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맹본부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오르비에토 |
가맹 현황 | 33개국 291개 도시 (2023년 8월 기준) [1] |
국내본부 | 서울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88길 10, 2015호 (대치동, 신안메트로칸) 부산분사 부산광역시 사상구 광장로 99, 403호 (괘법동, 도원빌딩) |
법인 | 비영리 단체 |
대표이사 | 손대현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명예교수) |
홈페이지 | |
링크 | | | |
[clearfix]
1. 개요
슬로시티는 슬로 푸드(Slow food)운동에서 시작되었다. 패스트푸드의 대명사인 맥도날드가 1986년 이탈리아 로마 매장을 열자 이탈리아 사람들은 큰 충격을 받았고, 지역 고유의 전통 음식을 지키려는 모임이 곳곳에서 생겨나기 시작했다. 슬로푸드 운동의 세가 확장되어 1999년 10월, 이탈리아의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 시장인 파올로 사투르니니(Paolo Saturnini)에 의해 오르비에토(Orvieto), 포지타노(Positano), 브라(Bra)의 시장들이 모여 음식에만 국한하지 말고, 도시의 삶 전체에 느림을 도입하자는 뜻을 모았다. 이들이 내건 운동명칭이 이탈리아어로 '치따 렌타(Citta Lenta)'나 '치따슬로(Cittaslow)'라고 불리는 '슬로시티(Slowcity)'운동이다.2. 의미
- 슬로시티의 이탈리아적 표현인 치따슬로(Cittaslow)는 1999년부터 이탈리아의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에서 시작된 느린 도시(정체성 없는 획일적인 대도시와는 반대되는 개념)만들기 운동으로, 지역이 원래 갖고 있는 고유한 자원(자연 환경 · 전통산업 · 문화 · 음식 등)을 지키면서 지역민이 주체가 되는 지역문화와 지역경제 살리기 운동이다.
- 슬로시티의 슬로(Slow)는 단순히 패스트(Fast)의 반대 의미로 '느리다'는 의미라기보다는, 개인과 공동체의 소중한 가치에 대해 재인식 하고, 여유와 균형 그리고 조화를 찾아보자는 의미이다. 이는 결코 현대 문명을 부정하거나 반대하는 것이 아니며, 지역의 정체성을 찾고, 옛 것과 새 것의 조화를 위해 현대의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 슬로시티는 도시의 전통문화와 산업, 자연환경, 지역 예술을 지키고자 지역민이 참여하는 지역 공동체 운동이며, 지역 특산물 및 전통음식의 가치 재발견, 생산성 지상주의의 탈피, 환경을 위협하는 대량소비와 무분별한 바쁜 생활태도의 배격, 자연에 대한 인간의 기다림 등의 철학을 실천하는 운동이다.
- 슬로시티는 속도 경쟁, 양적 성장, 사람이 많이 모일수록 좋은 도시라는 인식 등 기존 도시발전 모델에 대안을 제시한 것이며, 인간 사회의 진정한 발전과 미래를 위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조화롭게 실현하고자 한다.
3. 가맹 도시
3.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제슬로시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 춘천시 | 영월군 | |
제천시 | ||
예산군 | 태안군 | 서천군 | ||
전주시 | ||
신안군 | 완도군 | 담양군 | 장흥군 | ||
상주시 | 청송군 | 영양군 | ||
김해시 | 하동군 |
3.2. 세계
튀르키예 21개, 중국 13개, 일본 2개, 대만 4개가 슬로시티로 인증을 받았다.이외에 독일, 영국, 네덜란드, 폴란드, 스페인, 포르투갈, 스위스 등 유럽 전역에 걸쳐 다양한 슬로시티가 있다.
3.3. 인증 시도 도시
[1] 한국의 국제슬로시티 인증 도시 : 16개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