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성계의 7남인 무안군(撫安君) 이방번(李芳蕃)}}}에 대한 내용은 [[무안대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무안대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무안대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전국시대 인물인 무안군(武安君) 백기}}}에 대한 내용은 [[백기(전국시대)]]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백기(전국시대)#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백기(전국시대)#|]]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성계의 7남인 무안군(撫安君) 이방번(李芳蕃): }}}[[무안대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무안대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무안대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전국시대 인물인 무안군(武安君) 백기: }}}[[백기(전국시대)]]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백기(전국시대)#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백기(전국시대)#|]]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cd00,#ffcd00> [[전라남도| |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 | ||||||||||||
| 목포시 | 여수시 |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 나주시 | 광양시 | |||||||||
| 군 | |||||||||||||
| 담양군 | 곡성군 | 구례군 | 고흥군 | 보성군 | |||||||||
| 화순군 | 장흥군 | 강진군 | 해남군 | 영암군 | |||||||||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 함평군 | 영광군 | 장성군 | 완도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진도군 | 신안군 | }}}}}}}}}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3671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36717>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098> 읍 | [[무안군청| 군청 ]] 무안읍 | 삼향읍 | 일로읍 |
| 면 | 망운면 | 몽탄면 | 운남면 | |
| 청계면 | 현경면 | 해제면 |
| <colbgcolor=#f36717> 전라남도의 자치군{{{#!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240><tablebordercolor=#fff,#1c1d1f> | 무안군 務安郡 Muan County | }}} | |||
| <nopad> | ||||||
| 군청 소재지 | 무안읍 무안로 530 (성동리) | |||||
| 광역자치단체 | 전라남도 | |||||
| 하위 행정구역 | 3읍 6면 | |||||
| 면적 | 450.41㎢[1] | |||||
| 인구 | 95,567명[2] | |||||
| 인구 밀도 | 212.18명/㎢[3] | |||||
| 군수 | | 김산 (재선) | ||||
| 부군수 | 김병중 (28대) | |||||
| 군의회 | 의장 | 이호성 | ||||
| | 8석[4] | |||||
| | 1석[5] | |||||
| 도의원 | | 2석[6] | ||||
| 국회의원 | | 서삼석 (영암·무안·신안 / 3선) | ||||
| 상징 | <colbgcolor=#f36717> 군화 | 국화 | ||||
| 군목 | 느티나무 | |||||
| 군조 | 백로 | |||||
| IATA 도시 코드 | MWX | |||||
| 지역번호 | 061 | |||||
| 웹사이트 | | |||||
| SNS | | |||||
1. 개요
| |
| 무안군청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무안로 530 |
군 남부 삼향읍 남악신도시에 전라남도청이 있는데, 지역 주민들은 남악신도시를 사실상 목포시의 연장선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특산품은 낙지와 양파.[7]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무안군 양파와 무안군 백련차가 등록되어 있다.
2. 상징 및 풍경
| |
| 슬로건[8] |
| |
| 마스코트 무아니[9] |
| |
| 무안읍내 풍경 |
3. 역사
| 백제 | 신라 | 고려 | 조선 | 1896년~ | 1897년~ | 1910년~ | 1914년~ | 1949년~ | 1969년~ |
| 물아혜군 | 무안군 | 물량군 무안군 무안현 | 무안군 무안현 | 무안부 | 목포부 | 목포부 | 목포시 | ||
| 무안군 | 무안군 | ||||||||
| 아차산현 | 압해군 | 장산현 육창현 임치현 압해현 | 나주목 광주목 지도군 영광군 해남현 | 지도군 | 신안군 | ||||
삼국시대에는 원래 마한의 신미국을 중심으로 한 소국 연맹체인 침미다례의 영역이었다. 침미다례는 독자적으로 중국에 사신을 파견할 정도로 상당히 세력이 있었으나 백제에게 정복당한 뒤 물아혜군(勿阿兮郡)이 설치된다. 백제 멸망 후 남북국시대엔 통일신라의 영역이 되었다가 경덕왕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으로 개칭되면서 무안군으로 바뀌었다.
구한말에는 목포의 개항과 함께 부로 승격되었을 만큼 번성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기존의 개항장 지역만 목포부로 분리되고 나머지는 무안군이 되면서 무안반도의 복잡한 행정구역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현재의 학교면, 엄다면 지역이 함평군에 편입되었다.
1939년 석곡면이 몽탄면으로 개칭되었다. 1957년 면성면이 무안면으로 개칭되었다. 1962년 이로면의 대부분이 목포시로 편입되었고 나머지는 삼향면에 편입되었다. 1969년 군청이 목포시에서 무안면으로 재이전하였으며 도서지역이 신안군으로 분리되었다. 1979년 무안면이 무안읍으로 승격되었다. 1980년 일로면이 일로읍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삼향면의 일부가 목포시로 편입되었다.
2005년 11월 11일 전라남도청이 광주광역시로부터 이전해 오면서 새로운 전라남도의 도청소재지로 거듭나게 되었고, 전라남도청 주변으로 남악신도시가 들어와 이로 인한 인구증가의 여파로 2008년 삼향면 남악출장소가 개설되었고, 2011년 삼향면이 삼향읍으로 승격되었다.
