양풍력발전공사, GS영양풍력발전, 한화건설에서 조성하고 경영 중에 있다. 최근에는 GS건설에서 제2영양풍력발전단지 건설을 추진 중에 있으며 완공이 될 경우 GS영양풍력발전법인이 경영하게 될 것이다. 맹동산은 동해 바다로부터 해풍이 영양군까지 불어오고 있기 때문에 풍력 발전을 하는데 있어 최적의 지리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5. 인구

경상북도 영양군 인구 추이
(1914년~현재)
1914년 37,400명
1920년 43,323명
1925년 46,778명
1930년 48,189명
1935년 48,485명
1940년 44,428명
1944년 47,421명
1949년 52,158명
1955년 55,837명
1960년 61,627명
1962년 12월 12일
강원도 울진군 → 경상북도 편입
울진군 온정면 본신리 → 영양군 수비면 편입
1966년 68,153명
1970년 69,472명
1973년(정점) 70,791명
1975년 67,851명
1980년 52,733명
1983년 2월 15일 영양군 입암면 흥구동·방전동 각 일부 → 청송군 진보면 편입
1985년 43,463명
1990년 31,170명
1995년 23,797명
2000년 20,735명
2005년 19,648명
2010년 18,451명
2015년 17,898명
2020년 16,692명
2024년 11월 15,3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양읍 6,777명
입암면 2,009명
석보면 1,913명
일월면 1,644명
수비면 1,615명
청기면 1,559명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 ||

현재의 군역이 대강 갖춰진 1914년 당시 영양군의 인구는 37,400명이었다.(#) 이후 1973년 70,791명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으며, 1979년 5월 1일 지방자치법의 개정으로 군청소재지의 경우 읍으로 승격이 가능해지게 되어 영양면이 읍으로 승격했다. 하지만 당시 기준으로 웬만한 군은 10만~20만 명 사이의 인구였던 시절이라서, 7만 명 남짓했던 영양군의 인구는 상당히 적은 축에 속했다.

이후 이촌향도 현상이 꾸준히 이어지며 안 그래도 적었던 인구가 계속 줄어들어 2002년 처음으로 하나의 을 설치할 수 있는 인구수 기준인 2만 대가 붕괴되었고 결국 소멸위험지역 중에서도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되었다. # 인구 2만 명이 무너지면 병의원, 편의시설, 공공시설, 대중교통 등의 운영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러한 시설들이 먼저 사라지고 인구가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인구감소 문제가 매우 심각한 지역이기 때문에 2020년 전국 최초로 인구대응센터를 설치했다.

