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선에 있었던 동명의 폐역에 대한 내용은 동촌역(대구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동촌(동촌유원지)역 | ||
설화명곡 방면아양교 ← 1.1 ㎞ | 1호선 (138) | 하양 방면해 안 1.0 ㎞ → |
역명 표기 | ||
1호선 | 동촌 (동촌유원지) Dongchon (Dongchon Resort) 東村 (東村遊園地) / 东村 (东村游园地) / [ruby(東村, ruby=トンチョン)](東村遊園地) | |
주소 | ||
대구광역시 동구 해동로 지하197 (검사동) | ||
관리역 및 고객센터 | ||
동대구관리역 / 1고객센터 | ||
운영 기관 | ||
1호선 | 대구교통공사 | |
개업일 | ||
1호선 | 1998년 5월 2일 | |
역사 구조 | ||
지하 4층(심도 22.9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clearfix]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38번, 대구광역시 동구 해동로 지하197 (검사동) 소재.금호강변의 동촌 구길에 붙어 있는 역이며, 금호강을 건넌 다음에 역이 있기 때문에 심도는 -22.9m로 깊다.
역명은 지명을 따라 제정되었다. 신라말 해안현의 동쪽에 있다 하여 동촌이라 부르다가 1917년에 해안면이 동촌면으로 고쳐진 것을 거쳐 1957년 11월 6일에 대구시에 편입되었다. 구 동촌면사무소(동촌출장소) 소재지로서 옛 동촌의 중심지이므로 ‘동촌’ 이라고 제정된 것이다.
2017년 3월, 대구광역시청 홈페이지 고시/공고 조회에 올라온 2016 하반기 공공용물 제‧개정 명칭 공고에 따라 역명이 동촌(동촌유원지)역으로 바뀌었다.
2. 역 정보
대합실 |
동촌 구길인 검사동의 해동로에 있으며, 동촌 신길 북쪽에 있던 옛 대구선 동촌역과는 동촌네거리를 중심으로 각 반대에 대칭해 있었다. 대구선 동촌역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촌역 사이에만 주거지역이 조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역이 있는 해동로(동촌 구길)는 고작 왕복 2차선에 해당하는 좁은 도로며, 다음 역인 해안역이 동촌 구길과 동촌 신길의 분기점이다. 이렇게 좁은 도로에 위치한 지하철역은 꽤 드문 경우다. 서울 지하철 5호선 도심구간 역들과 마천역 정도가 이러한 좁은 도로에 있다. 중앙로역은 원래 4차선이었던 도로였으니 예외다.
동촌역이 이렇도록 열악한 자리에 있는 이유는 동촌로(동촌 신길)가 복개도로라서 개착공사가 힘들다는 것. 어차피 금호강 밑으로 통과해야해서 깊게 들어가니 동촌로를 따라 터널식으로 건설한다해도 입석네거리에 있는 입석초·중학교 밑을 파야해서 학습권에 지장을 주고, 이걸 피하려면 드리프트를해야 하기 때문에 동촌 구길인 해동로를 따라 건설됐다.[1] 이쪽 동네가 공군비행장 때문에 고도제한이 걸려서 상주인구가 적을 뿐더러, 워낙 유동인구가 적어서 동촌 구길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는 618번 하나뿐이다.[2]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금호강을 하저터널로 통과한다. 이로 인하여 지하철 승강장에서 지상까지 올라오려면 계단 4개를 거쳐야 하는데, 그중 가장 긴 거리인 2개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지 않아 그냥 걸어 올라가야 한다. 개통 초반에는 설치된 2개의 에스컬레이터 조차 출퇴근 시간에만 작동시켰었는데 이 점도 이용객을 바닥에 머물게하는 큰 이유가 되었을 거라고 보여진다.
동촌유원지가 코앞에 붙어 있으며 출구를 빠져나와 강둑에 올라서면 삐까번쩍한 해맞이다리가 있다. 본디 여기는 허름한 구름다리도 있었으나, 동촌역에서 유원지로 가는 행락객의 감소와[3] 노후화로 인해 통행금지였다가 2013년 12월 철거되었다.