4. 지리
북쪽으로 영광군, 함평군, 남쪽으로 목포시, 서쪽으로 서해와 신안군, 동쪽으로 나주시, 영암군이 접한다. 그리고 목포, 무안 지역을 통틀어 무안반도라고 한다. 이곳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인데다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 해안의 특성상 갯벌이 엄청나게 넓게 퍼진 것으로도 유명하며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한다. 따라서 갯벌에서 각종 어패류나 낙지도 많이 잡힌다.운남면, 해제면, 현경면 등 몇몇 지역은 작은 반도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기에 자동차를 타고 가다 보면 좌우로 바다가 보이는 지역도 꽤나 존재한다. 산도 많이 없어서 전체적으로 탁 트였다는 인상을 받기 쉬우나 평야같이 완전히 평평한 지역은 별로 없기 때문에 논농사보다도 밭농사 위주로 농업이 돌아간다. 물론 논이 없는건 아니고 국도 1호선을 따라 청계와 삼향 일부, 영산강변 등 평탄한 지역에는 꽤 있는 편이다.
한편 동쪽의 몽탄면, 일로읍이 80년대 건설된 영산강하굿둑 덕분에 면적이 꽤나 늘어났다. 또한 영암군과의 거리가 짧아졌다.
그리고 노령산맥의 대봉산(251m), 승달산(318m)[10], 제봉산(122.7m), 우명산(167.4m), 마협봉(286m), 시루봉(241m), 전봉산(191.5m), 오룡산(227.5m) 등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고 목포시의 유달산에 연결되어 있다.
또 흙은 사질 및 점토질 토양이 많아 양파, 마늘, 고구마, 참깨, 연초 등의 작목 재배에 적합하다.
4.1. 생활권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목포시 | 여수시 | 순천시 | 나주시 | 광양시 | ||||
| 담양군 | 곡성군 | 구례군 | 고흥군 | 보성군 | |||||
| 화순군 | 장흥군 | 강진군 | 해남군 | 영암군 | |||||
| 무안군 | 함평군 | 영광군 | 장성군 | 완도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진도군 | 신안군 | }}}}}}}}} | |
2005년 전라남도청이 삼향읍 남악리 일대의 남악신도시(목포시 - 무안군 경계 지역)로 이전해 오면서 남악리와 인근의 일로읍 오룡지구 일대는 급성장하는 중이지만, 그 외 지역은 농어촌 지역이다. 남악리를 포함한 삼향읍, 일로읍, 청계면(남부)[11]은 목포 생활권에 속한다. 상당수 주민들이 목포 시내로 출퇴근하고, 특히 삼향읍은 100% 목포 생활권이다.
나머지 지역인 망운면, 몽탄면, 운남면, 청계면(북부), 해제면, 현경면 지역들은 무안읍 생활권이며, 신안군 지도읍, 임자면, 증도면과 예전 무안현 지역이었던 함평군 엄다면 대부분 지역이 무안읍 생활권이다.[12]
또 무안읍 생활권과 목포 생활권 간의 간극이 커서[13] 무안군과 이웃한 나주시(원도심 - 나주혁신도시)와 영암군(영암읍 - 삼호읍)도 상황이 똑같아서 지역 내에서 갈등이 있다.
5. 인구
| 무안군 인구추이 |
| 1896년 8월 4일 13도 개편 후 전라남도 무안군, 지도군 1906년 10월 1일 전라남도 무안군 → 무안부 승격 1910년 10월 1일 전라남도 무안부 → 목포부 개칭 |
1911년 80,925명 |
| 1914년 4월 1일 전라남도 목포부 개항장 + 부내면 → 목포부 분리 목포부 잔여지역 + 지도군 + 완도군 팔금면 + 진도군 도초면·안창면·기좌면 → 무안군 통폐합(부군면 통폐합)[상세내용1] |
1915년 135,664명 |
| 1917년 10월 1일 행정구역 개편[상세내용2] |
1920년 148,807명 |
1925년 167,362명 |
1930년 185,306명 |
| 1932년 1월 4일 무안군 이로면 산정리·죽교리·용당리 등 지역 → 목포부 편입 |
1935년 189,187명 |
1940년 204,359명 |
1943년 222,499명 |
1949년 248,558명 |
1955년 256,668명 |
1960년 293,368명 |
| 1963년 1월 1일 무안군 이로면 폐지 무안군 이로면 산정리·상리·용당리·달리·율도리(혹은 눌도리) → 목포시 편입 이로면 대양리·석현리·옥암리 → 무안군 삼향면 편입 |
1966년 317,742명 |
| 1969년 1월 1일 무안군 → 무안군, 신안군 분군 |
1970년 129,942명 |
| 1973년 7월 1일 무안군 삼향면 석현리 → 목포시 이로동 편입 |
1975년 128,058명 |
1980년 115,325명 |
1985년 102,688명 |
| 1987년 1월 1일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대양리 + 목포시 이로동 일부 → 목포시 편입 및 삼향동 신설 |
1990년 90,497명 |
1995년 75,037명 |
2000년 70,331명 |
| 2005년 10월 21일 남악신도시 건설 |
2005년 62,569명 |
2010년 74,475명 |
2015년 82,236명 |
2020년 86,132명 |
2025년 8월 95,263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참고용으로 신안군, 목포시 인구를 그래프에 포함(인구수는 표기하지 않음) |
| 읍면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향읍 남악출장소 33,322명 |
일로읍 21,950명 | |
무안읍 10,766명 | |
청계면 6,342명 | |
삼향읍(본청) 5,040명 | |
해제면 4,511명 | |
현경면 4,282명 | |
몽탄면 2,759명 | |
운남면 2,690명 | |
망운면 1,784명 | |
| 2025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 읍면 및 출장소별 인구 정점 통계[16]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향읍 40,077명 |
일로읍 24,711명 | |
현경면 20,774명 | |
해제면 19,993명 | |
망운면 17,121명[17] | |
몽탄면 16,950명 | |
청계면 15,514명 | |
무안읍 13,005명 | |
| 읍면 및 출장소별 인구 정점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총계: 168,145명 |
| 법정리별 인구 순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향읍 남악리 32,564명 |
일로읍 오룡리 18,625명 | |
무안읍 성남리 4,298명 | |
무안읍 교촌리 2,320명 | |
청계면 도림리 2,308명 | |
일로읍 월암리 2,249명 | |
무안읍 성내리 1,608명 | |
무안읍 성동리 1,234명 | |
삼향읍 유교리 1,089명 | |
삼향읍 왕산리 1,062명 | |
| 이하생략 | |
| 2025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데이터 Open API,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전라남도의 군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제헌 총선~제3대 총선까지는 무안군 갑/을, 이후 제4대국회의원 선거와 제5대 국회의원 선거를 치룰 때는 무안군 갑/을/병으로 나누었고[18], 1966년에는 무려 317,742명[19]을 기록하여 정점을 찍었다. 이 당시에는 대전시(314,991명)보다 많았고, 지금의 춘천시보다도 더 많을 정도이다. 그러나 1969년 도서지역을 신안군으로 분리하고[20] 이촌향도 현상으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2005년 61,915명으로 저점을 찍었다.