2023년 1월 기준 만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40.04%이며, 만 18세 이하 인구비율은 3.8%이다.
===# 읍면별 인구[14] #===
파일:영양군 CI.svg 영양읍 인구 추이
(1925년~현재)
1925년 8,869명
1930년 9,346명
1935년 10,062명
1944년 9,469명
1949년 11,617명
1955년 12,055명
1960년 14,177명
1966년 16,157명
1970년 17,088명
1975년 18,589명
1979년 5월 1일 영양군 영양면 → 영양읍 승격[15]
1980년 15,557명
1985년 13,932명
1987년 7월 1일
수비면 기산동 → 영양읍 편입
석보면 양구동 → 영양읍 편입
1990년 11,587명
1995년 9,541명
2000년 8,674명
2005년 8,340명
2010년 7,881명
2015년 7,758명
2020년 7,305명
2024년 4월 6,77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영양군 CI.svg 입암면 인구 추이
(1925년~현재)
1925년 7,473명
1930년 7,412명
1935년 7,284명
1944년 6,534명
1949년 8,049명
1955년 8,243명
1960년 9,325명
1966년 10,852명
1970년 10,141명
1975년 10,131명
1980년 8,122명
1983년 2월 15일 영양군 입암면 흥구동·방전동 각 일부 → 청송군 진보면 편입
1985년 6,433명
1990년 4,351명
1995년 3,337명
2000년 3,002명
2005년 2,804명
2010년 2,484명
2015년 2,315명
2020년 2,141명
2024년 4월 2,00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영양군 CI.svg 청기면 인구 추이
(1925년~현재)
1925년 8,651명
1930년 9,199명
1935년 9,281명
1944년 7,983명
1949년 8,766명
1955년 8,803명
1960년 9,673명
1966년 11,378명
1970년 11,077명
1975년 10,496명
1980년 7,906명
1985년 6,453명
1990년 3,983명
1995년 2,701명
2000년 2,244명
2005년 2,083명
2010년 1,923명
2015년 1,880명
2020년 1,739명
2024년 4월 1,5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영양군 CI.svg 일월면 인구 추이
(1925년~현재)
1925년 7,431명
1930년 7,786명
1935년 7,672명
1944년 8,364명
1949년 7,922명
1955년 7,129명
1960년 8,334명
1966년 9,719명
1970년 9,265명
1975년 9,049명
1980년 6,747명
1985년 5,266명
1990년 3,649명
1995년 2,606명
2000년 2,197명
2005년 2,026명
2010년 1,905명
2015년 1,883명
2020년 1,772명
2024년 4월 1,6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영양군 CI.svg 수비면 인구 추이
(1925년~현재)
1925년 6,526명
1930년 6,649명
1935년 6,888명
1944년 5,909명
1949년 6,978명
1955년 6,386명
1960년 7,252명
1963년 1월 1일
강원도 울진군 → 경상북도 편입
울진군 온정면 본신리 → 영양군 수비면 편입
1966년 8,868명
1970년 8,646명
1975년 8,396명
1980년 6,311명
1985년 5,231명
1987년 7월 1일 수비면 기산동 → 영양읍 편입
1990년 3,416명
1995년 2,426명
2000년 1,965명
2005년 2,017명
2010년 1,952명
2015년 1,853명
2020년 1,693명
2024년 4월 1,6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영양군 CI.svg 석보면 인구 추이
(1925년~현재)
1925년 7,828명
1930년 7,797명
1935년 7,298명
1944년 6,162명
1949년 7,085명
1955년 6,721명
1960년 7,831명
1966년 11,176명
1970년 11,264명
1975년 11,165명
1980년 8,090명
1985년 6,148명
1987년 7월 1일 석보면 양구동 → 영양읍 편입
1990년 4,184명
1995년 3,186명
2000년 2,653명
2005년 2,398명
2010년 2,306명
2015년 2,209명
2020년 2,042명
2024년 4월 1,9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6.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양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금융

영양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
국가기관
영양우체국 (6)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영양농협 (5) 남영양농협 (2) 청송영양축산농협 (1)
새마을금고
영양새마을금고 (1)
산림조합
영양군산림조합 (1)

8. 관광

파일:일월산 일출.jpg
파일:지훈문학관.jpg
지훈 문학관
파일:영양군 주실마을.jpg
파일:척금대(곡강)2.jpg
주실마을
척금대
파일:영양 선바위5.jpg
파일: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3.jpg
영양 선바위

관광지로서 매우 미약한 지역으로 꼽힌다. 관내에 있는 주요 관광지로는 일월산, 수하계곡, 영양 선바위 정도가 있다.

수비면 수하계곡은 한 때 피서지로 각광받던 적이 있었지만, 몰려드는 관광객을 맞이할 만한 편의시설이 매우 부족한 데다 그 관광객들이 온갖 쓰레기를 유기해놓고 가는 바람에 환경이 상당히 나빠져 금세 시들해졌다. 이 때문에 이후 주변 물가들이 몽땅 다슬기 보호 구역으로 선정되어 입수가 금지되었다. 다만 주민들은 종종 보호 구역 경계 1~2m 옆에서 다슬기를 채취하는 꼼수를 부리는데, 이 때 주먹만한 크기의 조약돌 하나에 다슬기가 수십 마리씩 붙어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현재는 이 일대가 국제밤하늘보호공원으로 지정되어 펜션, 수련원, 천문대 등이 생겼다.

일월면 주곡리에 있는 한양 조씨 집성촌 주실마을도 나름 알려져 있는데 이 곳에는 조지훈의 생가가 있다. 석보면 원리리에는 재령 이씨 집성촌 두들마을이 있는데 음식디미방을 쓴 장계향이 시집을 간 마을이 이곳이고, 이문열의 본가가 이곳에 있다. 관련해서 2000년대 초부터 이문열이 이곳에 자리를 잡기 위해 집필실 등이 있는 광산문학연구소를 열었고 이후엔 이문열문학관도 들어섰는데 2022년 7월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나 문학관을 제외한 목조건물들이 모두 전소됐다.

