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18:39:14

하동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15a38>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B00;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창원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ac6d 21%, #00ac6d); font-size: 1em"
]]
창원시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
파일:밀양시 CI.svg
밀양시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파일:양산시 CI.svg
양산시
파일:진주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5baa 21%, #005baa); font-size: 1em"
]] 진주시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 자치군
파일:거창군 CI.svg
거창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파일:남해군 CI.svg
남해군
파일:산청군 CI.svg
산청군
파일:의령군 CI.svg
의령군
파일:창녕군 CI.svg
창녕군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파일:함안군 CI.svg
함안군
파일:함양군 CI.svg
함양군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b318f><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하동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하동읍
고전면 금남면 금성면 북천면
악양면 양보면 옥종면 적량면
진교면 청암면 화개면 횡천면
}}}}}}}}} ||
경상남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河東郡
Hadong County
}}}
<colbgcolor=#0b318f><colcolor=#fff> 군청 소재지 하동읍 군청로 23 (읍내리)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2
면적 675.24㎢
인구 40,878명[1]
인구밀도 60.53명/㎢[2]
군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하승철 (초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3]

파일:zsdkl3gasdg.svg
4석[4]

1석[5]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6]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서천호
상징 <colbgcolor=#0b318f><colcolor=#fff> 군화 철쭉
군목 은행나무
군조 비둘기
지역번호 055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경제
6.1. 산업6.2. 금융
7. 관광8. 생활문화
8.1. 교육8.2. 음식
8.2.1. 하동군 지역 특산물 추천
8.3. 사투리8.4. 대중매체
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기타13. 출신 인물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하동군 도시브랜드.svg
<rowcolor=#fff> 하동군 도시브랜드
파일:external/img.seoul.co.kr/SSI_20121223144353_V.jpg
<rowcolor=#fff> 하동군청
경상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 한자 그대로 섬진강(河)의 동쪽(東)에 자리잡은 동네이자 경상도의 본토 측 최서단 경계지역이다. 하동 서편의 섬진강을 경계로 전라남도 광양시구례군과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경상남도 함양군, 산청군전라북도 남원시[7], 동쪽으로는 경상남도 진주시사천시, 남쪽으로는 남해대교를 건너 남해군이 있다.

위치상 전라남도경상남도의 중간에 끼어 있어서 양쪽 문화를 공유한다. 전라남도 최대 도시인 순천시까지의 거리는 약 39km 정도 된다.[8]

2. 역사

삼한시대에는 변한 12국의 하나인 락노국(樂奴國)에 속했다. 이후 신라에 편입된 후 한다사군(韓多沙郡)이었다가 757년 신라 경덕왕 때에 전국 지명 한화정책을 시행하면서 지금까지 사용하는 이름인 하동군으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신라 하동군에는 3곳의 관할 영현이 있었는데 성량현(省良縣, 금남면), 악양현(嶽陽縣, 악양면), 하읍현(河邑縣, 진교면)이었다.

고려 시대에도 하동현이라고 했다가, 조선시대인 1414년(태종 14)에 공도 정책으로 인구가 줄어든 남해현을 합하여 하남현이라 했다가 다시 남해현이 분리되었다. 1702년 악양현을 흡수하고 읍치를 현 고전면 고하리에서 하동읍 읍내리로 이전했다.

1895년(고종 32) 진주부 하동군이 되었다. 그러다가 이듬해인 1896년 경상남도 하동군이 되었다. 1906년 진주군 청암면, 옥종면이 편입되었다. 1914년 구 곤양군의 금양면과 서면을 편입하여 내륙지역에서 벗어나 해안지역이 되었다. 1915년에는 전라남도 광양군 다압면 섬진리 일부가 편입되었다. 1918년 동면이 진교면으로 개칭되었다. 1933년 1월 금양면의 일부와 남면을 통합해 금남면으로 개칭했다. 1939년 하동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55년 옥종면 원계리가 진양군(현 진주시)에 편입되었다. 1966년 화개면에 신흥출장소가 설치되어 1읍 11면 1출장소를 관할했다. 1969년 청암면에 위태출장소를 설치했다. 1983년 2월 옥종면 중태리가 산청군 시천면에 편입되었다. 1986년 금남면 갈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9년 금남면 술상리가 진교면에 편입되고, 금남면 갈사출장소가 금성면으로 승격되었다. 1996년 화개면 신흥출장소가 폐지되어 1읍 12면 1출장소가 되었다. 2003년 청암면의 궁항리, 위태리, 회신리가 옥종면에 편입되었다.