2005년 남악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증가 추세로 바뀌어 2021년 9월 9만 명 선을 넘었고, 이로 인해 전라남도 군 지역 중 유일하게 인구감소지역에서 제외되으며 2024년에는 전국 군 지역 인구증가율 1위라는 영광을 얻었다. # 그러나 신도시가 들어선 남악·오룡지구를 제외하면 조금씩 감소 추세이고[21] 이마저도 해당사업이 끝나면 더 이상의 인구 유입 요인이 없어서 이로 인해 인구 10만명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 읍면별 인구 #===
| (1966년~현재) |
1966년 11,789명 |
1970년 11,734명 |
| 1973년 7월 1일 몽탄면 성암리 → 무안면 편입 |
1975년 13,005명 |
| 1979년 5월 1일 무안군 무안면 → 무안읍 승격[22] |
1980년 12,752명 |
1985년 11,871명 |
1990년 10,615명 |
1995년 10,843명 |
2000년 11,914명 |
2005년 11,539명 |
2010년 10,759명 |
2015년 11,175명 |
2020년 10,646명 |
2025년 9월 10,696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1966년~현재) |
1966년 21,838명 |
1970년 20,301명 |
1975년 19,689명 |
1980년 20,565명 |
| 1980년 12월 1일 무안군 일로면 → 일로읍 승격 |
1985년 14,652명 |
1990년 14,959명 |
1995년 11,638명 |
2000년 10,299명 |
2005년 9,097명 |
2010년 8,024명 |
2015년 7,197명 |
2020년 12,902명 |
2025년 9월 25,147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무안군 이로면 폐지 이로면 대양리·석현리·옥암리 → 삼향면 편입 |
1966년 18,767명 |
1970년 17,322명 |
| 1973년 7월 1일 무안군 삼향면 석현리 → 목포시 이로동 편입 |
1975년 15,260명 |
1980년 14,088명 |
1985년 14,364명 |
| 1987년 1월 1일 무안군 삼향면 대양리·옥암리 + 목포시 이로동 일부 → 목포시 편입 및 삼향동 신설 |
1990년 10,143명 |
1995년 8,797명 |
2000년 8,768명 |
2005년 7,745명 |
| 2007년 8월 24일 삼향면 남악출장소 설치 |
2010년 25,020명[2010남악출장소] |
| 2011년 1월 1일 무안군 삼향면 → 삼향읍 승격 |
2015년 36,866명[2015남악출장소] |
2020년 38,371명[2020남악출장소] |
2025년 9월 37,463명[현재남악출장소]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1966년~현재) |
1966년 16,950명 |
1970년 15,107명 |
| 1973년 7월 1일 몽탄면 성암리 → 무안면 편입 |
1975년 13,398명 |
1980년 10,702명 |
1985년 8,219명 |
1990년 7,552명 |
1995년 6,095명 |
2000년 5,183명 |
2005년 4,419명 |
2010년 3,995명 |
2015년 3,566명 |
2020년 3,120명 |
2025년 9월 2,748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 (1966년~현재) |
1966년 15,514명 |
1970년 13,857명 |
1975년 13,538명 |
1980년 12,647명 |
1985년 11,665명 |
1990년 10,359명 |
1995년 9,353명 |
2000년 9,098명 |
2005년 8,713명 |
2010년 7,570명 |
2015년 6,838명 |
2020년 6,367명 |
2025년 9월 6,279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1966년~현재) |
1966년 20,774명 |
1970년 18,393명 |
1975년 17,446명 |
1980년 14,670명 |
1985년 12,981명 |
1990년 11,512명 |
1995년 8,873명 |
2000년 7,812명 |
2005년 6,672명 |
2010년 6,195명 |
2015년 5,296명 |
2020년 4,701명 |
2025년 9월 4,254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1966년~현재) |
1966년 17,121명 |
1970년 14,831명 |
1975년 16,116명 |
1980년 13,805명 |
| 1983년 2월 15일 망운면 운남출장소 → 운남면 승격 분리 |
1985년 5,739명 |
1990년 5,095명 |
1995년 3,983명 |
2000년 3,515명 |
2005년 2,968명 |
2010년 2,650명 |
2015년 2,229명 |
2020년 2,017명 |
2025년 9월 1,793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 (1966년~현재) |
1966년 19,993명 |
1970년 18,397명 |
1975년 19,571명 |
1980년 16,098명 |
1985년 15,861명 |
1990년 13,739명 |
1995년 9,809명 |
2000년 8,637명 |
2005년 7,214명 |
2010년 6,386명 |
2015년 5,710명 |
2020년 5,017명 |
2025년 9월 4,463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1985년~현재) |
| 1983년 2월 15일 망운면 운남출장소 → 운남면 승격 분리 |
1985년 7,339명 |
1990년 6,524명 |
1995년 5,646명 |
2000년 5,105명 |
2005년 4,202명 |
2010년 3,876명 |
2015년 3,359명 |
2020년 2,991명 |
2025년 9월 2,724명 |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
5.1. 무안군 단독 인구
| 무안군 단독 인구 추이(1911년~현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11년 80,925명 |
1915년 135,664명 | |
1920년 148,807명 | |