영양에 소재한 문화재로는 입암면 산해리에 국보 제187호로 지정된 모전석탑이, 영양읍 현리에는 보물 제2069호로 지정된 모전석탑이 있다. 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로 지정된 모전석탑은 전국에 5개 밖에 없는데 이 중 2개가 영양에 있다.

유명 음식 리뷰어 돈찐이 1박 2일간 영양군 이곳 저곳을 돌아다닌 뒤 2024년 5월 19일 새벽 2시경 본인의 블로그에 올린 교통, 음식, 숙소, 특산물, 관광과 각 장단점에 대한 후기글이 소소하게 화제가 됐다.

같은 날 오후 6시경 유명 유튜버 파뿌리 채널에 '인구 1등 VS 인구 위기'라는 컨텐츠로 각각 서울과 영양을 방문한 영상이 올라왔다.

2024년 5월 22일 유튜버 김마통 채널에 '영양에 가면 정말 할 게 없을까? 논란의 영양 먹방 여행기'라는 제목으로 영상을 업로드하였다. #

8.1. 특산물

특산물로는 고추가 상당히 유명하다. 심지어 군 슬로건도 HOT(맵다)을 사용하고 있다. 영양고추는 브랜드화에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사례로 손 꼽힌다. 초고령화 지역인 데도 불구하고 고추 농사로 지역 내 총생산(GRDP)이 증가하고 있다.

남미 원산인 고추가 한국에서 처음 자생한 품종인 수비초가 난 곳이 영양군이다. 청양고추의 '청양'의 어원은 청송군과 영양군을 합한 것이라는 게 정설이다. 청양고추 문서 참조. 영양 고춧가루대한민국의 지리적 표시제를 적용받는다. 영월, 영광, 괴산, 청양과 함께 고춧가루가 등록되어 있는데, 앞의 4군은 고추도 등록되어 있다. 고추 홍보 모델인 고추아가씨 대회도 영양군이 주관한다.

[kakaotv(421919092)]
2021년에는 펜트하우스 시리즈의 영향을 받았는지 이런 광고를 선보이기도 했다.

반변천 발원지인 청기면의 지하 167m 지하수로 빚고 꿀과 약초로 향과 맛을 낸 초화주도 맛이 좋다. 일월산 자락에서 채취한 천궁, 당귀, 황기, 오가피, 갈근 등의 약재와 후추를 첨가해 술을 빚는데, 약재 향과 꽃 향이 은은하게 살아나 깔끔하다. 특유의 싸한 입안 자극과 달콤한 뒷맛은 초화주만에서만 느낄 수 있다.

영양산사과도 유명하다.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산간 고랭지에서 재배해 과피가 얇고, 아삭아삭하며, 색깔이 곱고 당도가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먹어본 사람들은 '향부터 다르다', '아삭하고 달콤하다'며 계속 찾는다고 한다. #
  • 어수리나물: 어수리는 봄에 어린순을 식용하고, 한방에서 어수리 뿌리를 만주독활이라 하여 중풍, 신경통, 요통, 두통, 해혈, 진정, 진통, 미용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 곰취나물: 향미가 특히 좋은 곰취는 어린 잎을 그대로 먹어도 몸에 좋고, 살짝 데쳐서 무침을 해도 맛과 향이 뛰어나다. 뿐만아니라 묵나물, 곰취김치 등으로도 좋다. 한방에서 뿌리, 줄기를 말려 호로칠이라 하는데, 해수, 백일해, 천식, 요통, 관절통, 타박상 등에 처방한다.
  • 고사리: 고사리는 순이 올라와서 어린애 주먹처럼 잎이 활짝 펴지지 않았을 때 채취하여 삶아서 식용으로 쓴다. 향약집성방에 고사리는 '성질이 차고 활하며 맛이 달다'라고 나와 있다.

