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f6af30>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 ||
서구 | |||
남구 | |||
달서 | |||
달성 | 달성3[a] | ||
동구 | |||
북구 | |||
성서 | |||
수성 | |||
칠곡 | |||
팔공 | 팔공2[a] 팔공3[a] | ||
행사 | 비슬1[a]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서구1번 | 서구1-1번 |
1. 개요
대구광역시의 순환형 지선버스. 운행 거리는 35.1(서구1)/35.4(서구1-1)km.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를 출발해 서구 내당동 내당역을 경유, 다시 방천리공영차고지로 순환 운행한다.여러 노선들을 대체하고 죽전네거리와 서대구산단을 직접 연결하기 위한 취지로 신설한 노선이나, 나름 이용률이 있는 몇몇 구간들을 제외하면 대구의료원 정문 및 용산동 미경유로 인해 시민들에게 평가가 극과 극 수준으로 심하게 엇갈리고 있는 노선이다.
서구1번 정류소 목록
서구1-1번 정류소 목록
2.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2025년 2월 24일 폐선)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2:27 | 막차 | - | ||
평일배차 | 17분(일 66회) | 주말배차 | 공휴일: 23분(일 48회) 토요일: 18분(일 61회) | ||
운수사명 | 경신교통 | 인가대수 | 10대[1] | ||
노선 | 방천리공영차고지 - 가르뱅이 - 서대구역(남측) - 서구문화회관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 경덕여고 → 북부정류장 → 노원네거리 → 원대시장 → 비산지하도 → 평리1동 행정복지센터 → 서도초교서편 → 이월드후문 → 성당시장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대명역 → 서부정류장 → 금봉네거리 → 죽전119안전센터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 서대구공단네거리) 이후 역순 | ||||
| |||||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2025년 2월 24일 폐지)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2:18 | 막차 | - | ||
평일배차 | 17분(일 64회) | 주말배차 | 공휴일: 24분(일 45회) 토요일: 19분(일 58회) | ||
운수사명 | 신흥버스 | 인가대수 | 10대[2] | ||
노선 | 방천리공영차고지 - 가르뱅이 - 서대구역(남측) - 서구문화회관 - (서대구공단네거리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 죽전역 → 금봉네거리 → 서부정류장 → 대명역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성당시장 → 이월드후문 → 서도초교서편 → 비산초교 → 비산지하도 → 원대시장 → 노원네거리 → 북부정류장 → 경덕여고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이후 역순 |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경유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중간 출발 정류소 | |
서구1 방향 | 두류보성맨션평일, 대구은행북비산지점토요일, 휴일, 원대동행정복지센터평일, 북부정류장평일, 토요일, 중리중학교휴일, 한국섬유개발연구원평일, 토요일 |
서구1-1 방향 | 홈플러스내당점평일, 토요일, 대구차여성병원, 본리초등학교, 서평초등학교평일, 토요일 |
3. 역사
- 2015년 8월 1일 부로 시행되는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신설되었다.
- 2016년 2월 13일 부로 서구1, 서구1-1 각각 1대씩 감차되어 다른 노선에 증차되었다.
- 2023년 2월 18일 막차 시간표 조정으로 서구1-1번 한정 배차간격이 1분 늘어나 17분으로 변경되었으며,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4년 11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 사업을 개시한다.
-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폐지된다. 320번이 만평네거리 - 중리광명맨션 구간과 와룡네거리 - 대명초등학교 구간을, 326번이 노원네거리 - 서부정류장 구간을 대체한다. 남구2번이 서부정류장 - 두류시장네거리 구간과 퀸스로드(동편) - 방천리공영차고지 구간을, 서구2번이 중리네거리 - 와룡네거리 구간을 대체한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서구 최초의 지선버스 노선이다.
- 가르뱅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와룡산이 귓바퀴처럼 생겼다고 해서 '괘이방', '갈뱅이'라고 구전되었다가 발음 편의상 가르뱅이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 노선의 선형을 보면 알겠지만 452번[4], 805번[5], 202(-1)번[6], 400(-1)번[7], 420(-1)번[8], 달서4(-1)번[9] 등 노선 개편으로 폐지되거나 운행 구간을 맞바꾼 노선들의 경로를 서로 짜깁기하여 운행하고 있다. 개편 때에는 452번의 서구 구간 대체 노선으로 명기했다.[10]
- 서대구산단에서 와룡로, 죽전역을 빠르게 연결해 주는 노선이다. 서대구산단네거리에서 본리초교 구간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는데, 이 구간은 신설 때부터 서구1(-1)번의 장점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2022년 1월 22일부터 급행8번이 와룡로 전체를 관통하면서, 서구1(-1)번이 급행8번의 와룡로 구간을 보조한다. 서대구역(남측)~서대구산단~죽전역~서부정류장 구간은 서구1(-1)번의 주력 구간이다.[11] 다만 급행8번과 달리 서구1(-1)번은 서대구산단네거리에서 중리네거리와 서구문화회관을 거쳐 서대구역으로 가기 때문에, 여기서는 굴곡이 있다.