1925년 167,362명 | |
1930년 185,306명 | |
1935년 189,187명 | |
1940년 204,359명 | |
1943년 222,499명 | |
1949년 248,558명 | |
1955년 256,668명 | |
1960년 293,368명 | |
1966년 317,742명 | |
1970년 129,934명 | |
1975년 128,060명 | |
1980년 115,325명 | |
1985년 102,691명 | |
1990년 90,498명 | |
1995년 75,037명 | |
2000년 70,331명 | |
2005년 62,569명 | |
2010년 74,475명 | |
2015년 82,236명 | |
2020년 86,132명 | |
2025년 8월 95,263명 | |
| 출처: 위 목포시+무안군+신안군 표로 갈음하며, 군계(郡界) 변경 역시 위의 표로 갈음함.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6. 교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안군/교통#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안군/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colbgcolor=#f36717> 항공 | 무안국제공항 | |
| 철도 | | |
| 호남선 | 무안역, 몽탄역, 일로역 | |
| 도로 | 고속도로 | |
| 국도 | 1번 국도, 2번 국도, 24번 국도, 77번 국도 | |
| 지방도 | 49번 지방도, 60번 지방도, 805번 지방도, 811번 지방도, 815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 |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무안군 농어촌버스, 무안버스터미널 |
| 항구 | 어항 | 도리포항 외 27개소 |
| 전라남도의 교통 | ||
[1] 2027년말 예정
7. 경제
과거 광주광역시에 있던 전라남도청이 여기로(정확히는 남악신도시 쪽) 옮겨진 덕분에 공무원들의 유입 등으로 무안의 경제는 성장하고 있다. 도청 이전 효과 외에도 과거부터 농업과 어업으로도 경제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어서 전라남도에서도 경제력이 제법 상위권이다.
혁신도시, 도청 등의 신도시를 유치한 여타 군 지역과 마찬가지로 시 승격을 꿈꾸고 있지만, 저출산 및 갈수록 점점 심화되는 수도권 집중 현상은 여기도 피해갈 수 없는지라 시 승격 가능성은 시 승격 기준을 억지로 낮추지 않는 이상은 상당히 낮다. 분명 도청 유치로 인구수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그 효과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시 승격을 바라볼 만큼 늘 수 있을지는 기약이 없다. 2만명 증가하는데 5년 여 걸렸으나 이후로 인구 증가 속도가 확연히 줄어들고 있다. 또한 2024년 이후 임성지구가 추진 중에 있지만, 인구가 얼마나 증가할지 기약이 없다.[28]
상업시설로는 남악 롯데쇼핑몰이 있다.
7.1. 금융
| 무안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 |||
| 제1금융권 [괄호] | |||
| 국가기관 | |||
| 무안우체국 (10) | |||
| 특수은행 | |||
| 농협은행(중앙회) (5) | |||
| 시중은행 | |||
| 신한은행 (1) | 하나은행 (1) | ||
| 국민은행 (1) | |||
| 지방은행 | |||
| 광주은행 (4) | |||
|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 |||
| 농업협동조합 | |||
| 무안농협 (6) | 목포무안신안축협 (4) | 삼향농협 (3) | 일로농협 (2) |
| 몽탄농협 (1) | 운남농협 (1) | 청계농협 (1) | 전남서남부채소농협 (1) |
| <colbgcolor=#1d1e23> 수산업협동조합 | |||
| 목포수협 (1) | |||
| 새마을금고 | |||
| 해제새마을금고 (1) | 남악새마을금고 (3) | ||
| 무안새마을금고 (3) | |||
시중은행은 신한은행 목포대학교지점을 제외하곤 모두 삼향읍에 있다.
8. 교육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악초등학교 | 망운초등학교 | 몽탄초등학교 | 무안초등학교 |
| 무안행복초등학교 | 삼향동초등학교 | 삼향북초등학교 | 삼향초등학교 | |
| 오룡초등학교 | 운남초등학교 | 일로동초등학교 | 일로초등학교 | |
| 일로초등학교 청망분교장 | 청계남초등학교 | 청계북초등학교 | 청계초등학교 | |
| 해제남초등학교 | 해제초등학교 | 현경북초등학교 | 현경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 남악중학교 | 망운중학교 | 무안몽탄중학교 | 무안북중학교 | ||
| 무안중학교 | 무안청계중학교 | 무안행복중학교 | 무안현경중학교 | ||
| 오룡중학교 | 전남체육중학교 | 해제중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 남악고등학교 | ⊙ 무안고등학교 | 백제고등학교 | ▣ 전남예술고등학교 | ▣ 전남체육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 국립 | ㄱ | |
| 사립 | |||
| ㅊ | |||
| 기능대학 | |||
| ㅎ | }}}}}}}}} |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 무안읍 권역과 남악 권역으로 나눌 수 있다. 무안읍 권역의 경우 무안고, 백제고가 있으며 남악 권역의 경우 남악고가 있다. 무안고는 현재 거점고등학교로 지정한 상태이다. 남악고는 남악신도시에 있는 유일한 고등학교인데 학교 건물이 비정상적으로 작게 지어졌으며 근처에 사는 학생들이 너무 많아서 많은 학생들이 다른 지역으로 튕겨져 나가고 있다. 이 때문에 오룡고를 신설하려고 하는데 학교 총량제 때문에 신설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었고, 결국 신설은 확정됐지만 비정상적으로 작게 지어질 예정이라 남악신도시의 고교 대란은 여전히 끝나지 않을 예정이다.