9. 문화/편의시설/기타

  • 영화관
    영양작은영화관이 유일하다. 그러나 시설이 매우 열악해 제대로 영화를 보려면 이웃한 안동시로 가야 한다. 대체로 CGV 안동으로 가는 추세지만, 안동시도 극장 규모가 작아 보려는 영화가 없거나 아이맥스4DX, Dolby Cinema 같은 특별관에서 영화를 보려면 대구광역시까지 가야 한다.[18] 다만 관람료는 7천 원에 불과하기 때문에 부담없이 관람이 가능하며 예매는 디트릭스 앱으로 가능하다.
  • 체인점
    '체인점의 무덤'이라고 불릴 정도로 프랜차이즈 점포가 개장해도 평균적으로 2년을 못 넘기는 특성이 있다. 2019년에 영양 최초로 던킨도너츠가 생겨서 영양군민들한테 소소한 화제거리가 되었지만, 역시나 2021년 11월에 폐점했다. 그나마 편의점만이 영양에 입점한 뒤로 단 1곳도 폐점하지 않고 잘 살아있다. 원래 CU가 단 1곳 있었지만, 영양읍에 CU 하나가 더 생긴 이후 GS25와 세븐일레븐도 입점하게 되었다. 2024년 현재는 GS25 1곳, CU 2곳, 세븐일레븐 3곳이 영업 중이다. 파리바게뜨도 2021년 4월 26일 생겨서 영업 중이다. 전국 어디에나 있다는 롯데리아맘스터치도 영양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19]
  • 카페
    전국단위 프랜차이즈 카페는 커피베이, '만랩커피', 이디야커피가 있다. 군청 근처에 있는 커피베이와 만랩커피의 대부분의 고객은 영양군청 공무원들이며, 평일은 물론 주말에도 손님이 뜸하며 적자를 내고 있다고 한다. 특히 가장 최근에 개점한 이디야커피의 점주의 말을 빌리자면 개점 첫주부터 적자를 기록하여 힘든 상황이라고 한다. 여기는 상술한 공무원들의 고정 수요가 적게나마나 있는 군청 근처 카페와 달리 군청과 중앙로에서 떨어진 골목 안쪽에 있어서 심각하다고 한다. '79서부리' 같은 자영업 카페도 있으나 역시 손님이 뜸하여 주5일 운영을 할 정도로 장사가 잘 안 된다고 한다. 주민들은 대부분 시장 근처에 있는 향토 빵집 혹은 커피숍을 간다.
  • 체육 시설
    영양군에서 직접 운영하는 헬스장과 볼링장, 수영장이 존재한다. 어느 지역에나 다 존재하는 공립 체육 시설 외에는 마땅한 곳이 없다.

10. 교육

파일:영양군 CI_White.svg 경상북도 영양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석보초등학교 수비초등학교 영양중앙초등학교 영양초등학교
일월초등학교 일월초등학교청기분교장 입암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영양군 CI_White.svg 경상북도 영양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석보중학교 수비중학교 영양여자중학교 영양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영양군 CI_White.svg 경상북도 영양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영양고등학교 영양여자고등학교 수비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초등학교는 7곳, 중학교는 4곳, 고등학교는 3곳이 있지만, 상술했듯이 군 전체가 '인구소멸지역'이라 다 합쳐야 웬만한 중소도시의 초, 중, 고의 학생 수에 맞먹는다. 2023년 기준, 초등학교 중에서 학생 수가 많은 영양초등학교조차 전교생 200명이 안 되고 나머지는 전교생이 적게는 10명, 많아봐야 40명도 안 된다. 수비면과 석보면을 제외한 다른 면 지역은 중, 고등학교는 영양읍까지 가야 한다.