3. 지리

동쪽으로 진주시사천시, 북쪽으로 산청군·함양군전라북도 남원시와 접하고, 남쪽으로 남해를 사이에 두고 남해군과 마주하며, 서쪽으로는 섬진강과 통꼭봉(905m)·불무장등 등의 연봉을 경계로 전라남도 구례군·광양시와 각각 접한다. 남쪽은 바다에 항구까지 있고 북쪽은 첩첩산중이라 남북의 기후와 해발고도 차이가 현격하다. 광양시 다압면과 진월면 일부도 하동에서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편이며 일부 그 지역 학생들 경우 하동 지역에 소재한 학교에 재학하는 경우가 있다. 남원시와 함양군과 접하지만 지리산으로 막혀 있어 직접 연결되는 도로는 없다.

군내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업무는 일부분 진주시에서 처리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직선거리 상으로는 하동군청이 있는 하동읍내에서 진주시내까지 35km, 순천시내까지 27km다. 도로 거리로는 순천까지는 38km, 진주까지 53km이다.

하동군의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는 점이지만, 하동군 자체는 경상남도이나 군청을 포함한 공공시설이 있는 하동읍은 섬진강을 경계로 전라남도에 접한 서쪽 지역임을 알 수 있다. 하동읍에서 섬진교를 통해 섬진강을 건너면 바로 광양시 다압면이다. [9] 이 때문에 하동읍내 지역이 광양 다압면, 진월면 등 광양 동부 일대에 어느 정도 영향력이 보이는 편이다.

그래서 하동을 광주전남 생활권으로 착각할 수 있으나, 광양이나 구례[10]와 붙어 있고 이들 지역과의 교류가 상대적으로 많을 뿐이지, 실제 생활권은 진주로 전형적인 서부경남 생활권이다. 거리상 가깝기는 하지만 교통과 편의시설 인프라, 그리고 전남 동부 지자체에서 하동군과의 교류를 위한 투자를 진행하여 더욱 개선되지 않는 한 하동읍내 - 전남 동부의 권역 교류가 더욱 크게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직접적인 교류와 투자와는 별개로 현재 상황에서도 전라남도 동부와의 교류와 인프라 공유가 인근 지역에 비해서 두드러진 편이다. 특히 아래에 서술될 교통 문단에서 그 사례들이 나온다.

금성면의 육지와 연결된 갈사도와 마도, 소마도, 오동도, 금남면의 대도, 밴월도, 장도, 주지섬, 둥글섬, 넓은섬등 섬들과 그외의 암초들이 있다.

4. 인구

파일:하동군 CI.svg 경상남도 하동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2,380명
1970년 128,481명
1975년 121,204명
1980년 97,618명
1983년 2월 15일 하동군 옥종면 중태리 → 산청군 시천면 편입
1985년 83,301명
1990년 65,870명
1995년 55,398명
2000년 51,583명
2005년 45,282명
2010년 51,509명
2015년 50,259명
2020년 44,785명
2024년 10월 40,8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하동읍 9,400명
진교면 5,595명
옥종면 4,056명
악양면 3,353명
금남면 3,224명
화개면 2,853명
금성면 2,762명
고전면 2,014명
적량면 1,831명
횡천면 1,779명
양보면 1,617명
북천면 1,574명
청암면 1,327명
2024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