9. 음식
타 지역에 비해 특출난 것은 없으나 일단 낙지, 양파로 유명한 곳이고 음식도 그에 맞춰져 있다. 어지간한 데는 낙지 음식점이 다 있는 정도. 물론 뻘낙지 특성상 가격은 꽤나 비싸다. 되도록이면 낙지가 본격적으로 잡히기 시작하는 늦여름 이후에 먹도록 하자. 전라도에 속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음식이 다채롭고 맛이 좋은 편이다. 곳곳에 숨은 맛집은 현지인에게 물어보면 된다. 또 무안읍에 낙지거리가 있다.10. 정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안군/정치#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안군/정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군사
전라남도 서부권의 방위를 담당하는 제31보병사단 예하 제96보병여단 본부가 삼향읍 1번 국도변에 있다. 목포시 예비군훈련장이 삼향농공단지 가장 안쪽에 있으며, 무안군 예비군훈련장은 무안읍 매곡리 24번 국도변에 있다.광주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하는 데 기득권들이 반대하고 있어 논란이 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주공항/공항 이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주공항/공항 이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하위 행정구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안군/행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안군/행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3671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36717>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098> 읍 | [[무안군청| 군청 ]] 무안읍 | 삼향읍 | 일로읍 |
| 면 | 망운면 | 몽탄면 | 운남면 | |
| 청계면 | 현경면 | 해제면 |
13. 사건·사고
14. 기타
- 2024년 7월 9~13일에 여자배구단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가 하계 전지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무안에 방문했다. 무안스포츠파크 실내체육관, 무안황토갯벌랜드, 보건소 체력단련실에서 훈련을 진행했다. 11일에 일일 배구교실을 열었고, 12일 15시에 무안스포츠파크 실내체육관에서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와 최대 3세트로 연습경기를 실시했다. 제47~48대 김산 무안군수는 "현대건설 배구단의 방문을 환영하며 머무시는 동안 무안의 멋과 맛을 만끽하시어 아름답고 즐거운 추억을 만들어가길 바란다. AI페퍼스 배구단과의 연습경기 및 사인회에 군민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는 환영사를 남겼다.
- 군 이름이 무안하다는 말과 같은 단어라 관련 개그에 쓰인다.
15. 출신 인물
- 강병국(1984)
- 강성형: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여자 프로배구단) 감독
- 고석: 前 국방부 고등군사법원장
- 기길운
- 기대서
- 김대현
- 김병도
- 김산: 現 무안군수
- 김용무
- 김용범: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前 기획재정부 제1차관
- 김용현
- 김원중(1969)
- 김윤식: 前 경기도 시흥시장. 현경면 출신
- 김정수: 육군 대장. 前 제2작전사령관, 前 수도방위사령관
- 김주삼(1962)
- 김준곤: 목사. 한국대학생선교회 설립자
- 김철주: 前 무안군수. 몽탄면 출신
- 김호산
- 나광국
- 나상웅
- 나이균
- 나판수
- 노인옥
- 박경민: 현 국가경찰위원회 상임위원. 제15대 해양경찰청장
- 박나래: 코미디언.
- 박문석
- 박상기: 前 법무부장관
- 박석무: 前 국회의원. 다산 정약용 연구의 권위자이기도 하다. 현경면 출신
- 박세라: 모델
- 박종팔: 복싱 선수. IBF, WBA 세계 챔피언. 무안읍 출신
- 박진주[31]: 배우, 방송인
- 박창수
- 박현출: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회장. 前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사장, 前 농촌진흥청장
- 배기선: 前 국회의원. 일로읍 출신
- 배종렬
- 배종무: 前 국회의원
- 배칠수: 방송인
- 백종훈
- 서삼석: 제20-22대 국회의원.[32] 전 군수. 현경면 출신
- 안형환: 前 국회의원. 삼향읍 출신
- 옥만호: 공군 대장. 제12대 공군참모총장. 몽탄면 출신[33]
- 옥현진: 신부.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대주교
- 유원일: 前 국회의원
- 윤부식
- 윤성민: 前 국방부장관. 해제면 출신
- 이동현
- 이연구(1953)
- 이윤석: 前 국회의원. 삼향읍 출신
- 이은빈
- 이은주: 前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 이재록: 만민중앙교회 당회장, 교주
- 이재영: 현 한국지역개발원장. 前 행정안전부 차관
- 이재현: 前 무안군수
- 이정운(1958)
- 이길호
- 이혜자
- 임인현
- 임종기: 前 국회의원. 몽탄면 출신.
