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설명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시내버스가 운행된 지역이 대구이다. 일제강점기인 1920년 7월, 대구 호텔에서 일본산 버스 4대를 들여와 대구역을 기점으로 대구부 지역 일대를 방사형으로 운행하였다. 이후 도시가 성장하면서 버스 영업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는 정보가 없다.
2. 노선별 역사
대구 시내버스는 1998년, 2006년, 2015년에 걸쳐 대대적인 노선 개편을 단행했다. 다만 번호가 달라진 노선의 경우 해당 노선이 개편 때 구간이 100% 그대로 유지된 건 아니다.2.1. 입석버스
1998년 개편 이전 | 1998년 개편 이후 | 2006년 개편 이후 | 2015년 개편 이후 | |
1번 | 909번 | |||
2번 | 폐선[1] | |||
2-1번 | 936번[2] | 폐선[3] | ||
3번 | 514번 | 폐선[4] | ||
5번 | 504번 | 폐선 | ||
6(-1)번 | 405(-1)번 435번[5] | 405번[6] | ||
7(-1)번 | 730(-1)번 | 730번[7] | ||
10번 40-1번 40-2번 40-3번 | 439번 | 급행2번[8] | ||
12번 | 106번 | 306번 | ||
13(-1)번 | 폐선 | |||
15번[9] | 818번 | |||
16번 | 427번 | 폐선[10] | ||
17(-1)번 | 929번 | 폐선 | ||
18번 19번 | 424(-1)번 | 452번 | 폐선[11] | |
20(-1)번[12] | 401번 | |||
21번 | 718번 | 폐선[13] | ||
21-1번 | 11-5번 | 동구3번 | ||
22번 | 618번 | |||
26번 | 717번 | 폐선[14] | ||
30번 | 650번 980번 | 650번 980번 | ||
31번 | 폐선 | |||
32번 | 836번 | |||
33번 | 814(-1)번 | 814번[15] | ||
33-1번 | 750번 | |||
34번 | 606번[16] | |||
35번 | 616(-1)번[17] 808번 | 808번 | ||
36번 | 939번 | |||
37번 | 655번 | 655번 달서5번 | ||
50번 | 폐선[18] | 폐선 | ||
51(-1)번 | 349번 | |||
55(-1)번 56(-1)번 | 434(-1)번 | 순환3(-1)번[19] 가창1번[20] | 순환3(-1)번 413번 | |
66(-1)번 | 폐선 | |||
70번 | 903번 | 폐선[21] | ||
71번 | 890번 | 840번[22] | ||
72번 | 폐선 | |||
75번 | 906번 | 609번[23] | ||
76번[24] | 11-2번[25] 131번[26] | 팔공1번[27] | ||
76-1번 | 11-3번 131번 | 401번 | ||
83번 | 242번 | 521번 수성1(-1)번[28] | 524번 수성1(-1)번 | |
85번 | 628번[29] 814번[30] | 폐선[31] | ||
86번 | 910번 | 폐선 | ||
87번 | 524번[32] | 폐선 | ||
88번 | 603번 | 폐선[33] | ||
89번 | 623번 | |||
90번 | 66-1번 66-2번 66-3번 66-4번 | 구.달성4번 달성5번 달성6번 달성7번 | ||
92번 | 11-6번 718번[34] | 폐선[35] | ||
101번 | 폐선 | |||
102번 | 506번[36] | 달서2번 | 폐선[37] | |
107번 | 724번 | |||
108번 | 425번 | |||
109번 | 301번 | 폐선[38] | ||
111번 | 폐선 | |||
120번 121번 | 646(-1)번 | 폐선 | ||
126번 | 636번 | 폐선[39] | ||
127번 | 535번 | 503번 | ||
133번 | 40-2번 40-3번 204번[40][41] | 폐선[42] | ||
205번 | 356번 | |||
205(-1)번 | 52-2번 | 폐선[43] |
2.2. 좌석버스
1998년 개편 이전 | 1998년 개편 이후 | 2006년 개편 이후 | 2015년 개편 이후 | |
301번 | 649번 | |||
303번 | 415번 | 폐선[44] | ||
305번 | 509번 | |||
307번 | 704번 | 폐선[45] | ||
312번 | 518번 | |||
315번 | 156번 | |||
316번 | 407번 | 급행3번 | ||