===# 읍면별 인구 #===
파일:하동군 CI.svg 하동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1,195명
1970년 20,103명
1975년 20,405명
1980년 17,931명
1985년 16,662명
1990년 14,998명
1995년 13,474명
2000년 11,876명
2005년 10,443명
2010년 11,366명
2015년 10,834명
2020년 10,021명
2024년 2월 9,4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하동군 CI.svg 화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660명
1970년 8,069명
1975년 7,457명
1980년 5,931명
1985년 4,670명
1990년 3,700명
1995년 3,264명
2000년 3,261명
2005년 3,034명
2010년 3,594명
2015년 3,476명
2020년 3,058명
2024년 2월 2,8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하동군 CI.svg 악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980명
1970년 13,179명
1975년 12,166명
1980년 9,331명
1985년 7,312명
1990년 5,165명
1995년 4,233명
2000년 3,694명
2005년 3,240명
2010년 3,840명
2015년 3,883명
2020년 3,527명
2024년 2월 3,3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하동군 CI.svg 적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429명
1970년 7,349명
1975년 7,144명
1980년 5,152명
1985년 4,308명
1990년 3,207명
1995년 2,603명
2000년 2,360명
2005년 2,021명
2010년 2,243명
2015년 2,253명
2020년 1,945명
2024년 2월 1,8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하동군 CI.svg 횡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034명
1970년 6,288명
1975년 5,852명
1980년 4,726명
1985년 3,969명
1990년 2,994명
1995년 2,474명
2000년 2,170명
2005년 1,869명
2010년 2,214명
2015년 2,078명
2020년 1,904명
2024년 2월 1,7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하동군 CI.svg 고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028명
1970년 8,247명
1975년 7,351명
1980년 5,689명
1985년 4,893명
1990년 3,815명
1995년 3,018명
2000년 2,948명
2005년 2,460명
2010년 2,745명
2015년 2,553명
2020년 2,293명
2024년 2월 2,01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하동군 CI.svg 금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568명
1970년 16,775명
1975년 16,523명
1980년 13,817명
1985년 12,510명
1989년 1월 1일 금남면 술상리 → 진교면 편입
1989년 4월 1일 금남면 갈사출장소 → 금성면 승격 분리
1990년 5,667명
1995년 4,714명
2000년 5,069명
2005년 3,819명
2010년 4,219명
2015년 4,110명
2020년 3,494명
2024년 2월 3,2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하동군 CI.svg 진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933명
1970년 11,901명
1975년 11,190명
1980년 9,550명
1985년 8,036명
1989년 1월 1일 금남면 술상리 → 진교면 편입
1990년 7,686명
1995년 6,962명
2000년 6,457명
2005년 6,645명
2010년 7,206명
2015년 6,870명
2020년 6,041명
2024년 2월 5,5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하동군 CI.svg 양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791명
1970년 7,834명
1975년 6,946명
1980년 5,435명
1985년 4,753명
1990년 3,750명
1995년 2,461명
2000년 2,145명
2005년 1,775명
2010년 2,143명
2015년 2,109명
2020년 1,764명
2024년 2월 1,6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하동군 CI.svg 북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114명
1970년 7,123명
1975년 6,612명
1980년 5,001명
1985년 3,966명
1990년 2,771명
1995년 2,222명
2000년 1,905명
2005년 1,618명
2010년 2,052명
2015년 1,957명
2020년 1,747명
2024년 2월 1,57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하동군 CI.svg 청암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178명
1970년 8,781명
1975년 7,710명
1980년 5,897명
1985년 4,605명
1990년 2,551명
1995년 1,965명
2000년 1,761명
2003년 1월 1일 청암면 궁항리·위태리·회신리 → 옥종면 편입
2005년 1,367명
2010년 1,747명
2015년 1,738명
2020년 1,527명
2024년 2월 1,3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하동군 CI.svg 옥종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463명
1970년 12,832명
1975년 11,840명
1980년 9,158명
1983년 2월 15일 하동군 옥종면 중태리 → 산청군 시천면 편입
1985년 7,617명
1990년 5,342명
1995년 4,069명
2000년 3,666명
2003년 1월 1일 청암면 궁항리·위태리·회신리 → 옥종면 편입
2005년 3,741명
2010년 4,491명
2015년 4,609명
2020년 4,344명
2024년 2월 4,0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하동군 CI.svg 금성면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9년 4월 1일 금남면 갈사출장소 → 금성면 승격 분리
1990년 4,224명
1995년 3,939명
2000년 4,271명
2005년 3,250명
2010년 3,649명
2015년 3,789명
2020년 3,120명
2024년 2월 2,7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천 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동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제

6.1. 산업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며 화개면을 중심으로 한 녹차 재배가 유명하다.

농가수는 9,774가구로 전체가구의 47%에 달하며, 농업 인구는 2만 6262명으로 다른 시군에 비해 농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농가 호당 경지면적이 협소하여 농업의 경영 규모는 영세하다.