- 임택: 現 광주광역시 동구청장
- 장상기
- 장응철
- 장태평: 현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장관급). 前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前 마사회장
- 정규수
- 정규식: 독립유공자
- 정길수: 정치인
- 정대운
- 정승현: 정치인
- 정아라: 미스코리아 광주-전남 미(美)
- 정윤경: 경기도의회 의원
- 정철재
- 최미선: 양궁 선수. 2016 리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일로읍 출신
- 최병호: 가수
- 최성락
- 한창훈: 치안감. 현 광주광역시 경찰청장
- 황의선: 광복군 출신 독립유공자
- 그 외에 배우 오지호가 일로초등학교를 나왔고, 코미디언 박나래[34], 배우 박진주 역시 일로읍의 같은 유치원을 나왔다. 다만 일로읍, 삼향읍 등의 목포 접경지역은 간혹 출신을 목포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35][36]
1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
| 수원시 도청 의정부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64194; font-size: .8em" | 춘천시 도청 강릉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50037; font-size: .8em" | 청주시 도청 제천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f448c; font-size: .8em" 옥천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f448c; font-size: .8em" | 홍성군 도청 금산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c8c70; font-size: .8em" | 전주시 도청 | |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 이북 5도 | |
| 무안군 도청 순천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d00; font-size: .8em" | 안동시 도청 포항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1bb; font-size: .8em" | 창원시 도청 진주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15a38; font-size: .8em" | 제주시 도청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1f2023> 경기 | 남한산성 | 수리산 | 연인산 | |||
| 강원·충청 | 고복 | 경포 | 대둔산 | 덕산 | 칠갑산 | 철원DMZ 성내산 | |
| 경상 | 가지산 | 금오산 | 문경새재 | 연화산 | 청량산 | ||
| 전라 | 대둔산 | 두륜산 | 마이산 | 모악산 | 무안갯벌 | 벌교갯벌 | |
| 불갑산 | 선운산 | 신안증도갯벌 | 조계산 | 천관산 | |||
| 제주 | 제주곶자왈 | 서귀포해양 | 성산일출해양 | 마라해양 | 우도해양 | 추자해양 | |
| ■ 산, ■ 저수지, ■ 해안, ■ 도서, ■ 갯벌 | |||||||
| ※ 같이 보기: 국립공원 | 도립공원 | 군립공원 | }}}}}}}}} | ||||||
[1] 2021년 12월 기준 제62회 무안군 통계연보(2023년 6월 발행).[2] 2025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5년 9월 기준.[4] 무안군 가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박쌍배 (초선), 이호성 (초선), 임현수 (초선)
무안군 나선거구 (삼향읍, 청계면): 김경현 (재선), 김봉성 (초선), 임동현 (초선), 임윤택 (초선)
무안군 비례대표: 정은경 (초선)[5] 무안군 가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김원중 (3선)[6] 무안군 제1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정길수 (초선)
무안군 제2선거구 (삼향읍, 청계면): 나광국 (재선)[7] 예전에 스펀지에도 소개가 된 적이 있는데, 무안군 슈퍼에서는 양파로 만든 양파 음료도 존재한다. 맛은 미에로 화이바와 비슷하다. 군 복무 경험자라면 알 법한 버디언이 그 주인공이다.[8] 요즘 무안군에서 많이 볼 수 있다.[9] 구 마스코트는 연꽃인 연이랑이었으나 특산물인 양파를 모티브로 한 무아니로 바뀌었다.[10] 무안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11] 청계면은 면내 기준으로 목포시와 무안읍의 거리가 비슷하나, 두 곳의 상권이 넘사벽이기 때문에 목포대학교의 영향으로 면내 치고는 인구가 꽤 많은 청계면내에서 해결하거나 무안읍이 가까운 북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목포로 간다.[12] 무안읍을 포함해서 이 지역들은 오히려 무안읍에서 해결이 안 될 정도로 큰 일이 나면 오히려 목포보다 광주로 많이 간다.[13] 무안군청이 무안읍에 있는 관계로 무안군의 정치적 중심지는 무안읍이 쥐고 있으나 문화 인프라는 젊은층이 많은 남악신도시에 비할 바가 되지 못한다.[상세내용1]
목포부 이로면(二老面) 일부 → 무안군 이로면(二老面)
목포부 삼향면(三鄕面) → 무안군 삼향면(관할 변경)
