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12:38:50

K-패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 교통비 환급
전국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국토교통부
알뜰교통카드K-패스
광역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The 경기패스
K-패스 기반
인천 I-패스
K-패스 기반
통합 정기권
광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기후동행카드 광역 I-패스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K-패스
K-Pass
파일:K-패스 로고.svg
주관 국토교통부
링크 공식 홈페이지[1] 국토교통부 설명자료

1. 개요2. 특징
2.1. 할인요금 환산표
3. 사업 대상 지역4. 각 지자체별 확대 사업
4.1. The 경기패스(경기도)4.2. 인천 I-패스(인천광역시)

[clearfix]

1. 개요

2023년 8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으로, 알뜰교통카드의 후신이며 2024년 5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2024년 2월경부터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K패스 전환 사전동의가 진행된다.

2. 특징

  • 기존의 알뜰교통카드 사업을 개선한 사업으로, 알뜰교통카드에 존재했던 도보/자전거 이동거리 기준 적립 방식 대신 정률 적립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월 60회 사용분까지 일반 20%, 청년(만 19~34세) 30%, 저소득층 53.3%가 마일리지로 적립된다.
  • 기후동행카드, 동백전 등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사업과 달리, 전국의 시내교통수단에서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다.
  • 재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50%:50%로 분담한다. 단, 서울특별시는 지자체 분담 비율이 60%다.

2.1. 할인요금 환산표

기존에 알려진 할인율을 단순 환산해 나온 금액으로 실제 시행시 세부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준요금 일반기준
(80% 적용)
청년기준
(70% 적용)
저소득층기준
(46.7% 적용)
1,400원 1,120 원 980원 658원
1,500원 1,200 원 1,050원 705원
1,600원 1,280 원 1,120원 752원
1,700원 1,360 원 1,190원 799원
1,800원 1,440 원 1,260원 846원
1,900원 1,520 원 1,330원 893원
2,000원 1,600 원 1,400원 940원
2,100원 1,680 원 1,470원 987원
2,200원 1,760 원 1,540원 1,034원
2,300원 1,840 원 1,610원 1,081원
2,400원 1,920 원 1,680원 1,128원
2,500원 2,000 원 1,750원 1,175원

3. 사업 대상 지역

4. 각 지자체별 확대 사업

일부 지자체에서는 K-패스를 기반으로 혜택을 확대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4.1. The 경기패스(경기도)

K-패스를 기반으로 경기도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미리 공개된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를 보면 최대 3,000원까지 할인 적용된다. 따라서 1회 최대 할인 금액은 일반 성인 600원, 청년은 900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 지원 횟수 상한 없음
  • 청년의 기준을 만 39세까지로 확대
  • 18세 이하 어린이 및 청소년 연 24만원 한도 지원 (별도 시스템 기반)

4.2. 인천 I-패스(인천광역시)

K-패스를 기반으로 인천광역시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 지원 횟수 상한 없음
  • 청년의 기준을 만 39세까지로 확대
  • 만 65세 이상 환급 비율 30%로 확대
  • 만 18세 이하 어린이 및 청소년 연 12만원 한도 지원 (별도 시스템 기반)



[1] 접속은 가능하나 아직 개발이 완료가 되지 않아 가입이 불안정하고 기능들도 작동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