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4:44:27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직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
,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전체 노선 목록버스 회사 목록요금 현황폐선 목록




1. 개요2. 역사3. 특징4. 차량5. 요금6. 목록

1. 개요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된 운행 계통으로 직행1번직행2번 총 2개 노선으로 운영된다. 직행좌석버스 형식으로 기존 급행 등급보다 상위 등급으로 운영된다.[색상]

2. 역사

대구는 수도권과 달리 오랫동안 직행좌석 등급을 운영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역이 확대되면서 급행보다 더 빠른 노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기본적인 계획은 2015년 개편 때부터 있었는데, 급행7번급행8번을 각각 직행2번, 직행1번 번호로 직행좌석버스 등급으로 신설하려던 계획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계획은 최종안에서 결국 무산되고, 계획안의 노선 선형을 다듬어 일반좌석버스급행으로 신설하게 되었다.

그렇게 10년 동안 직행 버스 운행 계획이 소리소문 없이 묻히더니, 2025년 개편에서 부활했다. 급행7번, 급행8번을 직행으로 승격하는 것은 아니고 완전히 새로운 노선을 도입하게 되어 직행1번직행2번이 개통될 예정이다. 직행2번은 2015년 당시 개통시키려던 노선과 닮았다.

3. 특징

기존 급행 버스의 혼잡도와 노선 굴곡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계통이다. 도심-외곽 또는 외곽-외곽을 최단거리 및 최소시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총 5개 내외의 정류장에 정차하며 빠른 이동을 위해 자동차전용도로신천대로, 앞산터널로고속국도대구외곽순환도로를 경유한다. 대구광역시 내 환승 거점 터미널에 정차하여 최소환승으로 타 운행 계통과의 환승이 가능하다.

4. 차량

초기에는 직행버스 노선을 배정을 받은 업체들이 기존 급행버스 차량을 차돌리기 하여 활용하며, 추후 신차 도입시에는 대구시 교통약자 정책 방침에 따라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형이나 일렉시티와 같은 좌석형 저상버스를 기존 급행버스 출신의 고상형 차량과 교차 투입하게 된다. 그러나 2027년부터는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주관으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 '자동차전용도로 주행이 가능한 저상 좌석버스 표준모델(가칭 유니버스 저상형)'이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5. 요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700, #006700 20%, #006700 80%, #0067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700><tablebgcolor=#00670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2024년 12월 기준[1]
대구권 광역환승제 지역 버스 요금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구분 현금[6] 교통카드(선·후불)
대구
경산
영천
직행
급행
일반 2,200원 1,950원
청소년 1,300원 1,100원
어린이 800원 650원
노인[2] 2,200원 0원[3]
좌석
일반
(순환·간선·지선·출근 포함)
마을
DRT
일반 1,700원 1,500원
청소년 1,000원 850원
어린이 500원 400원
노인[2] 1,700원 0원[3]
김천
구미
칠곡
성주
구미좌석[5]
KTX리무진[5]
성주좌석[4][5]
일반 2,000원 1,900원
청소년 1,600원 1,300원
어린이 1,000원 800원
김천좌석
일반
공단순환
마을
일반 1,500원 1,500원
청소년 1,200원 850원
어린이 800원 400원
고령
청도
일반 1,500원 1,500원
청소년 850원 850원
어린이 400원 400원
[1] 2024년 12월 14일부터 시행한 요금체계
* 만 5세이하 영유아 3인까지 무료 운임
}}}}}}}}}


급행버스와 요금이 같다. 성인 교통카드 기준 1950원 단일요금제로 전국에서 직행좌석버스 등급 노선을 가장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 중 하나가 됐다.[2] 다만 그 만큼 투입되는 차급은 한 단계 낮다.

6. 목록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ff>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직행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직행1 직행2

[색상] 노선 색상은 공식적으로는 미공개이지만 기존 급행버스 색상과 동일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2] 주요지역 요금 비교: 서울·인천 광역버스 3000원+거리비례, 부산 2100원+거리비례, 경기 2800원+거리비례, 대전 2,000원+거리비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