목포부 일로면(一老面) + 이로면(二老面) 일부 → 무안군 일로면(一老面)
목포부 이로면(二老面) 일부 + 박곡면(朴谷面) → 무안군 박곡면(朴谷面)[석곡면합면][몽탄면개칭]
목포부 석진면(石津面) → 무안군 석진면(관할 변경)[석곡면합면][몽탄면개칭]
목포부 일서면(一西面) + 이서면(二西面) → 무안군 청계면(淸溪面)
목포부 외읍면(外邑面) → 무안군 외읍면(관할 변경)[41][42]
목포부 현화면(玄化面) 일부 + 다경면(多慶面) → 무안군 현경면(玄慶面)
무안군 현화면(玄化面) 일부 + 망운면(望雲面) → 무안군 망운면(望雲面)
목포부 해제면(海際面) + 진하산면(珍下山面) → 무안군 해제면(海際面)
지도군 군내면(郡內面) → 무안군 지도면(智島面)
지도군 임자면(荏子面) → 무안군 임자면(관할 변경)
지도군 사옥면(沙玉面) → 무안군 사옥면(관할 변경)
지도군 자은면(慈恩面) → 무안군 자은면(관할 변경)
지도군 비금면(飛禽面) → 무안군 비금면(관할 변경)
진도군 도초면(都草面) → 무안군 도초면(관할 변경)
지도군 흑산면(黑山面) → 무안군 흑산면(관할 변경)
지도군 하의면(荷衣面) → 무안군 하의면(관할 변경)
지도군 장산면(長山面) → 무안군 장산면(관할 변경)
진도군 안창면(安昌面) → 무안군 안창면(관할 변경)
진도군 기좌면(箕佐面) → 무안군 기좌면(관할 변경)
완도군 팔금면(八禽面) → 무안군 팔금면(관할 변경)
지도군 암태면(巖泰面) → 무안군 암태면(관할 변경)
지도군 압해면(押海面) → 무안군 압해면(관할 변경)
지도군 선도면(蟬島面) → 무안군 선도면(관할 변경)[상세내용2]
지도면(智島面) + 사옥면(沙玉面)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지도면(智島面) 합면
안창면(安昌面) + 기좌면(箕佐面) + 팔금면(八禽面) → 안좌면(安佐面) 합면
암태면(巖泰面)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암태면(巖泰面) 합면
압해면(押海面) 일부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압해면(押海面) 합면
압해면 일부 → 이로면 편입
압해면 치하도 → 해남군 화원면 편입
일로면 나불리 → 영암군 곤일종면(昆一終面) 편입
지도면 수도리·영광군 낙월면 만지도·작도 → 임자면 편입[16] 현재 법정경계와 다를 수 있음에 유의.[17] 운남면 지역 포함.[18] 현재는 인구가 50만명 후반을 넘는 도시만이 가지고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15~25만명이 갑/을, 25만~35만이 갑/을/병으로 나누었음을 감안해야 한다.[19] 현재까지 이 기록을 깬 군은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1979년 당시 삼척군이 인구 30만을 눈앞에 두었으나 곧바로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무안군을 역전하지 못했고, 그 이후로는 대구광역시 산하 군인 달성군이 26만명을 넘겼으나 아직 무안군의 기록을 깨지는 못했다.[20] 2025년 3월 기준 현재는 무안군과 신안군의 인구 수를 합쳐도 13만명 수준으로, 전성기 시절인 32만에서 19만명이 줄어든 셈이다.[21] 무안읍은 인구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고 청계면은 인구 감소폭이 낮으나 몽탄면, 해제면, 현경면, 망운면, 운남면은 인구 감소가 극심하다.[22]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23] 2010년부터 삼향읍 남악출장소 인구 비율 표시(인구수는 남악출장소 지역만 표시)[2010남악출장소] 18,265명[2015남악출장소] 30,719명[2020남악출장소] 32,829명[현재남악출장소] 32,508명[28] 당장 똑같이 도청을 이전받은 충청남도 홍성군도 처음에는 인구가 쭉쭉 늘어나면서 홍주시로 승격이 머지 않았다고 행복회로를 열심히 돌렸지만, 그 기대는 인구 10만을 찍은 이후로 인구 성장이 뚝 그침으로써 산산조각났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1] 출생한 곳은 광주광역시이다.[32] 지역구 : 전라남도 영암군·무안군·신안군[33] 고향 몽탄면 사창리에 본인이 사재를 털어서 지은 호담항공우주전시장이 있다.[34] 초등학교, 중학교는 목포시 상동에서 나왔다.[35] 사실 고향이 목포시와 뿌리가 같은 무안군(특히 목포시 접경 지역)이나 신안군 출신들이 자신의 고향을 알려 줄 때 상대가 지명을 잘 몰라서 그냥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목포시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박노준(신안군 압해읍 출신)이 그 예 . 위에 나온 인물들도 더러는 목포로 알려진 경우가 꽤 있다.[36] 게다가 신안군이 1969년 분군되기 전에는 무안군에 속했기 때문에 간혹 실제 신안군 출신 인물들이 무안군 출신 인물로 오기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유지태의 할아버지인 유옥우 전 의원(현재의 신안군 비금면 출신)이 지역구를 보고 무안군 출신이라고 오기되는 경우가 있는데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시절의 무안군 을 선거구는 현재의 신안군 지역이다. 물론 출생 당시에는 무안군이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군으로 독립되었기 때문에 오해를 살 수 있다.