2번 출구와 3번 출구 사이에는 자전거 보관소가 있다. 2016년 2월 현재 이용객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가 완료되고 시운전 중이다. 스크린도어 설치 자체는 타 역들보다 빠른 편이었는데 시운전, 마감 공사의 경우 더 늦게 설치된 아양교역보다도 느리게 진행되었다. 2017년 12월 현재는 스크린도어가 정상 작동하고 있다.
이 역은 반대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3. 일평균 이용객
동촌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tablewidth=2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d93f5c><bgcolor=#d93f5c><width=30%> 연도 ||<width=40%> ||<width=30%><bgcolor=#d93f5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1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1년 | 2,472명 | |||
2002년 | 2,804명 | ||||
2003년 | 1,510명 | [4] | |||
2004년 | 2,636명 | ||||
2005년 | 2,792명 | ||||
2006년 | 3,274명 | ||||
2007년 | 3,010명 | ||||
2008년 | 2,970명 | ||||
2009년 | 2,899명 | }}}}}}}}} | |||
2010년 | 2,917명 | ||||
2011년 | 2,997명 | ||||
2012년 | 3,042명 | ||||
2013년 | 3,201명 | ||||
2014년 | 3,396명 | ||||
2015년 | 3,728명 | ||||
2016년 | 4,052명 | ||||
2017년 | 4,295명 | ||||
2018년 | 4,599명 | ||||
2019년 | 4,989명 | ||||
2020년 | 3,447명 | [5] | |||
2021년 | 3,838명 | ||||
2022년 | 4,188명 | ||||
2023년 | 4,319명 | ||||
2024년 | 4,333명 | ||||
출처 | |||||
열악한 위치로 인해 1호선이 개통한 이래 노선 전체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05년까지는 율하역에 이어 두 번째로 이용객이 적었고, 2006년에 율하역이 이 역의 이용객 수를 넘어선 이래로 꾸준히 최하위를 독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 역 주변으로 아파트가 건설되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2017년 기준으로 같은 기간 용계역보다 124명 정도 앞서면서 최하위를 벗어났으며 현재는 그 격차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4. 승강장
승강장 |
역 안내도 |
아양교 ↑ | |||
하 | ㅣ | ㅣ | 상 |
↓ 해안 |
상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동대구·중앙로·반월당·설화명곡 방면 |
하 | 방촌·신기·반야월·안심 방면 |
실제 층은 안내도에서 한 단계 아래층이다.
5. 연계 교통
정류소 | 시내버스 |
동촌역(2번출구) | 618 |
동촌지구대건너 | 618 |
동촌역(신길)1 | 719, 805, 808(대구대), 836, 980, 동구1, 동구1-1, 동구2, 동구3, 818(경산) |
동촌역(신길)2 | 719, 805, 808(대구대), 836, 980, 동구1, 동구1-1, 동구2, 동구3, 818(경산) |
6. 둘러보기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93f5c>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본선) | 설화명곡 - 화원 - 대곡 - 진천 - 월배 - 상인 - 월촌 - 송현 - 서부정류장 - 대명 - 안지랑 - 현충로 - 영대병원 - 교대 - 명덕 - 반월당 - 중앙로 - 대구역 - 칠성시장 - 신천 - 동대구역 - 동구청 - 아양교 - 동촌 - 해안 - 방촌 - 용계 - 율하 - 신기 - 반야월 - 각산 - |
안심-하양 복선전철 | 안심 - 대구한의대병원 - 부호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그래도 동촌네거리 남쪽으로 지하철 동촌역 출구와 자전거 보관소가 보인다.[2] 일반버스 22번 시절부터 한 번도 바뀌지 않고 구길을 운행하고 있는 유일한 시내버스다. 다만 1990년대 중반 동촌역 공사로 반야월 방면으로만 편도 운행했으며 시내 방향으로는 신길을 운행했다. 1998년 개편 때 618번으로 바뀌며 구길을 운행하는 유일한 시내버스가 되었다가 2006년 개편 때 10여년 만에 다시 양방향 경유로 바뀌었다. 동촌구길로는 구 814-1번도 운행한 적이 있지만, 구 814번과 함께 망우당공원으로 돌렸다.[3] 10차선 왕복도로인 4번 국도가 동촌유원지 바로 옆을 지난다.[4]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한 여파[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여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