그마저도 심각한 저출산으로 인해 저 몇 안 되는 학교들조차도 나중에는 대부분 문을 닫아야 할 수 있다. 2023년 영양군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고작 29명밖에 안 된다. 청기면에서는 단 1명밖에 태어나지 않았다. 이대로라면 초등학교가 단 1개로 통폐합될지도 모른다. #
===# 폐교된 초·중·고교[20][21] #===
  • 영양읍
    • 기산초등학교[분교격하][23] : 영양읍 기산길 191-11
    • 무창초등학교[분교격하][25] : 영양읍 영양창수로 958-10
    • 상원초등학교[분교격하][27] : 영양읍 비리동천길 1
    • 영양초등학교 감천분교[28] : 영양읍 감천리 402
    • 화천초등학교[29] : 영양읍 영양창수로 644
  • 입암면
    • 방전초등학교[30] : 입암면 영양로 205
    • 신사초등학교[31] : 입암면 선바위로 230-35
    • 신사초등학교 금학분교[32] : 입암면 선바위로 612
    • 입암중학교[분교격하][34] : 입암면 산해1길 9-4
  • 청기면
    • 구매초등학교[분교격하][36] : 청기면 구매리 49
    • 기포초등학교[37] : 청기면 기포리 408
    • 청남초등학교[38] : 청기면 청기로 559
    • 청북초등학교[분교격하][40] : 청기면 재일로 1383-23
    • 청북초등학교 행화분교[41] : 청기면 재일로 795
    • 청일초등학교[분교격하][43] : 청기면 청기4길 31
  • 일월면
    • 가곡초등학교[44] : 일월면 가곡리 220
    • 문암초등학교[분교격하][46] : 일월면 영양로 3315
    • 오리초등학교[분교격하][48] : 일월면 오리길 54
    • 용화초등학교[분교격하][50] : 일월면 영양로 4163-9
    • 용화초등학교 용저분교[51] : 일월면 용화리 37
    • 일월중학교[52] : 일월면 가곡리 156
  • 수비면
  • 석보면
    • 소계초등학교[분교격하][62] : 석보면 소계리 240-2
    • 요원초등학교[분교격하][64] : 석보면 칠성봉길 9
    • 요원초등학교 삼의분교[65] : 석보면 화무로 944
    • 주남초등학교[66] : 석보면 원요로 251
    • 화매초등학교[67] : 석보면 화매리 561-8
    • 화매초등학교 택전분교[68] : 석보면 택전1길 11
  • 아직 고등학교 중에선 폐교된 곳이 없으나, 수비고등학교가 전교생이 21명(남8/여13)에 불과해 폐교 위기에 처해 있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양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양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사건 사고

13.1. 1박 2일 영양군 재래시장 바가지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박 2일 영양군 재래시장 바가지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박 2일 촬영 중 영양군 영양읍 서부리 영양시장에서 등장한 7만원 옛날과자가 논란이 됐다. 영양군청 공식 웹사이트에 항의글이 올라오고 언론에서 다루는 등 사태가 커지자 영양군청이 해명하기도 했다.

13.2. 피식대학 영양군 지역 비하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식대학 영양군 지역 비하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대중문화에서의 영양군

15. 기타

  • 주요 교통축에서 벗어나 있어 과거 실행되었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서 완전히 소외받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TK 정권이라 불리던 박정희전두환[69]노태우 정권 시절에도 변변한 산업 시설이 들어오지 않아서 인구는 지속적으로 가까운 대도시들이나 수도권 일대로 유출되어 나갔고, 결국 인구 2만 대가 붕괴되었다.
  • 공무원 경쟁률은 2023년 9급 일반 행정직 기준 6.1:1밖에 되지 않는다. 같은 도포항시의 26:1의 ¼ 수준이다. 그만큼 공무원들도 가장 기피하는 지역이다. 영양군청 산하 기관에서 근무하는 지방직 공무원이 되려면 공무원 시험을 칠 때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영양군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 경쟁률이 저렇게 낮다는 건 영양군 출신인 사람들에게도 기피 지역이라는 얘기다. 배치 범위가 넓은 국가직 공무원의 경우 영양군에 배치가 됐는데 영양군의 실태를 보고 멘붕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적은 인구로 인해 사회복무요원의 근무가 굉장히 편한 곳이며 일하기 쉽게 되어 있다. 울릉도는 섬이라는 특성상 생활이 불편하다 보니 영양군이 유리한 편이다. 1년에 2명만 모집하는데, 일단 훈련만 받은 이후에는 영양군으로 거주지 이전 시 100% 이 곳으로 받아야만 돼서 3명 이상만 되면 그 이후부터 어거지로 받아야 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근무가 힘든 사람에게 대안으로 떠오르는 곳이다. 그 밖에도 복무 기관 자리가 5년이 지나도록 공석이 나지 않아 자동으로 전시근로역으로 편입되었다는 얘기도 종종 들려온다.
  • 이렇게 낙후된 지역임에도 5G가 터진다. 읍내는 물론 심지어 오지 중의 오지로 알려진 수비면 수하리 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 일대에도 5G 기지국이 설치되어 1Gbps에 근접한 속도로 5G가 터졌으나 2024년 기준 속도가 2Gbps로 늘어났다.[70] 오지에 있는 5G[71][72] #
  • 영양에는 자격증 시험장이 없기 때문에, 영양군민들은 자격증 시험을 보려면 안동시로 가야 한다.
  • 과거 미니스커트 단속이 시행될 당시 영양군은 미니스커트 단속 신고 건수가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고 한다. 당시 영양군보다 인구가 적었던 화천군, 양구군조차 군인 면회객들 때문에 읍내에서 미니스커트 단속이 자주 일어났었다.
  • 영양군 내에는 20층 이상의 고층 건물이 없다.
  • 2024년 2월 10일 기준 PC방, 서점, 스터디카페, 무인 카페가 하나도 없다. 이들을 이용하려면 인근의 청송군 진보면안동시로 나가야 한다.
  • 이재오의 사실상 고향이 영양군인데, 한 때 네이버 프로필에 출생지가 강원도 동해시로 수정되어서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현재는 다시 영양 출신으로 수정되었다.
  • 불자들이 많다. 사실 당연지사라면 당연지사인 게 영양군이 행정구역상 경상도 소속이고, 경상도 자체부터가 불교세가 강한 지역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16. 자매 결연 도시