320번 | 104번 | 폐선[46] | ||
321번 | 936번 | 폐선[47] | ||
322번 | 폐선 | |||
323번 | 719번 | |||
326번 327번 | 306번 | 706번 | ||
330번 331번 | 608번 | 폐선[48] | ||
332번 | 601번 | 600번 | 600번 급행6번 | |
333번 | 508번 | 급행5번 | ||
334번 | 606번[49] | |||
336번 | 309번 | |||
339번 | 726번 | |||
345번 | 454(-1)번 | 폐선[50] | ||
352번 | 836번[51] | |||
355번 | 549번 | 폐선[52] | ||
363번 | 527번 | |||
371번 | 840번 | |||
375번 | 609번 | |||
376번 | 105번 | 급행1번 | ||
377번 | 104번 | 폐선[53] | ||
385번 | 폐선[54] | |||
386번 | 910번 | 폐선 | ||
387번 | 402번 | 폐선[55] | ||
388번 | 305번 | 폐선[56] | ||
389번 → 397번[57] | 708번 |
2.3. 어느 순간 또는 금방 폐선된 노선
아래 노선들은 모두 현재 폐선된 노선이다. 개중에는 노선은 딴판이고 번호만 계승한 경우도 있다.- 40-1번, 40-2번, 40-3번
- 52-1번
- 72-1번[58]
- 78번[59]
- 91번
- 134번
- 149번
- 333번[60]
- 343번
- 363번
- 404(-1)번
- 414(-1)번[61]
- 606번[62]
- 613번
- 624번[63]
- 665번[64]
- 723번[65]
- 725번
- 900번[66]
- 905번 [67]
- 949번[68]
- 990번[69]
2.4. 마을버스
구간 조정을 통해 지선버스로 승격되거나 간선버스 노선 내로 흡수되었다. 0번, 1번, 3번, 4번이 없는 이유는 원래 결번이었기 때문이다.- 2번 → 서구1(-1)번[B]
- 5번 → 성서3번, 달서3번[B]
- 6(-1)번 → 달서1(-1)번, 달서3번 → 달서1번[72], 달서3번
- 7번 → 칠곡1(-1)번
- 8번 → 849(-1)번[B]
- 9번 → 937번[B]
2.5. 1998년, 2006년 개편 이후 신설된 노선
2.6. 2015년 개편 이후 신설된 노선
급행버스 | 급행6 | 급행7 | 급행8 | 급행8-1 | ||
간선버스 | 204 | 234[89] | 240 | 304[90] | ||
523 | 7250 | 8140 | ||||
지선버스 | 남구1(-1) | 달서5[92] | 서구1(-1) | 수성3(-1)[93] | 수성4 | 칠곡4 |
칠곡5 | 동구5 | 동구6 | 동구7 | 동구8 | 동구9 |
2.7. 군위군 편입 이후 신설된 노선
급행버스 | 대구 버스 급행9 | 대구 버스 급행9-1 |
3. 도시철도 개통과 시내버스 대개편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지하철 노선이 하나 개통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버스계통을 대대적으로 바꾸는 대격변을 하고 있다.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 이후에 진행된 권역별 노선번호, 2006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에 진행된 준공영제,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이후에 진행된 대격변이 그것이다.3.1. 1998년 권역별 노선번호 도입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완전 개통 이후 도입된 제도.이 이전에는 현재의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처럼 일반버스는 1~3자리 번호를, 좌석버스는 300번대 번호를 사용하였으나 이 이후 권역별 노선번호를 사용하게 됐다. 노선번호 변경과 더불어 폐선, 통폐합, 신설이 이뤄졌다.
대구 시내에 있는 모든 버스가 바뀐 그야말로 대격변이었기에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대구시내 모든 가정에 모든 노선을 총망라한 소책자가 1~3부 배부됐으나 기존번호와 너무나도 달라진 것에 반감을 가지고 원래대로 환원하라는 민원이 빗발쳤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차차 적응되어 지금은 잘 자리잡고 있다.