총경지면적 1만 308ha 가운데 논은 13.2%, 밭은 4.4%로 논이 밭보다 넓어서 농작물 중 쌀의 생산량이 많다. 그 밖에 보리·콩·잡곡·서류 등과 채소의 재배가 활발한 편이다.

하동의 차(茶)는 전국적으로 유명하고 밤과 대나무도 이름나 있다. 인초·저마·토란·연근·생강과 은행·배·복숭아·포도·감·잎담배·인삼의 재배가 성하고 산지에서는 홉이 재배된다.

수산업은 섬진강 하구를 중심으로 김 양식과 같은 어업도 성행했는데, 광양제철소 및 관련 산업단지 조성으로 물의 흐름이 완전히 바뀌면서 전멸하였고, 재첩과 은어잡이가 성행하였으나 바닷물의 역류가 점점 올라오면서 위기상태. 섬진강 은어잡이도 급격히 감소했다. 수산업 인구가 많고 어선도 많아 연안통발·연성·유자망 어업을 하지만, 규모는 극히 영세하다.

하지만 손 놓고만 있을수 없어 2019년에는 광양과 같이 손잡아 공동으로내륙어촌(내수면) 어촌뉴딜 300인 강마을재생사업을 유치에 성공하여 재기를 통해 내수면어업을 발달시키고 있고 별개로 또한 섬진강의 고전면 전도리 신월포구에 강굴인 벚굴도 생산되고 있다.

축산업으로는 한우·젖소·돼지·사슴·개·산양·양봉이 성하다.

1990년대에 현대제철광양과 바로 인접한 하동 금성면 갈사만 일대에 제철소를 조성하려고 했던 적이 있다. 이른바 하동 프로젝트. 당시 현대제철은 물론 하동 지역 주민들도 기대를 많이 했었으나 도중에 1997년 외환 위기를 맞게 되어 결국 하동 프로젝트는 물거품이 되어버렸다. 이후 현대제철은 광양과 동떨어진 충남 당진에 있었던 한보철강 공장을 인수하여 그곳에 제철소를 건립한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화력발전소인 하동화력발전소가 갈사도[11]에 위치하고 있다. 하동화력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연료는 석탄이다.

2003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10년 동안 지지부진 하다가, 2012년 말에 공사를 시작했다. 경제자유구역은 4개 지구(갈사만조선산업단지, 대송산업단지, 덕천배후단지, 두우배후단지)총 370만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핵심단지인 갈사만조선산업단지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소인 해양플랜트 종합시험 연구원이 건설되고 있으며 2014년 하반기에는 대우조선해양이 입주할 예정이다. 이로 인하여 2013년 지가상승률이 전국에서 4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는데..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이 기존에 계획된 것보다 규모를 줄이고 결정적으로 '해양플랜트 사업'에서 엄청난 적자를 기록하면서 하동의 개발사업은 바람앞에 놓인 등불과도 같은 꼴이 되었다.

또한 갈사만 조선산업단지의 구 시공사는 유치권 행사를 하면서 갈사만 조선산업단지는 착공한지 10년동안 시공률은 20%도 안된다... 하동군민은 이에 절망해 "이럴거면 왜 갈사만 조선산업단지 한다고 땅값을 올려 농민들을 어렵게 하냐?"며 큰 반발을 사고 있다.

그리고 2015년 대우조선해양이 하동군에게 600억원대의 손해배상 소송을 걸었고 3년 간의 소송전 끝에 하동군이 패소하여 884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반환하게 됐다.# 그러나 2022년 대법원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의 과실도 일부 있다고 판단하여 반환금 중 일부인 183억원을 반환받았다.#

6.2. 금융

하동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하동우체국 (13)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하동농협 (5) 하동축협 (2) 옥종농협 (2) 금남농협 (2)
금오농협 (2) 지리산청학농협 (3)
수산업협동조합
하동군수협 (4)
새마을금고
하동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하동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하동군산림조합 (1)

7. 관광

파일:하동군 CI_White.svg 하동10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금남면 금오산 일출과 다도해
하동읍 섬호정에서 바라본 섬진강 하동포구 백사청송
화개면 쌍계사의 가을 지리산 불일계곡 형제봉 철쭉 화개동천 야생 차밭
화개장터 십리벚꽃
청암면 청학동 삼성궁
서하면 평사리 최참판댁
}}}}}}}}} ||

유명한 관광지로 쌍계사화개장터가 있으며, 두 곳을 잇는 도로 양쪽으로 조성된 벚꽃길이 상당히 유명하다. 섬진강 건너편 광양매화축제 때 가까운 하동이 꽤 수혜를 입는다. 광양시 다압면에서 광양시내까지 차로 40분이지만, 하동읍내까지는 10분이라서...