17.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영양군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둘러보기

파일:국제슬로시티 로고.svg 대한민국 국제슬로시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춘천시 | 영월군
제천시
예산군 | 태안군 | 서천군
전주시
신안군 | 완도군 | 담양군 | 장흥군
상주시 | 청송군 | 영양군
김해시 | 하동군
}}}}}}}}} ||

[1]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대한민국에서 울릉군을 제외하면 가장 인구가 적은 기초자치단체다.[3] 2024년 11월 기준.[4] 전국의 지방자치단체 중 인구 밀도가 가장 낮다.[5] 영양군 가선거구 (영양읍, 일월면, 수비면): 김영범, 우승원
영양군 나선거구 (입암면, 청기면, 석보면): 김석현, 장수상, 홍점표
영양군 비례대표: 김귀임
[6] 영양군 가선거구 (영양읍, 일월면, 수비면): 장영호[7] 영양군 선거구: 윤철남 (초선)[8] 2000년 7월 이전에는 0574였다.[9] 2023년 8월부로 강원 인제군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우루과이, 바누아투와 인구 밀도가 비슷하다.[10] B는 봉화군, C는 청송군이다.[11] 게다가 울릉군은 관광객 숫자도 상당하기 때문에 체감 인구 밀도는 훨씬 더 높다.[12] 서울特別市·道·郡·區의管轄區域變更에關한法律(서울특별시·도·군·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법률 제1172호, 1962.11.21. 공포)
大韓民國憲法第5號(대한민국 헌법 제5호, 1960.11.29. 일부 개정)
公布式令(공포식령, 대통령령 제429호, 1950.12.30. 일부 개정 · 공포)
[13] #[14] 위의 영양군 전체 인구와 일부가 다를 수 있으니 주의바람.[15]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수 있다에 따라 승격[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18]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2가에 있었던 대구 유일의 아이맥스 상영관인 CGV 대구가 폐점해서 당분간 영양군민들은 아이맥스 영화를 보려면 서울로 원정을 가야 했으나, 2022년 12월 31일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CGV 대구가 10관 1,528석 규모로 개관 후 아이맥스를 상영하기 시작해 다시 서울로 원정을 가는 번거로움이 사라졌다. 또한 동년 메가박스 동대구에도 Dolby Cinema가 새로 생기기도 하고 4DX 같은 특수 영화가 입소문을 타게 되어 대구로 영화보러 가는 사람들이 늘었다.[19] 프랜차이즈 햄버거를 먹으려면 인근의 진보면이나 안동시로 나가야 한다.[20]
1996년 이전에는 초등학교가 국민학교로 불려 폐교 당시에도 국민학교 혹은 국민학교의 분교였으나, 가독성을 위해 초등학교로 일괄 적용함.
또한 해당 학교가 분교장으로 격하된 이후 폐교되었다면 일단은 국민학교(초등학교) 본교로 취급하되 각주[분교격하]를 달아 표시함.
마지막으로 2번째 각주의 경우 개교 일자, 분교장 격하 이후 폐교가 되었다면 분교장 격하 일자, 폐교 일자를 표기하여 두었으며, 분교장 격하 일자가 없는 경우는 국민학교(혹은 초등학교) 본교 단위에서 곧바로 폐교된 경우임. 이것 외에는 분교장에서 본교로 승격한 일자만 표기하였으며,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정리하되, 분교장 격하 등으로 본교의 가나다 순서에 밀리는 경우는 가장 가나다순이 빨라지는 시기로 정리함.
[21] 소재지의 경우 도로명주소가 발급되지 아니한 지역이 있거나 해당 주소지가 말소된 경우가 있으니 유의하길 바라며, (추정) 서술이 있을 경우 개교 일자 혹은 명칭이 불확실한 경우 해당 서술이 들어감.[분교격하] [23]
1947.11.15 송하국민학교 기산분교 개교
1971.03.01 기산국민학교 승격 분리
1980.03.01 무창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3.03.01 폐교 및 화천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25]
1969.09.06 화천국민학교 무창분교 개교
1971.03.01 무창국민학교 승격 분리
1993.03.01 화천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5.03.01 폐교 및 영양중앙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27]
1949.09.01 상원국민학교 개교