대구버스가 아닌 경산버스 15번이 이 개편에 맞춰 번호를 818번으로 개편하기도 했다. 워낙 특이한 녀석이라 대구 버스는 아닌데도 이 단락에서 특별히 언급한다. 해당 문서 참고.
▲ 개편 당시의 버스 모습. 앞유리에 예전 노선번호를 적어둔 것을 볼 수 있다. [94]
이 때부터 배차 로테이션을 지정하기 위해 모든 노선을 1조, 2조, 3조(오지조)로 구분하였다. 1조와 2조는 일반 시내버스로 운행했으나 3조(오지조)로 분류된 노선은 각 회사별로 1대씩 그날 담당할 노선에 투입되었다. 당시 3조로 분류된 노선은 2006년 개편 전까지 11-5·11-6·52-2·66-1·66-2·66-3·66-4·72-1·131·655[95] 등이 있었다. 오지조는 특성상 수요가 높지 않았고, 그런만큼 대부분의 회사에서 에어컨도 없는 구형차량을 주로 투입했다.[96]
마을버스는 권역별 노선번호 1자리로 표기하였다.
3.2. 2006년 준공영제 도입 및 버스체계 개편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 도입된 제도들.2006년 2월 19일에 버스·지하철 통합환승제와 준공영제가 도입된 것을 시작으로 좌석·일반·마을버스 체계가 급행·순환·간선·지선 체계로 바뀌었고 98년 못지 않게 폐선, 통폐합, 신설이 이뤄졌다. 하지만 98년 개편때와는 달리 대구시에서 적극적인 홍보를 하지 않아 노선 안내 소책자는 일부 가정에만 배부됐으며 대다수의 개편 안내는 버스 정류장과 각 버스 차량에 부착된 유인물로만 이뤄졌다. 거기다 일부 안내에 오류가 있어 대구 시민들의 원성을 산 바 있다. 이 개편으로 시계외요금이 없어졌으며, 인접 지자체소속 버스에 대경교통카드의 호환이 시작됐다. 2호선 선형과 중복되는 노선들이 주 개편 대상이었으나 경산버스의 비협조로 반쪽짜리 개편이 되었다. 이를 가장 여실히 드러내는 사례로 대구 버스 649 참조.
준공영제의 도입으로 노선별 배차권과 노선 변경권을 대구시가 가지게 돼 2006년 대격변때엔 중복노선, 적자노선 등을 대거 폐선 또는 감편해 무려 158대를 감편했고, 그 이후로도 매년 조금씩 노선 변경 및 감차가 이뤄지고 있다. 이 꾸준한 차량 감차와 무분별한 보조금 퍼주기는 버스동호인들 사이에서 두고두고 까이는 요소.
그러나 전 노선 전 회사 공동배차에서 책임배차제로 바뀐 것도 이 개편의 영향이다. 이전의 경우 대명교통이 구 131번을 운행하는 등 공차회송 거리와 노선 거리가 거의 비슷한 수준의 노선을 운행하는 비효율성이 제기되었는데 이 개편으로 131번은 팔공1번으로 바뀌며 광남자동차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다. 읍면노선이 시내버스로 흡수된 체제에서는 사실 좋은 체제가 아니다. 그래서 창원시 시내버스도 이후 대구처럼 단독배차제 원칙으로 전환되었고 일부 주간선급 노선에 한해서도 관리가 용이한 곳으로만 최대 3개 업체까지 공동 배차를 하고 있다.