옆동네 산청군처럼 지리산 근처에 계곡이 많다.

벚꽃이 만개했을 때의 화개장터는 장관이다. 화개장터 벚꽃은 수령이 오래되었기로도 유명하다. 50년은 족히 넘게 먹은 벚꽃나무가 만개하면 흐트러지는 장면은 당연 으뜸. 더군다나 십리벚꽃길이라고 말할 정도로 매우 긴 코스에 피어있다. 이 길을 따라 걸으면 진짜 십 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하여간 길다.

북천역 근교에서는 가을마다 코스모스 축제를 개최한다. 복선화가 완공되어서 옮겨질 것으로 보이는 2016년 7월 14일부터 여객업무는 신역으로 옮기고 지금의 북천역은 코스모스 기차역이란 이름과 테마의 랜드마크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구 북천역이 있던 자리에 하동레일바이크가 있다. 구 북천역과 구 양보역 사이를 잇던 선로를 활용한 것이며, 증기기관차를 이용하여 구 양보역으로, 다시 레일바이크로 갈아타서 되돌아오는 코스다.

악양면에는 하동스타웨이 전망대, 최참판댁, 평사리부부송, 매암차문화박물관 등 있어 이곳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꽤 많다.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하동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하동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갈육초등학교 고전초등학교 궁항초등학교 노량초등학교 묵계초등학교
묵계초등학교청암분교장 북천초등학교 쌍계초등학교 악양초등학교 옥종초등학교
적량초등학교 진교초등학교 진정초등학교 하동초등학교 화개초등학교
화개초등학교왕성분교장 횡천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하동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하동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금남중학교 악양중학교 옥종중학교
진교중학교 청암중학교 하동중앙중학교
하동중학교 한다사중학교 화개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하동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하동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금남고등학교 옥종고등학교 진교고등학교 하동고등학교 하동여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초등학교 18개소, 중학교 9개소, 고등학교 5개소가 있다. 부산대학교의 연구시설이 있긴 하나 대학교라고 할 만한 곳은 없다.

8.2. 음식

섬진강에서 나는 은어, 참게, 재첩더덕구이 등 각종 산나물로 유명하다. 또한 광양시 진월면 망덕포구와 함께 고전면 전도리 신월포구벚굴산지로 알려져 있다. 하동의 더덕백반은 단연 일미(一味).

또한 위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전라남도 보성군과 쌍벽을 이루는 녹차의 명산지. 다만 보성과는 차의 품종이 다르다. 보성에서는 일제강점기 때 차나무를 심은 곳이고 여기선 신라시대[15] 이래로 야생 차나무를 기른다고 한다. 또한 보성군과 더불어 한국지리 교과서에 자주 출현하는 지역이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출제되었다. 그리고 섬진강 유역이라 공통적으로 재첩요리가 공통 특산물이고, 위에 나온 은어도 특산물이다. 요즘에는 환경파괴로 섬진강 재첩이 줄어들어서 주민들의 걱정이 늘어나기도 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채취한 재첩 일부를 환경오염이 덜 된 상류 일대로 이식하는 중이기도 하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하동 녹차(2호)와 악양면의 대봉감이 등록되어 있다.

섬진강 유역에는 취미 삼아 은어잡기 하는 사람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주변 임해지역만큼이나 생선회가 유명하다.