1991.03.01 영양중앙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4.03.01 폐교 및 영양중앙국민학교 통폐합
[28]
1959.04.01 개교
1989.03.01 폐교 및 영양국민학교 통폐합
[29]
1940.12.10 영양서부국민학교 부설 화천간이학교 개교
1944.03.20 화천공립국민학교 승격 분리
1944.04.12 화천국민학교 개편
1995.03.01 폐교 및 영양중앙국민학교 통폐합
[30]
1947.04.05 입암국민학교 병옥분교 개교(추정)
1949.09.20 병옥국민학교 승격 분리(추정)
1952.11.30 방전국민학교 개편
1996.03.01 방전초등학교 개편
2000.03.01 폐교 및 입암초등학교 통폐합
[31]
1947.04.01 입암국민학교 신사분교 개교
1947.09.01 신사국민학교 승격 분리
1996.03.01 신사초등학교 개편
1999.03.01 폐교 및 입암초등학교 통폐합
[32]
1954.05.07 신사국민학교 금학분교 개교
1993.03.01 폐교 및 신사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34]
1963.06.28 입암고등공민학교 개교
1967.11.07 영양중학교 입암분교 개교(추정)
1971.03.29 입암중학교 승격 분리
2017.03.01 영양중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2019.02.28 폐교(통폐합 학교 불명)
[분교격하] [36]
1964.11.09 청남국민학교 구매분교 개교
1972.03.01 구매국민학교 승격 분리
1983.03.01 청남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3.03.01 폐교 및 청남국민학교 통폐합
[37]
1971.03.02 청북국민학교 기포분교 개교
1974.03.01 기포국민학교 승격 분리
1992.03.01 폐교 및 청북국민학교 통폐합
[38]
1935.04.01 상청간이학교 개교
1944.03.20 상청공립국민학교 개편
1946.10.22 청남국민학교 개편
1995.03.01 폐교 및 입암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40]
1934.05.12 청기공립보통학교 부설 당동간이학교 개교
1938.03.31 청기공립심상소학교 부설 당동간이학교 개편
1939.03.31 청기공립국민학교 부설 당동간이학교 개편
1944.03.21 당동공립국민학교 승격 분리
1947.04.01 청북공립국민학교 개편
일자미상 청북국민학교 개편
1996.03.01 청북초등학교 개편
1999.03.01 일월초등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2015.03.01 폐교 및 영양초등학교 통폐합
[41]
1962.03.01 청북국민학교 행화분교 개교
1993.03.01 폐교 및 일월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43]
1947.02.20 청기국민학교 청일분교 개교
1954.04.30 청일국민학교 승격 분리
1996.03.01 청일초등학교 개편
1998.03.01 청기초등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9.03.01 청기초등학교→일월초등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입암초등학교 청일분교 개편
2008.03.01 폐교(통폐합 학교 불명)
[44]
1948.03.05 가곡공립국민학교(명칭추정) 개교
1949.10.15 가곡국민학교 개편 개교
1996.03.01 가곡초등학교 개편
1998.03.01 폐교 및 일월초등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46]
1937.09.01 일월공립보통학교 부설 문암간이학교 개교
1938.03.03 도계공립심상소학교 부설 문암간이학교 개편
1943.05.24 문암공립국민학교 승격 분리
1994.03.01 일월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4.09.01 폐교 및 일월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48]
1953.03.01 문암국민학교 오리분교 개교
1956.03.31 일월국민학교 오리분교 개편
1969.03.01 오리국민학교 승격 분리
1985.03.01 일월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5.03.01 폐교 및 일월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50]
1942.04.03 용화분교 설립
1947.10.03 문암국민학교 용화분교 개편 개교
1970.09.24 용화국민학교 승격 분리
1980.03.01 문암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4.03.01 폐교 및 일월국민학교 통폐합