개편하고 몇 년 있다가, 놀토 때문에 격주마다 일부 노선 한정으로 일요, 휴일처럼 감편하는 놀토 격주 감차가 생겼다. 2015년 8월 개편 이후에도 놀토 격주 감차는 일부 노선에 적용 중인데, 얼마 후에는 아예 그냥 격주가 아닌 매주 놀토 감차로 변경한 듯하다. 단, 감차 대수는 일요, 휴일 감차와 같을 수 있고[97] 다를 수 있으며, 다이어도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98]
3.3. 2015년 준공영제 체제 개편
자세한 내용은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문서 참고하십시오.3.4.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대구광역시는 신도시 개발, 군위군 편입, 주변 도시 여건 변화 및 대경선 개통 등에 대비해 대대적인 개편을 시행할 계획이다. 2023년 9월에 용역을 발주하여 2025년에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해당 시기에는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제도도 본격적으로 시행될 전망이다.[1] 현재 403번과 노원네거리에서 동인네거리 동일[2] 공고네거리에서 본리네거리 구간 동일[3] 일부 구간 937번과 달서4(-1)번이 운행[4] 하빈면 가지노선은 성서2번이 운행중[5] 405-1번은 후에 435번으로 변경[6] 405번과 435번을 통합[7] 730번과 730-1번을 통합[8] 일부 구간은 가창2번이 운행[9] 경산 버스 면허[10] 만평네거리 ~ 두리봉터널 구간 234번이 운행[11] 일부 구간 남구1(-1)번, 서구1(-1)번이 운행[12] 1990년 20-1번과 76번이 통폐합[13] 일부 구간 북구1번, 동구2번이 운행[14] 일부 구간 708번이 운행[15] 814-1번과 통합[16] 고령군 면허 노선, 34번, 334번 시절은 고령이 아닌 현풍으로 갔으나 606번으로 변경되고 고령시내까지 들어간다. 유일하게 1998년 개편 후 이 노선은 일반,좌석 모두 섞어 다녔었는데 34번에 들어갔던 일반버스랑 334번에 들어갔던 좌석버스의 흔적이다.[17] 1998년 개편 때 신설되어 1달 만에 폐선된 606번의 일부 구간 운행[18] 북구 구간은 403번이 노원네거리에서 칠성홈플러스 구간을 대체하지만 403번이 2006년 개편 때 노선이 변경되어 50번의 흔적을 찾기가 어려워졌다.[19] 434(-1)번의 일부 구간을 직선화[20] 434(-1)번의 일부 구간을 단축[21] 일부 구간 동구1(-1)번 운행[22] 2006년 개편 때 840번과 통합되었다.[23] 2005년 2월에 609번과 통합되었다.[24] 90년 20-1번과 통합[25] 98년 5월 5일~5월 31일까지 운행[26] 98년 6월 1일~2006년 2월 18일까지 운행[27] 일부 구간 101(-1)번이 운행[28] 구.242번의 수성구 순환구간을 운행[29] 원화여고에서 MBC네거리 동일[30] 범어네거리에서 범물동 동일[31] 일부 구간 653번과 805번이 운행[32] 지금 있는 524번과 다른 노선이었다,[33] 북구2번이 일부 구간 운행[34] 일부 구간 운행[35] 동구5, 수성2번이 구간 운행[36] 1998년 개편때 신설된 노선으로 초기에는 본리네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올림픽기념관으로 바로 갔었으나 102번의 전신인 506번이 죽전네거리에서 직선화됨에 따라 102번 시절 성당주공아파트-금봉네거리 일부 구간을 이어받았다.[37] 일부 구간 503번, 달서4(-1)번이 운행[38] 북구3번이 실질적인 계승[39] 일부 구간 649번, 805번이 운행[40] 지금 있는 204번과 다른 노선이었다.[41] 가르뱅이~이현삼거리 구간은 234,서구1(-1)이 운영 , 변경되기전의 구간(=서대구공단 ~ 이현삼거리)은 240이 운영[42] 일부 구간 가창2번이 운행[43] 일부 구간 성서3번이 운행[44] 514번과 통합[45] 일부 구간 304번, 726번이 운행[46] 일부 구간 401번이 운행[47] 일부 구간 937번과 달서4(-1)번이 운행[48] 일부 구간 650번, 805번, 980번 운행[49] 고령군 면허 노선, 34번, 334번 시절은 고령이 아닌 현풍으로 갔으나 606번으로 변경되고 고령시내까지 들어간다. 