사찰국수도 유명하다. 유명한 곳은 쌍계사 입구 단야식당. 일반 멸치육수가 아닌 들깨 등의 오곡을 갈아서 만든 국물에 국수와 버섯과 산나물 넣은 사찰국수는 이곳이 아니면 느끼기 힘들다. 유래는 스님들의 보양식이라고 한다

8.2.1. 하동군 지역 특산물 추천

  • 녹차: 차의 시배지로서 약산성 토양과 차 생산시기의 밤낮 큰 기온차가 차 나무 재배의 최적 환경을 갖추고 있음.
  • 솔잎한우: 하동의 대표브랜드로 솔잎 사료와 솔잎 생균제로 키워 HACCP의 인증을 받은 전국 우수축산 브랜드로 선정된 하동의 특산물.
  • 대봉감: 충분한 일조량으로 생산되는 악양 대봉감은 감칠맛과 색깔, 모양이 아름다워 예부터 이름난 하동의 농특산물로 비타민 A, B, C가 풍부.
  • 딸기: 딸기 우량모를 토양과 분리 재배하고, 병해충을 사전예방한 저농약 처리로 단맛과 신맛이 잘 조화되고 풍부한 영양과 당도가 높은 신선한 맛으로 일본에 수출하는 하동의 특산물.
  • 하동배: 하동을 대표하는 과일 중 하나인 하동배는 1920년대부터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 신지 지역의 섬진강 변에서 최초로 시작되어 지금은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확산되어 재배되고 있다. 이렇듯 80여 년의 재배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하동배는 지리산 자락 섬진강 변의 사질양토에서 생산되어 무공해로 당도가 높고, 석세포가 적어 육질이 연하며 즙이 많고 비타민이 많다. 더구나 향긋한 맛이 일품으로 ‘하동 꿀배’로도 알려져 있다. 하동배는 그 맛을 인증 받아 일본 등 해외로도 널리 수출하고 있으며, 정부 품질 인증을 획득하였다.
  • 하동 매실: 지리산 자락 청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매실은 맛이 시고 독이 없으며 열과 가슴앓이를 없게 한다. 하동 매실은 청매실이라 하여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오는 것으로 열매는 작지만 향이 아주 강하여 애호가들이 많이 찾고 있다. 그러나 경제의 법칙에 따라 도시민들이 많이 찾고 가격이 높은 열매로 개량이 되는 추세라 독특한 향이 있는 재래종 청매실의 보존이 아쉽다. 하동군 농업기술센터에서는 매실을 이용한 음식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현재 매실 가공 식품으로는 매실 엑기스, 매실 미주, 매실 원액, 매실 고추장장아찌, 매실 고추장, 매실 된장, 매실 차, 매실 환, 매실 김치, 매실 배 젤리, 매실 시럽, 매실 식초 등이 있다.

그외에도 벚굴과 재첩도 특산물로 유명하다.

8.3. 사투리


남도지오그래피 이웃동네 마실돌기 경남 하동 2017년 10월 12일 방송

다른 도와 인접한 지역이 다 마찬가지지만, 흔히 알려진 경남 사투리와는 상당히 이질적이다. 근본적으로는 경상도 사투리이면서도 전라도 사투리가 섞인 말씨라서 여타 부울경 주민들에게는 꼭 전라도 말씨 같이 들릴 정도다.[16] 좀 더 상세하게 따지자면 광양과 맞닿은 화개, 악양, 하동읍내 등의 섬진강 강변 쪽은 전라도 사투리가 섞인 사투리를 보이고 진주, 사천과 맞닿은 북천, 옥종, 진교 등 동부 지역은 경남 서부권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동남 방언의 특성을 보인다고 한다.

대표적인 예가 반피(밤피)[17], 소풀[18], 에나[19], 응가(엉가)[20] 등이 있다. 특히 '하고'를 '허고'라고 하거나 '~는데'를 '~ㄴ디'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서남 방언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지도 참고

섬진강과 맞닿은 일대의 이러한 사투리를 섬진강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8.4. 대중매체