[51]
1975.03.01 개교
1980.03.01 용화국민학교→문암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문암국민학교 용저분교 개편
1990.03.01 폐교 및 문암국민학교 통폐합
[52]
1971.03.30 일월중학교 개교
1998.03.01 폐교(통폐합 학교 불명)
[분교격하] [54]
1961.05.05 울진군 선미국민학교 본신분교 개교
1963.01.01 영양군 편입, 수비국민학교 본신분교장 개편
1971.01.01 본신국민학교 승격 분리
1978.07.01 수비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2.03.01 폐교 및 수비국민학교 통폐합
[55]
1935.05.30 송하간이학교 개교
1944.04.14 송하국민학교 개편 개교
1994.03.01 폐교 및 일월국민학교 통폐합
[56]
1970.11.30 수비국민학교 죽파분교 개교
1971.06.02 송하국민학교 죽파분교 개편
1992.03.01 폐교 및 수비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58]
1949.09.17 수비국민학교 수하분교 개교
1969.07.12 수하국민학교 승격 분리
1991.03.01 수비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6.03.01
수비초등학교 수하분교 개편
폐교 및 수비초등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60]
1953.07.30 수비국민학교 신암분교 개교
1970.07.10 수하국민학교 신암분교 개편
1971.03.01 신암국민학교 승격 분리
1978.03.01 수하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1.03.01 수하국민학교→수비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수비국민학교 신암분교 개편
1996.03.01 수비초등학교 신암분교 개편
2009.02.28 폐교 및 수비초등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62]
1949.07.31 석보국민학교 소계분교 개교
1972.03.01 소계국민학교 승격 분리
일자미상 석보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5.03.01 폐교 및 석보국민학교 통폐합
[분교격하] [64]
1965.04.20 석보국민학교 요원분교 개교
1968.03.01 주남국민학교 요원분교 개편
1971.03.01 요원국민학교 승격 분리
1980.03.01 주남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1994.03.01 폐교 및 주남국민학교 통폐합
[65]
1971.03.02 화매국민학교 삼의분교 개교
1971.07.01 요원국민학교 삼의분교 개편
1980.03.01 요원국민학교→주남국민학교 분교장 격하 편입, 화매국민학교 삼의분교 개편
1993.09.01 폐교 및 화매국민학교 통폐합
[66]
1962.09.05 석보국민학교 주남분교 개교
1968.03.01 주남국민학교 승격 분리
1996.03.01 주남초등학교 개편
1999.03.01 폐교 및 석보초등학교 통폐합
[67]
1934.05.12 석보공립보통학교 화매간이학교 개교
1943.05.26 화매공립국민학교 개편 개교
1945.09.01 화매국민학교 개편
1995.09.01 폐교 및 석보국민학교 통폐합
[68]
1973.03.05 개교
1991.03.01 폐교 및 석보국민학교 통폐합
[69] 전두환은 고향이 경상남도 합천군이지만, 초·중·고등학교를 모두 대구광역시에서 나왔고 고향인 율곡면도 넓게 보면 대구권에 속하는 지역이라 사실상 대구 출신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70] 반딧불이 생태숲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거대한 기지국 아래에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해보면 실측 속도 1.8Gbps가 찍힌다.[71] 5G 기지국이 천문대, 생태공원 일대 곳곳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는 SKT 한정으로, KT는 읍내에서만 전파가 잡히고 LG U+는 영양군 내에서 전파조차 잡히지 않는다. 2022년 10월 기준 5G가 터지는 지역이 영양읍내, 수비면내 감천 유원지 등 많이 늘어났다.[72] 5G는 고층 건물을 비롯한 장애물이 많을수록 장비 개수 및 유지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서 오히려 낙후 지역이 구축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