유일하게 1998년 개편 후 이 노선은 일반,좌석 모두 섞어 다녔었는데 34번에 들어갔던 일반버스랑 334번에 들어갔던 좌석버스의 흔적이다.[50] 일부 구간 323(-1)번, 순환3(-1)번이 운행[51] 대부분 구간 운행[52] 일부 구간 405번, 509번이 운행[53] 일부 구간 401번이 운행[54] 범물동-월배 사이를 운행했던 노선이며 85번 버스와 비슷한 노선이었다고 한다. 1995년 개편으로 유천교까지 연장되었었다. 지금은 범물동-유천교를 한 번에 가 주는 버스는 없고 1호선-3호선 루트가 가장 빠르고 편리하다. 개편 당시 1호선과 선형이 중복되어 폐선되었으리라 추측된다.[55] 일부 구간 204, 523번이 운행[56] 일부 구간 306, 523번이 운행[57] 대부분 구간 운행[58] 일부 구간 북구4번이 운행[59] 팔공3번이 운행[60] 508-급행5의 전신인 333과는 다른 노선. 1988년 좌석버스 신설 당시 대구공항-반월당 간 노선으로 신설했으나 수요 저조로 곧 폐선.[61] 대부분 구간 900번이 운행[62] 현재 고령 606번과 다르다.[63] 1998년 개편 때 만들었다가 1달 만에 폐선되었다.[64] 신설 당시에는 본리동에서 바로 월성동으로 갔다가 102번의 전신인 506번이 달구벌대로로 직통함에 따라 본리초등학교, 성당주공아파트, 대구방송통신중학교, 서부정류장으로 갔으며 현재는 성서산단네거리에서 직선화하여 달서1번으로 운행[65] 일부 구간 북구1번, 칠곡2번 운행[66] 일부 구간 204번, 449번이 운행[67] 시지지구에서 칠성시장을 거쳐 본리동까지 운행한 노선이였는데 이용 적자로 한달 만에 폐지되고 936번으로 변경되었다가 현재는 달서4(-1)번 이 대체[68] 1998년 개편 때 만들었다가 1달 만에 폐선되었다.[69] 경산버스의 구 99번인 현재 경산 990번과 매우 비슷한 노선으로 자세한 것은 경산버스, 경산 버스 990 문서 참고.[B] 일부 구간 운행[B] [72] 달서1-1번과 통합[B] [B] [A] 2015년 8월 개편 때 폐선되었다.[A] [A] [A] [A] [80] 836번 고령시외 가지노선 운행[81] 836번 논공읍, 옥포읍, 화원읍 가지노선 운행[82] 2006년 개편 때 달성2번에 통합된 논공~가야대 노선이다. 즉, 지금 있는 달성3번과 전혀 다르다. 2006년 9월 폐선되었다.[83] 2019년 4월 폐선되었다. 일부 구간은 655번이 대체한다.[84] 2008년 6월 655번과 통합한 방식으로 폐선되었다.[85] 849번 매여동 지선 운행[86] 427번 동명면, 구미시외 가지노선 운행[87] 401번 단축 보조 노선[88] 팔공1번 부정기노선 분리[89] 범물동~북부정류장 구간 427번 대체 노선 , 상리동~태평로 구간 202(-1)번 대체노선[90] 303(-1)번 종합유통단지-반월당 구간, 704번 대일리-반월당 구간 대체노선[91] 하술된 동구8번으로 대체되었다.[92] 655번 노선 변경으로 인해 계대동문-유천네거리 구간 대체노선, 정부지방합동청사 후문 경유 후 대곡지구까지 운행[93] 동호지구-범물동 구간 604번 대체[94] 사진의 704번(1998년 개편 전 307번) 버스는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없어졌다. 명목 상 이유는 3호선과 겹치기 때문이었으나 중앙대로 버스전용차로를 지나가는 인기 노선이었고 3호선은 그곳을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즉 대체버스가 없다는 말) 급행2번과 떨어진 곳에 사는 칠곡 주민들 입장에서는 아직도 큰 불만을 갖고 있다.[95] 1998년 때까지만 했어도 달성군은 지금처럼 개발이 크게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택지지구는 2000년대에 들어와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96] 다만 대차 직전의 RB520L을 투입한 회사도 있고 1994년식을 투입한 회사도 있는 등 편차가 있다.[97] 달서4(-1)번. 이쪽은 감차하라고 하면 명절 시즌에도 딱 1대만 감차해서 다닌다.[98] 특히 523번 서재방면. 밤 10시 8분 검단동 출발 막차가 끝이며, 이후에는 중간종료 막차가 없다.