- 성당시장과 파도고개로, 내당역에서 평리동(통학로)과 비산동을 연결해 주는 유일한 노선이다.[12] 그리고 비산동/원대동에서 3공단으로의 출퇴근 셔틀버스 및 순환3(-1)번의 백업 역할, 죽전역~안지랑역 구간 구 805번 구간의 백업 역할을 한다.
- 비산동우체국 앞 삼거리에는 교통섬과 중앙분리대가 있어서 452번이 그러했듯 평리2동행정복지센터~북비산네거리 구간에서 서구1번은 비산동우체국에서 문화로(비산6동행정복지센터)로 우회전하고, 서구1-1번은 비산초등학교 정문으로 편도 운행하여 세븐일레븐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한 후 북비산네거리로 간다.[13] 서구1-1번의 평리1동행정복지센터네거리 → 비산초교 정문(세븐일레븐) 구간은 옛 마을버스 2번의 구간이기도 하다.
- 언제부터인가 일요일 이현삼거리 중간종료 차량이 '내당역 종료'로 차량 LED행선판에 잘못 나갔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안내에도 잘못 기재되었다. 중간 종료가 폐지됨에 따라 자연히 사라졌다.
- 2023년 1월 설날 연휴에는 이 노선 한정으로 서대구역 연계 심야버스를 운행했다.
- 평시에는 15분 남짓의 배차간격으로 운행하지만, 평일 저녁 RH에는 배차가 20~25분 정도로 벌어지는 모습이 있다. 또한 휴일에는 딱 1대만 감차해서 운행했으나, 언제부터인가 휴일에 3대를 감차하여 휴일 배차간격이 예전보다 더 벌어졌다.
- 방학감차가 없다.[15]
4.1. 논란
자세한 내용은 대구 버스 서구1\ 문서 참고하십시오.4.2.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6년 | 2,962명 | - |
2017년 | 2,724명 | ▽ 238 |
2018년 | 2,790명 | △ 66 |
2019년 | 2,811명 | △ 21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2,162명 | ▽ 649 |
2022년 | 2,059명 | ▽ 103 |
2023년 | 2,345명 | △ 286 |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6년 | 2,901명 | - |
2017년 | 2,729명 | ▽ 172 |
2018년 | 2,605명 | ▽ 124 |
2019년 | 2,590명 | ▽ 15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989명 | ▽ 601 |
2022년 | 1,910명 | ▽ 79 |
2023년 | 2,191명 | △ 281 |
4.3. 노선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 서구1-1번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방천리공영차고지 20989 | |||||
금호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 09223 | ↓ | ↑ | ||||
위생처리장1 09222 | 위생처리장2 03874 | |||||
상리동입구1 00925 | ↓ | ↑ | 상리동입구2 21219 | |||
상리동종점 03139 | 상리동종점2 21218 | |||||
상리동종점3 21217 | ↓ | ↑ | 상리동종점3 21217 | |||
상리동종점2 21218 | 상리동종점 03139 | |||||
상리동입구2 21219 | ↓ | ↑ | 상리동입구1 00925 | |||
달서교하부 공영주차장 04303 | ||||||
상리동입구 03646 | ↓ | ↑ | 서대구역네거리1 00924 | |||
서대구역(남측)1 04306 | 서대구역(남측)2 04307 | |||||
서대구역네거리3 05236 | ↓ | ↑ | ||||
서평초등학교 05237 | 서평초등학교건너 05238 | |||||
서대구KTX영무예다음건너 20622 | ↓ | ↑ | 서대구KTX영무예다음앞 20621 | |||
서구문화회관앞 20623 | 서구청소년수련관건너 20625 | |||||
↓ | ↑ | 서구문화회관건너 20624 | ||||
이하 편도 순환 운행 구간 | ||||||
한국섬유개발연구원앞 20844 | 한국섬유개발연구원건너 21832 | |||||
상중이동행정복지센터앞 20635 | ↓ | ↑ | 상중이동행정복지센터건너 21831 | |||
퀸스로드앞(동편) 20636 | 퀸스로드건너(동편) 21830 | |||||
중리광명맨션건너 20637 | ↓ | ↑ | 중리광명맨션앞 20633 | |||
중리중학교 20845 | 경덕여고 20850 | |||||
달서초교 20846 | ↓ | ↑ | 중리롯데캐슬정문앞 20849 | |||
중리시장건너2 20847 | 중리시장건너1 20848 | |||||
진달래아파트앞 20634 | ↓ | ↑ | 진달래아파트건너 20900 | |||
한국폴리텍VI대구대학건너 00943 | 한국폴리텍VI대구대학앞 00929 | |||||
서구시장앞 09081 | ↓ | ↑ | 서구시장건너 00928 | |||