무안군 나선거구 (삼향읍, 청계면): 김경현 (재선), 김봉성 (초선), 임동현 (초선), 임윤택 (초선)
무안군 비례대표: 정은경 (초선)[5] 무안군 가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김원중 (3선)[6] 무안군 제1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정길수 (초선)
무안군 제2선거구 (삼향읍, 청계면): 나광국 (재선)[7] 예전에 스펀지에도 소개가 된 적이 있는데, 무안군 슈퍼에서는 양파로 만든 양파 음료도 존재한다. 맛은 미에로 화이바와 비슷하다. 군 복무 경험자라면 알 법한 버디언이 그 주인공이다.[8] 요즘 무안군에서 많이 볼 수 있다.[9] 구 마스코트는 연꽃인 연이랑이었으나 특산물인 양파를 모티브로 한 무아니로 바뀌었다.[10] 무안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11] 청계면은 면내 기준으로 목포시와 무안읍의 거리가 비슷하나, 두 곳의 상권이 넘사벽이기 때문에 목포대학교의 영향으로 면내 치고는 인구가 꽤 많은 청계면내에서 해결하거나 무안읍이 가까운 북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목포로 간다.[12] 무안읍을 포함해서 이 지역들은 오히려 무안읍에서 해결이 안 될 정도로 큰 일이 나면 오히려 목포보다 광주로 많이 간다.[13] 무안군청이 무안읍에 있는 관계로 무안군의 정치적 중심지는 무안읍이 쥐고 있으나 문화 인프라는 젊은층이 많은 남악신도시에 비할 바가 되지 못한다.[상세내용1]
목포부 이로면(二老面) 일부 → 무안군 이로면(二老面)
목포부 삼향면(三鄕面) → 무안군 삼향면(관할 변경)
목포부 일로면(一老面) + 이로면(二老面) 일부 → 무안군 일로면(一老面)
목포부 이로면(二老面) 일부 + 박곡면(朴谷面) → 무안군 박곡면(朴谷面)[석곡면합면][몽탄면개칭]
목포부 석진면(石津面) → 무안군 석진면(관할 변경)[석곡면합면][몽탄면개칭]
목포부 일서면(一西面) + 이서면(二西面) → 무안군 청계면(淸溪面)
목포부 외읍면(外邑面) → 무안군 외읍면(관할 변경)[41][42]
목포부 현화면(玄化面) 일부 + 다경면(多慶面) → 무안군 현경면(玄慶面)
무안군 현화면(玄化面) 일부 + 망운면(望雲面) → 무안군 망운면(望雲面)
목포부 해제면(海際面) + 진하산면(珍下山面) → 무안군 해제면(海際面)
지도군 군내면(郡內面) → 무안군 지도면(智島面)
지도군 임자면(荏子面) → 무안군 임자면(관할 변경)
지도군 사옥면(沙玉面) → 무안군 사옥면(관할 변경)
지도군 자은면(慈恩面) → 무안군 자은면(관할 변경)
지도군 비금면(飛禽面) → 무안군 비금면(관할 변경)
진도군 도초면(都草面) → 무안군 도초면(관할 변경)
지도군 흑산면(黑山面) → 무안군 흑산면(관할 변경)
지도군 하의면(荷衣面) → 무안군 하의면(관할 변경)
지도군 장산면(長山面) → 무안군 장산면(관할 변경)
진도군 안창면(安昌面) → 무안군 안창면(관할 변경)
진도군 기좌면(箕佐面) → 무안군 기좌면(관할 변경)
완도군 팔금면(八禽面) → 무안군 팔금면(관할 변경)
지도군 암태면(巖泰面) → 무안군 암태면(관할 변경)
지도군 압해면(押海面) → 무안군 압해면(관할 변경)
지도군 선도면(蟬島面) → 무안군 선도면(관할 변경)[상세내용2]
지도면(智島面) + 사옥면(沙玉面)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지도면(智島面) 합면
안창면(安昌面) + 기좌면(箕佐面) + 팔금면(八禽面) → 안좌면(安佐面) 합면
암태면(巖泰面)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암태면(巖泰面) 합면
압해면(押海面) 일부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압해면(押海面) 합면
압해면 일부 → 이로면 편입
압해면 치하도 → 해남군 화원면 편입
일로면 나불리 → 영암군 곤일종면(昆一終面) 편입
지도면 수도리·영광군 낙월면 만지도·작도 → 임자면 편입[16] 현재 법정경계와 다를 수 있음에 유의.[17] 운남면 지역 포함.[18] 현재는 인구가 50만명 후반을 넘는 도시만이 가지고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15~25만명이 갑/을, 25만~35만이 갑/을/병으로 나누었음을 감안해야 한다.[19] 현재까지 이 기록을 깬 군은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1979년 당시 삼척군이 인구 30만을 눈앞에 두었으나 곧바로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무안군을 역전하지 못했고, 그 이후로는 대구광역시 산하 군인 달성군이 26만명을 넘겼으나 아직 무안군의 기록을 깨지는 못했다.[20] 2025년 3월 기준 현재는 무안군과 신안군의 인구 수를 합쳐도 13만명 수준으로, 전성기 시절인 32만에서 19만명이 줄어든 셈이다.[21] 무안읍은 인구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고 청계면은 인구 감소폭이 낮으나 몽탄면, 해제면, 현경면, 망운면, 운남면은 인구 감소가 극심하다.[22]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23] 2010년부터 삼향읍 남악출장소 인구 비율 표시(인구수는 남악출장소 지역만 표시)[2010남악출장소] 18,265명[2015남악출장소] 30,719명[2020남악출장소] 32,829명[현재남악출장소] 32,508명[28] 당장 똑같이 도청을 이전받은 충청남도 홍성군도 처음에는 인구가 쭉쭉 늘어나면서 홍주시로 승격이 머지 않았다고 행복회로를 열심히 돌렸지만, 그 기대는 인구 10만을 찍은 이후로 인구 성장이 뚝 그침으로써 산산조각났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1] 출생한 곳은 광주광역시이다.[32] 지역구 : 전라남도 영암군·무안군·신안군[33] 고향 몽탄면 사창리에 본인이 사재를 털어서 지은 호담항공우주전시장이 있다.[34] 초등학교, 중학교는 목포시 상동에서 나왔다.[35] 사실 고향이 목포시와 뿌리가 같은 무안군(특히 목포시 접경 지역)이나 신안군 출신들이 자신의 고향을 알려 줄 때 상대가 지명을 잘 몰라서 그냥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목포시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박노준(신안군 압해읍 출신)이 그 예 . 위에 나온 인물들도 더러는 목포로 알려진 경우가 꽤 있다.[36] 게다가 신안군이 1969년 분군되기 전에는 무안군에 속했기 때문에 간혹 실제 신안군 출신 인물들이 무안군 출신 인물로 오기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유지태의 할아버지인 유옥우 전 의원(현재의 신안군 비금면 출신)이 지역구를 보고 무안군 출신이라고 오기되는 경우가 있는데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시절의 무안군 을 선거구는 현재의 신안군 지역이다. 물론 출생 당시에는 무안군이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군으로 독립되었기 때문에 오해를 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