  • 화개장터는 소설 '역마'의 배경으로 쓰인 바 있다. 조영남동명의 노래로도 유명하다.
  • 소설 토지의 배경으로 곳곳에 등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토지 세트인 최 참판댁이 있다. 주변의 명소 중에서도 꼭 가봐야할 곳.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동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동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 남해 지역이 거의 그렇듯 이쪽도 공룡을 비롯한 중생대 화석으로 유명하다. 2002년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완전한 악어 두개골이 발견되어 하동수쿠스라는 학명이 명명되었고, 2014년 11월 24일에는 두개골이 포함된 수각류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 채병덕 영남편선관구사령관이 전사하면서 "장관님께 내가 죄송해하더라고 전해주게."라고 말한 곳이다.
  • 무한도전에서 하하가 엉겁결에 맞춰 역전을 했던 퀴즈 문제로 등장했다. 당시 문제가 '화개장터가 속한 행정 소재지는 어디인가?'였는데, '경상남도 하동군'을 맞춰버린 것. 이게 웃긴 것이 원래 하하는 정답은 몰랐지만 혹시 이 문제가 무한도전, 혹은 무한도전 멤버들과 연관성이 있는 질문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에 자신의 본명인 '하동훈'과 발음이 흡사했던 '하동군'이라고 대답했던 것이었는데, 결과는 뜻밖에도 정답. 이후 하하의 멘붕한 모습이 하이라이트.[21]
  • 정씨가 박씨보다 많다고 한다.

13. 출신 인물

14. 둘러보기

파일:국제슬로시티 로고.svg 대한민국 국제슬로시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춘천시 | 영월군
제천시
예산군 | 태안군 | 서천군
전주시
신안군 | 완도군 | 담양군 | 장흥군
상주시 | 청송군 | 영양군
김해시 | 하동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2024년 10월 기준.[3] 하동군 가선거구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이하옥
하동군 나선거구 (하동읍, 횡천면, 고전면): 강희순, 김진태
하동군 다선거구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강대선
하동군 라선거구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신재범
하동군 비례대표: 김민연
[4] 하동군 가선거구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정영섭
하동군 나선거구 (하동읍, 횡천면, 고전면): 김혜수
하동군 다선거구 (금남면, 금성면, 진교면): 박희성
하동군 비례대표: 최민경
[5] 하동군 라선거구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하인호[6] 하동군 선거구: 김구연 (초선)[7] 다만 남원시는 지리산으로 인해 완전히 막혀있는 상태로, 남원으로 가려면 지리산을 등산하거나 구례군을 통해서 가야 한다.[8] 대략 순천시에서 여수시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9] 하동과 광양은 사정이 다른데, 광양시청이 섬진강 쪽에 있는 이유는 광양제철소 때문에 일부러 골약면(제철소가 생긴 태금면 1983년 분리)만 뚝 떼어서 "동광양시"로 분리했던 지역이기 때문이다. 하동은 원래부터 중심지가 섬진강변이었고, 광양은 원래 중심지가 광양읍이었으나 제철소 따라 중심지가 구 골약면으로 들어 옮겨진 곳이다.[10] 특히 화개장터, 지리산 권역[11] 금성면 가덕리[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5]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흥덕왕 3년(828)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대렴(大廉)이 차나무 종자를 들여와 지리산 계곡에 심은 것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이미 그 이전인 선덕여왕대에 차 문화가 발생했고 흥덕왕대에 성행하게 되었다고 전한다.[16] 옆동네 광양시구례군도 역시 경상도 말씨가 상당히 섞여있어 여타 광주전남 주민에게는 경상도 말투처럼 들린다.[17] 경남 서부에서는 바보를 반피, 밤피라고 부른다.[18] 부추의 경남 서부 사투리다.[19] 진짜 라는 뜻의 경남 서부 사투리.[20] 형이나 언니를 부를때 쓰는 경남 서부 사투리.[21] 심지어 하하는 초등학교-중학교 시절을 창원시 성산구 지역에서 보냈으니, 이해도 된다.[22] 지역구: 인천광역시 서구 을[23] 제주 출생이나 태어난 직후부터 하동군 진교면에서 자랐다. 진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진교중학교에 진학하였으나 연예 활동 편의상 서울로 거처를 옮겨 선화예술중학교 음악과에서 학업을 잇고 있다. 정동원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가족들은 하동에 계속 거주하고 있다. 전국노래자랑, 영재발굴단, 놀면 뭐하니 등에 출연하면서 트롯영재로 이목을 끌었으며 13살 당시 지원한, 미스터트롯에서 최종 5위에 등극한 것을 계기로 2020년부터 큰 인기를 얻었고 명실상부 가장 유명한 하동 출신 인물이 되었다. 그 덕에 그가 평소 자전거를 타고 오가던 길은 2020년 5월, '정동원길'로 명명되었다. 이 길은 5년 간 유지되며 추후 여건에 따라 사용 연장이 가능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