대구학교지원센터건너 (대구학생예술창작터건너) 21808 | 대구학교지원센터앞 (대구학생예술창작터앞) 00927 | |||||
북부정류장건너 02328 | ↓ | ↑ | 북부정류장 01737 | |||
비산7동우체국앞1 02330 | 서대구초등학교입구 01237 | |||||
팔달신시장2 21839 | ↓ | ↑ | ||||
노원119안전센터앞 21840 | 노원119안전센터건너 02136 | |||||
한국로봇산업진흥원건너 00553 | ↓ | ↑ | 한국로봇산업진흥원앞 00551 | |||
국민은행3공단지점건너 00558 | 국민은행3공단지점앞 00299 | |||||
노원네거리3(기업은행) 00271 | ↓ | ↑ | 노원네거리4(기업은행) 00267 | |||
침산동화타운건너 00272 | 침산동화타운앞 00266 | |||||
노원동화타운앞 00273 | ↓ | ↑ | 노원동화타운건너 00265 | |||
원대오거리북편1 00274 | 원대오거리북편2 00264 | |||||
원대동행정복지센터앞 00279 | ↓ | ↑ | 원대시장앞 00284 | |||
비산지하도2 02552 | 비산지하도1 09211 | |||||
대구은행북비산지점앞 21812 | ↓ | ↑ | 북비산네거리1 00113 | |||
비산6동행정복지센터앞 21811 | ||||||
비산웰빙하와이건너 21802 | ↓ | ↑ | 비산초등학교앞 00112 | |||
평리1동행정복지센터건너 21803 | 비산초등학교정문 09349 | |||||
평리중학교앞 00619 | ↓ | ↑ | 평리중학교건너 09300 | |||
평리2동행정복지센터건너 00438 | 평리2동행정복지센터앞 00640 | |||||
서도초등학교서편1 02912 | ↓ | ↑ | 서도초등학교서편2 02909 | |||
황제맨션건너 00449 | 황제맨션앞 00450 | |||||
홈플러스내당점앞 01018 | ↓ | ↑ | 홈플러스내당점건너 00642 | |||
두류보성맨션건너 00439 | 두류보성맨션앞 01007 | |||||
이월드(구.우방랜드)후문앞 00622 | ↓ | ↑ | 이월드(구.우방랜드)후문건너 01006 | |||
성남초등학교건너 00600 | 성남초등학교앞 01005 | |||||
성당시장건너 21610 | ↓ | ↑ | 성당시장앞1 00627 | |||
문성병원건너 05217 | 문성병원앞 00628 | |||||
대구가톨릭대학병원앞 02559 | ↓ | ↑ | 대구가톨릭대학병원건너 21229 | |||
대명1동행정복지센터건너 21228 | 대명1동행정복지센터앞 21213 | |||||
대구차여성병원건너 00638 | ↓ | ↑ | 대구차여성병원앞 21212 | |||
안지랑네거리2 02174 | ||||||
KT남대구지사건너1 02175 | ↓ | ↑ | KT남대구지사앞1 02180 | |||
대명초등학교건너 20031 | 대명초등학교앞 02179 | |||||
대명역(1번출구) 02178 | ↓ | ↑ | 대명역(2번출구) 05188 |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앞 02354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건너 02143 | |||||
서부정류장1 02138 | ↓ | ↑ | 서부정류장역1(1번출구) 02567 | |||
대구해올고교앞 00712 | 대구해올고교건너 20938 | |||||
금봉네거리2 20939 | ↓ | ↑ | 금봉네거리1 20957 | |||
남부초등학교앞2 20940 | ||||||
성당포스코더샵건너 20941 | ↓ | ↑ | 성당포스코더샵앞 02107 | |||
성당코오롱하늘채 09112 | 성당래미안e-편한세상앞 20955 | |||||
본리초등학교앞 00718 | ↓ | ↑ | 본리초등학교건너 02791 | |||
우방드림시티건너 20954 | 우방드림시티앞 05177 | |||||
↓ | ↑ | 죽전역(2번출구) 22023 | ||||
죽전역(1번출구) 03887 | ||||||
죽전119안전센터앞 09396 | ↓ | ↑ | 죽전119안전센터건너 01316 | |||
죽전동 행정복지센터앞 09241 | 죽전동 행정복지센터건너 01317 |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 21817 | ↓ | ↑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건너 21828 | |||
평화정공건너 21818 | 평화정공앞 21827 | |||||
서대구공단네거리4 05120 | ↓ | ↑ | 서대구공단네거리3 21826 | |||
이현지구대건너 20843 | 이현지구대앞 20842 | |||||
이상 편도 순환 운행 구간 | ||||||
서구문화회관건너 20624 | ↓ | ↑ | ||||
서구청소년수련관건너 20625 | 서구문화회관앞 20623 | |||||
서대구KTX영무예다음앞 20621 | ↓ | ↑ | 서대구KTX영무예다음건너 20622 | |||
서평초등학교 05237 | ||||||
서평초등학교건너 05238 | ↓ | ↑ | 서대구역네거리3 05236 | |||
서대구역(남측)2 04307 | 서대구역(남측)1 04306 | |||||
서대구역네거리1 00924 | ↓ | ↑ | 상리동입구 03646 | |||
달서교하부 공영주차장 04303 | ||||||
상리동입구1 00925 | ↓ | ↑ | 상리동입구2 21219 | |||
상리동종점 03139 | 상리동종점2 21218 | |||||
상리동종점3 21217 | ↓ | ↑ | 상리동종점3 21217 | |||
상리동종점2 21218 | 상리동종점 03139 | |||||
상리동입구2 21219 | ↓ | ↑ | 상리동입구1 00925 | |||
위생처리장2 03874 | 위생처리장1 09222 | |||||
↓ | ↑ | 금호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 09223 | ||||
방천리공영차고지 20989 |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죽전역, 내당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만평역[16], 원대역[17]
- 대경선 : 서대구역
- 일반 철도역 : 서대구역(SRT, KTX)
6. 둘러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518-1 | 708 | 808 |
814 | 840 | ||||
803 | 809 | 818 | 818-1 | ||
911 | 진량1 | 진량2 | 하양-와촌1 |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급행6 | 순환3-1 | 503 | 609 | |
618 | 623 | 650 | 706 | ||
805 | 836 | 남구1-1 | 서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08 | 836 | 남구1-1 | ||
동구2 | |||||
606 |
대구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 캠퍼스 | 급행5 | 708 | 808 | 814 |
840 | |||||
818 | 818-1 | 진량1 | 399 |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대명동 캠퍼스 | 509 | 609 | 618 | 650 | |
706 | 805 | 808 | 836 | ||
남구1-1 | 달서4-1 | 서구1-1 | 순환2-1 | ||
606 |
[1] 공휴일 7대 운행[2] 공휴일 7대 운행[3] 상리동입구3 정류장은 모종의 사유로 신설이 취소되었다.[4] 북비산네거리~성당시장 구간[5] 안지랑역~본리초교~죽전네거리 구간[6] 가르뱅이~중리네거리, 평리네거리~원대시장 구간[7] 중리네거리~죽전네거리 구간[8] 중리네거리~신평리네거리 구간[9] 성당시장~안지랑네거리 구간[10] 때문에 가끔 가다가 승객 수가 많아 보이는 서구1(-1)번을 보고 수요가 많은 노선이라고 판단하면 안 된다. 모두 이전 노선들의 수요 폭증 및 주력 구간이었기 때문에, 온전히 서구1(-1)번의 구간이 아니다. 메인으로 올린 452번도 구간 수요가 주력이었다.[11] 그런데 문제는 서구 1번이 폐지되고도 이 구간을 온전히 대체하는 노선이 없다. DRT가 운행할 예정이지만 4인승인데다가 RH시간에는 운행하지 않아서 불편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12] 실제로 파도고개로 일대에는 이게 없으면 달서4(-1)번밖에 다니지 않는다. 게다가 달서4(-1)번은 18~19분이나 된다. 물론 도보 10~20분 거리에 다른 버스 정류소(반고개, 굿모닝병원, 현대해상, 성당시장 등)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있기는 하지만, 이 구간 때문에 서구1(-1)번이 논란이 많아도 함부로 건드릴 수 없는 실정이다.[13] 대구광역시경찰청에서는 시청에서 원할 경우 얼마든지 교통섬과 분리대를 철거해서 왕복 운행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버스운영과는 의지가 없어서 안 한다.[14] 234번과 동일한 방식, 일부 정류소의 노선 안내도에는 서구1, 서구1-1 각자 처음이나 끝부분에 가르뱅이가 생략돼 있지만, 234번과 마찬가지로 가르뱅이를 양방향 경유하므로 안심해도 좋다.[15] 비슷하게 서구를 지나는 204번도 방학감차가 없다.[16]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바로 앞에 역이 있기 때문에 환승역으로는 별로 좋지 않은 위치다. 서구1번은 비산7동우체국, 서구1-1번은 서대구초등학교입구 정류장.[17] 원대오거리의 보행자 신호 텀이 매우 길어 반발이 많다고 한다. 원대오거리북편 정류장 또는 원대동행정복지센터/원대시장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